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공질규소 PL의 온도의존성 해석

        이기원,박선화,김영유,안은준 公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4 自然科學硏究 Vol.11 No.-

        본 연구에서는 다공질규소의 온도를 상온에서부터 10K까지 감소시키면서 PL스펙트럼을 측정하여 PL의 온도의존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Lee가 제안한 세 가지 발광원인에 대한 에너지띠구조 모형을 도입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 다공질규소 PL의 온도의존성은 Lee가 제안한 세 가지 발광원인이 규소화합물에 의한 발광, 계면에서의 발광, 양자구속효과에 의한 발광이라고 할 때 만족하게 설명되었다.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emperature dependence of phot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porous silicon in temperature ranges from room temperature to 10K. the results, we analyzed it introduce electronic band structures suggest by Lee et al. It is about that three different luminescence origins. From results, we found that temperature dependence of porous silicon photoluminescence were explained properly when electronic band structure of three different luminescence origins is based on the chemical model and the interface region model and the quantum confinement model.

      • KCI등재

        치아 교환기 어린이에서 근단변위부분층 판막술을 이용한 하악 거대 협소대의 위치

        이성룡,오유향,이난영,이창섭,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영구치의 맹출 지연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다. 유치의 만기 잔존과 조기 상실, 과잉치나 치아종과 같은 이형물의 존재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경조직 인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치은 판개 조직(opercula)과 같은 상부 치은 조직의 섬유성 비후나 소대의 과증식과 같은 연조직성 인자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영구치의 맹출 지연시의 공간의 상실 및 영구치의 비정상적인 맹출, 그리고 그에 따른 치열궁의 비대칭과 같은 교정적 문제와 대합치의 정출 등에 의한 교합적인 문제등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에 진단하여 처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12세 남자 아이가 충치가 많고 치아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주소로 내원하여 진단한 결과, 하악 좌측 소구치들이 맹출하지 못하고 매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인은 맹출 공간이 부족하였고 동시에 거대 협소대가 치아의 맹출을 방해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대한 처치로 우선 공간을 획득하고 난 후, 부착치은의 회복과 맹출 촉진을 위해 근단변위부분층 판막술을 시행하였다. The mandibular buccal frenum becomes a problem when its attachment is too close to the marginal gingival. Heavy buccal frenum mucogingivally results in insufficient attached gingiva, inadequate vestibular depth and also difficulty in eruption of mandibular premol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apically positioned partial-thickness flap as adequate mothod in order to remove heavy buccal frenum and expose impacted teeth. The author presents the case of a 12-year-old boy. He had problems that was prolonged eruption of #34, #35 due to high pull buccal frenum. After space regaining for normal eruption of #34, #35, we performed apically positioned partial-thickness flap on #34,35 area. As a results, we confirmed that eruption of #34, #35 has been processed normally. And vestibular depth, position of buccal frenum and width of attached gingival was within a normal range. Decrease in muscle pull, adequate width of attached gingiva and increased vestibular depth can be expected from this treatment.

      • KCI등재

        완속기시(Soft-start)광조사 방식이 복합레진의 중합 및 수축응력에 미치는 효과

        위유민,오유향,이난영,이창섭,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할로겐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40초간 조사하여 복합레진을 중합한 경우와 플라즈마 광중합기를 이용한 고강도의 중합 및 완속기시 중합 방식, 그리고 LED 광중합기를 이용한 통법의 중합과 완속기시 중합 방식으로 복합레진을 중합하여 발생되는 수축응력을 비교하고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중합도를 평가하였다. 내경 7mm, 외경 10mm의 아크릴릭 주형을 제작하고 외면에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 시킨 뒤 각각의 광원에 따른 중합모드로 광중합 하였다. 광조사 시점부터 1초 간격으로 600초간 수축응력을 측정하였으며, 중합 24시간 후 각 군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수축응력 측정 후 시편을 종단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레진수복물과 아크릴릭 주형 계면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플라즈마 광과 LED 광원의 완속기시 중합방식은 각각의 기본 중합방식에 비해 중함 10분 후에 수축응력 감소를 보였다(P<0.05). 2.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플라즈마 광이 가장 낮은 수축응력을 보였으나 미세경도 또한 가장 낮았다(P<0.05). 3.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LED 광중합은 기존의 할로겐 광과 LED 광중합 방법에 비하여 낮은 수축응력을 보였다(P<0.05). 4. 완속기시 중하장식의 LED 광으로 조사한 시편의 미세경도는 단일광도로 조사한 할로겐 광과 LED 광중합과 비교하여 유의할만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5. 기존의 할로겐 장과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LED로 중합한 시편이 플라즈마 광과 단일강도의 LED로 조사한 군보다 더 나은 번연봉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oft-start light curing on contraction stress and hardness of composite resin. Composite resin mold was cured using the one-step continuous curing method with three difference light sources; conventional halogen light curing for 40 seconds at 400 mw/㎠, plasma arc light curing for 6 seconds at 1300 mW/㎠ and LED light curing for 10 seconds at 700 mW/㎠. For the soft-start curing method 2 seconds light exposure at 650 mW/㎠ followed by 3 seconds at 1300 mW/㎠ and exponential increase with 5 seconds followed by 10 seconds at 700 mW/㎠ were used. Contraction stress was measured using strain gauge method and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24 hours after polymerization at the top and bottom of specimens. Resin-acrylic interfaces were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 scope(SEM).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ontraction stresses at 10 min after polymeriza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the soft-start curing both in plasma and LED light sources(P<0.05). 2. Plasma light curing with soft-start resulted in not only the lowest contraction stress, but also the lowest hardness (P<0.05). 3. LED light curing with soft-start showed lower contraction stress than the one-step continuous halogen and LED light curing(P<0.05). 4. Micro hardness of specimens cured by LED light with soft-start was equivalent to that of cured by the one-step continuous halogen and LED light(P>0.05). 5. Curing by LED light with soft-start and conventional halogen light resulted in better marginal sealing than plasma light and one-step LED light curing.

