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감성사회의 도래와 고등학교 사회과교육의 방향

        정용교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4

        20세기로 대변되는 근대가 이성, 합리성이 지배하였다면 21세기로 대변되는 탈근대는 감성, 심미성이 한층 존중될 것이다. 21세기 사회는 이질성과 차이를 인정하면서 정의가 실천되는 사회를 지향할 것이며, 동시에 감성적 가치라 할 수 있는 행복, 영성, 상호인정, 타자성 등이 중요시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감성사회의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과 담론을 제기한다. 먼저, 현장차원에서 나타나는 사회과교육의 실태와 한계상황을 거시적 및 미시적 차원으로 검토한다. 이런 사회과교육을 둘러싼 현장여건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과교육을 둘러싼 반성의 계기를 열고자한다. 다음으로, 최근 새롭게 전개되는 탈근대성을 감성사회의 측면에서 다루어봄으로써 사회과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 삼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감성사회의 도래에 즈음하여 사회과교육이 지향해야 할 21세기 형 사회과교육의 구체적 방향(교육목표, 교육과정, 교육방법)을 현장입장에서 몇 가지로 타진한다. 사회과교육에 감성적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현장 사회과교육이 좀더 풍요로워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The modern society which is represented by 20th century governed rationality and rati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postmodern society which is represent by 21th century will govern sensitivit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 The 21st century societies recognize a heterogeneity and a difference and then will be aimed the society that the justice is guaranteed. Simultaneously, the values of sensibility, that's happiness, spirituality, mutual recognition, the Other etc. will be considered seriously. In this paper, I present the controversies and the discussions over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aspect of sensibility society by contrast with rational society. First, I review the present conditions and a limi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appeared in the field of school from macroscopic(structural) and microscopic(consciously) areas. Secondly, I try to observe about the concept, formation, and core contents of the sensitivity society from the theoretical dimension. Finally, I explore about concrete directions(educational aim, curriculum, educational method) of future social studies education from position of coming of the sensitivity society.

      • KCI등재

        베트남 대상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대학교육의 새로운 탐색을 중심으로

        정용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3

        Nowaday, university education is facing a crisis. On the one hand, universities are given the task of cultivating an educated citizen through search of truth, on the other hand, they are not free from the feeling of pressure to foster the competent workers by increasing employment capacity. The university education focus on fostering employees to raise employment rates in a situation which a pragmatic type of talent with a practical sense have recently become a goal of university education. Until now, policies of university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to increase practical abilities. However, it’s necessary to further discuss whether such educational reforms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ragmatism. In the face of numerous reforms, it’s because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are unable to present an alternative view suitable for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new prospect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can increase industry-friendly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s for Vietnamese society. First of all, we examine the educational crisis faced by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also suggest concrete model of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 as an alternative of university education. Second,we introduce the models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designed and developed by students directly b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core content, and field application. Finally, we review the impact of such appropriate technology products on the lives of local Vietnamese residents. In sum, this article intends to present the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by students as a new possibi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can improve field-friendly or field-based abilities. 오늘날 대학교육은 위기상황에 처해 있다. 한편에서 진리탐구를 통한 교양시민을 육성해야한다는 과제를 부여받으면서 다른 한편에서 취업능력을 키워 유능한 직장인을 양성해야 한다는 압박감에서 자유롭지 않다. 최근 현장감각을 갖춘 실용적 인재상이 더욱 부각되면서 대학교육은 취업률 제고를 위한 직장인 양성에 주력한다. 실용적 능력을 키우기 위한 수많은 대학교육의 개혁들이 시도되었지만, 그런 개혁정책이 학생들의 현장감을 반영한 실용적 능력신장에 어떤 교육적 성과를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수많은 개혁 속에서도 현행 대학교육은 시대 전망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일정한 좌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베트남 사회를 대상으로 한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현실사회 친화적이면서 실용적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대학교육의 전망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현행 대학교육이 당면한 교육적 위기현상을 타진하며, 덧붙여 대학교육의 대안으로서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구체적 모형을 제안한다. 둘째, 학생들이 직접 설계하여 개발한 적정기술의 모형을 개발과정과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이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전망으로서 중요한 의의를 띠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개발된 적정기술 제품은 베트남 현지주민의 삶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현장차원에서 검토한다. 요컨대, 이 글은 학생들이 직접 개발·적용한 적정기술 프로그램을 현장 친화적 내지 현장 밀착형적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새마을교육의 교육사회학적 함의 :지역사회 교육네트워킹 체계구축을 중심으로

