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가 공격성을 매개로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성별 다중집단분석 적용

        반지윤(Ban, Jiyoon),오인수(Oh, Inso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에 대한 성별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1패널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2,541명(남학생 1,375명, 여학생 1,166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성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공격성이 완전매개하였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학생 집단에서는 거부적․강요적․비일관성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공격성이 각각 완전매개한 반면, 여학생 집단에서는 거부적․비일관성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공격성이 각각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집단에서는 강요적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공격성이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다중집단분석에서 집단 간 경로의 차이는 거부적 부모양육태도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논의하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가 지니는 교육·상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the effect relations, and to test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s according to gender. To this end, SEM was analyzed among 2,541 participants and thi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by using the 1st year of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panel of the KCYPS 2018 conducted by the NYPI. First, aggression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differed according to genders i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egative nurturing attitudes of paren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Specifically, aggression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s of the rejective, coercive and chaotic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the male student group, while aggressiveness completely mediated the only effects of the rejective and chaotic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the female student group. In other words, it can be construed that aggression did not mediate the effects of coerciv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e difference of inter-group path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effects of rejectiv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gg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as well a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정부지원 학자금대출제도’의 연구동향 분석

        김동화(Donghwa Kim),반지윤(Jiyoon Ba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정부지원 학자금대출제도’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최근 12년간 게재된 학자금대출 관련 99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국문초록을 바탕으로 최종 891개의 추출하였다. 비정형 데이터의 분석은 NetMiner 4.3을 활용하였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출현 빈도는 ‘소득 , ‘대학생 , ‘학자금 지원 등의 순으로 높았고, 키워드 쌍은 ‘대학-대학생 , ‘대학-학자금 지원 , ‘대학생-학자금 지원 등의 순으로 높은 동시출현을 보였다. 중심성 분석의 경우 ‘대학생’과 ‘학자금 지원’, ‘정책’, ‘대학’, ‘학자금대출 상환부담’, ‘영향요인’의 6개 핵심 키워드가 연결·매개 중심성 각각 상위 6위 이내 순위를 보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에서 8개의 토픽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지원 학자금대출제도 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연구적 방향성 검토와 후속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Government Student Loans (GSL) using text mining. 99 articles on GSL in the past 12 years selected and final 891 keywords were extracted on the abstract. Analysis of unstructed data utilized NetMiner 4.3 to conduct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TMA).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high in the order of ‘income’, ‘college student’, and ‘schooling expenses funding’ while keyword sets were high in the order of ‘college-college student’, ‘college-schooling expenses funding’, and ‘college student-schooling expenses funding’. According to the centrality analysis, core keywords, ‘college student’, ‘policy’, ‘college’, ‘burden of student loan repayment’, and ‘influencing factors’ ranked within top six, respectively. Though TMA, 8 topics were the most suitable.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GSL was reviewed and previous research project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이정민(Jungmin Lee),반지윤(Jiyoon Ban)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부모지지, 교사지지, 또래지지)와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에 대한 빈곤 및 비빈곤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CYPS 2018) 중1 패널 3차년도(중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총 2,380명(남학생 1,274, 여학생 1,106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지지는 그릿을 부분매개하여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지지는 그릿을 완전매개하여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또래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서는 그릿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결과에서 또래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경로에서만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또래지지로 인한 행복감은 빈곤 집단이 비빈곤 집단보다 약 1.8배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빈곤과 비빈곤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서 사회적 지지라는 변수의 유형에 따른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arent support, teacher support, and peer support) and happines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third year of the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middle school panel (third-grader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wer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and multiple-group analysis of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2,380 participants (1,274 male, 1,106 femal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parent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grit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Second, teacher support completely mediated grit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and happines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were revealed only in the area of peer support on happiness. Specifically, the poverty group perceived happiness from peer support 1.8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non-poverty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ypes of social support by analyzing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separately, and suggests educational policy measures that can improve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의 역량에 대한 개념도 분석

