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계설정 전략을 활용한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이혜숙 ( Hea Suk Lee ),심보배 ( Bo Bae Sh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2 아동복지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비계설정 전략을 활용한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통합어린이집의 하루 일과 중 자유선택 활동시간에 상호 작용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지체유아 3명을 선정하여 비계설정 전략을 활용한 미술놀이활동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비계설정 전략을 활용한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유아 A, B, C의 또래와의 상호작용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계설정 전략을 발달지체유아에게 적용한 점과 통합환경에서 발달지체유아의 미술놀이활동 중재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비계설정 전략을 활용한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도출해 내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rt-play activities through scaffolding that combine art and play influence the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during their daily sessions at an integrated nurse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7-year-ol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t an integrated nursery.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art-play activity,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which was a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implemented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follow-up ph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er interaction of participants was increased by art-play activity intervention through scaffolding. Second, the environmental interaction of participants was increased by art-play activity intervention through scaffolding.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art-play intervention through scaffolding in increasing the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t an integrated nursery.

      • KCI등재후보

        신체접촉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혜숙 ( Hea Suk Lee ),심보배 ( Bo Bae Sh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1 아동복지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신체접촉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가 통합 어린이집에서의 하루일과 중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통합 어린이집의 일과 중 음률시간, 이야기나누기 시간에 문제행동을 보이는 발달지체유아 1명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기능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유아에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물건을 던지는 행동, 친구를 미는 행동, 자리이탈 행동의 문제행동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체접촉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의 행동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접촉을 통한 긍정적 행동 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 종료 2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통합환경에서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 신체접촉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적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that positive behavior support through physical touch has on the behavioral problems of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during their daily activities in an integrated nursery. A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was conducted on one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was showing behavioral problems in his music class and talked during their daily activities. Based on this research,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through physical touch was conducted in an effort to resolve the target child`s behavior such as throwing things, pushing peers, and leaving the place where he was supposed to be.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which was a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put into effect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follow-up phases. As a result of this,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through physical tou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ducing behavioral problems and indeed the intervention effects lasted for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over. This study was an important attempt in terms of showing the application potential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hrough physical touch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for reducing the behavioral problems of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n an integrated nursery.

      • KCI등재

        일반병동 전실예정의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 요인

        이혜숙(Hea-Suk Lee),유미애(Mi-Ae You),이수경(Soo-Kyoung Lee),손연정(Youn-Jung So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횡단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일정기간 집중치료를 받고 신체상태가 안정적으로 회복되어 일반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의 가족 중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101명이 연구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8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SPSS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객관적 부담감은 전실 시 환자의 의식수준, 환자 몸에 부착된 기계장치의 수, 기관절개관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환자 가족의 주관적 부담감의 경우 환자의 성별, 환자의 교육수준, 환자와의 관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은 객관적?주관적 부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인 회귀분석에서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으로 객관적 부담감의 경우 전실불안이, 주관적 부담감은 환자 성별과 전실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인으로 제시되었고, 각각의 설명력은 12.7%와 23.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이 환자 가족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퇴실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각 대상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맞춤형 전실교육을 통해 환자가족의 부담감을 적극적으로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of family members’ burden and to describe factors influencing on famiCX*//8ly caregiver’s burden when they are planned to transfer to general ward from the intensive care units (ICU).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ing of 101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at S university hospital in C city, Korea from August to November, 2010.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program. The level of object burden in family memb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level of consciousness, number of patients monitoring devices, and tracheostomy tube. The level of subject burde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atients gender, patients education level, and relationship with patients. Transfer anxiety was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We found transfer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family care giver’s objective burden with explanatory power 12.7%. Family members’ subjective burden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by patients’ gender and transfer anxiety. These factors explained 23.8% out of total variance of family members’ objective burden. The structured individualized method of transfer is recommended with further research of ICU families to further examine the dimension of transfer anxiety and how it affects family members’ burden and patient outcomes.

