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선일 ( Sun Il Choi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3 No.-
본 논문은 황해남도 배천 강서사에서 옮겨와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영철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보살상은 십여 년 전에 명부전 내 봉안된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의 복장 조사를 계기를 통하여 조성발원문을 비롯한 복장물이 조사되었다. 조성발원문에는 제작시기와 조각승 등이 적혀 있어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발원문에 의하면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은 1649년에 의순이 증명(證明)을 맡고, 영철과 운혜 등이 제작하였다. 이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영철은 수화승 수연과 1634년에 전북 옥구 보천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익산 숭림사 명부전 봉안), 1636년에 부화승으로 강화 전등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1639년에 부화승으로 전북 남원 풍국사 목조삼세불좌상(예산 수덕사 대웅전 봉안)을 조성하였다. 따라서 1630년대 수연이 수화승으로 제작한 불상에 부화승으로 참여한 것을 보면 당시에 조각승으로 명성과 최고의 기량을 지녔던 시기로 추정할 수 있다. 그는 1649년에 수화승으로 배천 강서사에서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을 제작하여 이제까지 밝혀진 활동 시기가 1634년부터 1649년까지이다. 목조지장보살좌상은 높이 101센티미터 되는 중형보살상으로, 민머리의 성문비구형(聲聞比丘形)이다. 지장보살은 상체를 앞으로 약간 내밀고, 불신(佛身)과 따로 제작된 양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수인은 조선후기 제작된 석가불(釋迦佛)을 제외한 대부분의 여래와 보살 등이 공통적으로 취하고 있다. 지장보살은 각이 진 얼굴에 가늘게 뜬 눈, 원통형의 코, 미소를 머금은 입을 가지고 있다. 착의법은 두꺼운 대의 안쪽에 편삼(扁衫)을 입고, 대의자락의 한 가닥을 들어 올린 손목 뒤에 비스듬히 걸치고,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며, 왼쪽 어깨에 앞에서 넘어온 대의 자락이 길게 늘어져 있다. 하반신을 덮은 대의 끝자락이 S자형을 이루고, 세 번째 자락이 중앙으로 길게 늘어져 끝부분이 납작하게 접혀 있으며, 그 옆으로 파도가 일렁이듯 동일한 형태의 끝자락이 펼쳐져 있다. 대의 안쪽에 가슴을 가린 승각기(僧脚崎)는 수평으로 묶어 상단에 연판형의 주름이 접혀있다. 이와 같은 대의 처리는 1650년에 운혜가 제작한 전남 해남 서동사 목조삼세불좌상에서 볼 수 있다. 가슴을 덮은 승각기는 상단을 한 번 말아 도톰한 仰蓮形으로 표현되었다. 현재 배천 강서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여래좌상은 조선후기 전형적인 불상의 각진 방형 얼굴이 아니라 계란형으로 턱이 약간 뾰족하다. 특히, 가늘고 뾰족한 콧날과 좁은 인중 등의 표현은 조각승 사인이 1649년에 전북 순창 회문산 만일사에서 제작한 목조여래좌상(포천 동화사 봉안)과 가장 유사하다. 흥미로운 것은 영철과 사인이 1639년에 조각승 수연과 함께 남원 풍국사 목조삼세불좌상(예산 수덕사 봉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강서사 대웅전 봉안 목조여래좌상의 상반신에 걸친 大衣가 오른쪽 어깨에 걸쳐 짧게 늘어져 있는 옷자락 표현은 사인, 영철, 운혜가 1650년 전후하여 제작한 불상에서 볼 수 있는 요소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조각승 영철이 속한 계보는 태전(-1600경-1615-)→수연(-1615-1639-)→성옥(-1619-1625-), 영철(-1634-1649-), 운혜(-1649-1680-), 경림(-1665-1680-) 등으로 이어진다. 또한 영철과 그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불상을 만든 지역은 강화 전등사, 배천 강서사, 서천 봉서사, 김제 금산사, 옥구 보천사, 남원 풍국사, 나주 쌍계사, 해남 서동사, 장성 백양사 약사암, 곡성 도림사, 화순 쌍봉사, 순천 동화사, 고흥 능가사로 서해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곳이라 이들이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for wood seated ksitigarbha, enshrined at Seoul Hwagyesa, which was moved from Beachoen Kangseosa and a monk sculptor, Youngchoel. About 10 years ago, the votive inscrips for the Hwagyes Myeongbujeon Buddhist sculptures were found. This votive inscription for Myeongbujeon Buddhist sculptures provides critical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late Late Joseon dynasty`s Buddhist sculpture`s stylistic transition. This votive inscription shows that Youngcheol and Unhye took charge of this project. And Uisoon worked together as a Jeungmyeong. Who usually takes this position, is required to understand detailed Buddhist ritual processes, so this person watched whether or not sculptors carve a properform of Buddhist sculptures. As a monk sculptor school, Youngcheol participated in various Buddhist sculptures rendering projects. In 1634, Youngcheo and his teacher Suyoun made wood seated