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한 고등학생의 유전관련 개념의 위계 분석

        송하영 ( Ha Young Song ),김영신 ( Young Shin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이 연구는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하여 고등학생들의 유전관련 개념의 위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전관련 개념 검사문항으로 10, 11학년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하여 위계도를 작성하였다. 전체 학생들의 위계와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유전 관련 개념의 위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위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체적인 개념간의 위계관계가 비슷하고 상위 단계와 하위 단계의 개념은 같으나 중간 단계의 개념들은 연결 관계 변화와 단계의 이동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유전관련 개념성취도별 위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성취도가 높아질수록 하위단계에 속하는 개념의 수가 많아지고 위계관계가 세분화, 구조화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효과적인 유전 개념 형성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전략 개발과 지식상태분석법으로 작성한 개념의 위계를 실제수업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사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erarchy for high school students` concepts about genetics. The assessment of genetics related concept was conducted for 10th and 11th grade students and a hierarchy map was schematize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using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Some differences were found when comparing the result of whole students` hierarchy with hierarchy on 7th national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In analyzing hierarchy by grade, concepts of highest and lowest level turned out same but some concepts of middle level changed. In case of analysis of hierarchy for concepts about genetics by score, as score was higher, the number of concept in lower level became larger and the relationship among concepts became more structurized. Following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for having effective genetics concept and conduct case study of applying the concept hierarchy through this method to class in the fiel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과서의‘음악 요소와 개념’ 위계 분석

        김은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erarchies of 'music elements and concepts'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elements and concepts' presented in the current elementary music curriculum were examined. The 'music elements and concepts' of the revised 2015 music curriculum have eliminated specific levels and hierarchy among grade groups and gradually changed them comprehensively. As a result, the level and hierarchy of content elements of music have become blurred. Second, the level and hierarchy of music elements and concepts of each grade were analyzed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As a result of analysis, a certain trend was found presenting the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Third, the implications for setting the hierarchy of music elements and concepts were drawn. It included securing the specificity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presentation tendency in the textbook, adjusting the method and timing of presentation considering the amount and depth of learning, and presenting the exact meaning and scope of the ter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asic research that enables teachers to interpret the curriculum clearly and apply it appropriately to teaching and eval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음악 요소와 개념’의 위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현행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음악 요소와 개념’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 요소와 개념’은 학년군 간의 구체적인 수준과 위계의 차이가 사라지고 포괄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내용 요소 간의 수준과 위계가 모호해지는 문제가 생겼다. 둘째, 초등 음악 교과서에서 학년별 음악 요소와 개념의 수준과 위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 요소와 개념을 제시하는 순서에서 일정한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음악 요소와 개념의 위계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정리해 본 결과, 교과서에서의 제시 경향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좀 더 구체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 학습량과 깊이를 고려하여 제시 방법과 시기를 조정해야 한다는 점, 용어의 정확한 의미와 범위를 제시해야 한다는 점 등이 있었다. 본 연구가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명료하게 해석하고 수업과 평가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연구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인간안보 개념의 시민교육적 위계구조 분석

