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질 환경 분야PW-06 : 농업용 양수저수지의 영양상태 및 수질오염유형 분류

        최선화 ( Sun Hwa Choi ),김해도 ( Hae Do Kim ),김동환 ( Dong Hwan Kim ),이태호 ( Tae Ho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우리나라에는 자연적으로 집수할 수 있는 직접유역이 매우 작아서 인근에 있는 강이나 하천, 또는 농경배수로 등에서 물을 양수하여 필요한 저수량을 확보하는 양수저수지로 강화도 및 전라남도 서남해안 간척지를 중심으로 전국에 약 250여개 분포하고 있다. 양수저수지는 대부분 하류지역 하천이나 농경배수로에서 물을 양수하여 농업용수 저수지를 채우고 있다. 특히, 농경배수로에서 물을 양수하는 경우에는 농지에 공급된 물이 농경배수로에서 저수지로 그리고 다시 농지와 농경배수로를 거쳐 저수지로 양수되어 반복 재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반복 농업용수로 사용되면서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호 내에 누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양수저수지는 대부분 평균수심이 4m 이하로 수체가 작아 수질이 악화될 수 있는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7개의 양수저수지를 R,V.Vollenweir 영양상태 분류법과 한국형 부영양화지수법에 따라 각각 영양상태를 분류하였고, 호소의 물리적인자(유효저수량/만수만적)와 평균 COD값을 기준으로 한 호소의 오염유형분류법(한국 농어촌공사, 2002)에 따라 외부원인형, 내부원인형, 복합원인형, 일반관리형의 4종류로 분류하였다. R.V. Vollenweider의 호소 영양상태 구분법에 의해 분류한 결과 중영양호에는 길정저수지를 포함하여 10개소가, 중부영양호에는 고구, 길상2, 대산저수지 등을 포함하여 25개소가, 부영양호에는 중왕저수지와 구계저수지 2개소가 해당하였다. 한국형 부영양화 평가지수에 의한 분류결과 중영양호에는 길정저수지를 포함하여 8개소가 속했고, 부영양호에는 길상2, 대상, 고구저수지를 포함하여 양수저수지 대부분이 포함되었다. 과영양에는 중왕, 덕촌저수지 2개소가 해당하였다. 이러한 결과 로부터 양수저수지는 대부분이 중부영양호 또는 부영양호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7개의 양수저수지를 외부원인형, 내부원인형, 복합원인형, 일반관리형의 4종류로 분류한 결과, 외부원인형은 저수지 내부의 구조적인 원인보다는 배수로 및 하천의 오염된 물이 유입되어 호소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저수지로서, 난정, 창림저수지가 해당되며, 내부원인형은 저수지의 수심이 얕고 물이 정체되어 조류발생, 수생식물 고사 등으로 수질오염이 심화되는 경우와 퇴적물로부터의 오염물질 용출에 의해 오염이 심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내부원인형은 강화도에 위치한 길상저수지 등 12개소가 해당하였다. 내부원인과 외부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수질오염을 심화시키는 복합원인형은 고구, 대산 등 13개소가 해당되었으며, 이러한 저수지는 준설 등을 통한 체적증가, 물순환 및 산소주입에 의한 호내 산소량 증가 등의 호 내 대책과 함께 유입수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관리형은 현재의 수질이 농업용수 수질기준을 만족하는 호소로서 길정 저수지 등 10개소가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로렌스의 유령 이야기: 「국경선」과 「유쾌한 유령들」을 중심으로

        최선령 ( Sun Ryoung Choi ) 한국로렌스학회 2012 D.H. 로렌스 연구 Vol.20 No.3

        Focusing on "The Border-Line" and "Glad Ghosts", this paper aims to examine and reevaluate D. H. Lawrence`s ghost stories that have attracted relatively little critical attention. Lawrence`s ghost stories were written in the late phase of his literary career when the images of death were frequent in his short stories. Two overlapping backgrounds are behind this: the First World War was synonymous with death, and the devastated post world-war European countries were all engulfed by the tide of death; and around the same time, suffering from tuberculosis, Lawrence had to face the shadow of death hung upon his own life. Lawrence`s ghost stories were also inspired by the English ghost story tradition which achieved great popularity between 1850 and 1930. However, Lawrence radically deconstructed the fundamental hypothesis of this genre where the ambiguity of the ghost, that is, whether it really exists or it`s just a symptomatic phenomena of an unsettled and disturbed psyche, plays an pivotal role in arousing tension and suspense. Most of Lawrentian ghosts return without giving fear or suspense and with the purpose of fulfilled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living people who expect and even waitfor their return. Both "The Border-Line" and "Glad Ghosts" partly fall a little short of the principles of successful short story such as condensed atmosphere, economy in narrative, dramatic climax, and final reversal. However, "The Border-Line" presents a new concept of ghost, and "Glad Ghosts" goes beyond the spirit-body dichotomy and continues to search for more complex layers in the meaning of the ghost. Creating a subtle "varied tone" in the narrative, and interweaving the ghost theme with other realistic or exotic motifs like class and swapping, "Glad Ghosts" is highly probably an attractive Lawrentian ghost story.

