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년 사회 · 경제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Ⅴ - 전년도 공개데이터 심층분석연구 - 전년도 공개데이터 심층분석연구

        김형주,연보라,배정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은 2020년 한국 청년들의 생활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지표를 기반으로 취업과 경제생활, 삶에 대한 만족과 행복, 교육, 가치관, 신체 및 정신건강, 주거, 결혼, 양육, 출산, 문화생활 등 청년의 삶을 둘러싼 사회·경제 전반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본 보고서는 이와 같은 연구목적 하에 전년도 공개데이터에 대해 청년 문제 및 현안을 중심으로 주제를 선정하여 심층분석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본 연구의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는 2017년 7월에 국가승인통계(제402004호)로 지정되었고, 매년 이루어지는 실태조사 결과는 다음해 초에 국가통계포털(KOSIS)에 공개되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김형주, 연보라, 유설희, 배진우, 2019). 이에 따라 2019년 조사결과는 2020년 초에 일반에 공개되었다. 본 심층분석의 대상이자 전년도 공개데이터인 2019년도 조사대상은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15~39세 일반국민 3,500명이다(김형주 외, 2019). 금년도 심층분석연구는 첫째, 청년의 학자금 대출이 주거에 미치는 영향 : 경향점수 매칭 활용, 둘째, 대학교육, 고용안정, 주거소유 기대, 결혼 및 자녀출산의 구조적 관계, 셋째, 대졸 취업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분석 : 부모로부터 독립 여부에 따른 비교 등 3가지 주제에 대해 분석 연구를 하였다.

      • KCI등재

        외부요인이 안티드론 재밍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형주,김범모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9 치안정책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악의적 드론 재밍 성공률을 93%에서 98%로 보고한 김형주 외(2018)의 경찰임무용 안티드론 실증연구의 후속연구이다. 그러므로 2%에서 7%의 안티드론 재밍 실패요인을 외부요인 중심으로 탐색하여, 각각의 외부요인이 안티드론 재밍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으로 안티드론 성능개선 및 운용실무 등에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외부요인(풍속, 운량, 습도)의 준거기준을 마련하고, T검정으로 한다. 분석결과, 모델별, 모드별 안티드론 재밍 성공 평균이 풍속 8㎧ 이상인 날보다 이하인 날이 작게는 0.04, 많게는 0.129 높았으며, 운량 3.5 이하인 날보다 이상인 날이 작게는 0.02, 많게는 0.218 높게 나타났고, 습도 65% 이하인 날보다 이상인 날이 작게는 0.03, 많게는 0.243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제 모평균이 있을 가능성을 95%로 추정한 신뢰구간에서도 모델별, 모드별 안티드론 재밍 성공이 풍속 8㎧ 이상인 날보다 이하인 날이 작게는 –0.2144, 많게는 0.007 높았으며, 운량 3.5 이하인 날보다 이상인 날이 작게는 0.003, 많게는 0.2732 높게 나타났고, 습도 65% 이하인 날보다 이상인 날이 작게는 0.003, 많게는 0.3161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외부요인(풍속, 운량, 습도)은 평균 및 95% 신뢰구간에서 모두 안티드론 재밍에 영향을 미쳤으며, 풍속에는 반비례의 관계로 운량, 습도에는 비례의 관계를 가진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Kim et al.(2018) police anti_drone empirical study that reported success rate of malicious_drone anti_jamming from 93% to 98%.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on the anti_drone jamming by exploring 2~3% of the anti_drone jamming failure factors based on external factors,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ti_drone jamming performance improvement and operation practice. Therefore, the study method should be based on the frame of reference of external factors (wind speed, cloud amount, humidity) and T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success rate of anti_drone jamming by model and type, the days with a wind speed of more then 8㎧, was 0.04 at alow rate and 0.129 at most, the days above more than below 3.5 the cloud amount, was 0.02 at alow rate and 0.218 at most, the days above more than below 65% the humidity, was 0.03 at alow rate and 0.243 at most, respectively. In the confidence interval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the actual population average at 95% confidence interval, the success rate of the anti_drone jamming by model and type, the days with a wind speed of more then 8㎧, was –0.2144 at alow rate and 0.007 at most, the days above more than below 3.5 the cloud amount, was 0.003 at alow rate and 0.2732 at most, the days above more than below 65% the humidity, was 0.003 at alow rate and 0.3161 at most, respectively.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wind speed, cloud amount, and humidity were found to affect anti_drone jamming in both mean and 95% confidence interval. the effect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wind speed, was marked as proportional to the cloud amount, humidity, respectively.

