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 유산기의 자료적 특징과 의의

        김순영 ( Soon Young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14 국학연구론총 Vol.0 No.13

        이 논문은 이 호남 유산기의 분포 형황을 살펴 그 자료적 가치와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유산기가 가지고 있는 역사·지리·문학·인물 등의 다양한 정보를 고려할 때, 호남 유산기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현재까지 발굴된 호남 유산기는 약 60여 편이다. 호남 문집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조사가 이루어지면 아마도 그 수는 훨씬 많을 것이다. 호남 유산기를 시대별로 살펴보면, 호남에서 가장 이른 유산기는 1498년 진도의 금골산을 대상으로 쓴 이주의 <금골산록>이다. 이것이 호남의 최초 유산기이다. 16세기에는 3편의 작품이 있는데, 무등산을 대상으로 한 고경명의 <유서석록>이 호남 유산기 중에서는 가장 길며, 후대에 널리 전해지면서 무등산 유산기의 전범이 되었다. 17세기에는 임진왜란의 영향으로 전반기에는 유산기 작품들이 보이지 않고 있으나,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여러 지역에서 유산기 작품들이 나온다. 이 시기에 지어진 호남 유산기는 13편이며, 유산의 대상도 이전 시기에 비해훨씬 다양해졌다. 18세기의 호남 유산기는 5편으로 모두 18세기 후반에 창작되었다. 이 시기의 유산기 작품이 적은 이유는 당시의 호남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연관하여 더 치밀한 고증이 필요할 듯하다. 이 중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화순 현감인 부친을 따라와 화순에 머물면서 무등산을 유람하고 그 감회를 기록한 정약용의 <유서석산기>이다. 민간 신앙의 터전이었던 당시 무등산의 모습을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19, 20세기는 유산기 창작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로, 유산기의 양도대폭 증가한다. 그 만큼 유산의 대상 범위도 가장 넓게 나타나며, 송병선과 양회갑과 같은 유기문학가들도 출현하게 된다. 호남 유산기는 호남의 많은 산들을 직접 유람하고 기록하였다는 데서 먼저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작자의 사상과 산수 인식, 그리고 호남의 다양한 인물과 시대적 배경을 서술하고 있다는 데서 그 문학적 그 의의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관련해 앞으로 호남 유산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values of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as materials and their significance by examining the conditions of their distribution. It seem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and work on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including history, geography, literature, figures etc. contained in them. We have about 60 Homan mountain travel essays excavated so far. We would have a much greater number of essays with intensive investigation focusing on Honam literary collections. A diachronic examination of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reveals that the earliest Honam mountain essay was Lee Ju`s Geumgolsanrok, which was written in 1498 about Mount Geumgol in Jindo Island. This is the first mountain travel essay in Honam. There are 3 essays from the 16th century. Ko Gyeong-myeong`s Yuseoseokrok is the longest of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and has been a classicamong other Mudeung mountain travel essays as it has been widely enjoyed in later periods. Though we cannot find mountain travel essays in the early 17th centur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Japan War, various essays in the late 17th century have been found from numerous regions. The number of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written in this period was 13, and much more diverse subjects were involved than in previous years. We have 5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from the 18th century, which were all created in the late 18thcentury. To clarify the reason why we have fewer works in this perio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more elaborated historical research with respect for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in Honam at that time. What is the most striking of them is Jeong Yak-yong`s Yuseoseoksangi , in which he writes his feelings after travelling the Mudeung Mountain when he had accompanied his father as the governor of Hwasun and stayed there. He describes the detailed aspects of the Mudeung Mountain, a basefor folk beliefs at that time. The 19th and 20th centuries saw the most active creation of mountain travel essays, and hence a great increase in their number. As such, the range of mountains for travelling was widest, and some literary men called travel essay writers appeared including Song Byeong-seon and Yang Hoe-gap. We cannot help appreciating their values in that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recorded many mountains in Honam, which the writers travelled on their own. Also, we should recognize their literary significance in consideration of the writers` thoughts and recognition of nature, and the description of various figures and backgrounds in Honam. With respect to this, we expect various attempts to be made for work on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in future.

      • KCI등재

        조선시대 월출산(月出山) 유산기(遊山記)의 개괄적 검토

        사경화 ( Sa Gyeong-hwa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9 漢文古典硏究 Vol.38 No.1