ksitigarbha in Okgu Bocheonsa in North Jeonla Province(enshrined at Sunglimsa Myeongbujeon in Iksan) and in 1636, as a second leader, he took a charge for Namwon Pungkuksa Sakyamuni triad(enshrined at Suduksa Deaunjeon in Yesan). These project with Suyoun revealed that Youncheol had famous reputation and great skill for sculptures. Kangseosa wood seated ksitigarbha is mid size image, whose height is 101cm. Its upper body is slightly bended, and two hands are separately carved. The hand position for this sculpture is that its two thumbs and middle fingers are attached. This hand form is the most common in the late Joseon dynasty`s Buddhist sculptures. This ksitigarbha have a squared face, slightly open eyes, cylinder shape nose, and compressed mouth. The garment drapery patterns for this sculpture are displayed by several lines. For this paper, I can present Suyeon monk sculpture school`s pedigree: Taejeon(actively engaged in 1600-1615), Suyeon(-1615-1639-), Seongok(-1619-1625-), Youngchol(01364-1649), Unhye(-1649-1680-), Gyeongim(-1665-1680-). In addition, most of temples, enshrining Youngchoel School`s Buddhist sculpture, are located in coast line of west see-Kanghwa Jeondeungsa, Beacheon Kangseosa, Soecheon Bongseosa, Kimje Geumsansa, Okgu Bochoensa, Namwon Pungkuksa, Naju Ssanggyesa, Haenam Seodongsa, Jangsung Beakyangsa Yaksaam, Goksung Dolimsa, Hwasoon Ssangbongsa, Suncheon Donghwasa, Goheun Neunggasa etc. As a result, Youngchoel School seems to cultivate this area for their sculpture projects.
진용(眞容)의 유산(遺産): 청(淸) 건륭제(乾隆帝)의 오대산(五臺山) 옮기기
최선아 ( Sun Ah Choi ) 중국사학회 2015 中國史硏究 Vol.94 No.-
This paper examines Emperor Qianlong (r. 1736-1796)’s reception of the Manjusri statue at Shuxiang si of Mount Wutai and his rationale behind the replication of it at Baoxiang si in Xiangshan (1761) and Shuxiang si in Chengde (1774). It begins by following questions: why did Qianlong commission a replication of Shuxiang si at Xiangshan in 1761 as a way of translating Mount Wutai? Why did he decide to replicate Mount Wutai again in spite of the presence of Baodi si which he commissioned ten years ago for the same purpose? Why did he newly focus on the Manjusri statue at Shuxiang si in around 1761, although he already knew about it? By answering these question, I first of all investigate the logic behind the transposition of the sacred place by Qianlong, based on J.Z. Smith’s theory on the metonymical and metaphorical projects. I argue that the two projects were employed by Qianlong in the most effective way, under the rubic of bu’er, or no difference. Second, I propose that the notion of zhenrong, or true image was significant in Qianlong’s re-appreciation of the Manjusri statue at Shuxiang si, which was regarded as the true image of the bodhisattva. By comparing his attitude toward the Luohan painting by Guanxiuone of the famous true images in Chinese tradition-with that toward the true image of bodhisattva Manjusri at Shuxiang si, I demonstrate that what Qianlong attempted was to shape himself as the one who could not only recognize and possess zhen, but also correct and reshape it. Finally, I highlight that the notion of zhen embedded in the Shuxiang si statue was essential in Qianlong’s scheme of visually revealing his identification as the bodhisattva Manjusri. By transgressing the conceptual boundaries between zhen and its representations, he effectively conflated replicas of the true image at Xiang shan and Chengde with himself.