      • 청년 사회 · 경제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Ⅴ

        김형주,연보라,배정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전체 5개년 연구의 5차년도 연구인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한국청년들의 생활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지표를 기반으로 취업과 경제생활, 삶에 대한 만족과 행복, 교육, 가치관, 신체 및 정신건강, 주거, 결혼, 양육, 출산, 문화생활 등 청년의 삶을 둘러싼 사회·경제 전반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를 위한 핵심지표는 기존 1차년도부터 4차년도까지의 연차별 연구의 핵심지표의 틀을 유지하여 인구와 가족, 교육과 훈련, 경제와 고용, 주거, 건강, 문화와 가치관, 관계와 참여 등 7가지 대분류를 중심으로 14개 소분류, 총 115개의 핵심지표로 구성된다. 전국단위 실태조사 결과와 더불어 기 공개된 통계자료에 대한 2차 분석을 통해 각 핵심지표별 실태를 파악하였다(김형주, 연보라, 유설희, 배진우, 2019). 특히 핵심지표를 개발한 첫해를 제외하고 2차년도부터 매년 우리 사회의 주요 청년 현안에 대해 부가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조사를 하였는데, 2차년도에는 청년 니트(NEET) 문제, 3차년도에는 학교 신규졸업자(졸업예정자) 문제, 4차년도에는 청년 참여 문제, 금년도 5차년도에는 청년 주거 문제를 다룸으로써 청년들이 직접 제기하는 밀도 있는 삶의 얘기를 연구에 담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 원데이터를 청년 문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석을 해보기 위해 통계청 승인을 받은 2019년도 공개데이터에 대한 심층분석 연구를 함께 추진하였다. 금년도에는 청년의 학자금 대출이 주거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학교육, 고용안정, 주거소유 기대, 결혼 및 자녀출산의 구조적 관계 분석 연구, 부모로부터 독립 여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대졸 취업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분석 연구라는 3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분석연구를 하였다.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와 주거의식에 관한 심층면담을 토대로 ‘한국청년의 삶 개선’이라는 비전하에 6개 분야 총 17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인구 및 교육·훈련 분야에서는 시도별 이주배경 청년지원센터 설치, 직업훈련 온라인 콘텐츠 오픈마켓 구축, 경제 및 고용 분야에서는 청년 구직활동지원금 확대, 청년 내일채움공제 확대 및 개선, 창업대학 지정 및 운영, 건강 및 문화 분야에서는 청년 국가건강검진 내실화, 청년 정신건강지원 사업 확대, 청년층 특화 여가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관계 및 참여 분야에서는 청년 정책참여 거버넌스 제도화 및 확대, 청년 대상 온라인 민주시민 교육 활성화, 청년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청년카드 도입, 청년 1인가구 주택공급 확대, 셰어하우스 공급 개선, 청년 주거상담센터 지정 및 운영, 법·제도 기반 분야에서는 생애 전반기 법령체계 연계, 국가청년진흥원 설치 및 운영, 청년지원전담공무원제 도입 등이다. 금년 전대미문의 보건 위기 사태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민경제를 비롯한 우리 삶의 모든 분야들에서 불확실성이 확대되었고 더구나 청년들의 고용, 소득, 주거 등 청년을 둘러싼 일상의 모든 문제를 원점에서 다시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청년들이 자신의 삶과 앞으로 살아갈 사회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기성세대가 토대를 마련하는 일은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미 기득권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기성세대와 기성정책들의 이해관계 조정과 배려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가 절실하다.

      • 바이오 및 제약산업의 글로벌 지식네트워크 구축방안

        김형주,김석현,김석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STEPI Insight Vol.- No.59

        지식기반 경제에서 혁신 창출을 위한 지식이 중요해지고 새로운 지식의 공급을 위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경우 세계적인 글로벌 분업 구조의 형성으로 연구개발 기능이 확산됨에 따라 각국에서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에 전략적인 연계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전략으로 국내 거점 구축(In), 해외 거점 구축(Out), 교량 확보(Bridge)의 세가지 유형을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6대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 정부 주도의 집중적인 국내 거점 구축(In) 전략 [과제 1] 해외 유수의 연구소를 유치 [과제 2] 공공부문의 신약개발지원조직의 구성원을 글로벌 인재에서 선정 [과제 3] 한국의 벤처기업과 선진국의 바이오 및 제약 회사가 공동 투자하는 연구개발 사업 [과제 4] 선진국의 벤처자금과 공동으로 바이오벤처 투자하는 펀드의 조성 □ 공격적인 해외 거점 구축(Out) 전략 [과제 5] 연구와 컨설팅 기능의 선진국 거점(outpost) 구축 □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교량(Bridge) 확보 전략 [과제 6] 자생적인 해외 한인 협회와의 체계적인 네트워킹

      • KCI등재

        듣기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김형주,이길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3

