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강점기반 가족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과 효과 연구

        이경욱 한국가족치료학회 2016 가족과 가족치료 Vol.24 No.3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an on-line strength-based family education program. Methods: This mixed-methods study, conducted in 2015, involved eleven cyber- university students. In the quantitative portion, pre-and post-tests were used to measure family resiliency and self-control of the program participants. In the qualitative portion, data from the reports were used to analyze the participants’ experience. Results: Quantitative results demonstrated that family resiliency and self-control of the participant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decreased and that caring, the expression of love, and trying out family activities all increased.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family strengths changed from qualities of family members to qualities of family relationships. The shift to a strength-based perspective helped with problem solving and with the finding of unique solution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an on-line strengths-based family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온라인 강점기반 가족교육 과정과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가족교육 프로그램은 2015년 5월 한 달간 온라인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사이버대학생 11명이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혼합방법으로 프로그램효과를 분석하였는데, 단일집단 사전사후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가족탄력성과 자아효능감을 분석했고, 프로그램 참여과정에 대한 과제보고서를 질적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 가족탄력성과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에서 참여자들은 문제행동의 감소, 관심과 애정표현의 증가, 가족활동시도하기를 경험하였다. 또한 가족강점은 초기에는 개인 특성이 많고, 종결단계에서는 가족 관계 관련 강점이 많이 확인되었고, 강점의 직접적 활용보다 강점관점으로의 전환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었고, 문제해결방법은 가족마다 독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온라인 강점기반 가족 교육의 예방과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간 가족정신건강 차이와 가족정신건강 관련변인

        이명숙 ( Myoung Suk Lee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2 아동복지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최근 정신건강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부모-자녀간 가족정신건강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 이러한 가족정신건강 관련변인은 무엇인지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절차는 2010년 12월 총 600쌍의 중·고·대학생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18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408쌍 1224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와 자녀간의 행복도, 일반정신건강, 미덕(성격강점) 및 가족정신건강에 있어서 자녀들이 부모에 비해 덜 행복하고 우울, 불안, 부적응의 일반정신건강 수준이 높았고 미덕 강점 점수가 낮았고, 가족정신건강 수준도 낮았다. 부집단에서의 가족정신건강에는 행복도, 불안, 우울, 절제력과 영성/초월성이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아버지들은 행복할수록 불안과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절제력과 영성/초월성과 같은 미덕 강점이 클수록 가족정신건강이 좋았다. 모집단에서의 가족정신건강에는 불안, 부적응, 절제력과 영성/초월성이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고, 어머니들은 불안과 부적응의 수준이 낮을수록, 절제력과 영성/초월성의 미덕 강점이 클수록 가족정신건강이 좋았다. 반면에 자녀집단의 가족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행복도, 일반정신건강, 미덕 강점 중 사랑과 인간애였다. 행복할수록 행복한 시간이 길고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부적응도가 낮을수록, 사랑과 인간애의 미덕 강점이 클수록 가족정신건강이 좋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최근 정신건강 문제가 악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특히 자살과 학교폭력이 문제가 되고 있는 청년기와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가족정신건강의 중요성을 논의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family mental health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Th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raised:(1)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the variables of Happiness, Mental Health, Virtue (character strength), and Family Mental Health)?(2) Which factors are affected in family mental health?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linkage of Family mental health, Happiness, Mental health, Virtue (character strengths). The parents were happier and healthier in terms of mental health and family mental health than their children.

      • KCI등재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미경(Mi Kyung Kang),노혜련(He Len Noh) 한국아동복지학회 2012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0

        본 연구는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가족중심실천의 일차적 대상이 되는 가족강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족중심실천의 성과를 확인하고, 실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 석은 삼성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인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지원 사업에 참여한 아동과 주 양육자가 작성한 서비스 평가 자료를 기초로 다 중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분석을 하였고, 연구모형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이 경험한 가족중심실천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높아 가족중심실천이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중심실천에 참여한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가족강점 수준의 사업 참여 전후를 비교해 보면 둘 다 참여 후에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셋째, 가족강점은 가족중심실천과 아동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중심실천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가족강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아동복지 영역에서 강점관점에 기반을 둔 가족중심실천의 필요성과 좀 더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family centered practi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using data provided by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Children`s Hope Network and their primary caretake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ies rated highly on their level of experience regarding family-centered practice, which show that social workers were faithful in performing family-centered practice. Second, the levels of both children`s self-efficacy and family strength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project participation when compared to the levels measured before participation. Third, family-centered practice affected children`s self-efficacy only indirectly through family strengths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family strength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family-centered practice and measures to improve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후보

        가족강점이 간질아동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송자경 한국가족치료학회 2009 가족과 가족치료 Vol.17 No.1