        정용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6 No.-

        이 글은 지역사회 교육네트워킹 체계구축 차원에서 새마을교육의 교육사회학적 의의와 목표를 검토하고, 그에 연동하여 지역성이 반영된 학교교육의 이념과 실제사례를 새마을교육에서 찾으려 했다. 지금까지 학교교육은 명문대를 겨냥해 학교간 및 학생간의 점수경쟁을 유발시키는데 충실하였고, 대신 지역실정에 적합한 지역문화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지역민의 의식개혁과 혁신에 이를 수 있는 지역사회학교의 이념을 구현할 수 없었다. 그것은 학교교육을 지역사회 네트워킹차원에서 보지 않고 개별단위 학교차원으로 바라보고 접근하여 학교를 지역사회와 고립・독립된 것으로 운영하였기 때문이다. 학교가 지역사회와 연계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운영될 때 우리 학교교육의 고질적 병폐인 성적과 점수가 과잉 강조되는 명문대 지향의 교육사회학적 현상에서 벗어날 수 없다. 새마을교육은 시작에서부터 지역사회 교육네트워킹 체계구축을 통해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지역사회의 문화창출자 내지 조정자 역할을 담당하면서 지역밀착형 인재를 키우려 하였으며, 지역민의 정신계발과 의식개혁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새마을교육은 지역사회 담당자들의 교육네트워킹 구축에 의한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질서)을 수립하려 했으며, 나아가 그를 통해 지역문화 창출자로서의 정신계몽역할을 추구하려 하였다. In this paper, we tried to review the significance and reality of Sae-ma-eul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successful cases in school education reflecting the local community situation in the aspect of Sae-ma-eul education. Until now, school education couldn’t have ensured the harmonious democratic citizenship between oneself and others causing keen score competition among schools. In this competitive situation, school education has been failed to reflect the local community culture and couldn’t achieved the ideas of local community school education. That is why the school education wasn’t considered as a part of local community networking system, rather than considered as an isolated unit far from local community. If school can’t be connected by local community and operated independently, it will not escape from the distorted educational phenomenon so called the record(score)-ideology. The Sae-ma-eul education could be contribute to a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and the newly educational paradigm through the local community education networking construction. And the Sae-ma-eul education could be able to foster a region-oriented people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Also the Sae-ma-eul education has focused on the spiritual enlightenment and consciousness reform of local community residents. In sum, the Sae-ma-eul education could be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ewly educational paradigm in the face of the coming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 KCI등재후보

        노동인간화를 둘러싼 쟁점과 실행

        정용교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4 동향과 전망 Vol.- No.62

        The Controversies over the Humanization of Labor and it's Practice 노동인간화를 둘러싼 쟁점과 실행

