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 SNS 내 소비자의 상호작용과 몰입이 소비자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한주 대한경영정보학회 2015 경영과 정보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기업 SNS 내 소비자의 상호작용과 몰입이 소비자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콘텐츠 이용 동기 측면과 상호작용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호연대감(가설1-1), 영향력(가설1-2), 연결성(가설1-3), 반응성(가설 1-4) 모두 상호작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콘텐츠 이용 동기 측면과 몰입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상호연대감(가설2-1), 영향력(가설2-2), 연결성(가설2-3)이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응성(가설 1-4)은 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콘텐츠 특성과 상호작용과의 관계는 오락성(가설3-1),정보성(가설 3-2)모두 상호작용성에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콘텐츠 특성과 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정보성(가설4-2)만이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오락성은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과 몰입 그리고 애착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상호작용성과 몰입과의 관계(가설 5)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상호작용성(가설6)과 몰입(가설7)은 모두 애착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SNS를 이용하는 실무자에게 다양한 시사점과 의의를 제시 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interaction and flow of consumers within the company SNS on the consumers’ affection. Verification took pla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genera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correlation between aspect of the motivation for the use of contents and interactivity is as follows. Mutual sense of solidarity (Hypothesis 1-1), influence (Hypothesis 1-2), connectivity (Hypothesis 1-3) and reactivity (Hypothesis 1-4) exerted positive(+) on the interaction. Second, correlation between aspect of the motivation for the use of contents and flow is as follows. Mutual sense of solidarity (Hypothesis 2-1), influence (Hypothesis 2-2) and connectivity (Hypothesis 2-3) exerted positive(+) effect on immersion. Meanwhile, reactivity (Hypothesis 1-4)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t comes to flow. Third, interaction between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exerted positive(+) positive on the interactivity of entertainingness (Hypothesis 3-1) and informativity (Hypothesis 3-2). Fourth, correlation between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flow was examined, which demonstrated that only informativity (Hypothesis 4-2) exerted positive(+) effect on the immersion. Meanwhile, entertainingn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t comes to the immersion. Lastly, correlation between interaction, flow and affection is as follows. Correlation between interactivity and flow(Hypothesis 5)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interactivity(Hypothesis 6) and Flow(Hypothesis 7) exerted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on. This study presents divers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s to the working level people who use the company SNS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대화형 설치 예술의 감정적 경험 및 실행에 관한 연구

        초천(Xiao, Chuan),이성원(Lee, Sung W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현대 과학 기술과 정보 기술의 발전과 함께 현대의 예술은 회화, 음악, 사진,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가 융·복합된 새로운 장르들이 나타나고 기존의 장르를 넘어 새로운 개념의 예술 분야들이 파생되고 개척되었다. 설치 예술은 작가의 의도에 따라 공간을 구성하고 변화시켜 장소와 공간 전체를 작품으로 체험하는 예술이다. 설치 예술에서 비롯된 대화형 설치 예술은 작품과 관객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관객이 예술 활동에 참여하고 정서적 경험을 체험하는 예술이다. 최근에는 새로운 미디어 기술과 컴퓨터 정보 기술의 결합으로 더욱 혁신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새로운 장르의 예술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예술은 감정의 운반자이자 감정의 표현 형식이며, 감정은 예술 창작의 원동력이며 본질이다. 따라서 대화형 설치 예술의 목적은 관객과의 감정적 상호 작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과 감정의 공생 관계를 인식하고 대화형 설치 예술의 감정적 경험의 상호 작용 및 표현 방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작품 창작을 통해 감정적 경험을 개발하기 위한 창의적 방법을 모색하고 실행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자료를 통해 감정적 경험의 중요성과 상호 작용 원리를 연구하고, 감정 경험의 예술적 표현과 기술적 수단에 대한 원칙을 제시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고 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된 표현 원칙은 첫째, 형태를 통한 시각적 인지 자극에 의한 감정 공명, 둘째, 기술적 장치의 기능 경험에 의한 상호 작용, 셋째, ‘사람중심’ 디자인에 의한 인간 정서적 가치의 표현이다. 창작 작품 ‘우주 웹’은 인간의 삶에 대한 본질을 주제로 삶의 위로와 영적 영감에 대한 감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으며, 감정적 경험의 개발 방향으로 ‘개인적 경험과 가치의 창의화’를 제안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modern art is attempting new changes in various fields such as painting, music, photography, and theater, and new genres in which various fields are converged and emerged and new concepts beyond existing genres The art sectors of the world have been derived and pioneered. The installation art is an art that organizes and changes the space according to the artist’s intentions and experiences the place and the whole space as works. The interactive installation art originating from the installation art is an art in which the audience participates in art activities and experiences emotional experience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work and the audience. In recent years, the combination of new media technology and computer information technology has made it more innovative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a new genre of art. Art is a carrier of emotions, a form of expression of emotions and emotion is the driving force and essence of art cre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interactive installation art can be said to be an emotional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motion, and to study the interac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al experiences in interactive installation art. Also, based on this, I tried to find a creative way to develop an emotional experience and practice it through creation of works. This study studie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through literature data, presents the principles for artistic expression and technical means of emotional experiences, and verifies and organizes them through cas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presented principles of expression are first, emotional resonance by visual cognitive stimulation through form, second, interaction by functional experience of technological devices, and third, expression of human emotional value by ‘people-centered’ design. The creative work ‘Cosmic Web’ was designed to experience the feelings of comfort and spiritual inspiration with the theme of the essence of human life, and suggested ‘Creating of personal experiences and values’ a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emotional experiences.