        본 연구는 아동의 간질로 인하여 가족 내 스트레스가 높으리라 예측되는 가족의 적응에 가족강점요인들이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가족탄력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연구되었다. 연구의 분석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스트레스, 가족통정감, 가족강인성이 포함된 회귀모델은 74.0%의 설명력을 보임으로서 간질아동가족의 적응을 잘 설명하였다. 둘째,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강점의 가족의 적응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의 강점변인들은 가족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직접영향을 나타내는 주 효과를 보였다. 셋째, 가족통정감은 가족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에서 미약하지만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가족강인성의 가족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 변인은 조절변인으로 기능하지 않았지만 전체 변량의 유의미한 증가를 통한 긍정적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토대로 간질아동가족의 적응 향상을 위한 임상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가족강점의 강화를 위한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 Epilepsy, a chronic illness, may cause high levels of psychosocial difficulties for all family members, including stigmatization, stress, marital problems, and restriction of social activities.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survey data from 141 parents seeking medical treatment for their epileptic childr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 on the adaptiveness of the famili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74% of family adaptation could be explained by family stress,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In addition,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each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adaptation. The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strength-based interventions, focused on increasing family coherence and hardiness,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adaptation of families with epileptic children.

      • KCI등재후보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을 통해 본 주요인물의 성격강점과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

        서현실,정민자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dividual strength and family resilience of three main characters,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family as an axis of resolving problems when they encounter crises and adversities in their growth process, utilizing a fairy tale, The Hen Who Dreamed She Could Fly(Leafie, A Hen into the Wild).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the data analyzed utilizing the fairytale should be provided as baseline data for application to various program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Hwang, Sun-mi’s The Hen Who Dreamed She Could Fly. As the analysis tools of the study, Peterson & Seligman’s scheme for VIA classification of character strength and Walsh’s family resilience elements, including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system pattern, and communication process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three main characters’ common virtues, the Key virtues of courage and humanity were found. As for personal strengths, the main character Leafie(Yipsak) had spirituality, gratitude, and hope. Wanderer (Nageune) had leadership, and Greenie (Chorok Hed) had patience. Second, the family maintained itself strong through the family belief, cooperation and support among the family members, open emotional expressions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when they confronted crises and adversities. Lastl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trength and family resilience for families,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studies of the strengths of the characters in the fairy tales, that have positive psychological values that are increasing today and family resil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을 활용하여 성장과정에서 위기와 역경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가족으로 구성된 주요 등장인물 3인의 개인 강점과 가족 레질리언스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동화를 활용하여 분석한 자료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것을 제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황선미의 <마당을 나온 암탉>이다. 연구 분석 도구로 Peterson & Seligman의 성격강점 VIA 분류체계와 Walsh의 가족 레질리언스 요소인 신념체계, 조직체계 패턴, 의사소통 과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인물 3인의 공통적 덕목으로 용기, 인간애의 핵심 덕목을 발견하였다. 개인 강점으로 주인공 잎싹은 영성과 감사와 희망의 강점을 가지고 있다. 나그네는 리더십 강점이 부각되었고, 초록머리는 인내의 강점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은 위기와 역경에 직면했을 때 가족의 신념, 가족 간의 협력과 지지, 개방적 정서 표현과 상호 협력적 문제 해결로 가족의 역량이 발휘되었다. 끝으로 긍정심리 가치를 가진 동화 속 인물들의 강점과 가족 레질리언스 연구를 통해 가족과 부모 및 자녀를 대상으로 강점 및 가족 레질리언스 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유아가족의 기능에 관한 연구

        최민숙 ( Min Suk Choi ),이상희 ( Sang Hee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장애유아의 가족은 여러 가지 현실적 심리적 문제로 말미암아 가족지원을 필요로 한다. 효율적인 가족지원의 실행방법중 하나가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가족의 기능을 알아보고 이러한 기능이 인구사회학적인 변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장애유아의 가족으로 총 80명이었다. 연구결과 장애유아의 가족기능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가족을 위한 헌신(6.51)이었고,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대처1(4.38)이었다. 가족기능과 인구사회학적인 변인과의 관계에서는 아버지의 교육수준, 가족의 수입, 자녀의 성별만이 가족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장애유아의 가족은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다양한 대처전략을 사용하기보다 가족의 희생을 통해 문제해결을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높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가족의 기능은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가족의 수입이 적을수록 낮기 때문에 특히 저소득층은 중산층에 비해 가족의 기능에 더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가족의 대처능력을 강화하고 저소득층에 대한 좀더 포괄적인 가족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The ability to take family strengths into consideration as part of intervention practices was important in work with families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of the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implementing a strength-based family support. The total of 80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of variance t-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engths of family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the order of commitment, appreciation, and flexibility. Second, the family function was related with father`s job, family income, and child`s gender.