        김용신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6 국제지역연구 Vol.19 No.4

        Human security can be defined by disputes with multi-dimensions. It has a comparative perspective in terms of military centered approach that is designated national security based on historical views. It means a security concept that has sustained after appearance of nation-state system and focuses on protection of national sovereignty, territory, and its people from invasion or risk of other countries. This is a typical hard security concept. Human security emerges at post cold war era and has been expanded for global security concept. It persists on a soft security concept that composed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health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behalf of a decent human life. Human security comprises national security concept in view of people’s safety in ordinary life. Therefore, human security becomes ambiguous, unstable, and impractical concept. Human security of UNDP is consisted of economic, food, health, environment, individual, community, and political security. These are categories mutual overlapped, and increase conceptual stretching. It has a realistic utility and rightness for freedom from fears and wants, but conceptual disagreements. Hence, human security concept needs a systematic reconceptualization and a theoretical insurance of power to explanation. Human security could be classified personal, social, national, international, and global security in reference to soft-hard and minimum-maximum dimensions. These are connected with hierarchical structures in civic education for human security. Consequently, legal, minimal, active, and transformative citizenship are constructed together with personal, soci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security in global aspects. 인간안보에 대한 개념정의는 다양한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다. 먼저, 전통적인 군사력 중심의 국가안보와 비교하는 관점이 있다. 이것은 주로 역사적인 해석에 기초한다. 국가안보는 국민국가체제의 등장 이후 지금까지 유지되어온 안보 개념으로 외부의 침략이나 위해 요인으로부터 국가의 주권과 영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한다는 경성안보 논리를 강조한다. 이에 비해 인간안보는 탈냉전 이후 등장한 글로벌 시대의 안보 개념이다. 적정 수준의 인간다운 삶을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보건, 환경적 요건들을 총체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연성안보 개념을 지향한다. 인간안보는 국가안보를 포괄하면서 개인의 안전한 일상생활을 보장하는 개념으로 규정하는 관점이 성립되는 것이다. 인간안보의 개념적 경계가 거의 무한대로 확장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마련이다. UNDP가 제시한 인간안보의 영역별 범주는 개념의 희석 현상으로 이어져 모호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경제안보, 식량안보, 위생안보, 환경안보, 개인안보, 공동체안보, 정치안보는 상호 중첩적인 개념 범주들이다. 여기에 더하여 인간안보 개념이 결핍으로부터의 자유와 공포로부터의 자유를 어디까지 포함하는 것인가의 문제는 인간안보 개념이 지향하는 현실적 유용성과 정당성에도 불구하고 개념적 혼란 상황을 가중시키고 있다. 인간안보는 체계적으로 재개념화되어 이론적인 타당성과 설명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인간안보 개념을 연성과 경성, 최소와 최대 차원을 준거로 개인안보, 사회안보, 국가안보, 국제안보, 글로벌안보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범주는 인간안보를 위한 시민교육 관점에서 시민성의 위계와 연결될 수 있다. 법적, 최소, 능동, 변환 시민성은 총체적인 성격의 글로벌안보를 전제로 각각 개인, 사회, 국가, 국제안보 개념 범주와 연계되어 인간안보 개념과 접선된 시민교육의 위계구조가 구축될 수 있다.

      • KCI등재

        지리학습에서 개념의 위계 형성에 관여하는 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사회 도시 단원을 중심으로

        이형상(Lee Hyong 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사회 과목의 도시 단원에서 학습자의 지리적 개념 위계 형성에 관여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 38명을 대상으로 3주간에 걸쳐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연구의 결과에 해당하는 개념도를 분석하기 위해 범주 학습의 관찰 모델을 분석의 방법으로 적용하였으며, 학습자의 질적인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근거이론을 활용하였다. 결과 실험 연구의 분석 결과 ‘개념의 집합 구조’, ‘기본 개념의 수준’, ‘속성의 차이 습득’, ‘지식 효과’, ‘전문지식 효과’, ‘인지구조의 영향’, ‘지리 교재 구성’, ‘지리수업에 대한 관심’이 중학생의 도시와 관련된 개념 위계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교사가 도시 관련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적절한 개념 위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리 개념의 위계 형성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고려한 교수 전략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actor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a learner s geographic conceptual hierarchy in the urban chapter of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Methods In order to reach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thesis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for 38 students in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for three weeks. In this study, the bay watch model of category learning was applied as an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concept map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study, and grounded theory was used to analyze the qualitative response of learner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study, ‘collection structure of concepts’, ‘level of basic concepts’, ‘acquisition of differences in attributes’, ‘knowledge effect’, ‘expertise effect’, ‘influence of cognitive structure’, ‘geography textbook composition’, ‘interest in geography class’ wer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a hierarchy of concepts related to urba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clusions In order for a teacher to form an appropriate concept hierarchy of students through urban related classes, a teaching strategy taking into account factors involved in formation of a hierarchy of geographic concepts is required.

