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그룹활동을 위한 생성형AI 활용사례 연구 -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창의적 문화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

        주희현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0 No.89

        텍스트와 이미지,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해내는 생성형 AI의 발전은 인간의 사상, 소통, 의식 세계를 반영하는 ‘텍스트’의 기능과 이해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속에서, 성경이라는 텍스트에 정체성의 뿌리를 두고 있는 기독교는 생성형 AI로 수반된 텍스트 활동의 혁명적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급속한 디지털 기술발전 시대를 거듭하면서도 진리의 ‘본질’에 대한 텍스트 활동을 지속해온 기독교공동체는 ‘소그룹’이라는 관계적 단위를 통해 영적 실체를 체화하고 심화해왔다. 본 연구는 텍스트와 텍스트의 관계 속에서 창의적 변주를 일으켜 해석과 이해의 확장을 견인하는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하여 생성형 AI를 활용한 소그룹 활동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창작과 연계된 문화예술 활동에 집중하여 경험자들의 텍스트 이해와 표현 방식의 확장과 변화를 탐색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생성형 AI는 성경 텍스트를 교육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는데, 텍스트의 내용을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재구성하거나, 미술, 음악, 영화, 문학, 워크북, 퀴즈, 게임, 활동 등을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학습 교재, 또는 프로그램이 가능했다. 이로써 성경의 가르침을 각 세대 맞춤형으로 전달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 같은 텍스트 활동과 이해의 확장은 무엇보다 교회 소그룹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 ‘소그룹’에 대한 정의는 교회의 환경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정의될 수 있지만, 인간은 자연만물과 하나님에 대하여 ‘관계적 존재’이며 소그룹은 관계적 존재의 본질을 되새기는 기본단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연구조사에 의하면 한국교회 소그룹 운영은 ‘소그룹 리더의 부담, 참여 증진, 협력 강화, 다양성 확대’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탐색한 소그룹 활동 사례는 몇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는데 이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소그룹 활동의 본질인 공감과 소통방식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 참여자들의 흥미와 몰입을 유도하여 참여도를 증진 시킬 수 있다는 점, 인도자(리더)의 역할 부담을 줄이고 참여자들의 자발성과 지속성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 사회 문제나 국제 이슈를 관찰하고 해석할 수 있는 통찰력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 텍스트 이해력과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다는 점, 공감과 호응을 통해 공동체에 대한 친밀감, 유대감, 소속감을 얻을 수 있다는 점, 대그룹과 연계성을 가지며 또 다른 상호작용을 이끄는 공동체의 연대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which generates various contents such as text, images, and music, is opening a new horizon in the function and understanding of 'text' that reflects the world of human thought, communication, and consciousness. In this trend of the times, Christianity, which has its identity rooted in the text of the Bible, cannot help but think about how to respond to the revolutionary change in text activities that has been accompanied by Generative AI. Of course, the Christian community, which has continued to engage in textual activities on the 'essence' of truth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embodied and deepened its spiritual reality through a relational unit called a 'small group'. This study aims to examine cases of small group activities using Generative AI based on intertextuality, which causes creative vari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text, driving the expansion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Focusing o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related to creation, we explored the expansion and change of experienced people's text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methods. Through previous studies, it was examined that the Generative AI can use the Bible text as an educational material, and it wa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text in an easy-to-understand for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or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text in an interactive learning textbook or program including art, music, film, literature, workbooks, quizzes, games, and activiti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customization of the teachings of the Bible to each generation. Such textual activities and expansion of understanding can provide positive influences on small group activities of churches, above all else. It explains that humans and all things are fundamentally relational beings. Small groups are places of meeting and environments that satisfy these human relational desires. Considering the "burden of small group leaders, increased participation, strengthened cooperation, and expanded diversity" that emerged as a problem in the operation of small groups of Korean churches, the small group activity cases explored in this study show some significant results, which are listed as follows. It can provide a diversity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methods, which are the essence of small group activities; it can induce interest and immersion of participants to increase participation; it can reduce the role burden of leaders and induce voluntary and persistence of participants; it can cultivate insights to observe and interpret social issues or international issues; it can improve text comprehension and expressive power; it can gain intimacy, bond and belonging to the community through empathy and response; it can promote community solidarity that connects with large groups and leads to another interaction.

