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국의 주택 소유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안준기(JunKi Ahn),류한얼(Hanul Ryu),유지호(Jiho Yoo),민영일(Youngil Min) 한국공공정책학회 2007 공공정책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housing property ownership by region in Korea. We focus on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property ownership and attempt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proper supply of house. We also identify such determinants as the housing price, the housing size, the owner"s income, and the family size   주택소유자형태의 차이는 다양한 주택특성과 가구특성(인구통계적 특성, 사회경제적특성)에 이ㅡ하여 선택된다. 주택특성은 주택가격, 주택규모 등이며, 가구특성으로는 소득, 교육수준 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연령, 가족구성원수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이 있으며, 가구가 주택소유형태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지역별 주택소유형태의 결정요인들을 알아봄으로써 합리적인 주택공급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주택소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별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 KCI등재

        근로환경에서의 위험노출 정도에 관한 연구

        이재성(Jaeseong Lee),안준기(Junki Ah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공단의 근로환경조사(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4차(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고용형태별(비정규직 세분류; 기간제, 비기간제, 시간제, 파견, 용역, 특수형태, 가정 내, 일일)로 근로환경에서의 위험노출 정도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ordered logit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 확률(predicted probability)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부분의 위험요소영역에서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비정규직 유형 가운데서도 비전형근로, 특히 용역, 일일(호출), 특수형태근로 종사자의 위험노출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각각의 위험요소별로 위험노출 확률에 대한 정도가 고용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로환경 측면에서는 용역근로, 육체적 근로방식에 있어서는 일일(호출)근로, 정신적 근로방식에 있어서는 파견이나 기간제, 특수형태근로, 시간제 등의 고용형태에서 위험노출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는 비정규직이 정규직에 비해 일자리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일자리의 안전성도 취약함을 의미하고, 비정규직에 있어서 일자리에서의 안전 강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stimates the predicted probabilities of risk-exposure degree in working environment by employment type such as temporary workers, non-standard workers, non-regular workers, and atypical workers applying order logit analysis, using the 4th wave of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which is conduct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in South Korea.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 first, non-stand workers are likely to be relatively more exposed to risk than standard in most risk factors. Second, among non-standard workers, the atypical workers are likely to be relatively more exposed to risk. Third, subcontracting workers are the most likely to be exposed to risk in case of working conditions, one days workers are the most likely to be exposed to risk in case of physical working methods, and dispatch workers and part time workers are the most likely to be exposed to risk in case of psychological working metho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on-standard workers are more vulnerable than standard workers in job safety as well as job security. Also, in the case of non-standard workers, it is required to intensify the safety in working environment.

      • KCI등재

        대졸자의 실업경험의 낙인효과

        강순희(SoonHie Kang),안준기(JunKi Ahn)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한국경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실업의 구조화와 관련하여 문제가 되는 실업의 지속적 영향, 이른바 실업의 낙인효과를 상태의존성(true state dependence)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실증하였다. 관찰되지 않는 개인적 이질성과 선택편의를 제거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방법과 차분방정식모형을 이용하였다. 사용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패널조사인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의 1차(2006) 및 2차(2007) 조사자료로서 모집단은 2004년 8월과 2005년 2월에 졸업한 전국의 전문대 이상 대학졸업자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년도에 실업상태에 있었을 경우가 취업상태에 있었을 경우보다 미취업기간을 3~4개월 더 증가시켰으며, 전년도 미취업 개월수가 1개월 증가할 경우 다음 해 미취업기간은 약 0.2개월 증가하고 있다. 남성과 여성을 비교하여 보면, 2006년도의 경우에는 종속변수를 실업 여부나 미취업기간으로 한두 경우 모두에서 남성에게 낙인효과의 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2007년도에는 그 차이가 거의 없어지고 있다. 차분방정식모형에서도 2006년에 2005년에 비하여 미취업기간이 1개월 정도 길어지며, 2007년도의 미취업기간은 2006년에 비하여 약 0.4개월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남성과 여성에 있어 비슷하다. 이와 같이 대졸자에 있어 실업의 낙인효과가 존재한다는 결론은 일부 비판에도 불구하고 청년 인턴십 등 청년실업에 대한 정부정책이 균형실업률 또는 자연실업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실업의 예방과 초기의 실업경험을 막기 위하여 단기적 일자리 제공, 교육훈련 투자, 진로ㆍ직업지도와 상당의 확대 및 내실화 등이 여전히 중요한 정책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ses that the existence of the stigma or scarring effect of unemployment of the college graduates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panel data. To test the stigma effect of unemployment, we take the methodology of true state dependence test, which verifies if there is any dependency between two states. To control the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we use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and difference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exists true state dependence between previous unemployment and present unemployment of a same person. It means that there exists the stigma effect of unemployment in Korea. The stigma effect of unemploy¬ment is stronger in male than in female in 2006, but almost same in 2007. Those findings imply that preventive and active policies for the youth are more important than ex post facto and passive ones to prevent initial unemployment and/or to reduce the stigma effect of unemployment in the youth. Especially, those policies, like internship program, vocational training, counsell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job matching service are much more suitable.