      • KCI등재

        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인도주의 리더십 개념 분석

        오인수(Insoo Oh),궁선혜(Sunhye Kung),반지윤(Jiyoon Ban),양수연(Sooyeon Ya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인도주의 리더십을 실천하고 있는 현장의 인도주의 리더를 대상으로 이들이 생각하는 인 도주의 리더십의 개념을 개념도 분석 방법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도주의를 실천하는 기관의 실무경력이 10년 이상이면서 중간관리자급 이상의 직급인 연구참여자 11명을 대상으로 개 별·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개념도 분석 절차에 따라 인도주의에 대한 150개의 개념 진술문을 도 출한 후 46개의 핵심 진술문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정된 진술문에 대해 인터뷰참여자 11명을 포함 한 총 30명을 대상으로 진술문 유사성 분류작업을 수행하고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사 용하여 2차원(조직적-심리적 차원, 개인외적-개인내적 요인 차원)의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최종 8개 의 개념 군집이 확인되었으며, 46개의 진술문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평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인도주의의 중요성이 재조명되는 시점에서 그 개념을 최초로 실증적 방법으로 탐색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concept of humanitarian leadership recognized by humanitarian leaders who conduct humanitarian leadership in practices by using concept mapping analyzing method. In this research, 11 participants having over 10 years work experiences and ranked over mid-levels in a humanitarian organization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or as a group. 46 focal statements were confirmed from 150 extracted outcome statements. 30 participants including 11 interview participants sorted 46 focal statements by similarity and rated their importance and performance.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 concept map of humanitarian leadership constructed two dimensions(organizational-psychological dimensions,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and eight clusters. It is significant to explore the concept of humanitarian leadership for the first time using empirical methods.