        遊山記는 작가가 직접 산에 오른 체험을 기록한 문학이다. 그 안에는 작가가 탐승 과정에서 직접 경험한 내용뿐만 아니라 작가의 세계관과 가치관, 해당 산과 지역에 대한 많은 정보가 담겨 있다.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되었다. 하지만 그 연구 대상과 범위가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한 특정 산에 편중되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遊山記의 연구 범위 확대와 다양화를 1차적 목적으로 삼아 月出山 遊山記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월출산 유산기는 총 7편이다. 조선시대 최초의 월출산 유산기로서 임진왜란 이후 월출산의 면모를 보여주는 정상의 「月出山遊山錄」, 월출산에 존재했던 다양한 봉우리, 암자, 바위 등의 이름을 담고 있는 허목의 「月嶽記」, 구정봉에 오르는 과정만을 매우 실감나게 표현한 김창협의 「登月出山九井峯記」, 조선시대 관리의 유람 형태를 보여주는 김태일의 「遊月出山記」, 진주에서 월출산에 이르는 여정을 상세히 기록한 18세기 유일한 월출산 유산기인 정식의 「月出山錄」, 역사 · 문화 체험을 객관적으로 기록한 송정희의 「遊月出山記」, 위정척사운동의 확산을 바라는 선비의 소망이 녹아 있는 송병선의 「遊月出天冠山記」 등이 그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월출산 유산기는 산에 대한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담고 있으며, 또 조선시대 유산의 다양한 양상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도 자료적 가치가 충분하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월출산 유산기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되고 더 나아가 호남 전체를 대상으로 한 유산기를 종합 검토하여 유산기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 하는 등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유산기의 가치가 높아지길 기대한다. Yusangi is a literary record by a writer who went directly to the mountain after he visited the mountain. And in yusangi there is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artist's world view, values, and mountains and regions. For this reason, yusangi studie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areas. However, the object and scope of the study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mountains.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Wolchulsan yusangi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and diversifying the scope of yusangi research. The number of Wolchulsan yusangi reviewed in this paper is seven in total. Jeong-sang's 『Wolchulsanyusanlog(月出山遊山錄)』 is the first Wolchulsan yusangi which contains concrete records of Yongam Temple. Heomog's 『Wolaggi(月嶽記)』 records the names of peaks, hills, and rocks of Wolchulsan which are not present. Kim-changhyeob’s 『Deung-Wolchulsangujeongbong-gi(登月出山九井峯記)』 is a work that expresses only the process of coming up to gujeong-bong very realistically, and the writer's writing power is outstanding. Kim-taeil's 『Yu-wolchulsangi(遊月出山記)』 is a work that allows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to ascend to the mountains and see how they enjoyed it. Jeong-sig's 『Wolchulsanlog(月出山錄)』 is the only Wolchulsan yusangi built in the 18th century. It was a record that shows the process of starting from Jinju and arriving at Wolchulsan in detail, and it was showing that the route to Wolchulsan was diverse. Song-jung hui's 『Yu-wolchulsangi(유월출산기)』 records objective facts about Wolchulsan and Wolchulsan neighboring area and this is an important record to know the history of Wolchulsan and its surroundings. Song-byeong sun's 『Yu-wolchulcheongwan sangi(遊月出天冠山記)』 was a record of the desire for the diffusioning of 'wijeongchuksa (衛正斥邪)', while keeping the basics of yusangi. Wolchulsan yusangi, which we have discussed above, contains factual an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mountains because the artist directly recorded the mountain after he ascended the mountain. In addition, the fact that it contains various aspects of yusan in the Joseon Dynasty is also worth the data. Based on this, we will continue the in - depth study on wolchulsan and further study Yusangi to review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Yusangi, and hope that the value of Yusangi will increase.

      • KCI등재

        고려 말 佛家의 遊山記연구

        김승호(Kim Seung-ho)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8 No.-

        본 연구는 한국 遊山記문학의 태동기라 할 고려 말기에 등장한 佛家유산기의 위상과 특성을검토하는데목적으로두었다. 그동안유산기에 대한 연구가활발하게이루어진 것이사실이나조선중·후기작품위주로연구가진행됨으로써유산기문학의흐름을살피고계통성을 마련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天頙의 遊四佛山記, 天因의 天冠山記, 無畏의 達摩山記등 고려 말 승려들에 의해 지어진 3 작품의 서술 미학적 특성, 문학사적 위상을 검토하기로 한 것이다. 첫 과제는 이들 작품의 형성배경을 파악하는 일인데 불가 유산기가 자생적으로 출현했다고 보기는 무리라 판단했다. 廬山記등을 인용한 사례에서 보듯 중국의 불가 유산기들이 고려 말 유산기 창작에 일정 영향을 끼쳤다고 보았다. 전통적으로 유가의유산기는 산수를 노니는유람자의 심미안적 풀이와 흥취를 드러내는데 초점을 둔다. 물론 심성을 도야하는 노정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는 등 의론성이 강화되기도하지만자연친화적인기조를잃지않는다. 불가의유산기도산수미와유적, 그리고그에얽힌인물들의 자취를간과하지않는다. 하지만유람의 최종 목적을불국토의확인에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불교인간들의 영이한 흔적을 수습하는데 큰 열의를 보인다. 3개의 작품 역시그같은지향성위에놓인다. 그러면서도작품들은 나름의개별적특성을별도로구비하고 있다. 즉 遊四佛山記에는 당대 고려가 처한 현실과 신변잡기적 서술이 보이며 天冠山記에는천태사상에기반한국토관이반영되며 達摩山記에는달마산이변방에위치해 있으나 그 불연성만은 어느 곳에도 못지않다는 탈변방적 인식이 드러나 있는 바, 3 작품은나름의변별점을갖추고있는것이다. 아직형식이나내용면에서불가유산기의정체성을온전히갖춘것으로보기가어려우나고려말에등장한상기3 작품은조선시대의불가 유산기 뿐만 아니라 유가 유산기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Yusangi(遊山記) in Buddhism series, which appears in late Goryeo that Korea's Yusangi(遊山記) literature quickens. It is a fact that a research on Yusangi(遊山記) has been performed actively in the meantime, but was progressed focusing on works in Joseon period, thereby having been left the limitation to arranging the descent of Yusangi literature. Accordingly, the aim is to grasp the formation in the early Yusangi(遊山記) and its descriptive aesthetic characteristic through 3 works, which were written by Buddhist monks in late Goryeo such as Cheon Chaek's Yusabulsangi (遊四佛山記), Cheon In's Cheongwansangi(天冠山記), and Mu Oe's Dalmasangi(達摩山記).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Buddhist Yusangi(遊山記) in late Goryeo entirely appeared natively. Writing is indicated to have been made under the influence of works in China's Buddhism series including <Yeosangi(廬山記)>. <Yeosangi(廬山記)> in Confucianismtraditionally emphasized the aesthetic-discrimination realization and excitement of a holiday-maker who takes a stroll on the mountains. In addition, a significance was given to sightseeing as the process of training the mind. Even Yusangi(遊山記) in Buddhism series has interest in natural beauty & remains, and in a trace of figures of being involved in it. However, Buddhist monks confirm the land of Buddha through sightseeing and comes to positively collect ethereal tracks of Buddha and Bodhisattva. 3 A work is also shown to equally reflect this sight. However, despite the works that appeared in the same period, a change was ever perceived the descriptive and contextual aspect. In other words, a writer's own discrimination was solidified such as <Sabulsangi(四佛山記)> that is seen the reality of being faced by the contemporary Goryeo, and the random description, <Cheongwansangi(天冠山記)> that is strongly reflected the consciousness of the land based on T'ientai's thought, and <Dalmasangi (達摩山記)> that is minutely depicted scenery in an eco-friendly line of sight. Through these works at any rate, we can understand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Yusangi(遊山記) literature in Joseon period along with a descriptive characteristic in Yusangi(遊山記) of formative years.

