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안전문화 매개작용을 중심으로 -

        백승수,장길상,박창권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7~2021년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중 40%가 협력사업장이며, 그 중 추락 · 끼임 · 부딪힘 등 기본 안전수칙 준수로 예방 가능한 사고가 전체의 62.6%(2021년 기준)이다. 따라서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안전문화 정착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정착을 위한 방안으로,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 조성과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단면조사 연구로서 2021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21년도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건설 · 제조 · 서비스업 7,308개소 중 제조업 협력사업장 739개소를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자료는 SPSS 통계패키지(ver. 21)를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협력사업장은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가 91개소 12.3%였으며, 산업안전보건 전담부서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94개소 13.9%로 대체로 산업안전보건체계 구축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와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원청의 안전지원은 협력 사업장의 안전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세부적으로는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협력사업장 경영진의 리더십은 부분매개작용이 있으며, 안전소통과 교육 및 제도는 완전매개작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원청사업장의 적극적인 안전지원은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이 향상되어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협력사업장은 일반적으로 원청에 비해 안전능력이 부족하므로, 원청의 안전지원을 통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한 안전문화 정착으로 소속 근로자의 불안전한행동 제어를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

        문영주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at provide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services based on the community respond more sensitively to environmental changes than other typ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not only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but also creating a saf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afety culture scale to examine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provide evidence for its valid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mail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community welfare centers, senior welf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y)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rformed on the 1,260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First, the safety culture scale, which consists of 52 questions on 7 factors: safety activities, teamwork, education/training, policy/system, fair culture, leadership, and perception/attitude, was found to have secured construct validity. Second, the composite reliability of the safety culture scale was above .7, and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AVE) value was above .5, showing that convergent validity was secured. The safety culture scal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monitor the level of safety culture of individual institutions, identify areas requiring improvement, and prepare alternativ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follow-up researchers regarding the safety cultur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 KCI등재

        공공데이터분석을 통한 범죄안전도시 구축의 제언 - 경기도 화성시 범죄를 중심으로 -

        송병호,한상철,김현동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5

        우리나라는 심각한 주거난에 수도권 외곽으로 위성도시를 만들었고 최근 新도시 개발을 통한 주거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안전을 위한 정책집행이 미온적으로 되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 개발된 화성시의 경우 인구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인구증가는 범죄발생의 원인이고 시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치안유지를 위해 경찰청 정책을 중심으로 인구수 대비 경찰관서 증설로 증가하는 범죄를 통제하려한다. 즉 공경비인 경찰력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찰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줬다. 이 연구에서는 화성시 新도시개발 이후 범죄발생의 증가와 통제방안의 미흡 등에 따른 안전한 도시 필요성에 대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화성시 국제안전도시 구축을 위해 범죄발생에 대한 효과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안전도시와 범죄에 대한 논의로 안전도시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한다. 그리고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회성시 범죄발생의 특징과 원인을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와 논의를 통해 범죄현황을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화성시 범죄율에 대해 객관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화성시가 범죄안전도시를 구축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안전도시 구축을 통한 개선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범죄예방환경 인프라 구축이다. 안전도시 구축의 필요성에서 제기한 범죄예방 CCTV의 설치를 보다 효율적 배치와 더불어 사각지대의 해소이다. 또한 새로운 기능이 탑재된 CCTV의 개선과 각 경찰서와 읍·면·동 단위의 CCTV 관재센터의 집중운영이다. 범죄기회 감소시를 위한 범죄목표물에 잠금장치나 경보장치 및 통제장치를 통한 대상을 강화(target hardening)와 울타리 · 담장 등을 통한 접근통제이다. 둘째, 맞춤형 순찰활동 전략이다. 과학적 범죄분석 및 예측시스템인 CompStat을 통한 적극적 순찰전략의 모색과 범죄통제전략(Crime Control Strategies)으로 범죄발생현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계분석자료를 근거로 범죄발생을 예측하고 과학적인 순찰경찰배치 등을 통해 범죄예방 및 검거의 효율성을 제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범죄발생원인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다. 또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전략”, “24시간 스마트감시시스템”, “여성안심비상벨”, “범죄감시용 드론” 등의 도입도 안전도시 구축의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시민협력을 통한 전략이다. 이는 民-官 협력을 통한 안전도시 구축의 성공을 위함이다.

      • KCI등재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현안나,김영미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child safeguarding policy practice in children's residential care engaged in "Creating Safe Institutions for Children" project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project as perceived by participa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6 child safety protection officers and 10 children in 4th grade and above from children’s residential centers and group homes in B area that carried out the project in 2022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analysis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11 themes in 4 areas. First, ‘Safe Home’ was the goal of this project and was a living space that provided emotional stability and protection to children. Seco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facility,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care, the environment outside the facility and online have also become ‘child safety risk factor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child safeguarding policy. Third, in the area of 'experience in child safeguarding policy practice', categories such as 'safety protection monitoring together', 'activities centered on child participation', 'project support that promotes practice', and 'implementation obstacles and limitations' were revealed. Fourth, as ‘changes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child safeguarding policies,’ participants reported ‘promotion of institutional safety culture,’ ‘strengthening safeguarding competency of workers,’ and ‘promotion of children’s safety righ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and task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for the application and spread of child safeguarding policy in residential centers and group homes for children.