        Listening is now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skill among the four language skills. This classroom-based study aimed to determine what the students think about listening and their preference for the following two teaching methods: dictation and dictogloss. For eleven weeks, thirty-o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in the beginning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the four language skills with English vocabulary and grammar. One mor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determine which listening methods were perceived better by the students between dictation and dictogloss, at the end of the semester, after listening classes in which dictogloss was implemented for the last two weeks. A simulated TOEIC listening test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students into two different groups, high level learners and low level learners. The results showed that vocabulary, listening, and speaking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by the students, while grammar, reading, and writing were considered to be less important. The results for the preference for the listening teaching methods indicated that learners preferred practicing listening with dictation than with dictogloss regardless of the level difference. Lastly, based on the result, this article has made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교실 상황에 기초한 본 연구는 영어 영역에 있어 학습자의 중요도인식 상태와 듣기 학습방법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11주 동안, 31명의 대학생 학습자가 참여하였다. 설문조사를 학기 초와 학기 말에 각각 실시하였고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영어 학습의 4가지 기능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및 단어와 문법을 포함한 6가지 영역의 중요도를 알아보았다. 학습자들은 영어 수준에 관계없이 단어, 듣기, 말하기를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 반면 문법, 읽기, 쓰기에는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덜 부여하였다. 듣기 학습 방법의 선호도에서는 학습자들의 수준에 상관없이 딕토글로스보다 받아쓰기를 미세하지만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국가산업단지 내의 중소기업들을 위한 문화경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남동공단 중심으로

        김형주,이문기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3

        본 연구는 인천 남동공단을 중심으로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한 중소기업들에 종사하는근로자들이 문화 복지 및 문화향유권 측면에서 사각지대에 놓여있음에 주목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오늘날 기업은 기술혁신과 원가절감 등의 경영전략뿐만 아니라 문화경영을 통해서 기업 내부직원들의 자발적 충성도 제고 및 창의적 아이디어를 개발함으로써 기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먼저 남동공단 내 중소기업들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 연후에, 이들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내부직원들의 조직만족도 제고 및 업무몰입, 능률향상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서 문화경영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위한 실행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본 논문은 연구대상인 인천남동공단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문화경영 지원방안으로 공단 내 문화거버넌스의 구성, 지자체 및 기업 CEO의 역할 제고, 문화기업인증지표개발,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통한 기업과 지역 문화예술인들과의 협업 및 문화예술제를 문화경영전략의 구체적인 실천대안으로 제시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workers working for small and midsize companies that moved to the state-run industrial complex in Namdong-Gu Incheon are in a blind spot in terms of cultural welfare and cultural enjoyment. As it is noted, companies today are able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and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by enhancing voluntary loyalty and creative ideas of their employees through cultural management as well as managerial strategies such as innovation and cost reduction.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small businesses in the Namdong Industrial Complex first, and then enhances the organizational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thes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enhanc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through business immers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In other words, this thesis is an effective method of supporting cultural management that reflect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firm Namdong Industrial Complex in Incheon, which develops cultural governanc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orporate culture and certification indicators.

      • KCI등재

        교육정보화에 대한 성과중심 평가모형 구안

        김형주 한국교육개발원 2005 한국교육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of educational technology(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policy. These policy is invested a enormous national budgets in several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history in these policy, the effects of these were requested to evaluate systematically.This study propose the evaluation model of educational technology(ICT in education) policy based on BSC(Balanced Scorecard) model. This model has four aspects of achievement, effectiveness, satisfaction, cost. Like this evaluation by four dimension make a contribution toward improvement in these educational policy.Finally, these studies and performance on evaluation model will go far toward raising quality on policy in educational technology(ICT in education). Also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is developed all the more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막대한 교육 예산이 투입되어 온 교육정보화 정책에 대한 평가모형을 구안하여 제안함으로써 그 체계적인 질 관리를 도모하고자 함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성과’란 가치를 중심으로 BSC(Balanced Scorecard) 모형의 기본 틀에 따라 달성도, 효과성, 만족도, 비용이란 4가지 관점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성과중심 평가모형을 구안하였다. 교육정보화에 대한 성과중심 평가모형 개발 및 향후 이와 같은 평가모형의 현장 적용 활성화는 교육정보화 정책의 질을 제고하고 우리 교육정책의 선순환적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Program Development for Prediction of Negative Skin Friction on Piles by Consolidation Settlement

        김형주,Jose Leo C. Mission 한국지반공학회 2009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5 No.9

        The microcomputer program PileNSF (Pile Negative Skin Friction) is developed by the author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using MATLABⓇ for predicting the bearing capacity of a pile embedded in a consolidating ground by surcharge loading. The proposed method extends the one-dimensional soil-pile model based on the nonlinear load transfer method in OpenSees to perform an advanced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settlement analysis based on finite strain. The developed program has significant features of incorporating Mikasa’s finite strain consolidation theory that accounts for reduction in the thickness of the clay layer as well as the change of the soil-pile interface length during the progress of consolidation. In addition, the consolidating situation of the ground by surcharge filling after the time of pile installation can also be considered in the analysis. The program analysis by the presented method has been verified and validated with several case studies of long-term test on single piles subjected to negative skin friction. Predicted results of negative skin friction (downdrag and dragload) as a result of long term consolidation settlement are shown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measured and observed case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