      • KCI등재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공격성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이혜숙 ( Hea Suk Lee ),김선미 ( Seon Mi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미술과 놀이를 접목한 미술놀이활동을 통하여 통합어린이집에서의 하루 일과 중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으로 보이는 공격성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만 5세의 발달지체 유아 3명이며 연구방법은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공격성과 주의집중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통합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 미술놀이활등의 적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arts play activities which combine art and play influence on aggression and selective atten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during their daily work at an integrated nursery. The objects of study were for total three under seven-year-old with developmental delay at an integrated nursery.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which was a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The experimental design put into effect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follow-up phases. In light of these studies, Art play activities have influenced a positive effect on reduction of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on selective atten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is study was an important attempt in terms of showing application promise in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through art play activities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of reducing problem behavior of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at an integrated nursery.

      • KCI등재

        점토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에 미치는 효과

        이혜숙(Lee, Hea-Suk)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3 조형디자인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점토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 우울성향,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사회복지 아동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우울성향이 있는 4-6학년 초등학생 14명이었으며, 아동 7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7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은 주 2회 40분씩 총 8주간 16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상황에서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Coopersmith(1968)가 개발한 Self Esteem Inventory(SEI)를 최보가·전귀연(1993)이 수정·보완하고 변미숙(2006)이 사용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우울성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Kovacs(1983)가 구성한 아동용 우울척도(CDI)를 심후섭(1989)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학교적응을 측정하기 위해서 우소연(2008)이 제작한 학교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집단간 동질성 검사를 위하여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점토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점토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우울성향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점토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학교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설아동에게 점토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미술매체를 통해 비언어적 방법으로 구체적 형상물을 만듦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인정받음으로 자신감이 생기고 우울심리가 해소되어 학교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설 아동에게 우울 심리 감소와 원활한 자기표현과 대인과의 친밀감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f using clay on the self-esteem, depression, and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The subjects were 14 depressive tendencies children(8 boys and 6 girls) of 4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ildcare facilities. The seven children were arrang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even children were arranged as the control group.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during 16 sessions 40 minutes a session twice a week from November 5, 2012 to December 28, 2012. The Self Esteem Inventory(SEI) test, developed by Coopersmith, translated in Korean by Chol·Jeon(1993) and used by Byeon(2006) was used to measure the self esteem of those participants. Depression was measured by the self rating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Kovacs and translated in Korean by Shim(1989) was used to measure the depression of those participants. School Adjustment test, used by Yu(2008), was used to measure the school adjustment of those participants. In the analysis of the data materials, the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for the homogeneity test between the groups. And pre- and post- test were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using cla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using cla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the depression of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Thir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using cla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using cla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elf-esteem, school adaptation and on reducing depression of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 KCI등재후보

        종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이혜숙(Lee Hea suk)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4 조형디자인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with using paper on employment stress, purpose and quality of life in a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Junior and Senior students who requested employment consultation in Jeonbuk.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15) or a control group (n=15). For the experimental group, 90 minutes of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20 times total. On the contrary, no treatment was done for the control group.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hese programs, Employment Stress Scale(ESS),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BREF) were used. By using a t-test,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tested. 2×2 repeated measures mixed ANOVA was used to comp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re, post and follow up state. The resul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paper reduced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tress and improved their quality of life. Thus it will be possible to apply this program usefully as a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in relieving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tress. 본 연구는 종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자는 전라북도 소재 대학교 학생 상담실에 취업 상담을 의뢰한 3, 4학년 65명 중 30명을 무작위 선정하여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실헙집단은 주 2회 90분씩 총 20회기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무처치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취업 스트레스 척도(Employment Stress Scale : ESS), 한국형 세계 보건기구 삶의 질 단축형 척도(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추후 검사 간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 측정 시기 간의 차이, 집단과 측정 시기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종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향후 대학생 취업 스트레스 해소를 위하여 유용한 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기능평가를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혜숙 ( Hea Suk Lee ),심보배 ( Bo Bae Sh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기능평가를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방과후 반에 등원하는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에게 체계적인 기능평가를 통한 치료적 근거를 바탕으로 대상아동의 소리지르는 행동, 타인을 괴롭히는 행동, 자리이탈하는 행동의 부적응 행동을 해결하기 위해 미술치료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의 행동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로 실시되었다. 그리고 회기별 대상 아동의 치료적 근거에 따른 행동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기능평가를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 시키는데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평가를 기반으로 하여 치료적 근거를 제시한 미술치료 방법을 지적장애아동에게 구체적으로 구성하여 적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 art therap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affects the Maladaptive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was an important attempt in terms of showing application promise in the functional assessment through arts therapy program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of reducing Maladaptive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which was a multipl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analyzed children`s art activities by using such session. As a result of this, it was turned out that the therap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ducing Maladaptive behavior. Therefore, this stubby was an important attempt in terms of showing application promise in the positive affects through a art therapy method of therapy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as reducing Maladaptive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장애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