      • KCI등재

        그룹음악활동 프로그램에 따른 장애아동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김두희(Du-Hee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그룹음악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아동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변화된 행동 특성과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6명을 대상으로 그룹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그룹음악활동은 방과 후 40분 수업으로 10주 동안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어머니의 면담, 특수교육실무원의 면담, 아동 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할 때 사례 간 의미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그룹음악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이 경험한 내용은 2개의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그룹음악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이 변화한 내용은 3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음악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이 경험한 내용으로 ‘즐거운 그룹음악활동’과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룹음악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이 변화한 내용은 ‘서로에 대한 관심’, ‘자기 조절력’, ‘주의집중력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그룹음악활동이 장애아동의 잠재력을 발산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학교 현장에서 함께하는 다양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일반학급 내에서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group music activity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meanings. A group music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for 6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group music activity was conducted for 10 weeks with 40-minute class after school.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journals of researcher’s observation, interviews with mothers, interviews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ids, and interviews with children. When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it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eaningful cont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group music activities were derived into two themes, and the behavior chan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group activities were derived into three t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hrough group music activity,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of enjoyment and confidence that ‘I can do it’. Second, behavior changes were found to be interest in each other, self-regulation, and increased concentration of attention. This study showed that group music activities are program that can release the potentia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xperience social interaction.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opportunities of various music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ren at the school together.

      • KCI등재

        14세기 후반 목은그룹의 형성과 둔촌(遁村) 이집(李集)의 문학 활동

        하정승 ( Ha Jung-seung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4 No.-

        14세기 고려 문단은 조선중기의 ‘穆陵盛世’와 버금갈 정도로 많은 작가와 의미 있는 작품들이 창작되어 문학사의 풍요를 가져다주었다. 그 중심에는 목은 이색을 중심으로 하는 소위 목은그룹이 존재한다. 본고에서 다룬 둔촌 이집은 목은그룹의 핵심인물이다. 목은그룹은 목은의 제자와 동료·후배그룹으로 양분되는데, 제자그룹은 다시 목은의 직접적인 제자와 재전제자로 구분되며, 대체로 목은이 과거시험을 主試했을 때 발탁된 인물들이다. 제자그룹을 대표하는 인물로는 권근, 하륜, 길재, 이숭인 등을 꼽을 수 있다. 동료·후배그룹은 학계나 정계, 문단에서 활동하며 자연스럽게 목은을 따르던 사람들이 대부분이나, 이들 중 특히 1367년(공민왕 16) 목은이 成均館大司成으로 있으면서 國學을 재건하기 위해 젊고 명망 높은 學官들을 임명할 때 선발되어 성리학을 연구하고 강론하며 학생들을 가르친 일군의 인사들이 주목된다. 여기에 속하는 사람들로는 김구용, 정몽주, 박상충, 박의중, 이숭인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향후 목은의 최측근 인사로 활동하게 된다. 문학사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목은그룹의 가장 의미 있는 활동은 활발한 詩會를 들 수 있다. 특히 목은, 둔촌, 포은, 도은, 척약재, 삼봉, 양촌 등은 서로 간에 차운시나 화답시를 통해 매우 의미 있는 집단 창작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들의 시회에는 특정한 공간이 등장하는데, 개경의 龍首山과 松嶽山 紫霞洞의 安和寺, 경기도 여주[여흥]의 驪江이 그것이다. 특히 여강의 淸心樓는 14세기 후반 시회 활동의 중심지였다. 이들 그룹에서 서로 주고받은 시들만 어림잡아 수십 수가 넘는다. 사실 이들의 활발한 시회 활동은 한 세기 앞서 13세기에 유행처럼 번졌던 耆老會나 竹林高會 활동과 맞닿아 있다. 둔촌 이집은 목은그룹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동시대 다른 그룹의 문인들과도 교유가 깊었다. 둔촌과 교유한 문인들은 위에서 언급한 목은그룹 인사들과 과거 同榜들, 기타 문단의 선·후배 및 중국 문인[중국 사신], 승려그룹 등 크게 다섯 부류로 나뉜다. 둔촌시의 가장 큰 특징은 동시대 문인들과의 활발한 교유와 다양한 창작경향에 있다. 이는 둔촌이 생애 대부분을 작시에 몰두하면서 여러 가지 문학적 시도를 하였음을 말해준다. 문학사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둔촌은 14세기 후반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詩會 활동의 중심에 서서 많은 문인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결과적으로 그의 문학 활동은 고려후기 문학사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In the 14th century, Goryeo literature was created with so many writers and meaningful works as “Mokreungseongse (穆陵盛世)” in the mid-Chosun Period, bringing the richness of literary history. At its center is a so-called Mokeun group. Dunchon Lee Jip, who was discussed in this script, is a key figure in Mokeun group. The group is divided into Mokeun’s disciples, colleagues and juniors, and the group of disciple is divided into Mokeun’s direct disciples and disciples of a disciple, and is generally selected when Mok-eun presided over the civil service exam. Representatives of the disciples’ group include Kwon Geun, Ha Ryun, Gil Jae, and Yi Sungin. Most of the colleagues and juniors worked in academia, politics, and literature, and naturally followed Mokeun. There are some of these people who need particular attention. They were selected in 1367 (the 16th year of King Gongmin’s reign) by Mokeun as the chief executive of Seonggyun-gwan Academy(成均館大司成) to rebuild the study of culture and heritage of the country, studying, lecturing and teaching Neo-Confucianism. These include Kim Gu-yong, Jeong Mong-ju, Park Sang-chung, Park Ui-jung, and Yi Sungin. They will serve as close aides to Mok Eun. In terms of literary history, Mokeun Group’s most meaningful activities include active poetry councils. In particular, Mokeun, Dunchon, Poeun, Doeun, Cheonyakjae, Sambong, and Yangchon showed a very meaningful collective creation. A particular space appears in their poetry. Yongsu Mountain in Gaegyeong, Songak Mountainsan, Anhwasa Temple in Zaha-dong, and Yeogang of Yeoju, Gyeonggi-do. In particular, Cheongsim Pavilion in the Yeogang was the center of urban activities in the late 14th century. There are about dozens of poems exchanged in these groups. In fact, their active poetry is related to the poetry that spread like a trend in the 13th century. Not only did Dunchon Lee Jip play a central role in the Mokeun Group, but he also deeply had an active exchange with other contemporary writers. Writers who have interacted with Dunchon are divided into five main categories: the above-mentioned figures of the Mokeun Group, the former members of Dongbang(同榜), the seniors and juniors of other literary groups, the Chinese writers(Chinese envoys), and the Buddhist group.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Dunchon is his active communication with contemporary writers and various creative trends. This suggests that Dunchon devoted most of his life to writing poems and made various literary attempts. In terms of literary history, Dunchon was at the center of the active poetry council activities in the late 14th century, influencing many writers, and as a result, his literary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iterary history in the late Goryeo Dynasty.