      • KCI등재

        유산기(遊山記)의 시공간적 추이와 그 의미

        박영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民族文化硏究 Vol.40 No.-

        본고는 조선시대 유산기 데이터베이스의 현황을 보고하고, 이를 토대로 유산기의 시공간적 추이와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과제에서 구축한 유산기 데이터베이스의 총 작품 수는 347편이다. 이 중 금강산 유산기가 작품 전체의 15%에 해당하는 51편이나 된다. 금강산 다음으로 많은 유산기를 남긴 산은 지리산, 가야산, 청량산, 삼각산 순이다. 그러나 금강산, 지리산에 비하면 작품 수가 현저히 적다. 조선시대의 산 가운데 유산기를 남긴 산은 모두 134개이다. 그런데 유산기를 남긴 산의 78%가 1, 2편 정도의 유산기를 남겼다. 여기서 몇몇 산을 제외한 유산의 대상지가 대부분 작가와 개인적 인연을 맺고 있는 것이지 산과 중세적 주체, 산과 유산기 간의 시대적 일반항이 성립하여 있었거나 성립해 갔던 것은 아닌 듯하다. 유산기 창작의 시대별 추이를 고찰해보면, 15세기 전기에는 작품 수가 매우 적었으나, 16세기부터 조금씩 증가하다가, 17세기와 18세기에 급격히 증가한다. 15세기 유산기의 작품량은 문집의 간행 여부, 소실 여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16세기 전기에는 두 차례의 사화로 김종직의 문인들이 대거 제거를 당하여 작품수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16세기 후반기에는 유산기 작품이 크게 증가한다. 주희, 장식, 임용중이 남악 등반 때 지은 창수시를 엮은 명판본이 수입되면서 장식의 서문과 주희의 발문이 산수유기의 모범이 되었던 것이다. 17세기 이후 유산기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16세기 후반기 이후 조선시대의 사대부들에게 유산이 학습과 수양의 실천과정의 하나로 크게 부각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In this paper, I am going to perform three works- the construction of Yusanki-database, the investigation of the spatio temporal distribution of Yusanki and the report of Yusanki-database as the basic material of the cultural sciences. According to time, space and theme, 347 works are gathered in this database. There are 51 works of Kuemkang(金剛) mountain among 347 works, it forms 15 percent. 134 mountains show in 347 works, but 78 percent of 134 mountains have one or two works. In 15th century the writing of Yusanki were of small number, in 16th century it increased gradually in number and in 17th and 18th century it increased rapidly in number. The works of Jiri(智異) mountain abound supremely in 15th century, but during Chosun(朝鮮) Dynasty, the works of Kuemkang(金剛) mountain ranks top. The mountains in Kyeongsang(慶尙) province were selected supremely as the subject matters. Toegae(退溪) and his disciples, Nammyoung(南冥) and his disciples, and the literary men in Kyeongsang(慶尙) province had relations with Cheongryang(淸凉) mountain, Jiri(智異) mountain and Kaya(伽倻) mountain each other. They wanted to project Neo-Confucian doctrines on mountains and attempted to harmonize self-culture with the excursion to mountains. In their works, these minds were expressed very well. Landscapes of the actual view are 638 pieces. Among them, landscapes of Kuemkang(金剛) mountain are 291 pieces, it forms 46 percent. Cheongryang(淸凉) mountain, Jiri(智異) mountain, Kaya(伽倻) mountain, Sokri(俗離) mountain and Samkak(三角) mountain were unnoticed nearly by landscape painters. Up to the present, this method of study is not introduced into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So I think that the experiment of this project affects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nd the methodology.

      • 18세기 청량산 유산기 연구

        朴英敏(Park Young-min)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5 동아한학연구 Vol.- No.1

