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몸과 만짐으로서의 예술: 장-뤽 낭시의 사유를 통한 예술, 몸, 이미지 고찰

        박지나 예술과미디어학회 2023 예술과 미디어 Vol.22 No.1

        This study pres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body that exists through one;s openness to the other. Through this we prove that Art become possible by an ontological body. The body is revealed as a gap of meaning with the other that divides the subject within itself. It is the ‘corpus ego’ as a void that cannot be explained in meaning. Since one body is open to another body, bodies cannot possess each other, but bodies touch each other's opening. As they touch each other's limits, they experience the shattering of existence rather than the completion of meaning. Bodies leave for the other inside me before being fixed in meaning. If we try to touch it, it withdraws and becomes untouchable. Touching is already divided into the tangible and the untouchable, the departing and the direct existence that suspends the departing. Therefore touching is double. Bodies create the world through the opening, dividing, touching, and leaving. Techne, which shows that meaning itself is open in relation to other bodies, is what Art does.

      • KCI등재

        아시아계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부모효능감 간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양육활동의 구조관계연구

        박지나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아시아여성연구 Vol.62 No.2

        이 연구는 아시아계 국제결혼이주여성 1,520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유형, 부모효능감, 문화적응스트레스, 양육활동의 직‧간접 구조 관계를 설정하고 매개 및 이중매개역할 검증을 위해 PLS-SEM 연구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그 결과 나타난 직접 효과는 첫째,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작을수록 부모효능감은 컸고, 자녀의 학업 성취를 위한 양육활동에 적극적일수록 부모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통합형일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작았고, 양육 활동이 컸고, 부모효능감도 높았다. 분리형일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크고, 자녀의 양육활동이 작았지만, 부모효능감은 컸다. 주변화형일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컸고, 자녀의 학교활동은 작고 학업성취를 위한 활동은 컸다. 이 구조 관계에서 나타난 매개효과로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녀의 학업 성취를 위한 양육 활동을 매개한 통합형일수록 부모효능감이 높았다. 반면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녀의 학업 성취를 위한 양육활동을 매개한 분리형과 주변화형 일수록 부모효능감이 낮았다.

      • KCI등재

        전시《흔들리는 언어》에 나타난 언어의 존재 방식과 타자성

        박지나 예술과미디어학회 2022 예술과 미디어 Vol.21 No.1

        This paper discusses survival after meaning. We explore how a language that cannot be seen due to the void and cannot be heard due to silence can exist. We discuss the way of existence of language through the exhibition Afterlife of Language, which brings the space of literature of Blanchot who thinks of 'outside', as a space of art. This paper delves into the invisibility of language, the point where the achievement of language coincides with the disappearance of language, and the way of being of language through waiting and oblivion by <The Blindness of Language>, <The achievement of Language>, and <The Oscillation Language>. Language is divided into meaning as a closed space and a space that cannot be closed and cannot be signified. What causes this division is the 'void' that exists before meaning and remains even after meaning disappears. And the ‘void’ is where language goes. The invisible and inaudible language gives its time to the unfamiliar and unstable other in the inner space open to the outside.