      • 만들기 그룹활동이 학령기 전 아동의 주의집중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진경,이재은,채란,성민주,이지연,김신영,박윤이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2 No.-

        ◉ 목적 : 본 연구는 만들기 그룹활동이 주의 집중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연구방법 : 활동성평정척도(Werry-Weiss-Perter’s Activity Rating Scale ; WWPARS ; WWP)와 문제행동 체크리스트(Child Behavior Checklist ; CBCL) 검사를 통하여 과잉행동을 동반하며 문제행동을 가진 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의 동의를 얻어 9주 동안 각 아동마다 8회에 걸친 만들기 그룹활동을 실시하였다. 아동마다 연구자 1명씩 개입하여 약 30분~60분씩 실시하였고, 4회 차에 중간평가를, 8회 차에 최종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활동성평정척도(WWP)와 문제행동 체크리스트(CBCL)를 사용하였다. ◉ 결과 : 각 아동마다 활동성평정척도(WWP)와 문제행동 체크리스트(CBCL) 평가 결과 활동성평정척도(WWP)는 3명의 아동 모두 긍정적 효과가 있었고 문제행동 체크리스트(CBCL) 평가 역시 3명의 아동 모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A아동은 활동성평정척도(WWP) 검사결과 총점 30점에서 16점으로 점수가 변화하였고, 문제행동 체크리스트(CBCL)는 총점 148점에서 122점으로 변화하였다. B아동은 WWP 총점 12점에서 6점으로 점수가 변화하였고, 문제행동 체크리스트 평가결과 총점 115점에서 74점으로 변화하였다. C아동은 WWP 총점 16점에서 12점으로, 문제행동 체크리스트(CBCL)는 총점 100점에서 87점으로 변화하였다. ◉ 결론 : 만들기 그룹활동의 적용이 주의집중력에 문제를 가진 학령기 전 아동에게 적용하였을 때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대상자들의 수를 늘리고 장기간에 걸쳐 아동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요리활동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raft group activity on the attention ability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 Method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participants with hyperactivity and problem behavior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8 sessions and the total duration was 9 weeks with 30~60minutes of each session in 1 : 1 craft group activity. The participants was evaluated by Werry-Weiss-Peter’s Activity Rating Scale (WWP) and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of each participant were assessed during 4 sessions and 8 sessions. ◉ Result : After craft group activity, In Werry-Weiss-Peter’s Activity Rating Scale(WWP) total score of participants 1, 2, and 3 decreased from 30 to 16, 12 to 6, and 16 to 12 during a craft group activity. The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total score of participants 1, 2, and 3 decreased from 148 to 122, 115 to 74, and 100 to 87 during a craft group activity. ◉ Conclusion :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use of craft group activity may decrease behavior problems and facilitate attention.

