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병동 전실예정의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 요인

        이혜숙(Hea-Suk Lee),유미애(Mi-Ae You),이수경(Soo-Kyoung Lee),손연정(Youn-Jung So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횡단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일정기간 집중치료를 받고 신체상태가 안정적으로 회복되어 일반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의 가족 중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101명이 연구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8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SPSS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객관적 부담감은 전실 시 환자의 의식수준, 환자 몸에 부착된 기계장치의 수, 기관절개관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환자 가족의 주관적 부담감의 경우 환자의 성별, 환자의 교육수준, 환자와의 관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은 객관적?주관적 부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인 회귀분석에서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으로 객관적 부담감의 경우 전실불안이, 주관적 부담감은 환자 성별과 전실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인으로 제시되었고, 각각의 설명력은 12.7%와 23.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이 환자 가족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퇴실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각 대상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맞춤형 전실교육을 통해 환자가족의 부담감을 적극적으로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of family members’ burden and to describe factors influencing on famiCX*//8ly caregiver’s burden when they are planned to transfer to general ward from the intensive care units (ICU).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ing of 101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at S university hospital in C city, Korea from August to November, 2010.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program. The level of object burden in family memb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level of consciousness, number of patients monitoring devices, and tracheostomy tube. The level of subject burde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atients gender, patients education level, and relationship with patients. Transfer anxiety was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We found transfer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family care giver’s objective burden with explanatory power 12.7%. Family members’ subjective burden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by patients’ gender and transfer anxiety. These factors explained 23.8% out of total variance of family members’ objective burden. The structured individualized method of transfer is recommended with further research of ICU families to further examine the dimension of transfer anxiety and how it affects family members’ burden and patient outcomes.

      • SCOPUSKCI등재

        암환자 가족원의 부담감과 가족기능

        박연환,현혜진 성인간호학회 2000 성인간호학회지 Vol.12 No.3

        This study examined burdens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and family functioning of patients with cancer.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oncepts was assess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burdens of caregiving, and to improve family functioning. Ninety-two primary family care 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ith cancer aged from 19 to 84 yearn with a mean alee of 51 nears, and sixty-one percent were male. About 30 percent of the patients suffered liver and billiard tract cancer. Fifty-six percent of the primary family caregivers were spouses of the patients and 70.7 percent were women. Primary family caregivers' burdens were assessed by the Burden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Zarit (1980) and Novak & Guest(1989) and modified by Jang (1975) for use in Korea. The instrument consists of six subscales: time-dependent burden, developmental burden. Physical burden, emotional burden, social burden, and financial burden. Family functioning was assessed by the Family APGAR developed by Smilkstein(197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average burden score was 86.1, indicating a moderate level of burden. The time-dependent burden scored highest followed by developmental physical, social, financial, and emotional burdens. The mean score of family APGAR was 9.71; among subjects 82.6% were included in dysfunctional families. 2.Of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ge, gender, number of admissions, and job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burd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 characteristics and family function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caregiver's perception of patient prognosi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burden, and family functioning. Caregiver's sex and age were also related to family functioning.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a patient and a caregiver was significant situ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burden, and family functioning. In addition, the income of family. and help from other family members were related to the level of burden. Given the results, it is essential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burden and to improve family functioning, such as support groups.

      • KCI등재

        가족 상호관계가 치매노인 가족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조은영(Eunyoung Cho),조은희(Eunhee Cho),김소선(So-sun Kim)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과 가족원의 특성, 가족 상호관계가 치매노인 가족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2009년 9월 15일부터 2009년 12월 04일까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10개 치매주간 보호센터, 방문간호 사업소, 보건소 치매센터, 일 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외래 등에서 모집된 재가 치매노인의 가족원 15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version 17.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사후검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주 가족원의 66.6%가 여성이었으며 관계별로는 배우자(26.7%)가 가장 많았다. 가족원의 부담감 평균 점수는 85.9점이었으며, 가족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은 가족 상호관계, 가족이 인지한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하루 평균 치매노인 돌봄 시간, 가족원의 건강상태로 전체 설명력은 40.7%를 나타내었다. 이 중 가족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관련요인은 가족 상호관계로 전체의 22.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족원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방법에 고려해야할 사항 중 가족원 측면에서는 가족 상호관계와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고 하루 평균 치매노인을 돌보는 시간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을, 치매노인 측면에서는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증진 또는 유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rimary family caregivers' burden and its related factors. The subjects were 151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majority of the primary caregivers was female (66.6%) and spouse(26.7%). The mean burden score was 85.9.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den of primary family caregiver were Family Relationship, Caregiver's Perceived Patient's ADL, Average Caring Hours per Day, Health Status of Primary Family Caregiver (bad health), which explained 40.7% of their burden. Family relationship was the major factor, appearing as 22.1% of the burden. In the perspective of family, strategies to improve family relationship and health status and to decrease average caring hours per day are needed. In the perspective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strategies to improve and maintain ADL are needed.

