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상동맥질환 중증도 분류에 따른 성별 위험요인 비교

        권미수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8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risk factors between men and women through secondary data of nursing information and medical records according to the severity classification in patients of 340 men and 221 women with coronary artery disease(CAD) who were admitted for the first time at a general hospital and underwent first coronary artery angiography. Consequently, men presented with risk factors such as age(p=.004), total cholesterol(p=.040), triglycerides(p=.049), HbA1c(p<.001), smoking(p<.001), alcohol consumption(p=.002) and comorbidities(p=.036)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omen, age(p=.002) and comorbidities (p=.018) were the only factor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ignificant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CAD severity in men were total cholesterol (OR 0.97, 95% CI 0.96-1.00, p=.014) in 1VD , alcohol consumption (OR 52.47, 95% CI 2.99-91.95, p=.007)in 2VD, and total cholesterol in the 3VD(OR 0.98, 95% CI 0.95-0.98, p=.026). A significant risk factor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CAD severity in women was comorbidity (OR 0.30, 95% CI 0.11-0.82, p=.020) in the 3VD.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nursing care for male CAD patients, such as smoking cessation and quitting drinking, blood sugar control, cholesterol, and accompanying disease management, and provided evidence of individually tailored nursing care.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 자의 관상동맥질환 중증도 분류에 따른 성별 위험요인 차이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일개 종합병원에 처음 입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한 남성 340명, 여성 221명을 대상으로 간호 정보 조사지와 관상동맥질환 중증도 진단 결과 기록을 2차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가 진단받은 관상동맥질환 중증도 분류에 따라 남녀의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의 관상동맥질환 중증도 분류에 따른 위험요인은 나이(p=004), 총콜레스테롤(p=.040), 중성지방(p=.049), 당화혈색소(p<.001), 흡연(p<.001), 음주(p=.002), 동반질환(p=.03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여성의 위험요인은 나이(p=.002)와 동반질환(p=.018)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성의 관상동맥질환 중증도 분류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위험요인은 1개 관상동맥에 질환이 있는 군에서는 총콜레스테롤(OR 0.97, 95% CI 0.96-1.00, p=.014), 2개 관상동맥에 질환이 있는 군은 음주(OR 52.47, 95% CI 2.99-91.95, p=.007), 3개 관상동맥에 질환이 있는 군에서 총콜레스테롤(OR 0.98, 95% CI 0.95-0.98, p=.026)이었다. 여성의 관상동맥질환 중증도 분류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위험요인은 3개 관상동맥에 질환이 있는 군에서 동반질환 (OR 0.30, 95% CI 0.11-0.82, p=.020)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남성 관상동맥질환 자 위험요인 관리에는 금연과 절주, 혈당 조절, 콜레스테롤 관리 및 동반 질환 관리 등의 간호 중재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관상동맥 중증도 분류에 따라 성별 위험요인 차이를 비교하여 개별적 맞춤형 간호 중재의 근거를 마련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관상동맥질환에서의 Ankle Brachial Index

        김철(Chul Kim),박용범(Yong-Bum Park),윤조은(Jo-Eun Yun),유현우(Hyun-Woo Ru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7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8 No.2

        연구배경: 관상동맥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는 말초동맥질환을 함께 갖고 있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말초동맥질환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탓에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nkle Brachial Index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질환 환자가 대조 군에 비하여 말초동맥질환의 위험도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고 당뇨병 및 흡연자와 정상 대조군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방법: 관상동맥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20명을 실험 군으로 하고, 과거 뇌졸중이나 관상동맥 질환의 병력이 없는 60명(정상인 20명, 흡연자 20명, 당뇨병 환자 2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에 속한 20명은 급성 관상동맥질환으로 입원하여 관상동맥조영검사 상 관상동맥협착증이 확인된 환자로 국한하였다. 소형 도플러와 혈압기로 대상자들의 상지 및 하지에서 혈압을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ABI를 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에 대한 관상동맥질환 군, 당뇨 군, 흡연자 군, 정상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관상동맥조영검사에서 50% 이상의 협착을 보인 혈관의 개수로 관상동맥협착의 중증도를 판단하였고 ABI결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관상동맥질환 군과 정상인의 ABI는 각각 0.92와 0.94였으며 관상동맥질환 군과 당뇨 군의 ABI는 각각 0.92와 0.90이었고 관상동맥질환 군과 흡연자 군의 ABI는 0.92와 0.91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당뇨 군과 정상인의 ABI는 0.90과 0.94였으며 흡연자 군과 비흡연 정상인 군의 ABI는 0.91과 0.94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50% 이상 협착을 보인 관상동맥의 개수와 ABI의 중증도간의 연관성은 있었다(P<0.05). 결론: 관상동맥질환 군 중 심근경색증 군에서는 ABI 값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관상동맥협착의 정도와 ABI값의 중증도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을 때 말초동맥질환의 이환율이 더 높다는 외국 문헌의 결과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정상 대조군, 흡연자, 당뇨환자 간의 ABI 값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가 우리나라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인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o determine the concomitant presence of PAD in patients with CAD, usingthe ankle brachial index (ABI). a new noninvasive method to find PAD. Methods: ABI was measured in 20 patients with CAD and 60 controls without medical history of any atherosclerotic disease such as CAD, PAD, and cerebrovascular accident (CVA). 60 controls included 20 diabetes group, 20 smoking group, and 20 normal control group. We compared the value of ABI among those group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lue of ABI among CAD group and three control groups, but ABI in subgroup of myocardial infarction (M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ree control groups (P<0.05). And the value of AB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coronary stenosis in CAD (P<0.05). Conclusion: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of stenosis in CAD and PAD was demonstrated quantitatively by ABI measurement. A decrease in ABI in CAD may be a risk factor for PAD.