        오인수(Insoo Oh),반지윤(Jiyoon Ban),김현수(Hyeonsu Kim),박연옥(Yeonok Park),이은지(Eunji Lee),송아름(Areum Song),김주희(Juhee Kim)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1

        본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의 역량을 개념도를 통해 밝히고 그러한 인식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을 실천하는 기관의 실무경력 평균 3년 이상인 연구참여자 9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개념도 분석 절차에 따라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 역량에 대한 117개의 개념 진술문을 도출한 후 58개의 핵심 진술문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정된 진술문에 대해 28명을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를 수행하고 다차원 척도 분석, 위계적 군집분석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2차원(인간적 자질-전문적 자질, 이주배경에 대한 지식과 태도-상담기법)의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6개의 개념 군집이 확인되었으며, 58개의 진술문에 대한 중요도, 수행도, 중요도-수행도 차이를 각각 평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의 중요성이 재조명되는 시점에서 그 핵심개념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competence of counselors for youths from migrant backgrounds through concept mapping and to explor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ch perceptions. In this research,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on 9 participants with an average of more than three years of practical experience in institutions that practice counseling for youths from migrant backgrounds. According to the conceptual map analysis procedure, 117 concept statements on the competency of counselors for youths from migrant backgrounds were derived, and 58 focal statements were finalized. A similarity classification task was performed on 28 confirmed statements, and two-dimensional conceptual map (human quality-professional quality,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migration background-counseling skills) was deriv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Finally, six conceptual clusters were identified, and the average valu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58 statement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concept in an empirical way at a time when the professional qualities of counselors for youths with migrant backgrounds are revisited.

      • KCI등재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오인수(InSoo Oh),반지윤(JiYoon Ban),손지향(JieHyang So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2

        본 연구는 사회 연결망 분석에 기반하여 GOLDEN 성격유형 검사의 포괄척도와 세부척도 유형에 대한 2-mode 네트워크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60대 연령층 1,450명을 대상으로 GOLDEN 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결과 프로파일 자료는 NetMiner 4.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mode 네트워크 분석하여성격유형 구조를 계량화, 시각화하였다. 이때, 포괄척도는 노드(node)가 되고 세부척도값은 링크(link)의 가중치(weight)로 저장된다. 분석 절차는 데이터 전처리, 네트워크분석, 시각화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GOLDEN 성격유형의 포괄척도와 세부척도 간 연결정도를 분석하여 포괄척도에 따라 가장 두드러지는 성격유형과 세부척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포괄척도에 따라 2-mode의 연결 중심성 위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구조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기존의 타당도검증 결과를 뒷받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2-mode network structure for the comprehensive and detailed scales of Golden personality types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Golden Personality Type Profiler was conducted on 1,450 people in their 20s to 60s from May 8th to June 22nd, 2020. The collected result profil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NetMiner 4.5 version for a 2-mode network analysis, and the personality type structure was quantified and visualized. In this process, the comprehensive scale became a node, and the detailed scale value was stored as the weight of the link. The analysis procedure was divided into data preprocessing,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ste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rominent personality types and detailed scal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scale by analyzing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the comprehensive scale and the detailed scale of Golden personality type; Second, through the network structure of Golden personality type, the location of connection centrality of a 2-mode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sca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d the network structure of Golden personality type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support the results of the existing validity verification.