      • KCI등재

        한국형 글로벌 빌리지 구축을 위한 세계시민교육의 실제와 성과 : 경북 금천 섶마리 마을 중심으로

        정용교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actice and performa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Korean rural-style global village. In particular, we tried to build a global village targeting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elderly people from Shepmari Village, Geumcheon, Gyeongbuk-do, ten foreign students from Yeungnam University, and five married Vietnamese immigrants (females) dispatched from the Cheongdo Multicultural Family Cente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held four times in July 2022. After conduc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elderly expressed shock and surprise in the skin color of foreign students. They were able to overcome the rejection caused by the skin difference through classes. Second, through exchanges with foreign students, village elders were able to overcome negative preconceived notions and prejudice they had about each country, including China. Third, indigenous people understood the position of immigrant women living in marriage in Korea. They c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xercising the responsibility ethics of indigenous people towards them. Fourth, indigenous people were able to understand how to restore the health of the land, which is the basis of agriculture.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eco-civic life is closely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In summar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ol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onstructing a global village where indigenous/immigrant coexistence is possible. 이 연구는 한국농촌형 글로벌 빌리지 구축을 위한 세계시민교육의 실제와 성과를 타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농촌거주 노년층 대상으로 글로벌 빌리지 구축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북 금천 섶마리마을 노년층 20명이었고, 영남대 재학 중인 유학생 10명과 청도가족센터에서 파견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5명이었다. 세계시민교육은 2022년 7월 동안 총 4회에 걸쳐 섶마리 마을회관에서 진행되었다. 세계시민교육을실시한 뒤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노년층은 유학생의 피부색에서 충격과 놀라움을 표시하였는데, 수업을통해 피부차이에서 오는 거부감을 극복할 수 있었다. 둘째, 유학생들과 교류를 통해 마을노년층은 평소 중국을비롯한 각 국가에 대해 가졌던 부정적 선입견과 편견을 극복할 수 있었다. 셋째, 선주민은 한국에서 결혼생활중인 이주여성의 처지를 이해하였고, 덧붙여 그들에 대한 선주민의 책임윤리 발휘가 중요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넷째, 선주민은 농업의 근간인 땅의 건강성이 갖는 중요성을 이해하였고, 이에 의한 생태시민적 삶이 글로벌 시민의식과 밀접히 연계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요컨대, 이 연구는 선주민/이주민의 공존가능성을 위한 글로벌 빌리지 구축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역할을 타진하는 데 두었다.

      • KCI등재

        1970년대 새마을교육의 실천과 성과: 새마을지도자의 증언을 중심으로

        정용교,이광동,김진,안인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7 민족문화논총 Vol.65 No.-

        The Practice and Performance of Saemaul Education in the 1970s: Focused on the Testimony of the Saemaul LKorea in the 1960s was subjected by the situation of absolute poverty. The Saemaul Movement in this situation has provided new opportunities for innovating the Korean society. The innovative spirit of the people was inevitable in the phrase of economic and social transition from a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to modern industrial society. Saemaul education could provide a mental strength that was essential to the success of the Saemaul Movement by blowing 'can do spirit' to the public. In this regard, Korea was able to create a social order structure suitable for modern industrial society, at the same time, it could foster the achievement-oriented modern man. In this paper, we will explore the ideology, characteristics, and the core contents of the Saemaul education in the 1970s, also we will deal with the specific forms and performances of Saemaul education that were conducted in the village level in the 1970s. The impact of Saemaul education on the conscious transformation of rural residents in the 1970s clarified on the basis of the testimony of Saemaul leaders.eaders 960년대 제1차 경제개발계획을 계기로 본격화된 한국의 경제성장은 1970년대 더욱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급속한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수의 농민은 절대적 빈곤상태에 처해 있었고, 농촌지역은 공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이 심화되었다. 이런 농촌의 빈곤상황은 새마을운동에 의해 극적 반전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전통적 농경사회에서 근대적 산업사회에로의 경제사회적 전환을 위해서는 국민정신의 혁신이 불가피하였다. 새마을교육은 전 국민 대상으로 ‘잘 살 수 있다’는 새마을정신을 불어넣음으로써 새마을운동의 성공에 필수적인 정신적 동력을 제공하였다. 이에 한국사회는 근대적 산업사회에 적합한 사회질서구조를 창출할 수 있었고, 그것은 성취지향적인 근대인을 육성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1970년대 새마을교육의 이념과 특징, 핵심내용에 대해 밝히고, 이에 근거하여 당시 마을단위에서 진행되었던 새마을교육의 구체적 형태와 성과를 집중 검토한다. 1970년대 진행된 새마을교육이 마을단위에서 농촌주민의 의식전환에 미친 영향은 새마을지도자의 증언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밝힌다.