      • KCI등재

        새로운 관계성 형성의 장으로서의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한 연구 : 그룹 정체성, 멤버 유대감, 커뮤니티 활동시간을 중심으로 한 현장실험

        김효숙(Kim, Hyosook)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6

        본 연구는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보급으로 급성장한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의 관계성 형성 메커니즘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기존의 오프라인 커뮤니티와는 다르게 온라인 웹사이트의 포맷 및 알고리즘에 따라 커뮤니티의 특성과 멤버들의 상호작용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하여, 각각 그룹 활동 및 멤버들과의 개인 활동 중심으로 프로그래밍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그에 따라 다른 정도의 그룹 정체성 혹은 멤버 유대감이 형성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그룹 정체성과 멤버 유대감은 온라인 커뮤니티 관계성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 관계성은 행동적 결과물로서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참여 시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들도 설정하였다.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판교 밸리에 위치한 인터넷 기업 A사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3달간에 걸친 현장 실험을 실시하여 가설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멤버 교류 중심 활동보다 그룹 중심 활동을 했을 때 더 강한 그룹 정체성이 형성되고 또한 그룹 중심활동보다 멤버 교류 중심 활동을 했을 때 더 강한 멤버 간 유대감이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온라인 그룹 활동을 통해 형성된 그룹 정체성 및 멤버유대감이 각각 다른 정도로 그룹-멤버 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며 그룹-멤버 관계성은 멤버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참여시간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Online communities are increasingly important for PR practitioners and scholars as they are the new places wher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OPR) develop with the advent of IT technology. But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online community relationships. To fill this void, this research tried to incorporate theories from social psychology and consumer psychology into the OPR theory to examine the antecedents and the outcome of online community relationship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proposed a mechanism in which specifically designed online communities by computer algorithms to strengthen either group identity or interpersonal bonds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degrees of OPR. Analyses on data collected from a 3-month-long field experiment revealed that in an online community which was designed to increase group activities rather than interpersonal activities elicited stronger group identity, on the other hand, in an online community that was developed to boost interpersonal activities brought out stronger member bonds. Also, it was shown that group identity and member bonds positively influenced OPR, and in turn, OPR positively influenced the time members spent in the online communities.