        본고는 문집 소재 청량산 유산기를 조사하여 현재까지 수집한 60여편 중, 18세기의 작품을 분석하여 그 미적 특질을 밝혀보았다. 청량산 유산기는 1544년 주세붕의 「遊淸凉山錄」에서 시작되었는데, 1552년 이황이 「周景遊遊淸凉山錄跋」이라는 발문을 붙였다. 이후 두 작품은 두 작가의 학문적 위상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조선시대 대표적인 산문 양식의 하나인 유산기의 내용적ㆍ형식적인 측면에서 전범의 역할을 하며, 청량산뿐만 아니라 다른 유산기 작가와 작품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청량산 유산은 특히 청량산 주변 지역 사대부의 지역문화에 대한 귀속성, 연대의식, 자부심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18세기의 청량산 유산기를 작가가 유산할 당시의 연령별로 분류하여 보면 20대 중반부터 60대 중반까지 다양하게 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청량산에 대한 유산자들의 유가적, 도학적 의미 부여는 이미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매우 일관되게 선명하게 나타난다. 조선후기의 다른 유산기들이 精神美의 추구에서 自然美 감상으로 변화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청량산 유산기는 여전히 정신미 추구를 강하게 보여준다. 그래서 18세기 청량산 유산기의 가장 큰 특징 역시 청량산을 도덕적 공간으로 승화시키는 작업의 지속에서 찾을 수 있다. 청량산 유산기를 읽다보면 유자들의 언사가 지나치게 비판적, 논쟁적이라는 느낌을 갖게 되는 장면을 종종 만난다. 특히 청량산을 유산하는 길이나 묵었던 절에서 만난 중과 대화를 할 때의 태도, 청량산에 퍼져있는 불교 관련 설화를 대할 때의 태도, 유가적 이념ㆍ도덕과 배치되는 인물과 그들의 행동을 대할 때 비판적, 논쟁적 어조와 문체가 확연히 드러난다. 청량산 곳곳의 설화나 전설이 유가의 이념과 규범에 맞지 않을 경우, 퇴계가 올라 吾家之山으로 부른 곳에서 중들이 불교 관련 설화를 퍼트리며 살고 있는 것을 보면 유자들은 날카로운 비판을 던진다. 비판적, 냉소적 어조를 거쳐 청량산을 유자의 산으로 채색하는 과정의 완성은 豪爽한 기운과 雄渾한 풍격 추구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것이 주세붕의 글이다. 청량산 유산기 작가들은 거의 대부분 주세붕의 청량산 유록을 유산기의 전범으로 인식하고 모방을 하였다. This study was on the essay about travelling on Cheongryang mountain and was an analysis on 8 pieces of 18th century literature out of a collection of 60 pieces of literature in which the beauty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The background of the essay regarding travelling on Cheongryang Mountain is the feeling of belonging to the local culture, mateship, and the pride of the gentry in the local area. The ages of the authors of the 18th century essays on travelling on Cheongryang Mountain vary from the mid 20s to mid 60s. The Confucius and ethical meanings of Cheongryang Mountain by the authors are very clear from the 16th century until the 20th century. Even though the traveling essays changed from the pursuit of spiritual beauty to enjoying the beauty of nature at the end of the Choseon period, the essays on travelling on Cheongryang Mountain still strongly show the pursuit of spiritual beauty. Therefore, the most dominant characteristic of the essays in 18th century can be found in the continuity of the sublimation of Cheongryang Mountain to the moral space. The essays often show too much of the critical and argumentive talk of the Confucians. Especially, the essays clearly show the authors' attitude when they talk to a monk whom they met on the street or at a Buddhist temple, when they hear Buddhist related stories regarding Cheongryang Mountain, and their critical and argumentative tone and talking style when they meet people with differing ideas and morals about Confucius. Confucians were very critical about the monks who told the stories or the legends they heard legends floating around Cheongryang Mountain that did not match the Confucian ideas or rules, so they went to the mountain that Tyegae called "My Mountain" and lived there and told Buddha related stories. The process of completing Cheongryang Mountain as a Confucius mountain through the critical and cold tone of voice is shown from the heroic atmosphere and the pursuit of grand and distinctive characters. The most representative essay is by Ju, Seboong. Most of the authors of the essays about travelling on Cheongryang Mountain recognized Ju's Cheongryang Mountain travelling record as a model and imitated it.

      • KCI등재

        무등산 유산기의 성립과 사상적 지향

        김순영(Kim, Soonyoung)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4

        산은 과거를 기억하고, 현재를 만들고, 미래를 꿈꾸게 하는 기억의 공간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예나 지금이나 끊임없이 산을 찾는다. 무등산도 그런 기억의 공간 중의 하나다. 더구나 호남인들에게 무등산은 호남의 역사적인 장소로 기억되어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하겠다. 본고에서는 무등산 유산기라 불린 한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무등산 유산기의 성립과 그 안에 나타난 작자들의 사상을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발굴된 무등산 유산기 작품은 19편이며, 지금도 조사․발굴 중 에 있다. 무등산 유산기뿐만이 아니라 호남의 산에 대한 전체적인 자료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지면, 이 지역 문화 가치 창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19편의 무등산 유산기 작품은 대부분 19, 20세기에 지어진 것이다. 이것은 다른 지역의 상황도 거의 비슷한데, 따라서 이 시기를 우리나라 유산기 창작의 전성기라 할 수 있다. 유산기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지리산, 금강산, 청량산 등 유산기 작품이 많이 남아있는 몇몇의 유명한 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유산기 작품의 수가 적은 호남의 산들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호남에서 유일하게 연구가 진행된 것은 무등산 유산기이다. 그러나 이것도 아직 자료를 개관하여 정리하는 단계로, 작품에 대한 좀 더 세밀한 분석과 연구가 요구된다. 유산기 작품을 연구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작자의 산수 인식이다. 산수 인식은 작자가 가지고 있는 사상이나 세계관과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 유산기의 배경은 산이다. 그러나 같은 배경일지라도 시대마다 혹은 작자마다 무등산을 바라보는 시각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각자가 처한 시대적 상황과 세계관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산수를 대하는 그들의 태도에는 그들만의 철학과 사상이 깊게 깔려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유산기는 단순히 산수에 대한 감회만을 서술하고 있지 않다. 조선이라고 하는 시대적인 상황과 유학자라고 하는 작자들의 신분적 특성으로 더 깊은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에 호남이라고 하는 지역적 특성까지 고려한다면, 무등산 유산기의 자료적 가치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먼저 무등산 유산기에 나타난 작자의 사상적 지향을 크게 유가적, 불가적, 도가적, 무속적 성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A mountain is a space of memory that allows us to remember the past, create the present, and dream the future. Thus, people continuously visit mountains in the present as they did in the past. The Mudeung Mountain is one of such spaces of memory. In addition, it is much more significant for Honam people as it is memorized as a historic place by them. Taking as its subjects some of the literary works called Yusangi written in Classic Chinese, this article explores the foundation of Mudengsan Yusangi works and the writers’ philosophies. The number of Mudengsan Yusangi worksfound so far is 19, and ongoing investigation and finding are currently carried out. It is certain that full-fledged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Yusangi works for the whole mountains in the Honam region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ultural values in this region. Most of the 19 Mudengsan Yusangi works were written in the 19<SUP>th</SUP> and 20th centuries. Given that the same is true for other regions, that period can be said to be the heyday of the creation of Yusangi works. Studies on Yusangi workshave been so far carried out focusing on some famous mountains for which many works are left including the mountains of Jiri, Geumgang, and Cheonryang. However, mountains in Honam have not attracted much interest as there have been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works for them. The only Honam works that are under research are Mudengsan Yusangi works. However, as they are yet in the stage of introducing materials, more detailed analysis and examination in required for them. What is important in working on Yusangi works is the writers’ recognition of nature because such recognition is deeply related to the writers’ philosophies and world views. The back ground of a Yusangi work is a mountain. However, with the same mountain Mudeung, perspectives have been slightly different among writers in different times. In their awareness lie their own philosophies as they look at nature through their travel experiences. Thus, Yusangi works in the Joseo period not simply describe feelings about nature, but contain deeper contents due to the particular situations in Joseon and the writers’ status as Confucian students. Give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Honam in addition, the value of Mudengsan Yusangi works as literary materials can be said to be greater. Based on this, the article examines the writers’ philosophical orientations in Mudengsan Yusangiworks generally on the Confucian, Budhist, Taoist, and shamanist sides.