      • KCI등재

        연구논문 : 레스토랑 서비스의 다차원 품질과 다차원 고객가치 관계 연구 -패밀리레스토랑과 패스트푸드점의 비교 연구-

        이흥연 ( Heung Youn Lee ),문재영 ( Jae Young Moon ),최승윤 ( Seung Youn Choi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3

        레스토랑 서비스의 품질을 상호작용 품질, 물리적 환경 품질, 결과 품질(음식 품질)로 구성하였고 고객가치는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구성하여 각 요소들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레스토랑을 패밀리레스토랑과 패스트푸드점으로 구분하여 영향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패밀리레스토랑의 경우는 상호작용 품질이 감정적 가치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리적 환경 품질은 감정적 가치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 품질은 기능적·사회적·감정적 가치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점의 경우는 상호작용 품질이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감정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리적 환경 품질은 감정적 가치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 품질은 기능적·사회적·감정적 가치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패밀리레스토랑의 경우는 각 고객가치 모두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패스트푸드점의 경우는 사회적 가치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in case of family restaurant, interaction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ust emotional value, with no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ust emotional value, but did not on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Food qualit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al, social, and emotional values altogether. In case of fast-food restaurant, interaction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al and social value, with no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value,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ust emotional value, but did not on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and food qualit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al, social, and emotional values altogether. Particularly, in both family restaurant and fast-food restaurant, food quality had more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value than interaction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did. Also, regarding the effect of customer value on behavioral intentions, in case of family restaurant each customer valu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while in case of fast-food restaurant social valu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but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 KCI등재

        대학 스포츠센터의 명성, 상호작용성과 고객행동의도간의 관계

        이준원(Lee Jun-Won),이승철(Lee Seung-Chul)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7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2 No.3

        대학들은 다양한 마케팅방안 중에 하나로 대규모 스포츠센터를 개발해 지역사회에 개방함으로써 대학과 지역 사회와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학 내 스포츠센터가 독립채산제 형식으로 운영되는 형태가 나타나고 대학 인근에 수많은 사설 혹은 공공 스포츠센터가 생겨남에 따라 치열한 경쟁상황에 돌입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대학 내 스포츠센터도 체계적인 운영전략을 펼쳐야 안정적 고객을 확보해 정상적인 운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내 스포츠센터를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스포츠센터의 명성 및 상호작용성과 신뢰, 감정적충성도 그리고 고객행동의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고객행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대상은 충남 소재의 N대학 내의 스포츠센터 이용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서 표집한 후 연구에 적절하지 않은 12부를 제외한 총 198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2.0과 AMOS 4.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성과 상호작용성은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는 감정적충성도 및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적충성도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 행동의도는 사회적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Universities provide the space where the University and local society can make effective communication by developing and opening large sports center as one of the various marketing plans. Recently, however, as sports center in University gets to be operated with the system of independent property and as many private and public sports centers appear around University, there come to have severe competitions among them Therefore now the sports centers in Universities have to unfold systematic strategy to operate them normally with keeping stable numbers of customers. Thus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reputation of sports center in University, interaction, trust, affective loyalty, and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with the subjects of customers using the sports center in University and analyse those customers behavior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or the subjects, this study chose the customers using the sports center in N University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by appling random sampling and used 198 samples except unsuitable 12 as the final valid data. For the data process, SPSSWIN Ver. 120 and AMOS 4.0 were applied and then each hypothesis was verified after identifying model's sui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ere verified through evidential analysis are as following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putation and interact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trus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trust has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ve loyalty and behavioral intention.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the affective loyalty has positive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Fourth, it has been shown that the economic behavioral inten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behavioral intention.