      • KCI등재

        대학 연구실 안전리더십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 분석 - 안전 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한진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5

        The main cause of university laboratory accidents is anxiety behavior of researchers, and it is time to strengthen safety behavi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safety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who has the greatest authority in the university laboratory, on the safety behavior of researchers and the safety climate of the laboratory. To this e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laboratory researchers. A total of 321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as for the survey tool, the tool developed in previous studies was modif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university laboratory. Reliability analysis of the tool was perform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validity analysis. As a result, the validity of the tool was proven.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tool was higher than .90. SPSS PROCESS MACRO 4 was use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al safety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safety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ompliance behavior and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Through this, the supervisor, who is in charge of the university's laboratory, needs to lead the affiliated laboratory researchers wi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safety leader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al safety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safety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aboratory safety climat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aboratory safety climate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ompliance behavior and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Through this, the safety clima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 safety behavior of university laboratory researchers in the future, so universities need to operate various programs to create a safety climate for laborator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climat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transformative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compliance behavior, safety participation consent relationship, transactional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compliance behavior, and safety participation consent. The safety behavior of university laboratory researchers is directly affected by the safety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but it was also found that they are also affected by the safety climate of the laborator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detail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field of the university laboratory.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ddition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reation of a safe climate in the laboratory.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safety climate of the laboratory.

      • KCI등재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광재,장길상,박창권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2022년 기준, 고용허가제를 통해 입국한 외국인 근로자는 8만 4천 명을 넘어섰으며 2023년에는 고용허가 쿼터가 11만 명 규모로 확대되었다. 이들 외국인 근로자들이 근무하는 곳은 중소 영세기업 중심의 제조업 현장과 건설업 현장, 농 · 어업 등 국내 근로자들이 기피하는 현장으로 저출산 · 고령화에 따른 산업현장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정부에서도 외국인 근로자 유입의 정상화와 관련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는 대부분 생산 현장에 근무함에 따라 우리나라 근로자에 비하여 조직에 대한 책임감, 직무 몰입 수준 향상의 기대치가 낮고 직장 내 신뢰관계 형성을 장려하는 것도 언어 소통의 장벽 및 문화적응 등의 사유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방안의 주요 요소인 조직 신뢰, 상사 신뢰, 직무 몰입이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장에서도 파악되어야 할 필요성이 적지 않다고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조직 신뢰 수준이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직무 몰입도의 매개 효과, 직속 상사의 신뢰에 대한 조절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외국인 고용 사업장의 근로환경 개선 및 안전보건 확보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고용허가제를 통해 고용된 대한민국 내 외국인 근로자들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6차 근로환경 조사결과 중 다양한 업종에서 종사하는 288명의 외국인 근로자 응답 설문을 분석함으로써 조직 신뢰, 조직몰입, 상사 신뢰, 근로환경 만족도 간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적인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에 대한 신뢰가 전반적인 근로환경 만족도 향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으며 조직 신뢰 변수는 조직몰입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매개변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조직몰입이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했으며, 조직몰입은 조직 신뢰와 근로환경 만족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근로자의 직속 상사에 대한 신뢰는 조직 신뢰와 조직몰입의 정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외국인 근로자들 사이의 조직 신뢰의 역학관계와 이것이 직무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함의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사업주나 권한을 가진 책임자가 외국인 근로자들 사이에서 조직 신뢰와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를 강구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안전문화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필수요소인 안전행동, 안전리더십 등이 노동 집약적이며 외국인 근로자를 다수 고용한 사업장에서도 발현될 것이며 이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이해의 확대와 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건설업 협력업체 근로자의 안전사고경험 및 안전감시단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이재영,최서연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7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the safety monitoring groups, which plays a role of assisting in disaster prevention work in the form of outsourcing due to the lack of manpower, has emerged. The safety monitoring groups has limitations in the manufacturing and quality involvement of workers at the parent company due to personnel outside the workplace, and is limited to the lack of expertise in safety management and work safety centered on workers at subcontractors need to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cap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necessity, qualifi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the workplace safety monitoring groups and using manpower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self-written survey of workers at Company A's construction partner in Yeosu, Jeollanam-do, and workers at construction partner companies receiving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365 people. As a result, 69.5% of the main tasks were aware of the risk, and the experience of accidents caus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high. The types of disasters that threaten the safety of the workplace were in the order of drop, hit by objects, and hit. 71.5% of those who experienced safety monitors at workplaces, and 39.1% of those who experienced non-compliance experienced criticism from safety monitors. Men and regular workers a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safety monitor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qualifications and work of safety monitors, and the higher the age and experience, the higher the awareness of safety monitors. The experience group of the safety monitoring groups at the workplace showed 2.029 times higher awareness of the qualifications and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the safety monitoring groups than the inexperienced group.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ecuring expertise in the operation of the safety monitoring groups, so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activities of the safety monitoring groups without the current qualification criteria as a law or system. In addition,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increase utilization in disaster prevention in the field by presenting clarity of the scope of work with safety management personnel.

