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구조-청유문 종결형식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이유기 한국사상문화학회 2005 韓國思想과 文化 Vol.30 No.-

        There are ‘-tsa, -tsako, -tsak’una, -ɨpsita, -se, -tɨrako’ in final forms of propositive in Korean. In this article I wished to research the formation process of them and explain the character of their pragmatic function. ‘-tsa’ was formed from middle Korean ‘-tsjə’ which was declarative sentence final form, therefore ‘-tsa’ is baisically attributed to ‘hae’ level final ending, so-called ‘panmal’ level. The morpheme ‘-ko’ in ‘-tsako’ is the same morpheme with ‘-ku’ in ‘-tsak’una’, and it is considered to exclamative final form. The sentence final form which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to the formation of ‘-tsak’una’ is ‘-tsjatkoja’. If it is true, the structure of ‘-tsak’una’ could be described to ‘tsa+s+ku+ɨna’. The final forms ‘-ɨpsita’ is formed from ‘-ʌpsaita’, and it can be descrived to ‘ɨp+sa+ɨi+ta’. The ending ‘-se’ is formed by the deletion of ‘-ta’ from ‘-saita’, and can be described to ‘sa+ɨi’.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ɨrako’ clear. I suggest it could be formed from ‘-otʌjjə/otɨjjə’ in 16th Korean. 이 글에서는 청유문 고유의 종결형식 ‘-자, -자고, -자꾸나’, ‘-읍시다’, ‘-세’, ‘-드라고’의 형성 과정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공시적 구조, 화용적 기능의 특징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언어는 역사적 변화의 산물이므로 공시태의 기술에서도 통시태를 외면할 수 없다.‘-자’는 중세국어의 서술문 종결형식 ‘-져’에서 발달한 것으로서, ‘-어’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자’는 기본적으로는 해체(이른바 반말체) 종결어미이다. ‘-자고’의 ‘-고'는 ‘-자꾸나’의 ‘-구’와 동일한 것으로서, 감탄 종결어미로 보인다. 감탄 종결어미 ‘-고’의 존재는 강조되어야 할 사실이다. ‘-자꾸나’의 형성에 밀접한 영향을 끼친 것은 ‘-?Y고야’라고 생각되는데, 그렇다면 ‘-자꾸나’의 구조는 ‘-자+ㅅ+구(감탄 종결어미)+으나(보조사)’로 이해된다. ‘-읍시다’는 ‘-사이다’의 발달형으로서, ‘읍+사+으이+다’로 분석된다. 이 중 ‘-사-’는 [청자의 참여 요구]를 나타내는 청유법 표지로 보이고, ‘-으이-’는 청자 존대 표지이다. 현대국어 청자 존대 표지 ‘-으이-’가 외면당하고 있는 것은 음운 축약에 따른 문자의 환영(graphic illusion)에 불과하다. ‘-세’는 ‘-사이다’에서 종결어미 ‘-다’가 탈락함으로써 이루어진 종결형식으로서, ‘사+으이’의 구조로 기술할 수 있다. ‘-세’의 형성 과정에 따른다면, ‘-새’로 표기하는 것이 더 옳았을 터인데, ‘ㅐ’가 ‘ㅅ’에 동화되어 전설모음화한 ‘ㅔ’로 실현되는 현실이 표기법에 반영된 것이라 생각된다. ‘-세’가 하게체를 담당하게 된 것은 종결어미로 재구조화한 ‘-으이’ 때문이다. ‘-드라고’는 16세기의 명령 종결형식 ‘-오여/오듸여’에서 발달한 종결형식으로 보인다.