      • KCI등재

        조선후기 속리산 유산기에 나타난 유람의 양상과 의미

        김미란(Kim, mi-ra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29 No.-

        본고는 지금까지 확보된 20편의 속리산 유산기를 대상으로 여기에 나타난 조선후기 속리산 유람의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피고자 하였다. 속리산 유산기는 17세기에 비로서 등장하는데 이는 조선전기와 중기에 걸쳐 유산기에 영향을 미친 영남지역 사림들과는 달리 일반사대부들의 경우 유산을 기록하는데 있어서 소홀했던 성향 때문으로 판단된다. 17세기 속리산 유산기는 총 5편으로, 이 가운데 4편이 유산록의 체제로 기록되어 기존의 유람기록의 한 부류였던 유산기의 체제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다. 이 또한 조선중기까지 이어진 영남지역 사림들의 영향으로, 당시 유산기의 많은 양이 김종직의 「두류기행록」을 전범으로 한 유산록의 체제[동기-실행-총평의 3단계 구성]로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유람의 동기는 속리산이 승경으로 이름이 났기 때문이며, 더욱이 절경인 금강산에 버금가는 ‘소금강’이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다. 유람의 계기는 거주지인접이나 근무지인접, 친인척 방문이 주를 이루었으나, 강대연과 같이 단순히 승경만을 위해 유람 길에 오른 경우도 있어서 당시 유람문화가 일반화, 보편화단계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18세기 속리산 유산기는 총 9편으로, 속리산 유산기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람의 동기와 계기, 목적, 서술체계면에서 17세기 속리산 유산기의 양상을 계승하고 있다. 18세기는 시대적인 변화에 힘입어 유람문학에 있어서도 형식적·내용적·문체적 변화가 나타난 시기이다. 그러나 18세기 속리산 유산기에는 이러한 변화의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19세기 속리산 유산기도 유람의 동기와 계기, 목적 등에서 이전시대와 별다른 차이점이 보이지 않는다. 다만 서술체계면에서 소품화, 간략화 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기존의 사실적, 객관적 위주의 서술에서 서정적, 주관적 위주의 서술이 강화되었다. 또한 속리산의 방문목적이 기존의 승경유람이나 고적답사에서 벗어나 지역문인들과의 교유의 장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1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속리산을 유람한 유람객들은 시종일관 속리산이 절경인 금강산에 버금가는 ‘소금강’이라는것과 호서제일의 승경이기에 속리산을 방문한다고 하였다. 금강산을 다녀오고 속리산을 방문한 사람들은 속리산의 바위봉우리들과 기암괴석들이 금강산의 만이천봉우리와 닮았다고 하였으며, 다녀오지 못한 사람들은 속리산의 승경에 감탄하며 굳이 천리 길을 나설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또한 속리산에 자리한 법주사, 복천사 등의 주요사찰과 암자는 고려조를 비롯해 조선전기 제왕의 주필처로 유명해지면서 유람객들의 방문과 그에 대한 기록이 끊이지 않았다. 특히 세조의 복천암 순행(巡幸) 기록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였다. 이렇듯 조선후기 속리산유람은 속리산의 빼어난 승경을 찾아 그것을 향유하며, 아울러 그 곳에 깃든 고적의 답사를 통해 문화와 역사의 현장을 직접 확인하는데 그 의미가 있었다고 하겠다. For 20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that have been obtained so fa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aspect and meaning of Sokri mountain traveling in late Joseon as shown there.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appeared in the 17th century for the first time, and unlike the Neo‐Confucianists in the Yeongnam region, which influenced travel narratives throughout mid and late Joseon dynasty, in the case of the general Literati, it is judged that they had a neglected tendency to record heritage. There are a total of five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in the 17th century. Of these, four are recorded in the Yusanrok system, which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system of travel narratives. For this as well, due to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ts in the Yeongnam region, which extended to mid Joseon, a large amount of travel narratives at the time were recorded as Yusanrok"s system of "three steps of motive‐execution‐general review" based on Kim Jong‐jik"s "Duryu Travel Record" as a canon. The frequent motive for traveling is that the Sokri mountain was named a place of excellent scenery, and that it was the most popular because it is "Small Geumgang" which is comparable to the superb Geumgang mountain. Occasions of traveling were mainly due to the proximity of residence, proximity to the workplace, and visits to relatives, but like Kang Dae‐yeon, there was a case of stepping on the path of traveling just for excellent scenery, showing that at that time, the traveling culture reached the stage of generalization and universalization. The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in the 18th century are nine comprising the largest of the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and inheriting the aspects of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in the 17th century in terms of motivation, purpose, and narrative system of travel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due to the changes in the times, there were formal, intellectual, and stylistic changes in the traveling literature. However, these changes did not appear in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in the 18th century.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in the 19th century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era in the motive, occasion, and purpose of traveling. But, in terms of narrative systems, the tendency to become smaller and simpler appeared, and lyrically, and subjectively focused narratives were strengthened from existing historical and objective narrative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visit to Sokri mountain was extended away from the existing excellent scenery traveling or ancient landmark exploration to the field of communion with the local literati.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ravelers who traveled to Sokri mountain sai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at they would go there because Sokri mountain is called "Small Geumgang" which is comparable to the superb Geumgang mountain, and because it is the best scenery of Hoseo region. Those who visited Geumgang mountain and visited Sokri mountain said that the rocky peaks and rocks of Sokri mountain resemble the 12,000peaks of Geumgang mountain, and those who had not been there admired the excellent scenery of the Sokri mountain and said that they did not need to make a 1,000 ri (390km) trip there. As the major temples and hermitages such as Beopju temple and Bokcheon temple on Sokri mountain became famous as a temporary station for kings in early Joseon as well as in Goryeo dynasty, the visit of travelers and the record of them were uninterrupted. In particular, the records of Sejo"s Royal Tour (巡幸) to Bokcheonam appear without fail. So, it was meaningful in that Sokri mountain traveling in late Joseon finds and enjoys the excellent scenery of Sokri mountain, directly identifie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te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ancient landmark.