      • KCI등재

        문자와 이미지의 이분법을 넘어서

        박지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This study proposes a new direction of Basic Design & Arts education based on the humanities research approach.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ext and image by accepting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beyond the aspect of design and arts. Text and Images are essential human environments that gave birth to visual culture. which also gives rise to questions such as, 'How did written language look like before the invention of the text?' and 'How had the invention of the text ch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images?' I accept genealogical approach that examines the origins of text and images for a literature review to attempt to explore contextual research. Oral language, gestures, and other traces existed without employing priority exclusively before the literate culture while the advent of the literate culture brought human culture to an extreme difference such as 'text vs. images' and 'writing vs. drawing' based on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s.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are as follows. The invention of the printing press led to the literate culture while images dominated over text in medieval manuscripts. However, digital technology that brought about multimedia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had ch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image again and made visual culture has been flourished. As noted, the risk of binary opposition lies in the hierarchical view of differences between objects and creating a violent hierarchy on the side of the dominance. Typography is a substantial as well as a basic element in design. To prevent from taking the risk of binary confrontational thinking, the study of typography that consists of not only text but also images has to take the view of duality and synchronicity of text and images. Further, it needs to go with multidisciplinary study along with Linguistics, Art, Philosophy, History, and so on. 이 연구는 기초 조형 교육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로서 문자(Text)와 이미지(Image)에 대한 기초 조형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자와 이미지는 그자체로 인간과 공존하는 인간을둘러싼 시각 환경이자 시각문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초조형으로서의 문자와 이미지를 기원부터 역사적, 철학적, 문자학적으로 고찰하고, 디자인교육을 기존의 기초조형의 장(field)에서 인문학의 장으로 확장시키고 재사유하고자 한다. 연구 범위는 문자와 이미지의 관계에 대해 활자발명을 그중심에 두고, 활자발명 이후 연구들에 비해 비교적 선행연구가 미비한 ‘인류의 시원에서 인쇄술의 발명 이전의 시대까지의 문자와 이미지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문자와이미지의 기원부터 살펴보는 계보학적 방법론을 취한다. 문자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문자와 이미지는분리되지 않았고, 음성언어, 몸짓 언어, 흔적들이 동시에 존재했다. 그러나 문자 발명 이후 문자와 이미지는 ‘글/그림’, ‘쓰기/그리기’로 나뉘어졌다. 중세 채식필사본(Illuminated Manuscript)의 시대까지도 이미지는 빛이 되어 문자를 이끌었다. 그러나 활자(인쇄술) 발명 이후 문자와 이미지의 관계는 점점 문자중심으로 전환되었고, 19세기에는 중세 때 빛이었던 이미지는 오히려 문자에 끼어들어 간 삽화(Illrustration)가 되었다. 그러나 21세기 기술영상매체의 발전과 변화 속에서 문자와 이미지간의 주도적인 관계는 다시 역전되게 된다. 이처럼 기원부터 시대별 문자와 이미지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알수 있듯이 문자와 이미지는 절대적인 이분법으로 설명할 수 없다. 주지하다시피 이항 대립적 사유의위험은 대상들 간의 차이를 위계적으로 보고, 우위를 차지하는 쪽에서 폭력적 계층질서를 만든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새로운 기초조형으로서 문자와 이미지는 이제 ‘(문자)이미지’, ‘(이미지)문자’라는 ‘이중성’, ‘동시성’의 방식으로 재사유해야 한다. 특히 시각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의 기본요소는 문자와이미지다. 따라서 타이포그래피 연구과 교육 역시 이중성과 동시성을 기반으로 한 인문학적 연구로 진행되어야 하며 언어학, 예술, 철학, 역사학 등 다학제적으로 확장되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선형 탐촉자에서 관심 시각 영역 변화에 따른 화질 분석

        박지나,한재복,곽종길,송종남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7

        Since a linear transducer has an area of ​​interest equal to the length of the transducer, the area of ​​interest can be expanded using the virtual convex function installed in the device.However, it was thought that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ultrasonic sound veloc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visual area of ​​interest would affect the image quality, so this was objectively confirmed. For this study, image evaluation and SNR·CNR of the phantom for ultrasound quality control were measured. As a result, in the phantom image evaluation, both images were able to identify structures in functional resolution, grayscale, and dynamic rang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ndard image was excellent in the reproducibility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structure. As a result of SNRㆍCNR evaluation, SNRㆍCNR of most trapezoidal images was low, except for structures at specific locations. In addition,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graph, it was further confirmed that the SNR and CNR for each depth decreased as the size of the cystic structure decrease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func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wide visual area of ​​interest, but it has an effect on the image quality. Therefore, when using the virtual convex function, it is judged that the examiner should use it in an appropriate situation and conduct various studies to acquire high-quality images an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proficiency of the equipment. 선형 탐촉자는 탐촉자의 길이만큼의 관심 영역을 갖기 때문에 장비에 탑재된 virtual convex 기능을 사용하여 관심 영역을 확장 시킬 수 있다. 하지만 관심 시각 영역의 변화에 따라 초음파 음속 방향의 변화로 인해 화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 이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음파 정도 관리용 팬텀의 영상 평가와 SNRㆍCN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팬텀 영상 평가에서는 두 영상 모두 기능적 분해능, 회색조 및 동적 범위에서 모두 구조물 식별이 가능했다. 하지만 구조물의 크기와 형태 재현성에는 Standard 영상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NRㆍCNR 평가결과, 특정 위치의 구조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Trapezoidal 영상의 SNRㆍCNR이 낮았다. 또한, 통계 분석 그래프를 통해 낭성 구조물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깊이별 SNR과 CNR이 감소하는 것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사용이 넓은 관심 시각 영역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화질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Virtual Convex 기능사용 시 검사자는 이를 적절한 상황에 사용하고 질 높은 영상 획득과 장비의 이해도와 숙련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조형(造形)개념 수용의 역사 : 조형에서 디자인까지

