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팬데믹 상황의 사례관리 재고를 위한 시론

        이해령,강혜경 한국사례관리학회 2020 사례관리연구 Vol.11 No.2

        This paper examines a series of client death cases and academic discussions after pandemic through the framework of “transition to digitized non-face-to-face case management” in the field of social work practice. Case management, a mainstream practice of social work, aims to effectively support the recovery of social functions of clients and their families by creating synergy between services by integrating and encompassing practices from the micro to macro level. Case managers who stand at the center of various actors within the operating system consisting of a dedicated/resource/support system play a key role for smooth provision and feedback of services. In the meantime, their practice has been hierarchized in the name of “best practice”. Case management, which should be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timeliness, centered on face-to-face communication techniques, has been converted to digitized non-face-to-face case management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period after the pandemic, and the organic operation of the case management operating systems has decreased in quantity and quality. In this process, a group of solutions was to allow individuals to differentiate and divide problems and conflicts by replenishing new case managers. This is not a new or an ad-hoc measure to respond to the pandemic situation, but rather a “systematic” method in the event of every crisis. What is needed i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crisis has become a daily life is to reconsider the direction of case management, taking it as a turning point not a pause. The first step should begin with listening to the experiences of case mangers for analysis of practice at the micro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이후 사례관리 현장에서 벌어진 일련의 클라이언트 사망 사건과 대안으로 제시된 실천적 논의들을 ‘디지털화된 비대면 사례관리로의 전환’이라는 틀을 통해 분석하는 데 있다. 사례관리자는 전담·자원·지원 체계로 구성된 사례관리 운영체계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중심에 서있다. 사례관리자들이 각 체계를 넘나들며 소임을 다하는 동안, 사례관리 실천은 ‘우수 실천’과 아닌 것으로 위계화되기도 하였다. 대면 실천 기술을 중심으로 하면서 시의성까지 고려해야만 하는 사례관리는 팬데믹 이후 ‘디지털화된 비대면 사례관리’로 전환되었고, 운영체계의 유기적 작동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 과정에서 동원된 해법은 사례관리자의 희생에 의존한 문제 해결이었으며, 이는 팬데믹 상황에서 일어난 새로운 조치라기보다는 위기 발생 시 ‘체계적’으로 수행된 방식에 다름 아니다. 위기가 일상이 된 현 상황에 필요한 것은 팬데믹을 전환기로 삼아 사례관리의 향방 자체를 재고하는 것이다. 이제 사례관리는 노동의 관점과 젠더 관점에서 재조명되어야 하며, 그 첫 발걸음은 사례관리자들을 주체로 인정하고 이들의 경험을 경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현장에 기반한 가족중심사례관리 실천 모색 : 현장사례분석 중심으로

        김성천,박지영 한국사례관리학회 2012 사례관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가족중심의 사례관리’가 이론적으로 어떤 것인가에 대한 정체 규명을 고민하고, 우리나라에서 실천되고 있는 ‘가족중심의 사례관리’의 진단을 통해 그 함의와 발전방안을 탐 색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외국의 주요 가족관계 사례관리 모델과 우리나 라에서 적용되는 여섯 개의 사회복지기관 사례를 질적 분석하여 도출된 가족중심사례관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중심 사례관리의 초점단위는 가족구성원 개인뿐 아니라 집단적 성격을 지닌 한 단위로서 ‘전체로서의 가족’이 주 대상이 되며, 둘째, 가족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강점 관점으로 접근한다. 셋째, 가족의 기능과 체계, 가족환경에 대한 사정과 개입의 준거틀은 생태체계적 접근에 기반한다. 넷째, 가족중심사례관리자는 가족의 체계와 기 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족치료 및 상담, 가족옹호와 임파워먼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가족역동성에 대한 지식 및 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 다섯째, 젠더관점에서 양성 평등적이고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는 문화민감성에 기반 한 사례관리 실천이 지향되도록 한다.

