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國高中學生多文化意識與態度相關硏究

        LUTANSHENG,정용교 동아인문학회 2014 동아인문학 Vol.27 No.-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Awareness, State Pride, Cultural Pride and Multi-cultural Attitud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China. For this purpose, a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to 214 students from four high schools located in Jiang-Su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21.0 which applied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ultiway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frequency of using SNS, living-abroad experience and International Aware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ulti-cultural Attitude. Secondly, State Pride and Cultural Prid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ulti-cultural Attitude. Thirdly, family conditions, frequency of using SNS and International Awar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e Pride, but didn't have correlation with Cultural Pride. Fourthly, State Prid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ttitude, but Cultural Pride didn't have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ttitude. 本硏究以中國高中學生爲中心,意在分析其國際化意識、國民自豪感與其多文化態度之間的關系。硏究的展開順序爲首先對中國高中學生的國際化意識與多文化態度之間的關系進行硏究分析,其次對其國際化意識與國民自豪感之間的關系進行硏究分析,最後對其國民自豪感與多文化態度之間的關系進行探究,幷對國民自豪感在國際化意識對多文化態度的作用中是否起到中介效應進行驗證。分析對象爲中國江蘇省所在的高中學生240名。收集的資料通過SPSS(Statistical Product and Service Solutions)統計軟件,使用頻度分析、因子分析、多元分散分析(Multiway ANOVA)、 t-test、多重回歸分析等分析方法以進行分析與處理。經分析,硏究結果大致如下。首先,就調查對象的人口社會學特性對其多文化態度的影響來看,中國高中學生的SNS使用狀況與有無海外經曆對其多文化態度有著顯著的影響。即,SNS使用頻率越高、有過海外經曆的學生相較於沒有海外經曆的學生,其多文化態度相對較高。第二,在對影響中國高中學生多文化態度的因素進行分析後得出,國際化意識、國家自豪感與文化自豪感皆能對其多文化態度產生顯著的影響。則,中國高中學生的國際化意識越強,其多文化態度也就越高;反之,中國高中學生的國家、文化自豪感越高,其多文化的態度則越低。第三,通過對影響中國高中學生國民自豪感(國家、文化自豪感)的因素進行分析後得出,家庭條件、SNS使用狀況與國際化意識皆能對其國家自豪感產生顯著的影響,但對於文化自豪感,幷沒有顯著的統計結果。分析結果表明,中國高中學生中,家庭條件越的優越、國際化意識越強,其國家自豪感也就越高;反之,SNS使用頻率越高,其國家自豪感則越低。第四,通過對中國高中學生的國民自豪感(國家、文化自豪感)在其國際化意識對多文化態度的作用中是否起到中介的效應而進行分析後得出,國家自豪感作爲中介變量在國際化意識對多文化態度的作用中可以判定其存在中介效應且該中介效應爲部分中介,即國際化意識對多文化態度的影響有一部分是通過國家自豪感來實現的。但對於文化自豪感,在統計意義上中介效應不成立。

      • KCI등재

        권위주의 성격 및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

        하정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wo folds: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uthoritarian personali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2)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se relations. A sample of 258 office workers completed self report measures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The major achievements were as follows. First, authoritarian personality negatively correlated to multicultural attitud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positively correlated to multicultural attitude.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uggested that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oderated the effect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on multicultural attitude. Finall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bout educational strategie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multiple cultur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적 차원 가운데 하나인 권위주의 성격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제시하여, 권위주의 성격 및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권위주의 성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직장인 258명을 대상으로 하여 권위주의 성격, 무조건적 자기수용, 다문화태도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권위주의 성격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다문화태도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즉, 권위주의 성격이 강할수록 다문화태도가 부정적으로 형성되며,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많이 할수록 다문화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었다. 둘째, 권위주의 성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권위주의 성격이 강한 사람이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많이 할 경우 다문화태도를 부정적으로 형성하지만, 권위주의 성격이 약한 사람이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많이 할 경우에는 다문화태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며, 다문화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이중문화수용태도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경험 여부를 중심으로

        박지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3 다문화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national identity and to identify the semantic relationship experienced b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f immigrant women by intermarriage.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contribution that differences in experience in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upport make to national identity. Therefore, data of 1,704 people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and the PLS-SEM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first, the direct effect of lowering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was revealed wh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ceived a lot of acculturation stress. Second, there was a direct effect that the higher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higher their national identity. Third, when the acculturation 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s, the attitude of accepting bicultural identity decreases, which lowers national identity. In other words,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that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receiv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policy support in a state where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increased. 이 연구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국내 출생 자녀인 다문화가정자녀가 겪는 문화적응스트레 스, 이중문화수용태도, 국가정체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의미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이중문화수용태도와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경험 여부 차이 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기여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따라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 화청소년패널조사(MAPS: Multicultural Adolsents Panel Study) 2기 2차(2021) 데이터 1,704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은 패널테이터의 특성과 다변량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 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 판단된 PLS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 째,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 쳤다. 즉,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낮아졌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수용태도는 국가정체성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이중문화수 용태도가 높을수록 국가정체성도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셋째, 다문화가정자녀의 이중문화수 용태도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국가정체성 경로에서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함으로써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커지면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낮아 져 국가정체성이 낮아진다. 넷째, 다문화가정자녀에 관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경험 유무 에 의한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한 조절 효과로 드러난 경로는 이중문화수용태도와 국가정 체성 구간이었다. 즉,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을 받은 경 험이 있는 집단의 국가정체성이 정책지원을 받은 경험이 없는 집단의 국가정체성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가정자녀가 바람직한 시민으로서 국가정체성을 확 립하기 위해서는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과 다문화가정자녀를 위한 정책지원 단계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근거자료로서 가치를 함의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태도 관계 및 다문화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