        박지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This study is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the word, ‘Johyung(조형)’ in modern Korea. The research attempts to borrow the constellation method that finds new meanings by connecting and reconstructing terms translated into historical and national contexts in the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cceptance process of ‘Johyung’ and expand its meaning.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cepts of ‘Johyung’ and examine the usage of ‘Johyung’ used in Korea before the modern period. In addition,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Johyung’ is examined by tracing the usage of terms surrounding ‘Misul’ coined in the Meiji period. As a result, ‘Johyung’ comes from ‘Bildende Künste’, a concept formed in Germany in the 19th century. However, after Bauhaus was introduced to Japan, its meaning was changed into ‘Gestaltung’. The term ‘Johyung’ cannot be properly translated. This is because Korean modernity is a ‘triple-translated modernity’ in the West, China, and Japa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clearly only with translation. Rather, reading it as a cultural translation that pays attention to ‘difference’ between cultures would be appropriate to understand ‘Johyung’ today. Even if cultural translation already includes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the conside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anguages through the acceptance of conceptual words becomes the history of modernity itself. Hence,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of each era as a humanities. All the processes of this reasoning could provide a clue for solving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term ‘Johyung’ today. 본 연구는 조형(造形)용어를 근대기 한국에서 개념어 수용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으로 ‘조형’의 수용과정을 재검토하고 의미를 확장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문헌들에서 시대적 상황 또는 국가적 맥락으로 번역된 용어들을 언표로 연결하고 재구성해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는 성좌적 글쓰기 방법을 차용하였다. 연구내용은 먼저 ‘조형’의 개념과 어원과 문화별로 달라지는 어휘들을 찾아보고, 근대기 이전 한국에서 쓰인 ‘조형(造形)’의 초기 용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조형’ 개념 수용의 역사를 19세기 개항기의 일본에서 서구문화를 수용하면서 나타난 메이지기 신조어 ‘미술’ 을 둘러싼 용어들의 용례들을 추적하며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메이지기(1868-1912) 일본을 경유해 한국으로 수용된 ‘조형(bildende Künste)’은 19세기에 독일에서 형성된 개념으로 형상으로제작하는 것을 넘어 구성하고 이야기를 담는 과정과 활동, 인간문화에서 구체적인 예술작품의 결과물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회화, 조각, 건축, 공예, 디자인을 아우름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이쇼기(1912-1926) 바우하우스가 일본에 소개된 이후 ‘조형’의 의미가 ‘gestaltung’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근대기의 용어들이 혼용되거나 명확한 의미에 닿지 않고 미끄러지는 이유는 한국의 근대가 서구, 중국, 일본 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삼중 번역된 근대(triple-translated modernity)’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 간의 ‘등가성’에 맞춘 번역으로는 명확한 의미파악이 어렵고, 오히려 문화 간의 차이에 주목하는 ‘문화번역’으로 읽어내는 것이 오늘날 ‘조형’을 파악하는 방법일 것이다. 물론 문화번역이‘번역불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개념어 수용에서 나타난 근대어 성립에 대한 과정을고찰하는 것은 곧 근대 자체의 역사 연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근대번역어들의 수용사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각 시대마다의 사회, 문화,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인문학적 연구방법이 요청된다. 이와같은 추론과정은 오늘날 ‘조형’ 용어를 둘러싼 문제들을 풀어가기 위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