      • KCI등재

        화상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대한 융합적 연구

        정계현,나현주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화상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이다. 연구 대상자는 D시, S시, B시, P시에 소재한 4개 화상전문병원에 입원한 2°이상의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들 120명을 편의 표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test, ANOVA, Scheffe' test, Multiple linear regrassion을 시행하였 다. 연구결과는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 중 돌봄의 의미와 평가, 환자의 미래에 대한 부담감이 가장 높았 다.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으로는 결혼상태, 간병시간, 피부이식수술, 체표면적(%)이었고, 설명 력은 25.9%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장시간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신체적, 정서적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간병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간병서비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burden on the family caregivers of patient with more than second degree bur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0 family caregivers sampled for convenience from 4 Burn hospitals in D, S, B, P cities in South Korea.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t-test, ANOVA, Scheffe' 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burden of assess & mean of care and the future of the patient was the highest score for family caregivers. Factors that affect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 with burn patients were marital status, time, care, skin transplants, body surface area (%) and these factors explained 25.9%. This study concludes that intervention program is developed to reduce physical and emotional burden and nursing care services is required to adjust the amount time to care for the family caregivers with burn patients for a long time.

      • KCI등재

        치매노인 가족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은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4

        This study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research which was attempted to grasp effects of ADL, family strength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n seized factors which effected influences to burdens of family caregiver.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 by objecting 95 caregiver at 7 dementia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nalyses were made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3.0 program. As research results, the burden average of family caregiver was 82.19, family strength was 106.24, and ADL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re 2.53 in average. Burdens of family caregiver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L (r=-.370, p<.001), an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amily strength (r=-.257, p<.005). Relevant factors which affected influences to burdens of family caregiver included family strength, ADL and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18.9%. Regarding matters of having to consider as the arbitration method to reduce family members’ burde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promoting family strength was necessary in family members’ aspects, and it implies that preparing the method which can promote or maintain ADL in aspect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본 논문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건강성 정도를 파악하고 가족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서울, 경기지역 7개 치매센터에서 치매노인의 주 가족원 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원의 부담감 평균은 82.19점, 가족건강성은 106.24, 치매노인의 ADL은 2.53점이었다. 주 가족원의 부담감은 치매노인의 ADL(r=-.370,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가족건강성(r=-.257, p<.005)과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족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은 가족건강성과 치매노인의 ADL로 전체 설명력은 18.9% 이었다. 치매노인의 가족원부담감 감소를 위한 중재방법에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가족원 측면에서는 가족건강성의 증진이 필요하며, 치매노인 측면에서는 ADL을 증진 또는 유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장애자녀 가족의 양육부담감이 가족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남연희(Yeun Hee Nam),김영삼(Young Sam Kim),염숙희(Sook Hee Yeo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2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의 양육부담감이 가족적응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긍정적기여 인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장애자녀가 있는 가족의 주 양육자 244명이다. 연구결과,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의 양육부담감은 가족적응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의 긍정적기여 인식이 양육부담감과 가족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육부담감이 낮을수록, 긍정적기여 인식이 높을수록 가족적응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자녀가 있는 가족의 가족적응성을 위한 양육부담감 경감과 긍정적기여 인식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가족의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 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유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에서의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인 가족의 역량강화를 위한 공공과 민간 영역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ositive contributions recognized by the impact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family adaptability of parenting burd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se can be through support for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llected a survey of 244 main of family care-givers. As a results,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parenting burde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are-givers positive contributions recognized disability children burden and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ap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the burden of raising a family, the higher the positive contributions recognized family adaptability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reas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presented measures to alleviate the burden of raising awareness and positive contribution for family-based children's adaptability. First, it has to be expanded variety of institutional support to alleviate the social burden of the disabled family members. Second, the promotion will be done so in various aspects of empathy with the difficulties facing person with disabilities. Third, it has to be expanded offering various program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for the empowerment of disabled family members. Empowerment of disabled family members because the family will ultimately strengthen the adaptability disabilities.