      • KCI등재후보

        鷄龍山 遊記에 대한 硏究

        姜賢敬 한국한문학회 200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1

        예로부터 풍류적인 지식층이나 시인·문인들은 흔히 명산대찰·명승고적, 혹은 어떤 특별한 지역을 참관·유람하면서 그들의 체험·견문·감흥을 시문으로 남겨서 소위 記行時文이라는 작품군을 성립시켰다. 특별히 등산을 한 체험과 감회를 산문체로 기술하여 남겨놓은 遊山記 혹은 遊山錄은 山行記錄에 속하는데, 조선시대에 출현한 작품수량은 약 560편 정도나 된다고 한다. 최근 遊山記 문학 연구가 활발하여 금강산을 비롯한 지리산·청량산·소백산·묘향산·삼각산·천마산·속리산 등을 등정한 체험을 기술한 遊山記의 작품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업적이 있게 되었다. 그 중에는 계룡산 遊記 작품도 빼놓을 수 없을 것인데, 그것에 대한 관심과 연군ㄴ 자못 미비한 형편이다. 필자는 몇 년 전부터 계룡산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그 일부 자료를 이미 학계에 소개한 바 있는데,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계룡산 遊記로서 현재까지 수집된 자료로는 吳再挺(1641~1709)의 「遊鷄龍山錄」·宋相琦(1657~1723)의 「遊鷄龍山錄」·南夏正(1678~1751)의 「鷄龍記行」·李仁稙(1856~1912)의 「遊鷄龍山記」·林沔浩(純祖·高宗年間)의 「遊鷄龍山錄」등의 한문작품과 光山 金氏(1862~1917)가 지은 국문필사본 「겨룡산유산녹」을 꼽을 수 있겠다. 본고에서는 이상의 6편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계룡산 遊記에 나타난 옛 사람의 유산감흥과 관심형태를 고찰해 보고, 아울러 조선시대 遊山記 문학으로서의 위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6편의 유산기 내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계룡산이 지리산이나 금강산처럼 대단히 험준하고 웅장한 산세를 갖추고 있지는 않았어도, 작자들은 계룡산 도처를 仁者樂山의 기분으로 돌아다니면서 산세의 위용과 곳곳에 산재한 암자·시시각각으로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풍광·역사 유적 등을 통하여 그들의 유흥과 감회를 유감 없이 나타내면서 산행에서 얻어진 일련의 체험을 유산기 문장으로 남기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들은 僧俗에 대한 비판적 관점과 新防·招魂閣등의 유적지에 대한 역사적 悔恨을 나타내고 있지만, 신분상 治者의 관점에서 산행하거나 현실에 대한 예리한 비판의 언어를 구사하지 않았던 바, 이런 점은 계룡산 유기 나름대로의 특징적인 면모라고 보아진다. 여하튼 작자들은 계룡산 산행중에서 체득될 수 있는 유람의 정취를 소박하게 표현하여 조선시대 유산기 산문장르의 명맥을 지속적으로 지켜온 성과를 드러내었을 뿐만 아니라, 충청지역의 유산기 문학의 양상을 충분히 발휘하여 향토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서 일익을 담당할 수 있게 하였으며, 아울러 후대 사람들에게 山中之樂을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The elite, poets, and writers, who enjoyed poetry, have described their impressions and experiences after they visited famous temples, historical relics, and regions from the past. Those works they wrote are called travels. In chosun Dynasty there were 560 works about Yusangi or Yusannok which describes the experience and the feeling received from climbing a mountain.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Yusangi(travels in Mountains) in recent, so that many studies of Yusangi about Mt. Geumgang, Mt. Giri, Mr. Cheongnyang, Mt. Sobaek, Mt. Mohyang, Mt. Samgak, and Mt. Songni have been achieved. However there was a little study of Yusangi about Mt. Kyeryong in spite of fine works describing Mt. Kyeryong. The author has found and introduced some materials about Mt. Kyeryong to an academia from some years ago. The works about Mt. Kyeryong in Chosun Dynasty, the author found, are 吳再挺 Jaejung O' s Yukyeryongsannok, 宋相琦 Sanggi Song's Yukyeryongsangi, 南夏正 Hajeong Nam's Kyeryonggihaeng, 李仁稙 Lee's Yukyeryongsangi, 林沔浩 Myunho Lim's Yukyeryongsangi written in Chinese and 光山 金氏 Kwangsan Kim's Kyeryonsanyusannok written in Korean.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an ancestor's interest and impression expressed in Kyeryongsanyugi(Trave1 in Mt. Kyeryong), investigating synthetically the above 6 works, and then stands the phase as a literature in Travels in Chosun Dynasty. When the author reviews generally the above 6 works, the author knows that the writers expressed their experiences and impression through the aspect of a mountain, temples, a beautiful sceneary, historical relics in Mt. Kyeryong, though Mt. Kyeryong did not have a magnificient and steep aspect of a mountain like Mt. Giri and Mt. Geumgang.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in Mt. Kyeryong is that the writes criticized the monk's life and Sindo, and Chohongack(a pavilion for the spirit of the dead), and that they did not speech the critical word about the real life or write the travels in governor's view, but express naively the feeling of climbing mountains. The writes have maintained the genre of prose style about travels in mountains in Chosun Dynasty and also helped the study of folk literature and made descendants sympathize with a great enjoyment in mountains.