      • KCI등재후보

        개흉술을 받는 한국 성인 판막 환자의 유의한 관상동맥

        최웅림 ( Uhng Lim Choi ),이선화 ( Sun Hwa Lee ),박재형 ( Jae Hyeong Park ),성석우 ( Seok Woo Seong ),김준형 ( Jun Hyung Kim ),이재환 ( Jae Hwan Lee ),최시완 ( Si Wan Choi ),정진옥 ( Jin Ok Jeong ),성인환 ( In Whan Seong ),이경석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1

        목적: 판막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는 환자들에서 유의한 관상동맥 질환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동시에 관상 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향후의 재개흉술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에 중요하다. 국내의 허혈성 심질환의 빈도는 서구에 비해 낮으나 어떤 환자군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통계자료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국내에서 판막 질환으로 개흉 술을 시행 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관상동맥 조영술의 시행유무 및 유의한 관상동맥 질환의 유병률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 및 전북대학교 병원 심장내과와 흉부외과에서 유의한 판막 질환으로 개흉 술을 시행 받은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급성 대동맥 박리 증이나 외상으로 인해 응급수술을 시행 받은 경우 및 관상동맥 협착증으로 관상동맥 우회로 술을 시행 받으면서 동시에 판막 질환을 수술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총 431명의 환자(평균나이 58 ± 13세, 남자 204명)가 연구에 등록되었다. 질환 별로 보면 승모 판막 질환은 241명에서 관찰되었고, 대동맥판 질환은 230명에서 관찰되었다. 관상동맥 조영 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297명(68.9%)으로 이 중 36명(12.1%)에서 유의한 협착증이 관찰되었고, 32명에서 관상동맥 우회로 술이 판막 수술과 동시에 시행되었다. 다변 량 분석결과 관상동맥의 유의한 협착은 65세 이상의 고령 [Odd ratio (OR) = 3.081, 95% confidence interval (CI) = 1.372-6.921, p = 0.006], 심혈관계 위험인자가 많은 경우(≥3) (OR =3.002, 95% CI = 1.386-6.503, p = 0.005) 및 대동맥협착증(OR= 2.763, 95% CI = 1.269-6.013, p = 0.010)과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결론: 한국에서 판막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는 성인 환자에서 유의한 관상동맥 질환의 빈도는 12.1%로 주로 고령, 대동맥판막 협착증 및 많은 수의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Background/Aims: The identification of significant coronary arterial disease (CAD) is important to reduce perioperative ischemic insult and the possibility of repeated open-chest surgery in patients scheduled to undergo valvular surgery. However, there are no published data on the incidence of significant CAD in these patients. Thus, we examined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CAD in patients scheduled to undergo valvular surgery.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June 2011, all consecutive adult patients diagnosed with significant valvular disease and scheduled for an elective open valvular operation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who underwent emergent valvular operations due to acute aortic dissection or trauma and concomitant valvular operations at the time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were exclude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431 patients (58 ± 13 years old, 204 males) were included. The distributions of mitral (241 patients) and aortic valvular disease (230 patients) were similar. Coronary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297 patients (68.9%). Of these, 36 (12.1%) showed significant CAD and 32 underwent concomitant CABG operations. Based on a multivariate analysis, the presence of CA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ld age (≥ 65 years old) [odds ratio (OR) = 3.081, 95% confidence interval (CI) = 1.372-6.921, p = 0.006], mor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 3) (OR = 3.002, 95% CI = 1.386-6.503, p = 0.005), and the presence of aortic stenosis (OR = 2.763, 95% CI = 1.269-6.013, p = 0.010).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significant CAD was 12.1% in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valvular operations in Korea. CAD was more common in patients with old age, aortic stenosis, and multipl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 KCI등재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I) : 병태생리적 기전