      • KCI등재

        초기성인기 성격강점, 직업적응의 관계 고찰: 가족건강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정,김정은 한국가족관계학회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기성인기 직장인들의 성격강점과 직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가족 건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수도권(서울, 경기)에서 직장생활하고 있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총 31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 자료가 매개분석을 위한 전제조건을 충족시키는지 확인한 후, 마지막으로,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은 Sobel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기성인기 직장인들의 성격강점, 가족건강성, 직업적응은 ‘보통’ 정도의 수준이거나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적응, 성격강점, 그리고 가족건강성은 서로 유의하고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초기성인기 직장인의 가족건강성이 성격강점과 직업적응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성격강점과 직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장 내 심리적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과 동시에 가족건강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도입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장애인 가족의 적응모형 연구

        오수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1 No.-

        장애의 발생은 장애에 대한 심리적 부담, 부양으로 인한 시간적·경제적 부담 등 가족 전체에 심각한 적응상의 문제들을 가져오기에, 장애로 인한 가족 부적응의 해소는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가족이 장애 발생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을 극복 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모형화함으로써, 장애인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개입을 돕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가족강점, 사회적지지 자원, 경제적 자원을 포함하는 가족자원과 장애에 대한 가족의 인지 및 사회적 인지 등 3가지 차원의 적응 요소로 구성된 장애인 가족 적응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첫째 모든 장애인가족들이 장애로 인해 부정적인 스트레스 및 고통을 만성적으로 겪게 되고 사회에 통합되지 못한다는 고정화된 시각을 배제해야 한다. 둘째, 장애인가족에 대한 개입시, 각 장애인가족의 고유성을 이해하고 고려해야 한다. 셋째, 가족 강점, 사회적 지지 자원, 경제적 자원 중 부족한 가족자원을 강화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넷째, 가족들이 장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얻고 장애에 대해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장애인과 그 가족을 위한 인지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이 개발·활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애인가족의 어려움을 사회인식의 측면에서 바라봄으로써, 사회구성원들의 장애인 인식 수준에 대한 평가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The presence of a family member with a disability imposes certain psychological and financial responsibilities on the family, which often result in family problems, and, in some cases its breakdown. In this context, the solution of family inadaptability caused by the disability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This study is focused on helping to understand and to intervene with families that have a disabled person by analyzing and modeling the factors that enable the families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and, to adapt to a society successfully. As a result, this study has made a model for adaptation of families with a disabled person, which consists of three factors: the first: family resources including family strengths, social support and financial resources. The second: positive understanding of family members on disability. And the last factor: social accepta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y, it is essential to change the fixed point of view that every family with a disabled person suffers from negative stress and pains caused by the disabled family member; and, the family cannot be integrated into society. Second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families with a disabled person have to be respected when considering intervention. Also, regarding intervention: There should be efforts to increase the family resources - which the families have missed: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financial resources - all indispensable for coping with the difficulties they are fac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 or training programs that help the families have a positive understanding on disabilities. Lasty, the evaluation of public recogni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one; and, efforts for improving the comprehension and accepta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ociety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

        강점관점 해결중심 모델을 이용한 통합사례관리

        류승용 한국사례관리학회 2011 사례관리연구 Vol.2 No.1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사례관리사업은 필수사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대상자들의 욕구는 다양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이론들을 통해 대상자들의 욕구를 해소하려고 하고 있다. 이에 많은 사회복지시설에서는 임상실천의 한 영역으로 강점관점해결중심모델을 중심으로한 실천이 늘어나고 있으며, 사례관리사업 중 다양한 욕구를 가진 대상자들에게 적합한 사례관리의 한 방법으로 통합사례관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실천은 그 효과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학술적으로는 아직 초보 단계로 본 사례발표는 본 복지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저소득아동의 빈곤의 대물림을 방지하기 위한 엑셀스타트사업의 대상자에게 강점관점해결중심모델을 중심으로 한 통합사례관리사업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본 사례에서 나타난 것처럼 저소득 아동에 대한 개입이 아동뿐 아닌 가족에 대한 개입과 대상자 가족의 강점을 최대화 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가족전체의 문제를 해결하여 대상자에게만 초점을 맞추는 형태에서 벗어나, 가족중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으며, 대상자에게만의 자원연계가 아닌 가족전체에 대한 자원연계를 통해 가족에 직면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원천적인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사례발표를 통해 강점관점문제해결중심 모델을 활용한 가족중심의 통합사례관리사업이 더 많은 실천현장에서 사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장애유아의 가족을 위한 가족지원 실행 모델

        최민숙 ( Choi Min-suk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4 No.2

        장애유아의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모델로 가족강화모델은(family empowerment model) 다른 모델에 비해 그 효용성들이 입증되었다. 가족지원모델은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고 가족단위나 가족의 각 구성원의 발달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자원과 지원을 계획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원에 기초한 실행(resource-based practices), 요구에 기초한 실행(needs based practices) 그리고 강점에 기초한 실행(strengths-based practices)을 바탕으로 가족지원을 위한 실행 모델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였다. The family empowerment models a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efficient models to support families who hav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pecifically, Dunst and Tribette (1994)'s family support model, a family empowerment model, aims at reinforcing family function and accelerating the growth of families by providing required resources and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develop a theory on practice models by delving into resource-based practices, needs-based practices, and strengths-based practices.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y support programs be based on family empowerment model to facilitate families to solve their problems and maintain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s. The collaborative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to build a network among service agencies and provide comprehensive services to familie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suggested that local school distric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an play a major role in building the collaborativ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