      • KCI등재

        ‘통속성’ 개념의 분화/분단과 문화평등주의

        李하나 ( Lee Ha-n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이 글은 식민지시기부터 해방후를 거쳐 1990년대에 이르는 시간 동안 문화예술 및 교양오락 분야에서 끊임없이 언급되고 재정의되었던 개념 중 하나인 ‘통속’과 ‘통속성’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감성의 분단사’라는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남북의 분단이 단지 국토의 분단, 체제의 분단일 뿐만 아니라 개념의 분단, 나아가 감성의 분단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식민지시기 ‘통속’의 개념은 처음엔 ‘보통’, ‘누구에게나 통하는’ 등의 일상개념으로 시작되었으나, 1930년대 중반 이후 예술 개념으로서의 ‘통속’은 현저하게 ‘저급’과 ‘저속’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일상 개념으로서의 ‘통속’과 예술개념으로서의 ‘통속’은 해방후 각각 북한과 남한으로 나뉘어 전개되었다. 북한에서는 ‘통속’의 긍정적 의미가 확대되어 문화예술에서도 ‘통속성’이 지향되었으나, 남한에서는 ‘통속’의 긍정적 의미가 사상되고 부정적 의미로만 사용되어 ‘통속성’은 지양되어야할 무엇으로 치부되었다. 북한에서 ‘통속성’은 ‘인민성’의 중요한 내용으로서 여겨진 반면, 남한에서는 ‘통속성’의 문제가 ‘대중성’과 함께 거론되어 ‘대중성’에 포함되어 이해되기도 하고 ‘대중성’의 하위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어느 쪽이든 ‘통속성’은 대중의 저급한 취향을 뜻하는 말로서 부정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20세기 초 평등의 관념이 한국사회에 들어오면서 대중 누구나 계몽과 각성을 통해 높은 수준의 문화를 향유할 수 있다는 문화평등주의가 대두하였는데, 당시 ‘통속교육’의 활성화는 이러한 시대 분위기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평등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처음엔 결과의 평등이 중시되었지만 점차 과정의 평등 쪽으로 강조점이 옮겨갔다. 일상개념으로서의 ‘통속’이 대중의 성장을 전제로 결과의 평등을 중시하는 평등주의 감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문화예술 개념으로서의 ‘통속’은 지식인과 대중 사이의 위계를 전제로 기회 균등이라는 과정의 평등을 중시하는 평등주의 감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남한은 후자를, 북한은 전자를 선택함으로써 남북은 두 개의 평등주의에 기반한 두 개의 ‘통속성’을 갖게 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t'ongsok'(popularity), one of the concepts that has been constantly mentioned and redefined in the field of culture, arts and entertainment during the period from colonial period to the 1990s through liberation. It aims to reveal that the divis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is not only the division of the country, the division of the system, but also the division of the concept, and further the division of affect. The concept of 't'ongsok'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itially began with the concept of life such as 'normal' and 'connected to everyone', but since the mid-1930s, 't'ongsok' as an art concept remarkably understood the meaning of 'low grade' and 'low taste'. 't'ongsok' as a concept of life and 't'ongsok' as an artistic concept were developed into North Korea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after liberation. In North Korea, the positive meaning of 't'ongsok' was expanded to the culture and arts, but in South Korea, the positive meaning of 't'ongsok' was thought and used only as a negative meaning, so 't'ongsok' was regarded as something to be avoided. In North Korea, 't'ongsok'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content of 'inminsŏng', whereas in South Korea, the issue of 't'ongsok' was discussed along with 'taejungsŏng' and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in 'taejungsŏng' and understood as subordinate to 'taejungsŏng'. It also became, either way, 't'ongsok' has been used negatively as a term referring to the poor taste of the public. As the notion of equality entered Korean society in the early 20th century, cultural egalitarianism emerged, saying that anyone in the public could enjoy a high level culture through enlightenment and awakening, and the activation of 't'ongsok gyoyuk' at that time came from this atmosphere. From the point of view of equality, at first, equality of outcomes was emphasized, but the emphasis gradually shifted toward equality of process. While 't'ongsok' as a concept of life is based on an egalitarian sentiment that emphasizes equality of outcomes on the premise of the growth of the public, 't'ongsok' as a concept of culture and art is based on a process of equal opportunity on the premise of a hierarchy between intellectuals and the public. It was based on an egalitarian sensibility that values equality. By choosing the latter for South and the former for North Korea, the South and North have two concepts of 't'ongsok', or two kinds of egalitarianism.

      • KCI등재

        고등학교 천체관측 관련 개념의 지식상태 분석에 따른 교수-학습 효과

        윤마병 한국지구과학회 201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2 No.7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천체관측 관련 개념 검사지를 개발하여 지식상태 분석법으로 천체관측 개념의 위계와 개별학습자의 지식상태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 효과를 알아 보았다. 학습자가 갖고 있는 천체관측 관련 개념의심리적 위계는 ‘지구운동 →천구좌표계 →천체관측(망원경 원리 →망원경 설치 →망원경 관측)’ 순이었으며, 교수 위계(70.8%)도 같은 순 이었다. 개념 검사에서 같은 점수를 획득하여 천체관측 능력이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는 학습자의지식상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지식상태의 구조화가 잘 이루어진 경우와 그렇지 못한 사례가 있었는데, 이는 서로다른 교수-학습 처방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즉, 지식상태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의 개별화 학습 처방과 형성평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지구과학Ⅰ의 천체관측 단원에서 교과서의 내용 제시 순서 보다 학습자의 심리적 위계에 따라수업한 경우가 개념의 성취도 수준에서 유의미(p<0.05)하게 더 높았다. 이는 교사들이 천체관측 관련 개념을 지도할때, 교육과정을 토대로 학습자의 지식상태를 파악하여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재순서화 함으로써 더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based on analysis of a hierarchy of the concepts associated with astronomical observation as well as each learner’s status of knowledge through analytical methods of the knowledge state. A test instrument was developed to measure high school students’ concepts associated with astronomical observation before instruction. The learners’ psychological hierarchy associated with astronomical observation that the participants possessed showed the order of ‘motion of the earth→coordinate system→astronomical observation (mechanism of the telescope→installation of the telescope→observation through the telescope)’, and so was the hierarchy of teaching (70.6%). The learners’ knowledge state that is supposed to be similar each other in the ability of observing celestial bodies was different even through they scored the same on the concept test. There were cases with the knowledge state well-structured and not well-structured, which suggests that differentiated instruction with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prescriptions be prepared. An analysis of the knowledge state can play the role of both preparing individualized learning prescriptions and formative evaluation. In the unit dealing with astronomical observation of Earth ScienceI, teaching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hierarchy of learners rather than the order in which the textbook syllabi were presented scored significantly higher (p<0.05) on the level of concept achievement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teacher can help students achieve more efficient in learning by analyzing the learner’s knowledge state and reordering the syllabi of the textbook in teaching the concepts associated with astronomical observation.