        구자억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사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경력 3년 이상의 교직경력을 가진 197명의 유아교사들이다. 연구 데이타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 교사 효능감, 다문화 교육태도의 설문지를 유아교사에게 적용,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수합된 자료는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주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문화 교육태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사효능감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이 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문화 교육태도의 하위변인 중 다문화 교사역할과 다문화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사 효능감의 상호작용효과를 보인 반면, 다문화 환경에서는 상호작용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다문화 교사 효능감이 높은 유아교사는 다문화 감수성으로 인해 다문화 교사역할과 다문화 교육과정태도에 미치는 조절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7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of more than 3 years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The research data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in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multicultural teacher'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was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teacher 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In addi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multicultural teacher role and intercultural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interaction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were shown. However, they did not show the interaction effect in the multicultural environmen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 efficacy of the teacher who has a high sense of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er has a high Moderating effect on the role of multicultural teacher and multicultural curriculum attitude due to multicultural sensitivity.

      • KCI등재

        한국과 독일 청소년의 다문화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문성,전영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4

        이 연구는 독일과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태도를 비교하여 바람직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서울과 경기도에 있는 두 개 공립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과 독일 Hessen 주와 Nordrhein-Westfalen 주의 Gesamtschule와 Realschule 8학년 5개 학급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회수된 질문지 중에서 분석이 불가능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분석대상이 된 응답지는 독일이 205명, 한국이 203명이었다. 통계처리는 SPSS WIN v. 20을 사용하여 교차분석, t-test, ANOVA를 사용하였다. 또한 설문지 결과의 해석을 도움받기 위해 설문에 응답한 독일 청소년 5명과 한국 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태도는 독일 청소년이 한국 청소년 보다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일 청소년은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한국 청소년은 다문화태도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태도는 다문화 교육 경험과 관계없었으나, 독일 청소년은 다문화 교육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없는 청소년보다 유의미하게 개방적이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친구가 있는 청소년이 없는 청소년보다 다문화태도 점수가 높았다. 특히 독일 청소년의 경우 다문화 지식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에 흥미가 있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독일, 한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문화에 개방적 태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multicultural attitudes between German and Korean youth. For this matter, eighth-grade students(German youth: 205, Korean youth: 203) from 5 classes at Hessen and Nordrhein-Westfalen provinces in Germany and 4 middle school classes at Seoul and Gyeonggi-do in Korea, were surveyed. And 5 Germany youths and 5 Korean youths were interviewed. The questionnaire based on Munroe & Pearson(2006)’s MASQE(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included youth’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escriptions about multicultural society. Drawing upon the survey and interviews data, the results raise several questions. First, Findings from this study revealed German youth were more positive attitude than Korean at multicultural society. One explanation for this result should consider the potential of the time of exposure to multicultural situation. Germany has more long multicultural history than Korea. And German youth reported they had more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than Korea. But a lot of exposure to multicultural situation dose not always effect positively multicultural attitude of youth. Therefore, further research could focu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exposure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attitude. Second, German youth, who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 was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other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Korean group means on multicultural attitude. We should consider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Third, Both of German and Korean youth, who had multicultural friends and were interested in multicultural society, have more positive multicultural attitude than the other groups. These findings mean the exposure of multicultural situation have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ttitude.

      • KCI등재

        초등교사의 다문화인식, 자아존중감, 다문화태도 및 다문화교수역량의 구조적 관계

        임명희(Im Myoung Hee),서재복(Seo Jae B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다문화인식, 자아존중감, 다문화태도 및 다문화교수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변인간의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J도에서 근무하는 초등교사 중에서 본 연구에 동의한 298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응답에 빠짐이 없는 26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교사의 다문화인식, 자아존중감, 다문화태도와 다문화교수역량간에는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초등교사의 다문화인식은 자아존중감, 다문화태도와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교사의 다문화인식이 다문화교수역량에 미치는 영양에 있어서 자아존중감과 다문화태도는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 증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을 증진하기 위해 자아존중감과 다문화태도 향상을 위한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multicultural awareness, self-respect,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teach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reveal the effects of interdiction.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298 students who agreed to this study were selected as the final subjects of analysis among J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6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out being missed in response.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self-respect,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teach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t was found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self-respe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bility. In addition, it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self-respect and multicultural attitude in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require support efforts to improve self-respect and multicultural attitudes in order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ility to teach multiculturalism by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city for multicultural teaching.