      • CaTi_(0.8)Si_(0.2)O₃:Pr 형광체의 발광 및 장잔광특성에 미치는 Al₂O₃의 영향

        이영기,이유기 위덕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1 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Vol.5 No.1

        공부활제인 Al_(2)O_(3)의 농도를 0~0.125 mol%까지 변화시킨 CaTi_(0.8)si_(0.2)O_(3):Pr 형광체를 97%N_(2)+3%H_(2)의 환원성분위기에서 고상반응법으로 제조한 후, Al_(2)O_(3)의 첨가량에 따른 결정특성과 장잔광 축광재료로서 가장 중요한 발광특정과 장잔광특성을 조사하였다. CaTi_(0.8)Si_(0.2)O_(3):Pr계 형광체는 Al_(2)O_(3)의 농도에 무관하게 최대 발광파장은 적색의 613nm파장을 최대 발광파장으로 하는 발광스펙트럼을 나타내었으나, 0.05 mol%의 A1_(2)O_(3) 농도에서 최적의 발광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aTi_(0.8)Si(0.2)_(O3):Pr 형광체의 잔광강도는 Al_(2)O_(3)가 첨가됨에 따라 잔광강도의 증가가 관찰되었을 뿐, 잔광감쇠속도에 대한 Al_(2)O_(3)의 농도 변화 는 커다란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 KCI등재
      • 건축의 공간론적 접근과 미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이용재,최영재,유재득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03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patial approach and aesthetic analysis in architecture since modern period. The essential meaning of architecture requires to be approached with empirical factors which has influences on architects, that is its intrinsic specialty of scientific practicality and aesthetic aspects. Especially when the peculiarities of architecture is understood with the view considering it as an art, it will be the concept of the space. Now, the study on architecture can be started with the aesthetic attitude which recognized it as the art of the space. It is on the premise of the change of the aesthetic recognition in architecture that its essence and central concept are in the space, its function and forms, and aesthetical embodiment. It is not until the late 19th century that the concept of the architectural space has been adapted and it has been changed showing various aspects through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refore the periodical scope of this study is defin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until now.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s per the above mentioned purpose and intentions are as follows ; The structure of the architectural space expressed as per the aesthetic recognition of the space shows the transforming aspects from the Enclosed Spatial Structure to the Topological Spatial Structure. And the aesthetic cognition viewpoint of the architectural spaces is classified as the objective speculating aesthetics where the subjects' transcendental cognition is developed subjectively as well as individually, and the objective empirical aesthetics in which the subjects' experience is working objectively and logically.

      • 위장관을 침범한 Henoch-Sch o¨nlein purpura 1예

        이승곤,김채규,서종옥,이호영,이호준,정회상,박유환,정춘해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96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1 No.2

        Henoch-Scho¨nlein purpura(H-S purpura) is a systemic necrotizing vasculitis of small vessels that is characterized by nonthrombocytopenic palpable purpura on the buttocks and extremities, arthritis of knees and ankles, glomerulonephritis, and colicky abdominal pain, histologically characterized by leukocytoclastic vasculitis.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with colicky abdominal pain and GI bleeding, most frequently in jejunum and ileum, occurs in above a half of all patients, but common in children. We performed GI endoscopy in a case of H-S Purpura. Gastroduodenoscopic findings showed erythemas and erosions in gastric antrum, and mucosal edema and petechiae in duodenal 2nd portion. Colonoscopic findings showed 5-10㎜ sized multiple shallow hemorrhagic ulcers in transverse and descending colons We report a case of H-S purpura involving colon with literatural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