      • KCI등재

        초기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특징에 대한 개념도 연구

        오인수 ( Oh Insoo ),김현수 ( Kim Hyeonsu ),반지윤 ( Ban Jiyo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특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 활용한 방법은 개념도 방법이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디어 생성을 위해 초점질문을 개발하고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연구참여자는 초등학교 현장 경험이 풍부한 1학년 담임교사 11명으로, 초점질문을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둘째, 아이디어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최초 59개의 진술문은 연구자 3인의 합의를 거쳐 총 44개의 진술문으로 확정하였다. 셋째,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수행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 참여한 연구참여자는 총 26명으로, 모두 초등학교 1학년 담임경력을 가진 초등학교 교사였다. 넷째, 결과분석 및 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유사성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성 행렬을 작성하고 다차원척도분석 및 위계적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또한 중요도 및 수행도 평균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6개 군집을 포함하는 2차원(가정환경특징-학생개인특성, 사회정서역량-적응촉진환경)의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각 군집을 기준으로 개념도 및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결과의 시사점을 1)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간 연계, 2) 과도한 사교육 참여의 지양, 3) 집행기능의 향상, 4) 사회적 유능감의 향상, 5) 교사에 대한 아동의 긍정적 인식 제고, 6) 부모와 협력적 관계 형성의 6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characteristics that help them adjust to early school life. The concept mapping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focusing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enerate idea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first grade homeroom teachers who had extensive field experience. Second, idea statements were extracted. Initially, there were 59 statements, but through consensus among 3 researchers, a total of 44 statements were confirmed. Third,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importance-performance rating were conducted. Notably, 26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and all of them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a first grade homeroom teacher. Fourt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were implemented. Based on the similarity classification results, a similarity matrix was created,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were performed so that a concept map was completed. In additi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verages were analyzed. Finally, a two-dimensional concept map (home environment characteristics-stud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cial vs. emotional competency vs. adjustment-promoting environment) including a total of 6 clusters was drawn up. Based on each cluster, 6 themes were derived: 1) linkage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elementary schools, 2) avoidance of excessive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3) improvement of executive function, 4) advancement of social competence, 5) enhancement of children's positive perception of teachers, and 6) formation of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According to these themes,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ncept map,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discussed.

      • KCI등재

        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인도주의 리더십 개념 분석

        오인수(Insoo Oh),궁선혜(Sunhye Kung),반지윤(Jiyoon Ban),양수연(Sooyeon Ya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인도주의 리더십을 실천하고 있는 현장의 인도주의 리더를 대상으로 이들이 생각하는 인 도주의 리더십의 개념을 개념도 분석 방법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도주의를 실천하는 기관의 실무경력이 10년 이상이면서 중간관리자급 이상의 직급인 연구참여자 11명을 대상으로 개 별·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개념도 분석 절차에 따라 인도주의에 대한 150개의 개념 진술문을 도 출한 후 46개의 핵심 진술문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정된 진술문에 대해 인터뷰참여자 11명을 포함 한 총 30명을 대상으로 진술문 유사성 분류작업을 수행하고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사 용하여 2차원(조직적-심리적 차원, 개인외적-개인내적 요인 차원)의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최종 8개 의 개념 군집이 확인되었으며, 46개의 진술문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평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인도주의의 중요성이 재조명되는 시점에서 그 개념을 최초로 실증적 방법으로 탐색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concept of humanitarian leadership recognized by humanitarian leaders who conduct humanitarian leadership in practices by using concept mapping analyzing method. In this research, 11 participants having over 10 years work experiences and ranked over mid-levels in a humanitarian organization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or as a group. 46 focal statements were confirmed from 150 extracted outcome statements. 30 participants including 11 interview participants sorted 46 focal statements by similarity and rated their importance and performance.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 concept map of humanitarian leadership constructed two dimensions(organizational-psychological dimensions,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and eight clusters. It is significant to explore the concept of humanitarian leadership for the first time using empirical methods.