      • KCI등재

        서비스 회복 공정성과 고객공감 및 서비스 회복만족, 관계지속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유경(Kim, Yu Ky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4

        서비스는 소비와 생산이 동시에 일어나는 특성 때문에 불가피하게 서비스 실패상황이 자주 일어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제공자나 기업측면에서 이에 대한 대응의 미비로 인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서비스 실패시 고객으로 하여금 어떻게 회복과정에서 그들의 공감을 얻어 서비스회복에 대한 만족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지에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대상으로, 서비스 회복과정에서 고객의 공감을 얻기 위해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서비스 회복공정성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회복공정성과 고객 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며, 공정성 차원은 분배적 공정성, 절차적 공정 성, 상호작용적 공정성 세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으며, 공감은 인지적 공감과 감정적 공감 두가지 차원으로 구분 하였다. 둘째, 고객공감 즉, 인지적 공감과 감정적 공감과 회복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셋째, 서비스 회복만족과 관계지속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검증을 위해 최근 6개월 이내에 서비스실패를 경험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354부이다. Amos 20.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 회복공정성 중, 분배적 공정성과 절차적 공정성은 인지적 공감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상호작용적 공정성은 인지적 공감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 외 분배적 공정성과 절차적 공정성, 상호작용적 공정성은 감정적 공감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인지적 공감은 회복만족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감정적 공감은 회복만족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회복만족은 관계지속의도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Since consumption and production happens at the same time in service area, unavoidable service failure occurs often. Nevertheless, in many times, service provider or company gives inadequate responses to make negative images to customers. Therefore, when the company makes service failure, they should take interest how they could arouse customers’ empathy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on service recovery in the process so they could maintain const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This paper focuses on providing service recovery justice as the main factor that influences on customers’ empathy in service recovery process with people who experienced service failure as its target. Research aims in detail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justice and customer empathy. Justice dimens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while empathy wa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which are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Second, research on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empathy, in other words,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satisfaction and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hird, research on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recovery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continuance intention. For hypothesis verification, we have surveyed customers who experienced service failure within last two months, while 354 surveys among all of collected on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We used structure equation method to analyze hypothesis with Amos 20.0. As the result, in service recovery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did not give considerable positive influence over cognitive empathy.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al justice gives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to cognitive empathy. Also,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give great positive influence to emotional empathy. Secondly, cognitive empathy did not give great influence on recovery satisfaction, while emotional empathy gives significant influence on it. Thirdly, recovery satisfaction gives great influence on relationship continuance intention.

      • KCI등재

        The Inevitable Dark Side of the Organizati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an Linda,Cha Yunsuk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9 No.1

        비인격적인 상사는 조직을 괴롭히고 직원들의 웰빙에 영향을 주는 심각하고 점점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비인격적인 상사가 인도네시아의 조직적 맥락에서 반생산적인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요를 제공했다. 본 연구는 직원들의 감정적 고갈의 매개 효과와 상호 작용 정의의 조절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비인격적인 상사에 대한 연구를 확대한다. 인도네시아 기업의 120명 응답자의 자료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 비인격적인 상사가 역효과를 내는 업무행태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원들의 감정적 고갈이 비인격적인 상사와 반생산적인 과업행동의 관계에 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는 상호 작용적인 정의가 비인격적인 상사와 직원들의 감정적 고갈 사이의 관계에 조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상호 작용적 정의의 조절 효과가 상호 작용적 정의가 높았을 때 비인격적인 상사와 감정적 고갈 사이의 더 강한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과 같은 예기치 못한 패턴을 보인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 비인격적인 상사, 직원들의 감정적 고갈 그리고 반생산적인 과업행동 사이의 관계가 더 강하기 때문에 비인격적인 상사를 피하는 것이 더 심각하게 여겨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Abusive supervision has become a serious and growing problem afflicting organization and affecting employees’ well-beings. This study provided an overview of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counterproductive behavior in the Indonesian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extends the research of abusive supervision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teractional justice. Regression analysis on data of 120 respondents from Indonesian companies revealed that abusive supervis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to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employees’ emotional exhaustion has been proved to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is study also found that interactional justice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ployees’ emotional exhaustion. It is surprising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showed an unexpected pattern such that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existed when interactional justice was high. These findings showed that avoidance of abusive supervision should be taken more seriously, due to the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employees’ emotional exhaustion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 KCI등재