      • KCI등재

        グループ活動を取り入れた日本語授業の試み -学生の活動評価を中心に-

        신은진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7

        In this study the use of group work as one approach to student encouragement in Japanese class is discussed. Collaborative group work has been designed as a classroom activity. The following four matters have been considered. (1)Sharing the same aim, (2)Being fair in making groups, (making groups with fair?), (3)Activa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4)Facilitating and supporting. 27 students formed seven groups each of which had three or four members. Each group carried out three types of tasks as follows; (1)Textbook-related (2)Task based (3)Presentation. In this case study, class assessment by groups was performed on (2) and (3). The results of assessment by groups in this Japanese class are as follows. (1)High degree of satisfaction was shown for groups formed with fairly. (2)All group memb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lection of "Kakao talk" as the communication tool. (3)Correlation of "satisfaction for classroom activities" and "good Class" was not clear. (4)Although the evaluation of teachers was high, there were also some negative comments. Collaborative group work can be used to encourage deeper learning. However,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is a good less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improve the instructional class design and classroom activities. 본 연구는 일본어 수업에서의 협동 그룹활동이 학생들의 일본어학습을 독려하는가를 분석 고찰한 것이다. 협동 그룹활동은 (1)목표의 공유, (2)그룹 만들기에서의 공정성, (3)구성원 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4)활동의 촉진 및 지원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고, 일본어수업의교실활동으로 시행되었다. 27명의 학생들은 3-4명으로 이루어진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각 그룹은 (1)교과서 관련 활동, (2)과제 활동, (3)발표와 같은 세 가지과제를 수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상기 (2)와 (3)에 대하여 수업평가를 시행하였다. 일본어수업에서 협동 그룹활동을 통해 시행 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그룹만들기의 공정성에 대하여 특히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2)모든 그룹 구성원이 커뮤니케니션 도구로 카카오톡을 사용한 것에 대하여 만족하였다. (3)활동만족도와 “좋은 수업”의 상관은 명확히 하지 못하였다. (4)교사에 대한 평가는 높았지만 일부 부정적인 감상도 있었다. 협동 그룹활동은 학생들의 학습을 독려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하지만 그것이 좋은 수업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앞으로 수업 설계 및 교실 활동을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비대면 동료 그룹 개입에 따른 신체활동 동기 준비도 변화

        백명주,고광욱,김혜숙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2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연구배경]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유행은 신체활동에도 많은 변화를 주어 우리나라의 만 19세 이상 성인의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행률이 2020년에 19.8%로 2019년보다 4.9% 급감을 하였고, 2021년에 19.7% 로 0.2% 다시 감소하였다. 반면, 2021년 보행 실행률은 2020년 37.4% 보다 2.9% 상승한 40.3%로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2021년 국민 생활체육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일주일에 두 번, 1회당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인구를 가리키는 생활체육 참가율이 2021년 49.8%로 2020년 47% 대비 1.8% 상승하였다. 신체활동의 패러다임(paradigm)은 변화되고 있는데 미국 연방 지침(Physical Activity Guideline for American 2nd), WHO 지침과 캐나다의 24시간 움직임 지침(Movement Guidelines)에서 격렬하게, 장시간 여가시간에 운동을 하는 과거의 기준에서 지금은 여가시간이 아니라도, 장시간이 아니라도, 생활 속에서의 일상 활동도 신체활동으로 권장되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신체활동 지침이 바 뀌면서, 집안일, 직장, 출퇴근, 등하교와 같은 이동 및 여가 시간의 운동 전체를 ‘신체활동’이라 하여 한 번 에 10분이상 중강도의 다양한 신체활동을 권장하는 것이 신체활동의 1세대 패러다임의 내용이었다면, 2008 년 이후 2세대 패러다임은 덜 앉기가 공식화되고, 중·고강도 신체활동의 하한선이 감소되고, 즉각적 효과도 중시하며, 뇌 건강을 향상시키고, 8대 암의 발병 위험을 줄이며, 체중이 늘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등 건 강 효과가 더욱 확대되었다. 또한 미국 연방 신체활동 2세대 지침에서는 개인·그룹 대상 연구에서 행동 변 화 이론에 기초한 중재는 사람들을 도와서 활동적 생활방식을 갖추게 하며 개인이 행동을 변화시키며 신체 적으로 활동적인 생활방식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증거 기반 전략인 상호 간의 지원, 전문가·동료의 지 도 그리고 신기술 활용의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행동변화이론을 적용한 국내에서의 범 이론 모형 (Transtheorical Model of Behavior Change, 이하 TTM으로 지칭)에 근거한 연구로 초·중·고등학생, 성인과 직장인,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들이 나와 있지만, 기술에 관한 연구가 많았고, 중재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행동 변화 이론에 기초한 맞춤형 카운슬링 프로그램으로 영미권에서 지난 여러 해 동안 잘 운 영되어 온 일상 운동(Active Living Every Day, 이하 AL로 지칭)을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중재 연구가 없 는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상황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동료 그룹에 중재 하여 일과 학업을 병행하고 있는 성 인들의 행동 변화와 심리적 선행요인을 파악하는 신체활동의 준비도를 확인하며 우리나라에서의 그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단일 방법으로 접근했을 때 보다 다양한 결과와 경험의 분석이 가능한 혼합 연구를 통 해, 개입 전·후 대상자의 신체활동 변화 단계를 파악하고, 변화 과정, 의사결정 균형,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파악하고 변수 변화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지금처럼 생각만 하는 계획 전 단계, 생각 중인 계획단계, 시도 만 하는 사람들의 개입을 포함한 우리나라에 적합한 신체활동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 다. [연구목적]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그룹 개입에서 상호 간의 지원과 전문가와 동료의 지도 그리고 신기술의 활용 등 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한국에서 연구된 적이 없어 외국의 사례인 일상 운동을 일과 학업을 병 행하는 성인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산 소재 일개 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실험군 9명, 대조군 9명을 대상으로, 양적자료 는 두 군 모두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여 동기의 변화 여부를 판별하였고, 경험 분석을 위한 관찰·문서·인 터뷰 등의 질적 자료는 비대면 그룹 개입의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ver.25)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Rank 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실시하였고, 질적연구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혼합 연구는 포섭을 적용하여 행동 변화와 심리적 선행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개입전·후 대상자의 신체활동 변화의 단계는 실험군은 행동 단계가 33.3%, 대조군은 22.2% 상승했고 변화 의 과정은 실험군 3.42%, 대조군은 0.13% 증가하였다. 의사결정 균형은 실험군의 긍정적 요소가 2.08% 향 상되었지만 부정적 요소도 17.3% 함께 증가하였다. 신체활동 동기 준비에 관해서는 32개의 하위 범주와 7 개의 범주로 도출되었고 여유 없이 돌아가는 일상으로 몸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지만 신체활동 중재를 경 험하게 되면서 운동의 의미를 몸으로 경험하고 깨닫게 되었다. [연구결론] 연구 대상자들은 계획단계와 준비단계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체력의 변화를 몸으로 경험할 때 신체활 동에 대한 의미가 형성되었다. 의사결정 균형, 특히 자기효능감의 유의한 개선을 통해 향후 다각적 연구 의 필요성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소그룹 활동의 평가방법 : 의과대학 소그룹 학습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적용 가능성 탐색