      • KCI등재

        아동․청소년 복지분야 사례관리의 현황과 발전 방안

        김상곤 한국사례관리학회 2010 사례관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복지분야 사례관리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아동청소년 복지분야 사례관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복지사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사례관리 실천을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대표적인 사례관리 실천의 운영체계와 실천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아동․청소년 복지분야 사례관리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아동청소년 복지사업에서 사례관리 실천의 전문화를 위한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 실천을 위한 여건의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사례관리 운영모델의 통일성과 특수성을 반영한 아동․청소년 사례관리 모델의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 실천에서 가족을 단위로 하는 사례관리 실천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넷째, 사례관리를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다섯째, 사례관리자들의 업무량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여섯째, 사례관리자들에 대한 전문화 교육 및 지속적인 자문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일곱째, 사례관리 실천을 지원할 수 있는 전산 솔루션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여덟째, 사례관리자들에 대한 신분 보장과 법제화가 필요하다. 아홉 번째, 사례관리 성과평가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례관리자들의 안전 확보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역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원희(Won-Hee Choi),정은주(Eun-Jue Jung)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2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3

        본 연구의 목적은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가 인식한 사례관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비교분석하여 이들 차이를 극복할 조직전략을 마련하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전국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를 대상으로 e-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IPA(중요도-실행도 비교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역량 중요도는 5점 기준으로 평균 4.17점, 실행도는 3.50점으로 중요도 인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행도가 낮았지만 실행도 자체도 보통이상의 수준이었다. 둘째, 사례관리역량의 IPA(중요도-실행도 간 차이분석)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역량은 지역사회 자원연계개발과 관리, 대상자의 자원정보 분석, 사례관리 단기목표 및 장기목표 수립, 사례관리 실행계획 전략, 자원활용계획, 대상자의 문제해결 역량강화, 지역사회연계 및 개발 등이었는데, 이들 역량들에 대한 향후 중점관리전략이 요청되었다. 셋째, 사례관리역량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사례관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전문적이며 효과적인 사례관리역량을 강화하고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조직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duct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ase management competency as perceived by integrated case managers of Dream Start, and to develop an organizational strategy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 two and increas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e goal, email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argeting 229 Dream Start’s integrated case managers. For means of analysis, IP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degree of importance regarding case management of integrated case managers in Dream Start averaged 4.17 of 5, and its performance averaged 3.50 of 5. Second, as a result of IPA for case management competency, competencies high in importance but lower in performance, were community network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us, strengthening management strategies related to network development is recommended. Thir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se management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importance as well as performance of job competency posed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With such results, promotion of professional and effective case management competency as well as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re required in the future.

      • KCI등재

        복지관 평가에서의 사례관리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종합․노인․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김상곤,김승용 한국사례관리학회 2012 사례관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의 평가체계에서 사례관리 평가지표 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및 지표구성방안을 탐색함으로써 사례관리의 정착과 전문화를 도모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6명의 사회복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하였다. FGI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현재평가 시스템에서는 사례관리 에 집중할 수 없는 현실, 사례관리 실천의 혼란, 독립 모형과 서비스 병행 모형의 혼란, 사례 관리 개념의 혼란, 사례관리 클라이언트의 범주에 대한 논란, 빈약한 평가지표, 실적 위주의 평가 등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례관리 기능을 제도화하 고 복지관 유형별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례관리 개념에 대한 합의와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고, 평가지표와 배점의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사례관리 평가체계에서 조직 내외적인 사례관리 운영체계의 구축 정도, 조직 내외적인 협력 수준, 적정 사례량, 사례관리의 과정, 사 례관리의 성과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사례관리에 대한 권력 관점의 조망