      • KCI등재

        청년층의 성별 임금 격차에 관한 연구

        오세미 ( Semi Oh ),안준기 ( Junki Ah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3 여성경제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청년층의 성별 임금 격차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 방법에 비해 엄밀한 통제 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성별 임금 격차를 확인하기 위해 횡단 분석이 아닌 패널자료를 이용한 코호트(Cohort) 비교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활용하여 성별 외에 생산성과 관련된 요소들은 노동시장 진입 단계에서부터 유사하게 통제한 상태에서 장기간의 성별 임금 변화를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 임금 영향요인들의 초기 상태를 통제했음에도 노동시장 진입 후 시간이 지날수록 성별 임금 격차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격차가 생산성 차이 때문인지 차별과 같은 설명 불가능한 요인에 의한 것인지 Oaxaca-Blinder 분해법을 통해 살펴본 결과, 설명가능한 요인 외에 설명 불가능한 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여 사회구조적 차별 같은 문제들이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gender wage gap using a distinctive approach compared to existing studies. First, panel data, instead of cross-sectional data, was utilized to consider both observable and unobservable characteristics that may contribute to structural differences in wages. Furthermore, the study aimed to measure the gender wage gap more accurately by controlling for the initial labor market entry status and tracking long-term wage changes. The analytical methods employed include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Oaxaca-Blinder decomposit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even after controlling for potential wage-affecting factors, the gender wage gap widened over time. Decomposition of the wage gap indicated that beyond the factors that can be explained, significant unexplainable factors contribute to the wage gap. This points to potential societal structural issues, such as discrimin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rawn.

      • 청년여성의 직업훈련 참여실태와 정책과제

        신선미(Seon-Mee Shin),김영옥(Young-Ock KIM),김종숙(Jong-soog KIM),안준기(Junki AHN)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1. 연구개요 가. 연구목적 청년여성은 남성에 비해 직업세계에 진출하는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과 학업성취도가 남성보다 높은 편이나 취업은 더 힘들다. 또한 취업자의 경우에도 여성이 남성에 비해 비정규직 비율이 높다. 직업훈련은 비취업에서 취업으로의 이동은 물론, 이미 취업한 근로자의 직업안정과 발전을 도모하는데, 청년층 취업난의 심화로 청년층을 위한 직업훈련 예산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청년층의 직업훈련 참여기회와 성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점검하여 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남녀 청년에게 공통으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해 청년여성에게 필요한 대응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나. 연구문제 ○ 청년여성에게 직업훈련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공급자와 수요자 관점에서 직업훈련의 목적과 역할은 무엇인가? ○ 남성과 여성 사이에 참여기회와 성과의 차이가 있는가? ○ 청년층에게 제공되는 직업훈련이 청년여성이 원하는 직업훈련의 방향과 내용에 부합하는가? ○ 청년여성에게 필요한 직업훈련정책은 무엇인가? 다. 연구방법 ○ 문헌분석 - 직업훈련에 관한 국가 법령, 학술논문, 정책 보고서, 해외 자료 등 ○ 국가통계자료 분석 -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2004-2016) - 지역별고용조사(2014년 상반기) -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08-2015년 조사) ○ 정부 행정 DB 분석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행정 DB인 일모아 시스템, 직업훈련 시스템인 HRD-net의 자료를 고용보험 DB와 연계하여 분석 ○ 심층 면접조사 - 통계자료 분석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직업훈련 참여 경험과 훈련 성과의 질적 측면을 분석하기 위해 심층면접조사 실시 - 청년여성 : 대학 재학생 및 대졸 미취업자 3명, 대졸 비정규직 9명, 대졸 정규직 2명, 총 14명을 4개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면접 실시 - 훈련기관 관계자 및 연구자 : 청년취업아카데미 운영자,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사,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자, 대학일자리센터 운영자, 폴리텍 고급 직업훈련 운영자 등 총 16명을 대상으로 집단면접과 개인면접조사 병행 ○ 전문가 자문회의 운영 - 청년층 직업훈련 관련분야 전문가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5인)를 포함 다양한 전문가 참여 - 2017년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연구결과 및 정책제안에 관한 토론 실시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training is expected to grow even more significant from a mid-to long-term perspective with technology advancement, economic crises, aging society, women’s increase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etc.. Since 2008, the budget allocated for vocational training has increased the most in youth employment policy.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if there exist any gender differences in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and the achievements from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as well as suggest policy tasks to resolve the gender gap.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problems that are common for both male and female youths, this paper suggests measures to address the problems faced by female youths. The issues dealt with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What meaning does vocational training has for female youths? What are the purpose and role of vocational training to them? 2) Are there any gender differences in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s from vocational training? 3) Do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vocational training provided to the youth match what female youths want from vocational training? 4) What is the kind of vocational training policy required for female youths? To seek the answers to these issues, relevant literature and national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14 female youths, and 16 workers in training organizations and researchers) and a consultation meeting of professionals were held. The meaning and role of vocational training have gradually expanded since the 1960s. The vocational training in the 1960s and 1970s concentrated on fostering skilled manpower. In the 1980s, the subjects of vocational training started to expand to include all workers, and vocational training for the middleaged, the elderly, women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strengthened. The focus of vocational training since 1990s has been the lifelong enhancement of workplace competencies of all workers. The OECD member countries that have more advanced vocational training systems have institutionalized ‘career guidance’ alongside vocational training. Female youths in Korea reckon that vocational training is designed for acquiring skills required for actual duties or developing adaptability to actual duties, and do not feel its necessity. 87% of female youths in the 18th to 24th month after college graduation are found to have never received vocational training. It turned out that 52.4% of them did not feel the necessity of vocational training. The gender gap in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was mainly found in government-aided vocational training. Women’s participation was particularly low in training courses that accompany a long training period, relatively high in cost, and connection to employment for their focus on technology. These include the training courses for jobs in key national strategic industries, those for fostering professional manpower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and skilled manpower, and those for expansion of equipment, etc. Looking at the participation rate of youth population in vocational training regardless of whether government aid is provided or no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were found, except for the gender gap revealed in some low-ranking groups. For instance, more female youths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than male youths in the group of the unemployed who has graduated from school, in contrast more male youths than female youths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in the group youths who are still students or who a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