      • KCI등재후보

        실업계 고등학생의 학업관련 심리적 특성 탐색:수준과 자아개념 구조를 중심으로

        양명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5 한국청소년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self-concept. Self-regulated learning and self-concept are multi-dimensional psychological construct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91 students of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As expected, vocational school students had lower level of self-regulation, compared to those in general high schools. They are lowest on cognitive regulation whi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behavioral regulation. The big difference was found in the variable of time-manag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in the self-concept except for the academic self-concept.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makes the largest contribution to general self-concept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ile affective self-concept had biggest influence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생의 학업관련 심리적 특성을 자기조절학습 수준과 자아개념의 구조를 통해 탐색해 보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자기조절학습과 자아개념은 학업성취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다면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심리적 변인이다. 실업계, 인문계 고등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하여 먼저 그들의 자기조절학습을 살펴보았다. 예상했던 바와 같이 실업계는 인문계보다 자기조절의 수준이 낮았는데, 자기조절학습의 세 차원 중 인지조절을 가장 어려워하였으며, 변인별로 볼 때는, 학업시간의 관리에서 인문계와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들의 자아개념은 학문 자아개념만 제외하면 인문계 학생과 통계적 차이가 없었지만 자아개념의 차원 간 내적 구조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인문계 고등학생들은 일반 자아개념을 지각하는데 학문 자아개념이 가장 많은 기여를 하였던 반면 실업계 고등학생들은 정의 자아개념이 학문 자아개념이나 중요타인 자아개념에 비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학문 자아개념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변인들의 회귀분석 결과도 인문계 고등학생과는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 KCI등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서 부당거래행위의 의미-“위계” 개념의 해석론을 중심으로 -