언어 영재 판별도구로서의 읽기 메타인지 검사의 타당성 탐색
최선일(Sun Ill Choi),진석언(Su kun Ji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3
본 연구는 중학교 언어 영재 학생과 수학ㆍ과학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들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언어 영재 학생들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이 수학ㆍ과학 및 일반학생들과 다르다는 것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반 학생 132명, 수ㆍ과학 영재 102명, 언어영재 69명에게 Mokhari & Rechard(2002)의 읽기 메타인지 검사지(MARSI: Metacognitive Awards of Reading Strategies Inventory)를 활용하여 읽기 메타인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읽기 메타인지는 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들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언어 영재학생은 수학ㆍ 과학 영재학생들의 읽기 메타인지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메타인지의 하위 영역인 총체적 읽기 전략은 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들보다 우수하였으나, 언어 영재학생과 수학ㆍ과학 영재학생들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문제해결전략과 지원읽기 전략은 영재학생들의 일반학생들에 비해 우수 하였을 뿐만 아니라 언어 영재학생들이 수학ㆍ과학 영재학생들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읽기 메타인지 검사는 언어 영재학생들을 판별하기 위한 도구로써 고려해 볼 수 있으며, 같은 영재집단 안에서도 언어 영재학생들이 읽기 메타인지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볼 때, 읽기 메타인지를 활용할 수 있는 별도의 언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ing the values of reading megacognition as tools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ampled 301 students, which consisted of generan students,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and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s. MARSI(Metacognitive Awards of Reading Strategies Inventory) by Mokhari & Rechard(2002) was implemented to thes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were superior to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s, as well as to general students, in terms of reading metacognition. When these three groups were compared in three sub-areas of reading metacognitive, whice are glabal reading strategies,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support reading strategies,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were better than general students in all three areas. On the other hand, gifted students in language were better than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s in two areas of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support reading strategies, but not in the area of glabal reading strategies. This implies that measuring reading metacognition can be a valid method to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의 염증반응에서 자초(紫草)의 항염증 효과
최선복 ( Sun Bok Choi ),배기상 ( Gi Sang Bae ),조일주 ( Il Joo Jo ),박경철 ( Kyoung Chel Park ),서승희 ( Seung Hee Seo ),김동구 ( Dong Goo Kim ),신준연 ( Joon Yeon Shin ),곽태신 ( Tae Sin Gwak ),이정현 ( Jung Hyun Lee ),이금산 ( G 대한본초학회 2013 大韓本草學會誌 Vol.28 No.2
Objective: Lithospermum Erythrorhizon (LE) has been used as an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gent. However, it is unclear that LE aqueous extract could show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in RAW 264.7ce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 from LE on lipopolysaccharide (LPS) - 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Methods: To measure out the cytotoxicity of LE, we performed the MTT assay.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 we examined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a, interleukin, (IL)-1β and (IL)-6) on RAW 264.7 cells. We also examined molecular mechanisms such a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nuclear factor-B (NF-κB) activation by western blot. Results : Aqueous Extract from LE itself did not have any cytotoxic effect in RAW 264.7 cells. Aqueous extract from LE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s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NF-a, IL-1β and IL-6 in RAW 264.7cells. In addition, LE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p38 kinases (p38), c-Jun NH2-terminal kinase (JNK), and NF-κ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Conclusion : LE down-regulated LPS-induced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through the inhibition of p38, JNK and NF-κB activ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could provide the evidence for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 Therefore, LE may be a novel target in the management of inflammation and help to support a potential strategy for prevention and therapy of inflamm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