      • KCI등재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조한진,김태훈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Recently, accidents have been occurring continuously in domestic research labs, and in order to prevent them, the safety field is emphasizing the creation of a safe climate. Therefore, in this study, before confirming the role and performance of safety climate, we establish the definition and sub-factor of the concept of safety climate and develop a tool to measure it. Through this, we hope to contribute to revitalizing research on lab safety climate and related variables. Through previous research, a draft of the sub-factors and questions of the measurement tool was developed,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validated through an expert content validity survey,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eople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the measurement tool was validat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secur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ith safety-related variables was conducted. The safety climate measurement tool was drafted with a total of 4 areas and 19 questions, and a total of 16 questions were selected as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and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4 sub factor and 12 questions were converged. Afterward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this survey, the measurement tool was found to be valid, and there was a correlation with various safety related variables. The lab safety climate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four sub-factor : lab operation policy, lab safety regulations, lab safety educ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and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12 questions. The correlation between safety related variables such as safety leadership, safety knowledge, safety attitude, and safety behavi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o it can be used in future lab safety related research and is expected to revitalize research.

      • KCI등재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메타버스와의 관계 연구 - 메타버스와 시뮬레이터에 의한 시스템 통합이 안전문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이형우,김승호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industry, convergence between systems is actively taking place, with IoT, VR, Metaverse and AI at the center of it. Currently, simulators are used for education and simulation training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or reduce human error in the main tasks of power facilities. However, detailed information on the phenomena occurring in power facilities during education and simulation training is not provide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operation and power facilities (human-machine system), we went one step further from the 3D educational video that has been used as an auxiliary material so far, and grafted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This is a study on how to establish an integrated safety culture of electric power facility simulation training device (HMI), virtual reality (VR) and metaverse that can be directly experienced. And, as a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method combining OPC communication and Socket communication, which enables large-capacity signal processing, multi-connection, and two-way communication, was used. Because it can reduce human error, it responds to similar environments such as disasters, and furthermore, BCMS (Business Simulation Training in connection with the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is also possibl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 to be conceiv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ceed with additional research on the metaverse and safety culture construction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therapy effect of ergonomics compared to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중국 노인 레저스포츠 안전의식과 안전조치에 대한 현황조사연구 - 허난성 신샹시를 중심으로 -

        왕칭허,이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노인의 스포츠 및 레저 활동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 스포츠 안전의식과 불안전한 상황, 안전보호 조치의 이행 및 관련 영향요인을 탐색하여 효과적인 방안을 제언하고 관련 체육행정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 조사법을 채택하여 중국 허난성의 3급 중소도시인 신향시 거주 60세 이상의 400명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분석을 통해 노인들이 레저 스포츠에 대한 일정한 안전의식이 있지만 교육수준과 수입, 성별과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내부적 요인으로는 스포츠 참여 과정에서 운동 손상을 초래한 원인은 주로 과학적인 신체 단련지식의 부족과 신체적 생리와 근력 퇴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 전문적인 신체 단련 지도의 필요성 결핍, 신체적 피로와 신체의 상태가 좋지 않으며 운동량이 너무 많은 것이었다. 외부적 요인으로는 사용자가 운동기계를 잘 이용되지 못하거나 그 기계들이 파손되었거나 스포츠센터의 조직과 관리 규정이 구체적으로 매뉴얼화 되어있지 않거나 규범화되지 못하여 노인참여자가 스스로 보호 의식이 현저히 떨어지는 등 요소 때문이었다. 운동 시 안전보호 실시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주로 교육 정도와 경제 상황, 전문 지도와 스포츠센터 안전시설이 포함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더 많은 전문적인 운동지식 제공과 스포츠센터 시설 개선, 적당한 운동 장려와 체계적인 현지 노인 운동 보호 체계 구축 등으로 현지 허난성 신샹시의 노인 레저스포츠 참여 활동의 안전성 문제를 강조하고 안전의식 향상과 안전 조치 개선을 제언하였다. 이로서 현지 신샹시 정부는 기초적인 체육시설 건설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노인 안전시설 설비의 확대와 확충, 뚜렷한 안전시설 지표를 설정하고 노인 운동 손상 대응과 필요한 관련 예비안을 수립해야 한다. 이로써 노인들이 현지 레저스포츠 활동의 유익을 더욱 잘 누리고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현지 은퇴 후 삶의 질을 적극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위 연구결과는 현지 지방 정부의 노인 스포츠 정책 수립과 건강증진 활동에 도움이 되고 행정지도 시 사용될 수 있으며 현지 노인들이 고령화 과정에서 건강한 노년생활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생활방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