      • KCI등재

        다문화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이세나 ( Sae Na Lee ),강순미 ( Soon Mee K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경험에 따른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295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경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습경험, 다문화교육, 타문화친구, 다문화에 대한 관심정도에 따라 다문화감수성에 차이를 보였으며, 실습경험, 다문화봉사활동, 종교활동, 다문화에 대한 관심정도에 따라 다문화교육태도에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다문화교육, 종교활동, 다문화에 대한 관심정도에 따라 다문화교수효능감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감수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실습경험이었으며, 다문화교육태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문화교수효능감이었다. 그리고 다문화교수효능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문화교육태도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은 경험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하는 신념이므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적 신념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양성과정에서 양질의 다문화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based on teachers`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examined the variable that influence on their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subjects were 29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to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experience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lticultural sensitivity according as early childhood practicum, multicultural education, friends who had different culture, and levels of interest in multiculture.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lticultural attitude according as early childhood practicum, multicultural education, religion activities, and levels of interest in multiculture. Also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lticultural efficacy according as multicultural education, religion activities, and levels of interest in multiculture. Second, early childhood practicum was found to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was found to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efficacy was found to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익준 ( Ik Jun Jang ),이기용 ( Ki Yong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4 다문화와 평화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다문화 태도(일반적 태도,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 태도, 교사교육 태도)의 매개효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대구광역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18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양적연구인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의 지각하는 다문화 인식의 하위영역과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 및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모든 하위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 태도, 교사교육 태도, 교육과정 태도의 부분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인식 단독으로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이 함께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학교현장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다문화 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다문화 관련 직, 접적 경험과 다양한 교육기회를 부여하여 교 사들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attitudes (general attitude, attitude to teacher roles, attitudes to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efficacy.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 adopted surveying, one of the quantitative methods, as its study method and selected 21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as its study subjects. Based on this method, the study has drawn conclusions as below: First, regarding correlation among the subarea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l the subarea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Second, regarding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perception on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general attitudes, attitudes to teacher roles, attitudes to teacher training, and attitudes to the curriculum were found to be statistical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001. Multicultural percep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multicultural efficacy independently, and along with the subarea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attitudes, it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on multicultural efficacy. Therefore, it is needed to focus on chang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positively by providing them with both direct and indirect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a variety of opportunities for training so that they can be equipped with more enhanced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actual field of school education afterwards.

      • KCI등재

        다문화평화주의를 위한 대학생다문화태도 연구

        김민지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6 평화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다문화주의가 추구하는 비전의 방향을 명확히 하기 위해 상호 문화를 존중하는 것을 넘어 상호 조화를 통해 사회통합인 지평을 열 수 있는 다문화평화주의를 제안하였다. 다문화평화주의는 이주민뿐만 아니라 다름에 대한 이해와 존중, 배려를 가능하게 하며 조화와 화합을 통해 보다 발전된 사회통합을 지향할 수 있으며 다문화사회의 비전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다문화평화주의는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해답의 단초를 얻고자 대학생들의 다문화태도를 조사,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문화교육경험 또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다문화강의를 들을 계획이 있는 경우에 다문화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친구가 있는 경우 다문화태도 중 다문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 유학생과 같이 강좌를 들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 다문화태도가 인식, 수용, 실천의지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주민과 공적인 장에서 수평적 관계를 많이 형성할 때 다문화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며 다름에 대한 이해와 존중, 배려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In order to illuminate the direction of the vision sought after in multi-culturalism, this paper proposes multi-cultural pacifism as a way that can open a new horizon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mutual harmony, going beyond simple mutual respect for different cultures. Multi-cultural pacifism enables and promotes understanding, respect and regards toward not only immigrants, but also everything that is different. In addition, it enables society to aim for a more developed social integration based on balance and harmony, clarifying the vision of a multi-cultural society. Then, how can multi-cultural pacifism be attained? In order to obtain the beginning to the answer, this paper reviewed and analyzed the multi-cultural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This analysis shows that demographical factors and education on multi-culturalism have no significant correlation on the attitude of students. On the contrary, those students who had plans to listen to lectures on multi-culturalism demonstrat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subject. Students with foreign friends also gi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Those who had experienced attending classes with overseas students also shows a multicultural attitude that included positive awareness, acceptance and will to practice multi-culturalism. Analytical results assume that positiv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is formed when students establishes a lot of horizontal relationships with immigrants in public events or places, and that this can fully lead to understanding, respect and regards for what is different.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승현,조성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career attitud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from a family system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data from 1,017 multicultural adolescents of the 8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enting attitude of multicultural family parents affects the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family parents were found to affect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parents and the career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a way to increase the career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promote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 가족 체계의 관점에서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청소년패널 8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청소년 1,01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부모의 양육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부모의 양육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부모의 양육태도와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의 관계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는 부분매개효과가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를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문화가족 부모의 양육태도를 향상시키고,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