      • KCI등재

        조선시대 유자(儒者)의 공간의 의미화 양상과 그 의미 - 금강산 유산기(金剛山遊山記)를 중심으로 -

        박은정(Park Eun-j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금강산을 유산하는 자들은 유산(遊山)의 경험과 정보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개인적 유산의 체험을 집단적 유산의 체험으로 확장시켰다. 그 결과유산기는 개별적이고 개인적인 체험의 기록임과 동시에 유람을 통해 서로의 기억을 확인하고 확장하고 축적했던 집단의 기록이 되었다. 유산자들은 이 유산기를 통해 금강산이라는 공간에 대한 기억을 함께하고 의미를 공유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유자들이 산이라는 공간을 개인적 체험의 경계를 넘어 집단적으로 소비하고 의미화하는 양상을 살피고, 그 과정 속에 내재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유자들이 금강산을 의미화하는 양상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이름없는 장소에 이름을 부여하거나 기왕에 있던 이름을 자신의 뜻에 맞게 개명하는 것으로, 이는 적극적으로 공간을 의미화하는 작업이다. 명명(命名)과 개명(改名)을 통한 공간의 의미화 작업은 개인적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산기 속 기록이나 승려의 입을 통해 집단으로 확대되었다. 두번째는 유산자들이 공간에 이름이나 시를 새기는 각자(刻字) 행위를 들 수 있다. 각자는 뒤에 오는 사람들에게 먼저 다녀간 사람을 기억하게 하는 행위였을 뿐만 아니라, 그들만의 장소로 공간을 의미화하는 구체적인 행위였다. 세 번째는 유교적 형상화를 통한 공간의 의미화이다. 유산자들이 유산의 체험을 형상하면서 유가 경전 구절을 인용하거나 중국 시인의 시구와 자신의 체험을 동일시하거나 또는 유가적인 이상공간으로 묘사하는 것 또한 유자들이 공간을 의미화하는 행위였다. 유산기 속에 그려진 금강산에 대한 유가적 형상화는, 유산기를 읽는 사람들에게 선험적으로 금강산이라는 공간을 유교적 공간으로 각인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처럼 조선시대 유자들은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개인의 체험과 감상을 형상화하는 데만 집중한 것이 아니라 금강산의 의미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노력하였다. 금강산의 불교적 색채를 다양한 방식으로 지우고 그 위에 유교의 새로운 의미를 덧씌우려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것은 불국토를 유자의 공간으로 환원시키려는 조선시대 유자들의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금강산을 자신들의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던 욕망이 내재된 행위였다. 산을 단순한 지리공간이 아니라 하나의 인문공간으로 이해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Travelers of Geumgangsan(Mt. Geumgang) expanded from the experience of personal travel to the experience of collective travel by repeating process of that they influenced and were affected each other through Geumgagnsan Usangi(金剛山遊山記: records of travel in Geumgansan). Therefore, Usangi was a record of individual and personal experiences,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 group record that confirmed, expanded and accumulated each other’s memories through sightseeing while sharing Usangi. Travelers shared memories and meanings of the space called Geumgangsan through Usangi. In this regard, this study looked at the aspect of collective consumption and semanticization of confucian in Joseon Dynasty beyond the level of personal consumption on the space called mountain with targeting on Geumgagnsan Usangi. Also this study researched the desire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process of meaning on the space. There are three aspects of the confucian scholars’ meaning of the Geumgangsan space. The first, hikers gave names to unnamed places or renamed existing names to suit their own will, which was an activity positively meaning space. The work of meaning of space through naming and renaming was not limited to the individual level, but was expanded to work the meaning of collective space through Usangi or the words of monks. The second was the travelers’ act of engraving names or poems on the space. Engraving was not only an act of remembering the person who went first, but also a positive act that meant space as only their own space. The third was the meaning of space through shaping of Confucianism. It was also an act of meaning by the travelers to refer to the passage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or to identify Chinese poet’s poetry with his own experience or to describe the space as confucian space, while shaping the experience of the hiker’s climbing mountain. The shaping of Confucian about Geumgangsan would have worked to people who read Usangi to impress the meaning on the space of Geumgangsan.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Dynasty meant their own space with intentionally changing the Buddhist name of the space or confucian shaping the description of Geumgangsan, or engraving their names and carving poems wherever they went, while they traveled Geumgangsan. This was an effort of several methods by Confucian scholars to escape the Buddhist colors of Geumgangsan then to return Geumgangsan to the space of Confucian scholars. The semantic aspect of space in various ways was an act in which Confucian scholars’ desire to make Geumgangsan their space.