        어린이와 소통하는 현대사 박물관 전시의 내용 구성 방안: 어린이 역사, 내러티브, 감정적 전시, 전시와의 상호작용

        강선주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broad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s that can increase children's accessibility, acceptability, and interactivity in museums of contempoary history in terms of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xhibition content. For this purpose, in this article, the exhibitions for children in museums of contemporary history abroad a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meaningful communication with children, museums need to organize exhibitions with content that respects children's interest in the past, content that can feel that children's lives are history, and themes and exhibits that challenge children's prior knowledge. Museums should organize the exhibition in a narrative format and use emotive exhibition so that children can feel identify with while emotionally adhering to the people of the past. However, it is important to help childern understand history as controversial by presenting the past in multiple narrativ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bout children from the exhibition planning stage and reflect the research results in the selection of content and exhibits so that children can actively participate in doing history and heritagization through ‘interactive exhibits’ and ‘interactions with exhibits.’ 본 고는 현대사를 표현한 박물관에서 어린이의 접근성, 수용성, 상호작용성을 높일 수 있는 전시 개발의 큰 방향을 전시 내용 선정 및 구성의 측면에서 제시했다. 본 고에서는 주로 국외 현대사 박물관의 어린이 대상 전시를 검토하고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다. 어린이와 의미있는 소통을 위해서 박물관은 어린이의 과거에 대한 관심을 존중하는 내용, 어린이의 삶 자체가 역사라고 느낄 수 있는 내용과 전시물로 전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가 과거인과 감정적으로 밀착하면서 동질감을 느낄 수 있게 전시를 내러티브 형식과 감정적 전시로 구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내러티브를 통해 역사를 논쟁적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호작용적 전시’와 ‘전시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린이가 역사하기와 유산화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전시 기획 단계부터 어린이에 대해 조사 연구하고 내용 및 전시물 선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에서 지능로봇의 윤리화 과제와 전망 - 근대적 윤리담론에 대한 대안적 접근을 중심으로 -