      • KCI등재

        근거이론에 기초한 인도주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대한 다면적 영향요인 분석

        궁선혜(Sunhye Kung),오인수(Insoo Oh),반지윤(Jiyoon Ban),양수연(Sooyeon Ya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주의 리더십 실천 경험의 핵심요소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맥락적 요인들을 다면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내 대표적 인도주의 기관에서 최소 10년 이상 재직한 11명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초점질문 인터뷰를 실시, 이를 근거이론(Strauss & Corbin, 1998)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료분석 결과, 129개의 개념, 46개의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나타났고, 이를 기초로 인도주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을 개발하였다. 중심 현상은 3개의 범주(리스크 관리와 안정성 추구, 인도주의 실천의 노력, 인도주의 참여 및 실천 호소), 저해요인은 2개의 인과적 조건(기부금 중심의 재원, 낮은 사회적 후원)과 4개의 맥락적 조건(관료적 조직문화, 인도주의 리더십의 부족, 스트레스 및 정서적 소진, 취약한 평가체계). 촉진요인은 4개의 중재적 조건(인도주의 실천 참여 및 교육, 공감하고 지지하는 문화, 개방적 소통, 편견 없는 태도)과 4개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수평적 의사결정, 인도주의 비전에 대한 공감, 사회공익 사업 추진, 인도주의에 대한 소신과 헌신), 3개의 결과(벤치마킹 대상, 인도주의 가치 공유, 안정적 재원 및 자율적 의사결정체제)로 정리되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인도주의 리더십 실천 경험과 영향요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고,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ey factors of humanitarian leadership experiences and their multifaceted influencing factors of causal and contextual conditions. Method: A grounded theory(Strauss & Corbin, 1998) was applied to analyze focus-group interviews with 11 participants having the least over 10-year of working experience in a representative humanitarian organization in Korea. Results: The in-depth analysis yielded 129 concepts, 46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and a paradigm model explaining humanitarian leadership experiences was developed. Phenomena were three categories (risk management and the pursuit of stability, efforts of performing humanitarian leadership, and appeals to engage in and implement humanitarian activities); factors hindering humanitarian leadership consisted of two causal conditions (donation-based finances, weak social sponsorship) and four contextual conditions (bureaucratic organizational culture, lack of humanitarian leadership, job stress and emotional burnout, weak performance-oriented evaluation system); factors facilitating humanitarian leadership consisted of four intervening conditions (engagement in humanitarian leadership and humanitarian education, the culture based on empathy and support, open communication, and attitude without prejudice) and four action/reaction strategies (decentralized decision structure, empathy in humanitarian visions, the pursuit of public works, and the belief in and commitment to humanitarianism); and three results (becoming a benchmarking target, shared humanitarian values, secure finances and autonomous decision-making system) were analyzed. Conclusion: Based on results, humanitarian leadership experiences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for humanitarian leadership experienc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통해 분석한 교과연계 사이버폭력 예방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오인수(Oh, Insoo),조규복(Cho, Kyubok),반지윤(Ban, Jiyo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연계 사이버폭력 예방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20년 9월~10월 동안 교직경력 5년 이상의 현직 교사의 지도하에 ‘2020 교과연계 사이버어울림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1,212명(중학생 880명, 고등학생 332명) 학생의 사이버어울림 적용 수업에 대한 서술형 의견을 수집하였고, 총 2,107개(‘좋았던 점’ 1,171개, ‘개선할점’ 936개)의 사례를 LDA 기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 키워드 분석 결과, 친구들과 사이버폭력에 대한 해결 방법을 생각하는 수업에 대해 긍적적이지만 너무 내용이나 생각할 것이 많아서 시간이 부족한 수업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좋았던 점’과 ‘개선할 점’의 주제별로 각각 4개의 토픽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도출된 토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좋았던 점’의 경우, ‘사이버상 젠더 관련 차별·혐오 표현의 폭력성 인식’, ‘사이버폭력 유형 및 위험성 인식과 대처 역량 증진’, ‘온라인 기반 디지털 매체의 장점과 역기능 인식’, ‘체험 활동을 통한 사이버폭력 피해의 심각성 이해 및 공감 향상’의 네 가지 토픽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선할 점’의 경우, ‘체험 기회의 부족으로 공감 및 표현의 어려움’, ‘난이도 높은 용어와 많은 학습 분량으로 인한 어려움’, ‘시간 부족으로 인한 부실한 수업 운영’, ‘내용이 많고 사이버폭력과의 연계성 부족’의 네 가지 토픽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교과연계 사이버폭력 예방 수업을 운영함에 있어 사이버 성폭력과 혐오 표현 등의 민감한 주제를 포함하여 반 친구들과 함께 생각하고 개념과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지만, 그 수업의 시간을 고려하여 내용의 양과 학생 활동 등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양적 자료에 대한 통계 분석에 치중하였던 기존 연구와는 달리, 학생들의 서술형 의견(비정형 자료)을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분석 및 시각화를 시도하여 교과연계 사이버폭력 예방 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 등을 도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in cyberbullying prevention classes. Method: Students descriptive opinions on program were collected from 1,212 students (880 middle school students, 332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Subject-related Cyber-aulim Program” under the guidance of subject teac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 total of 2,107 cases (1,171 “positive points” and 936 “improvement points”) were analyzed using LDA-based topic modeling. Results: Keyword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nding solution to cyberbullying with their friends was regarded as positive, while learning too much content or lacked time was regarded as negative. Four topics were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r positive points and improvement points” respectively, and the topics were as follows. First, the four topics for “positive points” were: “Awareness of Gender-based discriminative and hate expressions in cyberspace, Awareness of cyberbullying types and risks, and enhancement of coping skills, Awareness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based digital media, and “Understanding of the seriousness of cyberbully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nd improving empathy.” On the other hand, the four topics for improvement points were: Difficulty in empathizing and expressing due to lack of experiential opportunities, Difficulty due to high level of terminology and the burden of learning, Low quality of class due to short class time, and “Too much learning content and lack of connection with cyberbullying. Conclusion: When teaching subject-related cyberbullying prevention class, it is important to think and acquire concepts and knowledge with classmates, including sensitive topics such as cyber sexual violence and hate speech, but it is important to properly allocate content, student activities, etc. in consideration of the class time.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quantitative dat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students descriptive opinions (non-formal materials)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using topic modeling, thereby deriving specific implications for subject-related cyberbullying prevention classes.