      • KCI등재

        현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언표내적 효력

        이유기 한국사상문화학회 2005 韓國思想과 文化 Vol.28 No.-

        Sentence types is the category of sub-types of utterences those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peaker’s demmanding contents, namely illocutionary forces. So it must be classified by differences of the pragmatic function. The sub-categories of Sentence types in Korean is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Propositive. In Declarative speaker demands to hearer the recognition of proposition. In Interrogative speaker demands to hearer the response in language. In Imperative speaker demands to hearer the response in behavior. In Propositive speaker demands to hearer the recognition of speaker’s will of behavior and hearer’s response in behavior. Many scholars establish Exclamations, Promissive and Permissive. But Exclamations and Promissive are sub-categories of Declarative, and Permissive is sub-categories of Imperative. 문체법은 화자가 청자에게 요구하는 내용의 차이, 즉 언표내적 효력의 차이에 따라 대립하는 하위 문장 유형을 아우르는 범주이다. 그러므로 그 하위 분류 역시 이러한 화용적 기능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국어의 문체법은 서술법⋅의문법⋅명령법⋅청유법 네 종류이며, 서술법은 ‘명제 내용의 사실성에 대한 인지’를 의문법은 ‘언어적 반응’을, 명령법은 ‘명제 내용의 실행’을, 청유법은 ‘명제 내용에 대한 화자(話者)의 실행 의지에 대한 인지’와 ‘청자의 실행’을 청자에게 요구한다. 감탄문⋅약속문⋅허락문을 인정하는 연구자가 많다. 그러나 감탄문과 약속문은 서술문의 하위 범주이고, 허락문은 명령문의 하위 범주이다. 감탄문이 나타내는 화자의 주관적 태도는 명제 내용에 대한 것으로서, 양태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약속문은 ‘인지’를 요구한다는 점에서는 서술문의 범주에 속한다. 다만 인지의 대상이 ‘화자의 행위’인데, 그 대상까지 세분하여 문체법을 결정할 수는 없다. 허락문은 보통의 명령문과 달리 청자가 행위 의지를 갖고 있을 때에 한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허락문도 ‘행위’를 요구하므로 일반적인 명령문에서 독립시키기 어렵다.

      • SCOPUSKCI등재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제조된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박막의 미세구조와 전기적 특성

        이유기,박종완,Lee, Yu-Gi,Park, Jong-Wan 한국재료학회 1996 한국재료학회지 Vol.6 No.2

        경제적이고 단순성의 공정특성을 갖는 닥터 블레이드법을 이용하여 평판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고체전해질용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박막을 제조하였다. 슬러리의 최적 제조조건과 그린 필름의 최적 소성조건을 얻었으며, 이 제조 조건에서 제조된 전해질의 결정구조, 미세구조 그리고 전기적 성질을 각각 X-선 회절, 주사전자현미경 그리고 교류 임피던스 분석기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동량의 8mol% 이트리아를 첨가한 경우,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제조된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크니아 박막은 금형가압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펠렛과 거의 비슷한 전기전도도를 나타내었다.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제조된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크니아 박막의 경우, 8mol%이트리아를 첨가한 경우의 전도도가 3mol%이트리아를 첨가한 경우 보다 993K 이상과 523K 8mol% 이트리아를 첨가한 경우의 전도도가 3mol%이트리아를 첨가한 경우의 전도도가 3mol%이트리아를 첨가한 경우 보다 993K이상과 523K이하의 온도에서는 더 높고, 523-933K사이의 온도구간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게다가, 모든 시편에 있어서 전체 전도도에 대한 벌크 전도도의 기여도에 대한 기여도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