        정채연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8 동북아법연구 Vol.12 No.1

        지능정보사회에서 지능로봇의 도입 및 수용에 따라 새로이 제기되는 가치판단의 문제들은 로봇윤리담론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로봇윤리는 인공지능 및 지능로봇이 내리는 의사결정이 인간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기본적인 전제로 삼으며, 특히 인간의 생활세계에서 함께 공 존하는 사회적 로봇의 맥락에서 보다 특별한 윤리적 고려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윤리담론의 연구성과들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망하면서 논의의 전반적 인 추이 및 동향, 그리고 유의미한 성찰점들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때 특히 기존의 윤리담론이 상정하고 있는 논의의 전제들을 넘어서거나 적어도 우회하는 대안적 접근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근대윤리담론에 대한 대안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탈근대적인 방향성을 내포 하고 있다는 평가가 가능할 수도 있겠다. 이를 위해 먼저 로봇윤리의 범주를 세 가지로 구분하고, 로봇윤리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지능 로봇의 유형 스펙트럼을 개략적으로 제시한 후, 사회적 로봇이 갖는 독자적 속성 및 특수한 쟁점 을 언급하도록 한다(Ⅱ). 또한 사회적 로봇을 주된 상황적 전제로 하여, 기존의 근대적 윤리담론에 대해 대안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는 로봇윤리의 담론 추이를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쟁점화한다: i) 자율적인 행위자로서 지능로봇의 윤리적 책무성; ii)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과 동반자 관계; iii) 인간과 로봇의 정서적 소통과 공감; iv) 로봇을 통한 인간의 역량 강화와 상호진화의 가능성. 이렇듯 로봇윤리담론의 추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먼저 i) 윤리적 행위자로서 지능로봇을 승인하 기 위하여 기존의 법⋅윤리 개념을 확장적으로 재구성⋅재해석하거나, 인공지능 및 지능로봇에 적합한 새로운 개념들을 창설하려는 시도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ii)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연구 성과에서 잘 나타나듯이 의인화 등 로봇과 관계 맺는 인간의 반응에 주목하면서, ‘정신’에서 ‘신 체’로, 그리고 ‘실재’에서 ‘현상’으로의 관심 전환을 이끌었으며, 이와 더불어 인간-로봇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주종관계에서 동반자관계로 나아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나아가 iii) 인간과 로봇 사이의 상호작용이 갖는 호혜성에 대한 강조는 윤리적 가치판단에 있어서 ‘이성’보다 ‘감정’ 및 ‘공감’의 정서를 중요시하는 논의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iv) 이러한 소통적 관계는 새로운 기계 종인 로봇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인간 스스로의 자기이해가 변화하고 인간의 전반적인 역량이 강화될 수 있다는 공진화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에서 극대화된다(Ⅲ).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이 인간 자신의 자기이해와 인간적 좋음 및 행복에 기여한다는 윤리 적 논의의 지평은 로봇윤리를 인간윤리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도록 하며, 이때 로봇윤리와 휴머 니티와의 양립가능성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Ⅳ).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several issues rai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robots have led the growth of robot ethics discourse. Ethical issues in robotics are accompanied when a series of decisions made by intelligent robots significantly affect human society. This is especially apparent in the context of social robots interacting and coexisting with human in the real life-world. In this paper, the author takes a view of overall trends of robot ethics discourse and suggests several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xisting legal and ethical theory. Here, the paper focuses on alternative approaches that go beyond or at least bypass the major premises of existing ethical discourse. These approache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alternatives to modern ethical theories and therefore inherently having a postmodern directivity. First, the author provides three categories of robot ethics, outlines the types of intelligent robots, and then describes the unique attributes and issues of social robots(II). Furthermore, the paper suggests major alternative approaches to robot ethics discourse as follows: i) ethical accountability of intelligent robots as autonomous agents; ii) human-robot interaction and partnership; iii) emotional communication and empathy between human and robot; and iv) human capabilities and the possibility of co-evolution(III). Finally, as a concluding remark, the author provides future prospects of robot ethics compatible with humanity(IV).

      • KCI등재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디지털콘텐츠의 합법적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자아연관성, 공감성, 상호작용성의 영향과 감정적 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신지영,박성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 of illegal usage of digital culture contents and to propose solutions based on marketing that is focused on legal purchase intention among customers.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validate how Self-Connection, Empathy and Consumer-Consumer Interactivity affect the legal Purchase Intention of digital products of culture contents,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Attachment towards culture contents which is the psychological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Connection, Empathy and Consumer-Consumer Interactivity give a positive influence on Emotional Attachment. Secondly, emotional attachment plays a role as mediated effect and has positive influence to the legal Purchase Intention of digital products of culture contents. Thirdly,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Emotional Attachment of consumers towards culture contents an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Attachment, the size of influence on the legal Purchase Intention of digital products of culture contents is confirmed in the order of Consumer-Consumer Interactivity, Self-Connection, and Empathy. 본 연구는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불법적 이용이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비자의 합법적 구매의도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적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문화콘텐츠에 대한 자아연관성, 공감성, 소비자 간의 상호작용성이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의 합법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문화콘텐츠에 대한 감정적 애착의 매개적 역할이라는 심리적 변수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콘텐츠에 대한 자아연관성, 공감성, 소비자-소비자 상호작용성이 감정적 애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감정적 애착의 매개적 역할을 통해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디지털콘텐츠의 합법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자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감정적 애착 형성과 감정적 애착의 매개적 역할을 통해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디지털콘텐츠의 합법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는 소비자-소비자 상호작용성, 자아연관성, 공감성의 순서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병원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감정적 메커니즘 고찰을 중심으로

        이윤정,박종철 한국상품학회 2022 商品學硏究 Vol.40 No.6

        본 연구는 병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인식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그리고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새로운 감정적 메커니즘을 고찰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 고객신뢰, 고객충성도 등 소비자 반응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감정적 신뢰와 감정적 호혜성 등 감정관련 변수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과정품질과 물리적 환경품질은 감정적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과품질은 감정적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서비스 품질의 세 차원과 감정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과정품질과 결과품질이 감정적 호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환경품질은 감정적 호혜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적 신뢰는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호혜성은 고객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만족도는 고객충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