      • KCI등재

        뇌신경계 재활 환자 가족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양영미,조미옥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하여 뇌신경계 재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가족부담감 정도와 일반적 특성, 질병특성 에 따른 부담감의 차이를 파악하고, 융합적인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재활병원에서 재활 치료중 인 환자의 주 돌봄제공자인 가족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SPSS statistic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환자가족의 부담감 수준은 평균 3.16로 나타났고, 가족의 부담감은 돌봄자의 연령, 교육수준, 돌봄자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부담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한 결과 돌봄자의 연령, 학력, 종교, 환자와의 관계가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재활치료중 인 가족부담감을 낮추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일반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burden of family burd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undergoing cranial nerve rehabilitation in hospitalized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gration.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13 family members who were the primary care providers of rehabilitation in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2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burden of the patient family was 3.16, the burden of the famil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ge of the caregiver, the educational level,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aregiver. There was no difference. Fi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family burden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carer 's age, education, religion, and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lowers the burden of family rehabilitation

      • KCI등재

        희귀·난치성질환자 가족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최인희,신현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amily burden, family resilience, and the activities of a patient support group on family adaptation in the patients with rare diseases and their famil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45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patient support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mily burden,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were affected by monthly income, the disease acceptance level, perceived health status by caregivers, duration of illness, existence of treatment modality,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and the disability level of patients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the patient support group affected perceived health status of caregivers and the disease acceptance level. Second, treatment modality, prognosis, and level of standard care had an impact on family burden, family resilience, family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patient support group. Third, family resilience played mediating effects between family burden and family adaptation in patients with rare diseases and their families. Fourthly,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patient support groups was found on family burden,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in patients with rare diseases and their familie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as discussed along with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희귀·난치성질환 환자와 가족의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자조모임 활동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조모임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환자 37명과 가족구성원 208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월수입, 질환 수용 정도, 양육/부양자가 지각하는 자신의 건강상태, 돌봄 기간, 치료제 유무, 의료비 부담, 환자의 장애 정도가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자조모임 참여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양육/부양자가 지각하는 자신의 건강상태, 질환 수용 정도로 확인되었다. 둘째, 질환의 치료, 예후, 관리의 정도가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가족적응, 자조모임 참여와 만족도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희귀·난치성질환 가족부담감과 가족적응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희귀·난치성질환 환자와 가족의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그리고 가족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조모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머니의 가족적응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병금(Byung-Kum Park),노필순(Pill-Soon Noh)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머니들의 가족적응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이들 시어머니들과 가족들이 함께 적응하고 살아가는 우리사회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5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 시어머니들의 가족적응경험에서 나타난 부담감의 경험은 7개의 범주와 31개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경험의 7가지 범주는, ‘아들결혼에 대한 부담감’, ‘마뜩잖은 며느리에 대한 부담감’, ‘서운한 며느리로 인한 부담감’, ‘걱정스러운 아들내외와 사는 부담감’, ‘외국인 며느리 맞이로 인한 부담감’, ‘딸에게 기대는 사돈에 대한 부담감’, ‘미래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아들의 국제결혼을 통해 낯선 사회문화환경을 배경으로 한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하게 된 시어머니들이 가족 내외부의 다양한 도전들에 대처하고 적응해 나가는 가족적응 과정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복지 실천에 기여하고 다문화가족의 지원과 우리사회의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explore the sense of pressure shown from the family adjustment experience according to mothers-in-law`s perception and to enrich our understanding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research, 5 mothers-in-law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In addi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a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meaning of family adjustment experience in mothers-in-law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identified as 31 themes and 7 categories. The 7 categories consisted of The sense of pressure of son’s marriage, The sense of pressure of an unsatisfactory daughter-in-law, “The sense of pressure of unfair treatment by a daughterin- law”, “The sense of pressure of living with concerned son and his wife”, “The sense of pressure of having a foreign daughter-in-law”, “The sense of pressure of dependnet daughter-in-law’s parents”, “The sense of pressure of the future”.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meaning of family adjustment experience in mothers-in-law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And lastly, this results made suggestions for the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for them and their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