        이석배 한국경제법학회 2011 경제법연구 Vol.10 No.1

        Die Vorschrift des § 188-4 Abs.4 kWpHG lauten: “In Bezug auf den Erwerb oder die Veräußerung eines Wertpapiers oder sonstige Transaktionen darf niemand die folgenden Handlungen vornehmen: 1. Zur Verschaffung eines ungerechten Vorteils vorsätzlich falsche Kurse oder falsche Tatsachen sowie Gerüchte verbreiten oder einen irreführenden Plan benutzen.” Auch §178 Abs.2 Gesetz über den Kapitalmarkt und das Finanzdienstleistungsgewerbe nutzt auch den Begriff “einen irreführenden Plan” ähnlich. Nach der Rechtsprechung unter “einen irreführenden Plan” zu verstehen sei ein(en) “Mittel oder Vorhaben oder Trick, das/der auf die Täuschung eines anderen (Anlegers) und die Verleitung dessen zum einem (mit dem Wertpapierhandel verbundenen) Verhalten abziele.”Die subjektivistische Verständnis der “List” weicht allerdings von der eingrenzenden Auslegung des Korean Supreme Court ab, die es bis jetzt angesichts der “List” i. S. d. Tatbestände des kStGB ständig entwickelt hat. Es versteht dabei – unabhängig von verschiedenen Tatbeständen – unter “List” das Verhalten, das ein Irrtum eines anderen erregt oder ihn in Unkenntnis versetzt und dies zur Erreichung eines weiteren Handlungsziels ausnutzt. Es verlangt also einen kausal verursachten Irrtum und eine Ausnutzung dessen zum weiteren verfolgten Ziel. Das Korean Supreme Court will nun – unter gänzlichem Verzicht auf eine nachvollziehbare Begründung für das unterschiedliche Auslegung wortgleichen Terminus – die “List” i. S. d. § 188-4 Abs. 4. Nr. 1 2. Alt. kWpHG so versubjektivieren, dass es sich bei der Auslegung des Tatbestandsmerkmals allein auf die Täuschungs- und Verleitungsabsicht abstellt und damit schon aufgrund der vorhandenen Absicht jegliche Vornahme eines Teilmoments gesamten Tatplans als Benutzen listigen Plans darstellt. Dadurch aber müsste begrifflich nicht zwingend die Geschicktheit des motivunterschiebenden Verhaltens verlangt werden, geschweige denn die Irrtumserregung und/oder eine Ausnutzung derer. Die einseitige Fokussierung der vorgeblichen subjektiven Komponente, die den Schwerpunk des Unrechtsgehalts überschießend auf das Subjektives verlagern muss, könnte zwar unter Berufung auf das Wortlaut des Tatbestandsmerkmals nicht von vornherein ausgeschlossen werden, doch ist aus den folgenden Überlegungen heraus wenig überzeugend. Als Zwischenergebnis ist dagegen festzuhalten, dass der Wortsinn der Tatbestandsmerkmale des § 188-4 Abs. 4 Nr. 1 2. Alt. kWpHG nichts anderes als Täuschung i. S. d. Fehlinformation sein. Auf was sich die Täuschung beziehen sollte, ist allerdings eine andere – aber sicherlich wichtige – Frage. Danach wurden der Hermes-Fonds-Fall und der Lone-Star-Funds-Fall überprüft. Bei beiden Fällen können die Aussagen der Täters beim Interview eine täuschende Komponente enthalten, diese Interviews werden unter “List” § 188-4 Abs. 1 Nr. 4 kWpHG subsumiert. 현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재178조 제2항은 과거 증권거래법 제188조의4 제4항과 마찬가지로 “위계”를 부당거래행위의 유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 대하여 대법원은 위계를 “거래 상대방이나 불특정 투자자들을 기망하여 일정한 행위를 유인할 목적의 수단, 계획, 기교 등을 쓰는 행위”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행위개념을 주관적인 의도 또는 목적에 따라 해석함으로써, 행위개념이 주관화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자본시장법과 증권거래법은 잠재적 시장참여자인 정보수용자에게 손해를 가하고 그것을 통해서 이익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어야 한다. 증권거래법 제188조의4 제4항과 형법 제347조 제1항의 사기죄와 유사성은 (불법)이득의 의사로 구성요건 행위인 허위정보의 전달을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행위와 불법구조의 유사성에 비추어 증권거래법 제188조의4 제4항의 위계를 기망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위계개념이 주관적 요소에 의해 무한히 확장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기망행위와 동일하게 축소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규정이 적용된 대표적인 사례인 헤르메스사건과 론스타사건이 모두 대법원의 관점과는 달리 “위계”에 해당할 수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 아동의 발화에서 도출한 초등 저학년 자아개념의 내용분석 연구 : 에이전트와 아동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추명이(Myounglee Choo),박도은(DoEun Park),조민서(Minseo Cho),이정한(Junghan Lee),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자아개념은 한 사람의 자신에 대한 개인의 지각으로서, 연구자들은 자기 지식의 표현 또는 자아에 대한 생각으로 정의한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인지의 발달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확장으로 자아개념의 발달에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 증진을 위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개별 아동자아개념의 현 상태를 음성 기반 대화형 에이전트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7 일 간 습관 형성을 돕는 ‘뽀미’ 애플리케이션의 ‘하루 말하기 기능’을 사용하였다. 자아개념의 요소가 반영된 질문에 대한 아동의 답변을 근거 이론 방법에 따라 오픈 코딩하고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 구성체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과 에이전트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상황에서 아동의 자아개념을 탐색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