        권소희(Kwon So Hee),김영전(Kim Young J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소그룹 활동에서 집단 내 학습자의 참여 정도와 내용은 그룹 학습의 성공요인이다. 그러나 교수자가 그룹 내 개별 학습자의 참여 과정을 일일이 평가하기에는 물리적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소그룹 활동의 참여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학습자 자기평가와 그룹 내 학습자 동료평가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일개 의과대학 3학년 8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학습자들은 8-9명으로 구성된 10개의 학습 소그룹을 구성하여, 총 24시간(6시간/1일, 총 4일) 동안 다양한 소그룹 활동을 수행하였다. 참여자들은 모든 활동이 끝난 후 그룹 내 활동에 대한 준비, 기여, 협력에 관한 10개의 문항에 대해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시행하였다. 두 평가 결과의 차이와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관대화와 중심화 경향 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두 평가의 일치도는 급내 상관계수(ICC,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와 95% 신뢰도 구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평가 주체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p>.05). 관대화 경향은 자기평가(-.93)가 동료평가(-.52) 보다 크게 나타났다. 중심화 경향은 자기평가(.460)에서 확인되었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고(r=.73, p<.05). 문항별 신뢰도 계수는 0.40-0.60에 분포한다. 소그룹 활동 참여의 평가방법으로 자기평가와 그룹 내 동료평가가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중심화와 관대화 경향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평가 루브릭 개발과 이를 적용한 평가 방법에 대한 사전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In small group activities, the degree and content of learners participation in a group is a success factor of group learning. However, it is not easy for an instructor to closely assess the each activities of every learners in the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learner s self-assessment and peer-assessment in the group. The subjects are 83 third grade students in a medical school. Learners organized 10 learning subgroups of 8-9 students and performed a variety of small group activities for a total of 24 hours (6 hours/1 day). Participants conducted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s on 10 items of preparation, contribution, and co-operation after all activities were completed.Paired T-test, lenience/central tendency,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and relevance of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s. Concordance between the two assessments was analyzed b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95% confidence interval.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valuation subjects,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p>.05). In the tendency of leniency, self-assessment (-.93) was higher than peer-assessment(-.52). Centralization tendency was identified in self-assessment(.460). Self-assessment and peer-assessmen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r=.73, p<.05), the confidence coefficient for each item is 0.40-0.60. Learner self-assessment and student peer assessment can be an alternative to evaluation of small group activity participation. However, in order to prevent leniency or centralization tendency in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etailed rubric items and preliminary guideline for student evaluators.

