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세나 ( Sae Na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0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관련 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48명의 현직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보육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연령, 경력, 직위, 연수경험, 그리고 의사결정에 참여정도에 따라 보육효능감이 집단간 차이를 보였고, 경력, 보수, 직위, 연수경험, 담당유아수, 동료장학정도, 원장조언정도, 그리고 본인 참여정도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보육효능감, 본인참여정도, 그리고 보수가 직무만족도를 가장 많이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eachers` efficacy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a relation between efficacy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248 inservice teachers in edu-care centers completed about Efficacy for Child Care and Teaching(ECCT), and job satisfaction questionari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ge``, ``year of experience``, ``status in working place``, ``amount of inservic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f working place``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in efficac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econdly, ``year of experience``, ``teacher`s salary``, ``status in working place``, ``amount of inservice education``,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ir classroom``, ``relationship with other teacher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f working place``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in job satisfaction. Finally, ``teachers` efficacy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f working place``, and ``teacher`s salary``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근골격계 질환 실태 및 교육적 지원 요구

        이세나(Sae Na Lee),김남연(Nam Yun Kim)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근골격계 질환 실태와 이를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한 교육적 지원 요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는 근골격계 통증으로 불편감을 느끼며 ‘허리’ 통증을 가장 많이 겪고 있었다. 보육교사는 통증이 ‘1일-1주일 미만’으로 지속되며, 중간 정도의 통증을 2-3개월에 한 번씩 경험하는데, 이 때 병원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는 업무 중 허리 굽히기와 무릎 꿇기가 근골격계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는 신체건강관리에 대해 관심은 있지만 스트레칭이나 운동은 하지 않았고 정보 부족으로 근골격계 질환 교육을 받아보지 못했다고 하였다. 셋째,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교육이 마련될 것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 교육이 접근하기 쉬우며 운동 중심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 및 관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childcare teachers and identify their educational need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7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findings revealed several key points. Firstly, childcare teachers frequently experienced discomfort and musculoskeletal pain, particularly in their ‘backs’. The duration of pain varied; it persisted for “less than one day to one week”, and moderate pain once every 2-3 months, at which time hospital treatment was required. Second, childcare teachers respondents attributed their musculoskeletal pain to bending and kneeling. It was found that despite childcare teachers’ interest in physical health management, they reported a lack of engagement in stretching or exercise and an absence of education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Third, the participants requested a clear need for education regard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Lastly, childcare teachers expected that education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would be easy to access and would be conducted as exercis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for childcare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동작교육 관련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불안과 동작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이세나 ( Sae Na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동작교육 경험에 따른 동작교수불안과 동작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들의 동작교수불안과 동작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80명을 대상으로 동작교육 경험, 동작교수불안, 동작교수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t -test, F -test,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동작교육 관련 교과목을 두 과목 이상 이수하고, 정규 교육과정 외 유아동작교육 교과목 이수한 경험이 있고, 동작 관련 취미활동을 하고, 동작교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은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들보다 동작교수불안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동작교육 관련 교과목을 두 과목 이상 이수하고, 정규 교육과정 외 유아동작교육 교과목 이수한 경험이 있고, 동작 관련 취미활동을 하고, 동작교육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동작교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은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들 보다 동작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동작교육 관련 이수 교과목 수는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불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동작교육 자격증, 교육과정 외 동작교육 과목 수강 경험, 그리고 동작교과에 대한 인식정도는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vement teaching anxiety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based on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movement education and examined the variable that influence on their movement teaching anxiety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The subjects were 28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to colleges in Gyeonggi are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about experiences related to movement education, movement teaching anxiety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vement teaching anxiety according as number of school subjects about movement education, informal curriculum subjects, hobbies relation to movement, and perception of movement education subjec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according as number of school subjects about movement education, informal curriculum subjects, hobbies relation to movement, certificate of movement education, and perception of movement education subjects. Third, number of school subjects was found to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movement teaching anxiety. Also certificate of movement education, informal curriculum subjects and perception of movement education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팀 학습활동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갈등수준이 갈등관리유형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세나 ( Lee Sae Na ),김남연 ( Kim Namy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이 팀 학습활동에서 경험하는 갈등수준이 이들의 갈등관리유형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학년과 3학년 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내용은 팀 내 갈등, 갈등관리유형, 정의적 학습효과(자기주도학습역량,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에 관한 것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신뢰도, 타당도,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측정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역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팀 학습활동에서 갈등수준이 높아질수록 예비유아교사들은 회피적인 갈등관리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갈등수준은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협력적 갈등해결유형은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피적 갈등해결유형은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자기효능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flict on the style of conflict resolution and leaning effects in pre-service teachers` team learning activity. Subjects were 243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which were located in Gyeonggi-do. Pre-service teac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onflict in team, style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 solving, and self-efficacy.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WIN 18.0 and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roposed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model showed good fit indices. The higher level of conflict, pre-service teachers used an avoidant style of conflict resolu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f conflict on pre-service teacher`s problem solving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cooperative style of conflict resolu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bility of self directed learning and self-efficacy, but avoidant style of conflict resolu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bility of self directed learning and self-efficacy.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