        서정주의 시어에 대한 국어학적 해명

        이유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6 한국문학연구 Vol.0 No.52

        This paper explores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inguistics some special poetic terms and syntactic structures shown in Midang Seo Jeong-ju's poetry. As objects of this study, The terms are ‘ohirjə(오히려)’, ‘mahurɛgi dance(마후래기 춤)’, ‘tsane(자네)’, ‘k’ɨrida(끄리다)’, and ‘s’ɨida(쓰이다)’, and in the syntactic structures there are the genitive particle ‘e(에)’, the conjunctive-ending element ‘-mdza(-ㅁ자)’, and unique coherent structures. In Midang's poem, “Seonunsa Temple Valley Entrance(선운사 동구)”, ‘ohirjə(오히려)’ is often replaced by other poetic words such as ‘adzikto(아직도)’, ‘sibangdo(시방도)’, and ‘saɧgido(상기도)’. This has embarrassed many Korean literary researchers, but in fact, ‘ohirjə(오히려)’ used in Midang's poetry is a synonym for ‘adzikto(아직도)’. This fact can be distinctively confirmed in not only many historical data of Korean language but also Midang's other works(poetry & prose). For ‘mahurɛgi dance(마후래기 춤)’,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dance refers to a hat dance or a head shaking dance, diverging from ‘tshəjong dance(처용무)’. The third person pronoun ‘tsane(자네)’ is often found as an honorific expression in his poems. And this can be accessed to used as fairly conservative usage in aspect of the history of Korean. In addition, while ‘k’ɨrida(끄리다)’, the advanced verb form of ‘pskɨrida(리다)’, is seen to mean [bear], ‘s’ɨida(쓰이다)’ is [persist]. In Midang's poetry, the specific genitive particle ‘e(에)’ is frequently used in the place of common genitive particle ‘ɨj(의)’. The particle ‘e’(에) seems to derive from locative particles ‘et/ɛt(엣/앳)’ of Middle Korean or‎Modern Korean. In this respect, this paper suggests an appropriate method for interpreting ‘tshoronge bulpit(초롱에 불빛)’ which is one of most controversial poetic terms in Midang’s famous poem “Kwitshokto(귀촉도)”. The conjunctive-ending element ‘-mdza(-ㅁ자)’, having the meaning of [appointment], is thought as a combination of ‘-m-(-ㅁ-)’ and ‘-dza(-자)’ which refers to [speaker's desire]. Finally, as unique syntactic structures of “Getting dark twilight(저무는 황혼)” are analysed from the aspect of Korean linguistics, the accurate interpretive method is suggested. 이 글에서는 미당(未堂) 서정주(徐廷柱)의 시어 중 낱말과 문법 요소 몇 가지를 국어학적 관점에서 해명하였다. 낱말로는 ‘오히려, 마후래기 춤, 자네, 끄리다, 쓰이다’를, 문법 요소로는 관형격 조사로 쓰인 ‘에’, 종결어미 구조체 ‘-ㅁ자’(줌자) 및 문장 성분 간의 호응 구조 및 도치법을 대상으로 삼았다. 「선운사 동구」의 ‘오히려’는 ‘아직도, 시방도, 상기도’와 교체적으로 사용되어 문학 연구자들을 당혹스럽게 한 시어이지만, ‘오히려’는 ‘아직도’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 사실은 국어사 자료에서도 확인되고, 미당의 다른 글(시와 산문)에서도 확인된다. ‘마후래기 춤’은 처용무에서 분화한 것으로서, ‘모자를 쓰고 추는 춤’ 또는 ‘고개를 흔드는 춤’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자네’가 3인칭 높임 대명사로 쓰인 예가 발견되는데, 이는 국어사적 관점에서 볼 때 상당히 보수적인 용법을 보여 주는 사례이다. ‘끄리다’는 [품다, 안다]를 뜻하는 ‘리다’의 발달형이고, ‘쓰이다’는 [우기다]를 뜻하는 동사이다. 미당의 시에서는 일반적인 관형격 조사 ‘의’와는 구별되는, 또 하나의 관형격 조사 ‘에’가 보인다. 이 ‘에’는 중세국어나 근대국어의 처소 관형격 조사 ‘엣/앳’에서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롱에 불빛’(귀촉도)의 정확한 독법을 제시하였다. [약속]을 의미하는 종결어미 구조체 ‘-ㅁ자’는 [약속]의 ‘-ㅁ-’에 [화자의 바람]을 뜻하는 ‘-자’가 결합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끝으로 「저무는 황혼」의 독특한 통사 구조를 국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정확한 독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술문 종결형식의 변천 과정