        배경열,김재민,윤진상,Bae, Kyung-Yeol,Kim, Jae-Min,Yoon, Jin-Sa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8 생물정신의학 Vol.15 No.4

        본 논문에서는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연관성에 대해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현재까지 선행 연구들을 통해 제시된 주요 병태생리학적 기전으로는 우울증에서의 증가된 혈액 응고 경향, HPA 축 기능 및 ANS 조절 이상, 상승된 염증 반응 상태 등과 더불어 관상동맥 질환과 우울증이 공통된 유전적 위험 인자를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 등이 있다. 혈액 응고와 관련되어서는 혈소판의 활성 및 반응성 증가, 혈관 내피 기능 이상, 혈액 응고 인자의 증가 등이 구체적인 병리 기전으로 제시 되었으며, HPA 축 및 ANS 기능 이상과 관련되어서는 혈장내 카테콜라민의 증가와 이와 연관된 심박수 증가 및 심박 변이성의 감소, 기타 혈역학적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인한 부정맥 및 죽상경화증의 촉진이 주요한 기전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CRP 등과 같은 염증 표지자 연구를 통해 우울증에서의 증가된 염증 반응이 죽상경화증이나 혈전 형성과 관계 되어있을 가능성 역시 제시되었다. 하지만 역으로 관상동맥 질환과 우울증의 동반 이환율이 높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상동맥 질환에서의 어떤 병태생리적 변화가 우울증의 발병 및 경과와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적은 것이 사실이다. 이 이외에도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 외의 제3의 요인 즉, 유전적 위험 인자가 두 질환에 선행함을 제시하여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이 공통된 유전적 취약성을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 연구들도 있다. 그 밖에도 우울증과 대사 증후군과의 연관성에 기반한 연구나 ${\Omega}$-3 지방산, homocystein 수준에 주목한 일부 연구들이 존재하며,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는 뇌혈관에도 죽상경화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뇌의 특정 부위에 혈류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이것이 혈관성 우울증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를 한 연구들도 있다. 우울증이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및 경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많은 연구 결과들은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원인적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촉진시키고 있다. 하지만 우울증이라는 대상 질환 자체의 이질성과 관상동맥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대부분 항응고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고 있다는 사실 등이 병태생리 규명 연구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병태생리적 연관성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연구는 향후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의 우울증의 중요성을 치료자에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상동맥 질환의 치료 예후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것이다. Depression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re both highly prevalent diseases. Many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depression is a common comorbid condi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nd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onset, course, and pro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However, the exact mechanisms that underlie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two diseases remain unclear. Pathophysiologic mechanisms that may explain the effect of depression on coronary artery disease include hypercoagulability, 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dysregulation, altered inflammatory response. On the contrary, pathophysiologic mechanisms in coronary artery disease that affect depression are less well known. It is also suggested that both diseases may share a common genetic vulnerability. The authors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pathophysiologic relationships of depress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 KCI등재후보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경동맥 초음파의 유용성

        방덕원 ( Duk Won Bang ),심윤숙 ( Yun Suk Shim ),박병원 ( Byoung Won Park ),현민수 ( Min Su Hyon ),김성구 ( Sung Koo Kim ),권영주 ( Young Joo Kwon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1