      • KCI등재

        학교 성폭력의 실태 및 다면적 영향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오인수(In Soo Oh),이승연(Seung-yeon Lee),궁선혜(Sunhye Kung),엄수정(Su Jung Um),반지윤(Jiyoon Ba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1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0 No.1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 사이의 성폭력이 크게 증가하고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해 그 양상이 더욱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는 현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초·중·고등학교 교사와 성폭력 관련 전문가 총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질적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학교 성폭력의 실태와 학교 성폭력 경험 관련 다양한 요인들을 개인 및 환경 수준에서 다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에 의한 온라인 그루밍과 성적 자기결정권이 없는 성매매가 증가하고 있고, 사이버성폭력이나 데이트 성폭력이 최근 증가하는 성폭력 유형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성적 모욕이나 언어적 성희롱이 장난이나 놀이로 수용되고 있고, 동성 성폭력이 은닉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학교 성폭력 경험 관련 개인요인은 사회적, 정서적으로 취약할수록 성폭력 피해경험과 연관이 되고,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또래관계를 위계적인 권력관계로 인식할수록 성폭력 가해경험과 연관되었다. 환경요인은 가정폭력경험, 보호자의 젠더 감수성, 보호자의 부재의 가정환경요인, 성적 장난이나 놀이가 일상화되어 가는 학교문화와 성폭력을 경험한 학생에 대한 교사의 편견으로 인해 성폭력에 대한 허용도가 높아지는 학교환경요인, 성을 상품화하는 문화와 성범죄에 관대한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성폭력 허용도가 높아지는 사회환경요인이 분석되었다. 이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성폭력 예방교육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과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qualitatively understand dynamics of sexual violence in schools and analyze multifaceted influencing factors. Focus-group interviews with ten K-12 school teachers and professionals working at youth sexual violence institutions were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multifaceted influencing factors to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in schools.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e investigated that online grooming sex offenses by adults and prostitutions having no sexual self-determination were increased; recent increasing types of sexual violence were cyber sexual violence and dating sexual violence; sexual insult and verbal sexual harassment were accepted as a play; and same-sex sexual violence was hidden. Also, individual factors(socially, psychologically minority group, distorted sexual attitude/perception, hierarchical peer relationship) and family,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gender sensitivity of parents, physical absence of parents, school culture, teachers’ prejudice, sexual commercialization, and generous punishment against sexual crime)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proposed educational implications to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and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