      • KCI등재

        グル-プ活動を取り入れた日本語授業の試み

        辛銀眞(신은진)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7

        본 연구는 일본어 수업에서의 협동 그룹활동이 학생들의 일본어학습을 독려하는가를 분석 고찰한 것이다. 협동 그룹활동은 (1)목표의 공유, (2)그룹 만들기에서의 공정성, (3)구성원 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4)활동의 촉진 및 지원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고, 일본어수업의 교실활동으로 시행되었다. 27명의 학생들은 3-4명으로 이루어진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각 그룹은 (1)교과서 관련 활동, (2)과제 활동, (3)발표와 같은 세 가지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상기 (2)와 (3)에 대하여 수업평가를 시행하였다. 일본어수업에서 협동 그룹활동을 통해 시행 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그룹만들기의 공정성에 대하여 특히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2)모든 그룹 구성원이 커뮤니케니션 도구로 카카오톡을 사용한 것에 대하여 만족하였다. (3)활동만족도와 “좋은 수업”의 상관은 명확히 하지 못하였다. (4)교사에 대한 평가는 높았지만 일부 부정적인 감상도 있었다. 협동 그룹활동은 학생들의 학습을 독려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하지만 그것이 좋은 수업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앞으로 수업 설계 및 교실 활동을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In this study the use of group work as one approach to student encouragement in Japanese class is discussed. Collaborative group work has been designed as a classroom activity. The following four matters have been considered. (1)Sharing the same aim, (2)Being fair in making groups, (making groups with fair?), (3)Activa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4)Facilitating and supporting. 27 students formed seven groups each of which had three or four members. Each group carried out three types of tasks as follows; (1)Textbook-related (2)Task based (3)Presentation. In this case study, class assessment by groups was performed on (2) and (3). The results of assessment by groups in this Japanese class are as follows. (1)High degree of satisfaction was shown for groups formed with fairly. (2)All group memb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lection of "Kakao talk" as the communication tool. (3)Correlation of "satisfaction for classroom activities" and "good Class" was not clear. (4)Although the evaluation of teachers was high, there were also some negative comments. Collaborative group work can be used to encourage deeper learning. However,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is a good less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improve the instructional class design and classroom activities.

      • KCI등재

        비경제활동 장애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방안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영애 한국직업재활학회 2019 職業再活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비경제활동 장애여성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장애여성 당사자의 경험에 근거하여 비경제활동 상태에 있는 장애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사용하여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1) 구직활동 여건 조성, 2) 취업준비 지원서비스 확대, 3) 맞춤형 일자리 지원, 4) 구직효능감 확대, 5) 장애인에 대한 사회 인식개선,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각 주제를 바탕으로 편의시설 및 이동권 등 접근권 확대, 활동보조인 및 가사육아도우미 등 장애여성 구직활동 지원 인력 확대, 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여성 관련기관과의 연계시스템 확대, 동료상담․자조모임 등을 활용한 다양한 취업준비 활동 및 프로그램 마련, 장애여성 맞춤형 일자리 창출 및 경제활동 참여유형 확대, 장애인에 대한 사회 인식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ed to explore ways of improving how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clinical experience of disabled women who doesn'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ix disabled women. The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following five themes were derived : 1) Setting up conditions for finding a job, 2) Expanded support services for job preparation, 3) Customized job creation and support for disabled women who doesn'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y, 4) Increase job-seeking efficacy, 5) Improving social aware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 the following specific methods for improving how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for disabled woman who doesn'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y were suggested: expansion of access rights such as convenience facilities and right to move; expansion of support staff for job search activities such as an activity assistants and housekeeping assistants; coordination and expansion of employment consulting organizations centered on the disabled independent living center; various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y programs using self-help groups, peer counseling, etc.; creating a customized job for disabled woman who doesn'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y and expanding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improving social aware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