        목적: 경동맥 초음파로 측정한 내중막 두께 및 경화반의 유무와 관상동맥 질환 여부와의 관련성에 관한 보고가 있었으나, 이들과 관상동맥 질환의 중증도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적었다. 저자들은 이들 지표들과 관상동맥 질환의 중증도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경동맥 초음파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2005년 11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관상동맥조영검사와 경동맥 초음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관상동맥 질환의 중증도는 50% 이상의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의 수에 따라 1군, 2군, 3군으로, 그리고 정상인 경우를 대조군(0군)으로 분류하여, 경동맥 초음파상 좌우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평균치, 최대치 및 동맥 경화반 유무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환자수는 90명이었고, 3군으로 갈수록 남자가 많았다(p=0.001).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평균치는 3군으로 갈수록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0군, 0.67±0.11 mm; 1군, 0.66±0.13 mm; 2군, 0.68±0.08 mm; 3군, 0.78±0.10 mm, p=0.001). 내중막 두께의 최대치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0군, 0.88±0.16 mm; 1군, 0.85±0.20 mm; 2군, 0.89±0.13 mm; 3군, 1.06±0.17 mm, p=0.000). 경화반의 빈도도 3군으로 갈수록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04). 결론: 경동맥 내중막 두께 및 경화반의 유무 등 경동맥 초음파 지표들과 관상동맥 질환의 중증도의 관련성을 평가한 결과 관상동맥 질환이 심할수록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증가하고, 동맥 경화반의 빈도도 증가되었다. 경동맥 초음파는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관상동맥 질환의 중증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or the presence of carotid plaque has been reported to be related to coronary artery disease (CAD).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of the parameters of carotid ultrasonography (US) with the severity of the CAD. Methods: From November, 2005 to November, 2006, the patients who underwent both coronary angiography and carotid US were enrolled in our study. The severity of CAD was defined by the number of diseased major coronary arteries with a percent diameter stenosis over 50. Four groups including Group 0, which has normal coronary arteries, were compared. The average and maximal IMT and the presence of plaque were used as the parameters of carotid US.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90. Men had a greater severity of CAD (p=0.001). The average carotid IMTs were increased with the severity of CAD (Group 0, 0.67±0.11 mm; Group 1, 0.66±0.13 mm; Group 2, 0.68±0.08 mm; Group 3, 0.78±0.10 mm; p=0.001). The maximal carotid IMTs were also increased (Group 0, 0.88±0.16 mm; Group 1, 0.85±0.20 mm; Group 2, 0.89±0.13 mm; Group 3, 1.06±0.17 mm; p=0.000). Carotid plaques were also more frequently present with the increased severity of CAD (p=0.004). Conclusions: Increased carotid IMT and the presence of carotid plaque were related to the severity of CAD. Carotid ultrasonography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severity of CAD.(Korean J Med 73:11-17, 2007)

      • KCI등재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 표지자로서의 대동맥 팽창성

        김응주(Eung Ju Kim),서홍석(Hong Seog Seo),임성윤(Sung Yoon Lim),김미나(Mina Kim),나진오(Jin Oh Na),최철웅(Cheol Ung Choi),김진원(Jin Won Kim),임홍의(Hong Euy Lim),나승운(Seung-Woon Rha),박창규(Chang Gyu Park),오동주(Dong Joo Oh)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9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0 No.4

        연구배경: 대동맥의 탄성은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비정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동맥 탄성도의 지표들 중 하나인 대동맥 팽창성이 관상동맥질환과 독립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지는 확실치 않다. 방법: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은 일련의 373명 중 급성관동맥 증후군, 과거 심근경색, 중등도 이상의 의미 있는 판막질환, 좌심실 구혈율 40% 미만, 심방세동, 관상동맥 성형술이나 관상동맥 우회술의 병력이 있는 사람들을 제외한 총 305명(관상동맥질환 환자군 107명, 대조군 198명)을 관찰하였다. 심장초음파를 이용하여 대동맥 판막으로부터 3 cm 원위부의 상행대동맥 직경을 측정한 후 2×(대동맥 내경의 변화)/(확장기 대동맥 내경×맥압) 공식으로 대동맥 팽창성(cm²×dyn⁻¹×10⁻⁶)을 구하였다. 결과: 수축기, 확장기 혈압과 맥박수는 양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대동맥 팽창성은 환자군이 유의하게 대조군 보다 낮았다(1.15±0.30 vs. 3.00±0.25, P<0.001). 다변량분석에서 대동맥 팽창성은 나이, 성,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흡연을 보정하고도 관상동맥질환과 유의한 상관성(P<0.001)을 보였다. 더욱이 대동맥 팽창성은 1∼3혈관질환으로 표현한 관상동맥질환의 심한 정도와 반비례하는 양상이었다(P<0.001). 결론: 대동맥 팽창성은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 위험 표지자이며 관상동맥질환의 심한 정도와 상관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Elastic properties of aorta have been known to be abnormal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D). However, aortic distensibility (AD), one of the elasticity indexes, has not been ascertained whether it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AD. Methods: We prospectively enrolled 305 subjects (107 patients with CAD and 198 patients without it) among 373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for the assessment of suspected CAD.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previous myocardial infarction, valvular heart disease more than mil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40%, atrial fibrillation, and history of coronary intervention or surgery were excluded. Aortic diameters were measured at a level 3 cm above the aortic valve using echocardiography. AD (cm²×dyn⁻¹×10⁻⁶) was calculated from the aortic diameters and brachial artery pressure using the formula: 2×(change in aortic diameter)/(diastolic aortic diameter ×pulse pressure). Results: Systolic,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re similar in both CAD and control subjects. AD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CAD than controls (1.15±0.30 vs. 3.00±0.25, P<0.001). In multivariate analysis, AD remaine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D (P<0.001) after adjustment for age, gender,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and smoking. Moreover, AD showed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severity of CAD, expressed as one-, two-, and three-vessel disease (P<0.001).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impaired AD is an independent risk marker for CAD, as well 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CAD.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흉부 단순 촬영에서 관찰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과의 관련성