        이혜숙 ( Hea Suk Lee ),박경희 ( Kyung Hee Park ),송미정 ( Mi Jung S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2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장애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와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장애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가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라북도 ○대학교 장애 대학생 12명이며, 이들에게 주2회, 60분씩, 총 20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사전-사후-추후 검사간의 차이를 보기 위해 반복 측정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측정시간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장애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감소 시켰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 대학생 취업 스트레스 해소 및 그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를 위해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데 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장애 대학생 취업 스트레스를 위하여 유용한 심리 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employment stress, coping strategies, social support of life in a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2 W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ese research subjects, 60 minutes of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20 times total.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comp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esearch subjects`` pre, post and follow up state. To figure out the factors which effect on employment str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a result,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tress and improved their social support. About employment stress, the stronger their social support is, the lower their employment stress is. Thu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o use art therapy for alleviating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stress. It will be possible to apply this program usefully as a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in relieving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tress.

      • KCI등재

        오브제를 활용한 조형 활동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혜숙(Lee Hea Suk),박경희(Park Kyung Hee),송미정(Song Mi j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오브제를 활용한 조형 활동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10명이며 이중 5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5명은 통제집단에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통제집단은 무 처치하였고, 실험집단 5명에게는 주 2회, 50분씩, 총 20회기 조형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의 집단 간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맨 휘트니 검증(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보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 - Rank 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오브제를 활용한 조형 활동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위해 오브제를 활용한 조형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에 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중재프로그램으로 오브제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that formative artistic activities using objets would have on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attended G Elementary School, out of whom 5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remaining 5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randomly.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and the 5 children of the experiment group were involved in formative artistic activity program twice each week in 20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50 minutes. For the processing of data, homogeneity was ensured by carrying out Mann-Whitney U Test to examin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nection with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of subjects. To consider the difference in pre and post-scores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formative artistic activities using objets of experiment group which applied the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very much in that it applied formative artistic activity program using objets for changes in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uggesting that objets can be used in many different ways based on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기능평가 중심의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혜숙 ( Hea Suk Lee ),심보배 ( Bo Bae Sh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기능평가 중심의 미술놀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발달지체 유아의 통합어린이집 생활의 하루일과 중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의 일과 중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발달지체유아 1명을 선정하여 체계적인 기능평가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유아에게 나타나는 자리이탈 행동, 징징거리면서 우는 행동, 식판을 두드리는 행동의 문제행동을 해결하기 위해 미술놀이활동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의 행동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능평가 중심의 미술놀이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 기능평가 중심의 미술놀이활동 중재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 art-play activit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affects the problem behaviors such as out-of-seat behavior, crying behavior, beating behavior of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This study was an important attempt in terms of showing application promise in the functional assessment through arts play activities program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of reducing problem behaviors of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which was a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put into effect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As a result of this, it was turned out that the art-play activit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ducing problem behavior and intervention effect lasted until two weeks after intervention was over. This study was an important attempt in terms of showing application promise in the positive affects through a art-play activity intervention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of reducing problem behavior of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at an integrated nurs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