        함철호 한국사례관리학회 2016 사례관리연구 Vol.7 No.1

        사례관리라는 조직행동은 사례관리체계를 통해 수행됨으로, 사례관리체계를 민-관협력 사례관리체계와 사례관 리자-클라이언트 체계로 대별하여 권력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먼저, 사례관리를 네트워크 조직에 의한 협업으로 전제한다. 네트워크조직이란 시군구의 경우 희망복지지원단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대상별 복지분과가 결합한 조직이고, 읍면동의 경우 맞춤형복지팀장과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결합조직이다. 이러한 조직은 네트워크 구성능력, 욕구중심적 접근, 자원개발능력, 공적서비스 결정권, 대상자의 포괄성, 보건복지통합서비스 제공가능 성, 상담전문가, 지역적 포괄성이라는 8가지 사례관리기관으로서의 바람직한 조건을 모두 갖춘다고 보았다. 문 제는 이렇게 바람직한 민-관협력 사례관리를 위한 네트워크조직이 조직으로서의 존재이유, 즉 조직의 목표달성 에 비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그 이유로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자율성으로 인해 목표달성에 협력적 행동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율적 행위자들을 목표달성에 협력적인 참여자로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 로 권력이 필요한 이유이다. 즉, 권력을 민-관협력 사례관리체계라는 네트워크조직의 효과변수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민-관 협력 사례관리체계내 행위자를 민간과 공공으로 대별하여 검토한 결과 사례관리측면에서 민간 은 공공에 비해 도구적 열세에 있으며, 권력자원의 소유에 따라 권력-의존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공이 민간기관 의 생존수단인 재정자원과 법적 권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해서 독립적 위치에서 민간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공의 민간에 대한 통제력은 민-관협력 사례관리의 핵심기제인 통합사례회의라 는 위원회조직을 구성하는 권력이 된다. 제공자체계인 민관협력 사례관리운영체계에서는 권력이 긍정적 의미를 갖지만, 제공자와 클라이언트체계에서의 권력은 부정적 의미를 지닌다. 사례관리과정의 가장 중요한 가치인 클 라이언트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사례관리자가 클라이언트의 자율성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선호하는 것에 대해 클라이언트 관점에서 이해한 후 서비스 계획에 반영해야 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 통합사례관리실천 기반의 현실과 과제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도광조 한국사례관리학회 2011 사례관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이 사례관리의 기반을 얼마나 마련․구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례관리업무의 성격과 국내․외적으로 연구된 사례관리수행의 기반적 요소에 기초하여 보완 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고, 지역사회복지관이 통합사례관리센터로서의 기 능 수행의 충분성과 적절성을 담보하고 있는지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 의를 두고 있다. 대구․경북지역 사회복지관(노인종합복지관, 장애인종합복지관 포함) 사례관 리자 211명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의 방법으로 조사했고, 160부의 설문지를 분석대상에 포함했 다. 사례관리의 기반을 사례관리자 개인특성, 사례관리 업무특성, 사례관리기관 조직특성, 사 례관리서비스 시스템 특성으로 구분해서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복지관들의 사례관리 기반 구축 과제를 제시했다. 첫째, 사례관리자들의 전문적 자질 및 능력 강화, 둘째, 사례관리업무 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셋째, 사례관리에 대한 행정적․교육적 지원강화 및 네트워크수 준 확대, 넷째, 사례관리전담자 배치 및 팀제 운영, 통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등이다.

      • KCI등재후보

        지방정부 복지거버넌스와 통합사례관리 체계

        조추용,황미경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2 No.-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변화는 지역 중심의 통합서비스 실현을 위한 민관협력과 지역 중심의 복지거버넌스(welfare governance) 구도로 발전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복지전달체계 개편과 통합서비스 체계 구축으로나타나는 지방 정부 복지거버넌스를 고찰하고, 일본 지역포괄지원센터의 시사점을 파악하였으며, 한국적인사례관리 모델에 따라 통합사례관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추진중인 통합사례관리는 사회복지법령에 근거한 활 동으로, 사례관리 거점 지정에 따른 핵심적 과정은 ‘연계’ 기능이며, 이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과제는 추진 체계 및 대상과 서비스 수준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유형화 방안 등이다. 이에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통합사례관리는 지방정부 복지거버넌스를 특성화 하므로 지역 중심 통합사례관리 유형화와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rocess of revising local governments’ welfaregovernance and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suggest the implementation system anddirectivity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To attain the goal, the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political changes and Korean-style case management models and analyzed Japan’s welfaregovernance and cases of local inclusive support cent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n Korea’s local welfare governance, Integrated casemanagement should perform the function of social care centering around the local government, theservice provider, and it is the function that strengthens the function of ‘linkage’ through apublic-private partnership network. With regard to this, what Japan’s care management suggests to us is the teamwork among socialworkers, care managers, and nursing work force to provide support with preventive services for theaged with mild symptoms. Therefore, this paper will suggest the issues and directivity regardinghow to build a public-private cooperativ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rvice delivery system atthe level of local welfare governance as written below:Integrated case management conducted by a local government is the activity of law enforcement,and it is needed to categorize the methods of cas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subjects of welfare and strengthen its preventive function. Moreover,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en through Korean-style case management models, each individualmodel should strengthen the function to support the ‘linkage’.