        이유기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4

        이 글에서는 서술문 종결형식의 변천상을 주로 형태 구조의 측면에서 개 관하였다. 문장을 종결하는 요소는 몇 가지 부류로 나뉘는데, 이들을 ‘문장 종결소’ 라는 용어로써 포괄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네 부류의 서술문 종결소, 즉 서술문 고유의 종결 어미, 대우법 어미, 종결 보조사, 명사문 종결소를 설 정한 다음, 이를 토대로 서술문 종결형식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서술문 고유의 종결어미 중에서는 ‘-다/라, -고, -오마, -옴새’에 대하여 살 펴보았다. ‘-고’는 이른바 감탄문을 구성하였던 어미이고, ‘-오마, -옴새’는 약 속의 서술문에 쓰였던 종결어미이다. ‘-옴새’의 마지막 요소는 청자 높임의 ‘- 으이’이지만, 여기서는 ‘-오마’와 함께 묶었다. 대우법 표지이면서 서술문을요’ 등이 있는데, 이 글에서는 ‘-은뎌, -을쎠, -이녀’ 등의 구성 요소인 ‘여’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명사문 종결소는 명사문의 흔적을 유지하고 있는 종 결어미 ‘-으니, -으리’이다. 이 글에서 취한 형태소 분석의 태도는 공시적 통합관계와 계열관계의 제 약에 구애되지 않는 최대 분석의 방법이었다. 이 방법은 구조주의적 관점에 서는 부적절할 수 있지만, 최소 구성 요소의 동질성을 간결하게 기술하기 위 해서는 필요한 방법이다.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the shift process of the sentence final forms of declarative based on the morphemic structures. Since some final elements in sentences have been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I have proposed the elements should be called the term of ‘sentence final elements’. In order to analyze the sentence final elements, I have set up four categories in the sentence final elements of declarative which are the sentence final endings, the endings of hearer-honorific, the sentence final particles, and the sentence final elements of nominal sentences. Through the four categories, I have investigat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entence final forms of declarative. First, I have focused on the elements ‘-ta/ra, -ko, -oma, -omsɛ’’ of the sentence final endings. I have claimed that the element ‘-ko’ is the sentence final ending of exclamative, ‘-oma, -omsɛ’ are the elements of the declarative sentences which includes appointment meaning. Although the final element of ‘-omsɛ’ is ‘-ɨi’ of hearer-honorific, it has been combined with the element ‘-oma’ as same category. Second, there are the elements ‘-ə/a, -tsi, -ɨi, -so/o’ which include the hearer-honorific markers and endings of declarative and the sentence final particle, ‘jə’ or ‘jo.’ In this article, the ‘jə’ that is the constituent of ‘-ɨntjə, -ɨls'ə’ or ‘-it'ʌnjə’ was treated. Third, it is surveyed that the sentence final elements of nominal sentences are ‘-ɨni’ and ‘-ɨri’ with the nominal sentences’ trace. The method of the analysis of morpheme which has researched in this article is the ultimate analysis that is a loose affiliation of the syntagmatic relation and the constrains of paradigmatic synchronic. Though it is an inadequate method on the view of the structural linguistics,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homogeneity of the smallest constructive elements briefly.

      • 國民學校의 미디어敎育과 敎師의 미디어리터러시에 관한 硏究

        李有基 진주교육대학교 1993 論文集 Vol.37 No.-

        Today media education has became the important factor of the formal educ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Because the realities of our media education is very insufficient with relation to the disfunctions that nabs media ha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development of the comprehensive programs of media education and their enforcement are needed urgently, so this study aims to raise more positive concern to media education, to create climates rout media ed-ucation, and to plan progams for media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media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educational media 3. mass media's disfunctions 4. planning to create climates for media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5. the elementary teachers' views on media education 6. the media literacy of the elementary teachers 7. the teacher education for media education 8. planning to enforce media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Conclusively we have became to know that media education for teachers and pupils are urgent. In this study I Proposed suggestions for the activation of media education as follows. 1. the positive acquisition of the informations for media education 2. the interests and support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the evforcement of curriculum of media education 3. the expansion of media education 3. the expansion of teacher education for media education 4. media programmers' effort to eliminate uneducational contents 5. the consciousneas of teachers and pupi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