      • KCI등재

        다문화 시민사회의 실태와 방향 -다문화이주여성의 사회적응을 중심으로-

        정용교,유명철 대한정치학회 2013 大韓政治學會報 Vol.20 No.2

        이 연구는 다문화이주여성들의 사회적응의 실태를 일상생활 차원에서 밝히고, 그들 의 적응상에 드러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다문화 시민사회의 가능성을 타진하는데 있다. 일상생활 차원의 실태파악은 우리의 내부적 모순구조를 밝히는데 유용하며 동시에 다문화 시민사회의 정립에도 기여할 것이다. 그들의 사회적응 관련 일상생활적 파악은 포커스그룹 인터뷰방법으로 진행되었다. 5년 이상 우리사회에 거주했던 이주여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화적, 가정적, 언어적 영역에서 그들의 사회적응 실태를 분 석하였다. 그들은 기존주민들의 차가운 사회적 시선과 문화차이에서 적응의 어려움을 겪었고, 또 우리의 뿌리 깊은 가부장제와 이중적 문화잣대에서 좌절감과 실망감을 피 력하였으며, 언어를 비롯한 문화적 차별과 자녀교육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그들의 적응실태를 염두에 둘 때 다문화 시민사회의 정립은 우리 시대의 핵심과제로 부각된다. 다문화 시민사회는 문화의 복수성에 토대한 다양성 축복과 다중정체성 형성으로 가능하며, 또 우리사회의 도처에서 작용하는 이중적 시각극복에 의한 개방적 담론구조 형성과 다문화 문해력 향상에 의한 연성사회의 구축으로 접근할 수 있고, 아울러 사회 적 포용력 발휘와 사회통합에 토대한 다문화 세계시민 사회구축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문화마을 공동체의 실제와 의의 - 하남성 흑룡진 민속무 공연을 중심으로 -

        정용교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20 중국과 중국학 Vol.- No.40

        This paper conducted a field survey of three villages in Heilongzhen, Tangha County, Henan Province, China. This paper tried to clarify how village community was formed and functio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raditional culture inherent in the village community has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lives of villagers, and also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community at the village level. Villages reproduced the village-specific culture inherent in each village, and such indigenous cultur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inhabitant community. Woojang Village was able to succeed in building a lost village community through the re-enacting and representation of folk dance. The reactivation of folk danc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ition from the “leave” village to the “return” village, which was restored the pride of Chinese Midland Culture. In Jangchon Village,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examine the traditional culture through the composition of folk orchestra, which provide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harmony among the residents. In Songyoungchon Village, the story of Yang’s family was revealed, and has been handed down since the Song Dynasty. In addition, through these performances, this village tried to foster an environment where tradition and culture live. Folk songs and folk dances influenced the transmission of family and local values, and also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community values at the national level. In short, the formation of a village-based cultural community based on tradition and culture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eature of Chinese rural society. 이 연구는 중국 하남성 당하현 흑룡진 지역의 세 곳 마을을 현지 조사 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촌락단위 공동체 형성과 기능을 밝히려 했다. 중국에서 마을공동체에 내재한 전통문화는 마을주민의 안정된 삶에 큰영향을 미쳤으며, 마을단위의 공동체 형성⋅유지에도 상당한 의미를 던졌다. 중국에서 촌락단위의 농촌마을은 마을에 내재된 고유문화를 재현하였으며,그런 고유문화의 활성화를 통해 마을단위의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었다. 우장촌마을은 민속무의 재조명과 재현을 통해 잃어버린 문화마을 만들기에 접근할 수 있었다. 민속무의 재조명은 ‘떠나는’ 마을에서 ‘찾아오는’ 마을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어 하남성 특색을 넘어 중원문 화의 자랑거리로 복원할 수 있었다. 장촌마을은 민간악단 구성을 통해 전통문화를 재조명하였고, 또 주민 간 화합의 장을 마련할 수 있었다. 민담을 소재로 한 지역축제는 전통의 재조명과 함께 마을주민의 단합과 자부심을 고양할 수 있었다. 송영촌마을은 송나라 때부터 전승되어오는 양씨집안 이야기를 노래와 공연으로 담아내고 있었고, 이에 의해 전통이 살아 있는 문화마을을 조성할 수 있었다. 민속무 공연은 가족과 지역가치의 전승에 이바지했고, 나아가 국가차원의 공동체적 가치로 승화할 수 있었다. 요컨대, 전통과 문화에 토대한 마을단위 공동체 형성은 중국 농촌사회의 중요한 특징으로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