      • KCI등재

        공공 사례관리자의 지식과 기술수준에 관한 연구 - 경력과 교육, 상급자 지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

        최지선 한국사례관리학회 2014 사례관리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사례관리자가 스스로 평가하는 지식과 기술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으로서 경력, 교육, 상급자 지지의 의미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소속 사례관리자 452명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사례관리 지식과 사례관리 기술수준은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복지업무 경력이나 사례관리 교육이수 시간의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례관리자가 인식하는 상급자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지식과 사례관리 기술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공 사례관리자 교육에 있어서 프로그램 기획개념의 도입, 희망복지지원단 팀장 역량강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아동학대 사례관리 모델 설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아동보호체계의 변화에 따른 공공과 민간의 역할분담을 중심으로

        최현임(Choi, Hyun-Im),김미숙(Kim, Meesook) 한국사례관리학회 2021 사례관리연구 Vol.12 No.1

        포용국가 아동정책의 일환으로 2020년부터 아동학대 조사 및 상담은 기초지방정부가 담당하고, 민간 아동보호전문기관은 대상아동에게 필요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관리를 수행하게 되었다. 처음 시행되는 체계의 변화로 유간기관 간의 역할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세심한 정책설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고에서는 공공이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어떻게 역할분담을 하여 아동학대 사례관리 효과적으로 수행해야 할지 사례관리 모델의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홀(Hall 외, 2002)이 제안한 12가지 사례관리 차원들(dimensions)을 분석틀로 설정하여 아동학대 현황 자료와 관련 선행 연구 자료를 적용하여 분석하는 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공공인 시군구는 체계감시자로서 권한을 가진 사례관리자로 전체 아동보호체계적 관점에서 조정과 연계 역할을 위해 장기간, 많은 사례관리를 하는 메타사례관리 모델이 도출되었다. 민간인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아동권리의 옹호자로 일정기간 잦은 접촉을 통해 피해 아동과 가족의 회복을 위한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에 집중하기 위해 사례량을 최소화하는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귀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 최우선의 원칙하에 아동보호 체계가 잘 구현되기 위해 유관기관 간 협력과 소통이 중요하므로, 각각의 역할을 명확히 인식하고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현장중심의 사례관리 모델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공공과 민간의 충분한 전문 사례관리 인력 확보 및 업무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순환보직의 문제 개선, 교육 및 슈퍼비전 강화 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s a part of the inclusive child policy,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investigating child abuse. As this is the first policy to be implemented, a carefully designed policy is needed to minimize confus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hild protection agencies and the local governments share their roles in responding to child abuse. The 12 dimensions of case management proposed by Hall(2002) were utilized as a frame for analysis, with which we analyzed the national child abuse reports and accumulated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we came up with a model that the public meta case management model works as a gatekeeper on a long term basis, handling many case-loads as a coordination and linker role for the overall system. Whereas, for the child protection agencies as private sector, appropriate the model that minimizes the amount of cases is suitable for frequent contac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professional counseling for the recovery of the family. In order for the child protection system to work closely together under the principle of child-first priority, and successfully enact the proposed models, several preconditions need to be satisfied, including hiring professional manpower in both sectors, minimizing the job rotation in the public sector, and strengthening supervision as well as on-the-job training in both s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