      • KCI등재

        최현의 『조천일록』 속 유산기(遊山記) 연구

        김지현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2 No.-

        Choi Hyeon who had visited Peking becoming Dongjisa Seojanggwan at the age of 45 in 1608 left both his official travelogue and personal diary very precisely and elaborately after exploring Ming. Among the sahaengrok left about land journeys in the early 17th century, it is hard to find any detailed work equivalent to Choi Hyeon’s 『Jocheonilrok』. Particularly, in his sahaengrok, we can find records about exploring mountains, for instance, Mt. Cheon, Mt. Uimuryeo, Mt. Sipsam, or Mt. An, unlike other sahaengrok previously written. Because the year of 1608 was after the death of Seonjo, Chosun envoys were ordered not to climb any mountain. This order of forbiddance is counterevidence telling us that the envoys enjoyed exploring famous mountains in China at that time. Despite that, we can hardly find the envoys’ records about exploring celebrated mountains in China now. 「Yucheonsangi」 written by Wolsa Lee Jeong-hu after exploring Mt. Cheon in 1604 is almost the only work before Choi Hyeon’s. After that, some 18th-century sahaengrok deal with the exploration of mountains in China. In this sense, yusangi contained in Choi Hyeon’s sahaengrok is equipped with crucial meaning. Choi Hyeon’s yusangi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rmer period. In other words, the 16th-century yusangi was about the stage of ethics that one came to realize through mountains while exploring them, but Choi Hyeon’s reveals geographic features intensively focused on the journey of climbing as well as spectacles in the mountains, for example, Mt. Cheon or Mt. Uimuryeo. It seems that his yusangi is characterized by this as the expression of his own human geographic perception. Sahaeng literature is a piece of travelogue dealing with scenery and customs as well as folklore one gets to encounter during a journey day after day whereas Choi Hyeon’s 『Jocheonilrok』 contains even more detailed geographic information than a mere travelogue. This is plainly revealed in the yusangi contained in 『Jocheonilrok』 as well. Although the previously written 16th-century yusangi clearly lists all the processes of mountain exploration and intensively describes the impressions one comes to get while encountering either people or scenery in the middle, Choi Hyeon just revealed the natural features objectively by depicting the view he came to encounter in the mountains thoroughly. Instead of being soaked in pleasure or appreciation for the arts in his mountain exploration and dreaming about his entrance into the ideal or unsecular world, he glared at the nature while maintaining his objective, realistic, and utilitarian sight to the end. This is the most noticeable characteristic of Choi Hyeon’s yusangi. 1608년 45세의 나이로 동지사 서장관이 되어 북경을 다녀온 최현은 아주 상세하고 세밀하게 명나라를 다녀온 공식 노정과 개인 일기를 함께 남겨놓았다. 17세기 초반 육로 사행에서 남긴 사행록 중에서 최현의 『조천일록』만큼 상세한 작품은 드물다. 특히 그의 사행록 속에서는 이전 사행록과 달리 천산과 의무려산, 십삼산, 안산 등에 대한 유산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1608년 선조가 승하한 후라 조선 사행단에게 등산을 금지하는 명이 있었다. 이러한 금명은 당시 사행단들이 중국의 명산 유람을 제법 했다는 것을 반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당시 사행단이 중국의 명산을 답사한 기록은 많지 않다. 1604년 월사 이정구가 천산을 유람하고 남긴 「유천산기」가 최현 이전의 작품으로는 거의 유일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18세기 사행록 속에 중국의 산을 다녀온 기록들이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최현의 사행록 속 유산기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최현의 유산기는 앞 시기의 유산기와 다르다. 즉 16세기 유산기가 산을 유람하면서 산을 통해 깨닫게 되는 도학의 경지를 읊었다면, 최현의 경우는 천산, 의무려산 등에 대한 등산노정과 볼거리에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춘 지리지적 성격을 보인다. 이러한 글의 특징은 그가 가지고 있던 인문지리인식의 발현이라 본다. 사행 문학이 하루하루 노정 속에서 만나게 되는 풍물과 민속에 대해 기록함으로써 한 편의 기행문이지만, 최현의 『조천일록』은 단순한 기행문에 보다 더 상세한 지리 정보를 담고 있다. 이는 『조천일록 』속 유산기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앞선 16세기 유산기에서는 유산의 모든 과정을 역력히 나열하고 만나는 사람과 풍경에 대한 감상을 중심으로 서술한 것에 비하여 최현은 산에서 보게 되는 풍광을 핍진하게 묘사하여 객관적으로 경물을 보여줄 뿐이다. 그는 유산을 통해 유흥과 풍류에 젖어 이상 세계나 탈속 세계로의 진입을 꿈꾸기보다는 끝까지 객관적·사실적·실용적 시선을 유지하면서 자연을 보고 있다. 이 점이 최현 유산기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