        강영한(Yeong-Han Kang) · 장정호(Jeong-Ho Chang) · 박종삼(Jong-Sam Park)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연구목적 : 흉부 단순촬영 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가 폐쇄성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흉부 단순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흉부 단순촬영상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방사선사에 의해 대동맥 궁 석회화 유무를 확인하였고,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를 10 mm 미만군과 이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총 846명의 대상자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사람은 남자 417명(88.3%)이었고, 여자 312명(83.4%)으로 남자가 많았다.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4%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를 가지고 있는 군이 석회화가 없는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10배였다.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 mm 이상인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9%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 mm 이상인 군이 10 mm 미만인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04배였다. 결 론 : 흉부 단순촬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폐쇄성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이 더 높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클수록 상대위험도는 높았다. 따라서 흉부 단순촬영 시 대동맥 궁 석회화가 발견되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여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하여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 association between aortic calcification viewed on plain chest radiography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 : Retrospective review of all chest radiography obtained from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Chest PA images were reviewed by technical radiologist and radiologist.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image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oronary angiography. In addition, the siz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smaller and the larger than 10 mm. Results : Among the total 846 patients, the number of the patients with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is total 417 (88.3%) in males and 312 (83.4%) in female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relation between aortic arch calcification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was 91.4% and the relative risk of the group with aortic arch calcification to the opposite group was 1.10. According to the siz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91.9% and the relative risk between two groups was 1.04.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aortic calcific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If the aortic calcification is notified on plain chest radiography, we strongly recommend to consult with doctor.

      • KCI등재후보

        흉부 단순 촬영에서 관찰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과의 관련성

        강영한,장정호,박종삼 대한방사선과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연구목적 : 흉부 단순촬영 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가 폐쇄성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흉부 단순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흉부 단순촬영상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방사선사에 의해 대동맥 궁 석회화 유무를 확인하였고,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를 10mm 미만군과 이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총 846명의 대상자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사람은 남자 417명(88.3%)이었고, 여자 312명(83.4%)으로 남자가 많았다.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4%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를 가지고 있는 군이 석회화가 없는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10배였다.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mm 이상인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9%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mm 이상인 군이 10mm 미만인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04배였다. 결 론 : 흉부 단순촬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폐쇄성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이 더 높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클수록 상대위험도는 높았다. 따라서 흉부 단순촬영 시 대동맥 궁 석회화가 발견되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여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하여야 한다.

      • KCI등재

        종합검진 수검자의 관상동맥 전산화단층 혈관조영술 검사에서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과 관련성 분석

        최민경,곽종혁,김광,이삼열 한국방사선학회 2019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3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of coronary artery disease for the purpose fo health screening according to gender and age. In addition the association between hematological factors (Glucose, total cholesterol, visceral fat, body mass index, triglycerides,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low density lipoprotein (LDL)) and coronary artery disease is investiga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with 299 subjects showed that the detection rate of coronary artery disease was higher in men over 50 years of age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prevalence rate of men (37.9%)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of women (17.0%). Glucose and HDL as hemat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seems to require the control of glucose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Although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other hematological factors, the need for manage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was identified. the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of coronary artery has higher radiation doses than other CT scans.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screening,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should b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sex and age of the examinee, and detec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through other non-invasive tests should be prioritized over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본 연구는 건강검진 목적으로 시행된 관상동맥 CT에서의 성별, 연령에 따른 관상동맥질환 발견율에 대한 유용성과 글루코스, 총 콜레스테롤, 내장지방, 체질량지수,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질(HDL), 저밀도지단백질(LDL) 각각의 인자들과 관상동맥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총 299명의 수검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 한 결과 관상동맥질환 발견율에 대해서는 남성, 50세 이상에서의 유병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특히 남성의 유병율(37.9%)은 여성의 유병율(17.0%) 보다 약 2배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관상동맥질환과 관계되는 혈액학적 요인으로는 글루코스와 고밀도지단백질(HDL)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관상동맥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는 글루코스와 고밀도지단백질(HDL)의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다른 혈액학적 인자들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낮았지만,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주요 결과로서 선별검사 목적으로 관상동맥 CT의 사용은 방사선 피폭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수검자의 성별, 나이를 고려하여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관상동맥 CT 시행 이전에 비침습적인 방법들의 선행검사를 통한 관상동맥 질환 검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