      • KCI등재
      • KCI등재

        김천 대휴사 목조보살좌상의 제작 시기와 조각승 연구

        최선일 ( Sun Il Choi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5 文物硏究 Vol.- No.27

        본 논문은 경상북도 김천시 대휴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삼존불좌상 가운데 목조협시보살을 제작한 하천 스님에 관한 연구이다. 이 보살상은 발견된 후령통을 싼 황초복자를 묶은 종이에 증명(證明), 수정(修淨)과 경전 내에 봉곡사(鳳谷寺)라는 묵서가 발견되었다. 현재 김천 봉곡사에 소장된 현판(懸板)중에는1730년 4월에 영산전에 봉안할 석가삼존불좌상과 나한상을 조각승[造工比丘]하천(夏天), 석준(碩俊 등이 제작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따라서 현재 대휴사에 남아 있는 목조보살좌상은 1730년에 조각승 하천이 제작한 삼존불 가운데 하나로, 손의 위치로 보아 좌협시보살인 미륵보살임을 알 수 있다. 이 보살상을 제작한 조각승 하천(夏天:-1703-1730-)은 17세기 후반에 태어나 수화승 색난과 1703년에 전남 구례 화엄사 각황전 목조삼세불.사보살상,1705년에 경남 하동 쌍계사 목조보현동자, 1707년에 전남 고흥 능가사 소조불상,1709년에 전남 고흥 금탑사 목조보살좌상(고흥 송광암 봉안)을 제작하였다. 그는 1720년에 수화승 일기와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을 개채하고, 수화승으로 1722년에 전남 장흥 보림사 능인전 삼존불상을 개금했으며, 1724년에 장흥 보림사 나한 상을 중수하였다. 또한 하천은 수화승으로 1726년에 전남 고흥 금탑사 북대암목조보살좌상(서울 지장암 봉안)과 1726년에 고흥 금탑사 문수암 목조보살좌상(고흥 송광암 봉안)을, 1727년에 대구 동구 동화사 대웅전 목조삼세불좌상을 제작하였다. 그 후 하천은 1730년에 김천 봉곡사 영산전 목조삼존불좌상(목조보살좌상 1구 대휴사 소장)과 경남 창녕 포교원 목조여래좌상을 제작하고, 고흥 금탑사 극락보전 미타삼존을 개금.중수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그의 활동 시기는1703년부터 1730년까지이다.목조보살좌상은 높이가 76.0㎝로, 조선후기에 제작된 접목식 중형보살상이다. 보살상은 상반신을 앞으로 조금 내밀어 자세가 구부정하다. 보관 안쪽에는 정수리 부분에 두 가닥으로 묶은 작고 단순한 형태의 보계(寶.)가 있고, 양 어깨에는 둥글게 말린 보발(寶髮)이 세 가닥으로 길게 늘어져 있다. 타원형 얼굴에 살짝 뜬 눈은 거의 일자형으로, 눈꼬리가 위로 약간 올라갔고, 삼각형의 코는 콧등이 평평하며, 입은 살짝 미소를 짓고 있다. 이 보살상은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보살상의 얼굴 생김새를 갖추고 있지만, 17세기 후반에 제작된 기년명 보살상보다 머리에 비해 어깨가 좁고, 하반신이 높게 제작되었다. 바깥에 걸친 대의는 오른쪽 어깨에 짧게 U자형으로 걸친 후, 팔꿈치와 복부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반대쪽 대의는 왼쪽 어깨를 완전히 덮고 내려와 복부에서 오른쪽 어깨를 덮은편삼과 겹쳐져 있다. 하반신의 대의 처리는 중앙에 한 가닥이 길게 늘어져 끝단이 반원형으로 길게 늘어지고, 좌우로 대의자락이 두 가닥 접혀서 흘러내리고 있다. 또한 왼쪽 소매 자락은 연판형으로 무릎을 완전히 덮고 있다. 이와 같은 하반신에 걸친 대의 처리는 17세기 후반에 호남에서 활동한 조각승 색난이 제작한 목조보살좌상에서 볼 수 있는 요소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조각승 하천은 색난(色難), 일기(一機)→하천(夏天), 필영(弼英), 석준(碩俊)→성찬(成澯), 종혜(宗慧), 굉척(宏陟) 등으로 이어지는 18세기 대표적인 조각승 계보에 속하는 스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monk sculptor Hacheon, who made Wooden seated Bodhisattva enshrined main hall of Gimcheon Daehyusa at Gyeongsangbukdo province. A dedicative inscription "Juengmyeong(證 明) Sujeong(修淨)" on the sealed Yellow Fabric of Sealing Huryeongtong (黃梢幅子) and "Bonggoksa(鳳谷寺)" on the Sutra installed inside a statue were revealed. Bonggoksa has a wooden tablet written a inscription which shows monk sculptor Hacheon(夏天), Seokjun(碩俊) made a triad seated Buddha and Arahant. Monk sculptor Hacheon, born in late 17th century, participated in various Buddhist sculptures rendering projects. Hacheon and leader sculptor Seaknan(色難) made Wooden seated triad Buddha and four Bodhisattva enshrined at Gurye Hwaeomsa Gakhwangjeon in 1703, Wooden Samantabhadra at Hadong Ssanggyesa in 1706, molding clay of Buddha at Jeonnam Goheung Neunggasa in 1707, Wooden Bodhisattva at Jeonnam Goheung Geumtapsa in 1709. Following leader sculptor Ilgi(一機), he participated paint mending progect at Suncheon Songgwangsa in 1720. Then he took charge of gold mending project at Jaheung Borimsa Neunginjeon in 1722 and reparing Arhats at Jaheung Borimsa. Also, as a leader sculptor, he made two Wooden seated Bodhisattva at Goheung Geumtapsa Bukdaeam(now enshrining at Seoul Jijangam) and Munsuam (now enshrining Goheung Songgwangam) in 1726, Wooden seat triad Buddha at Deagu Donghwasa Deawungjeon in 1727. Furthermore, he produced Wooden seat triad Buddha at Gimcheon Bonggoksa in 1730(now one Bodhisattva enshrining at Gincheon Daehyusa), Wooden seated Buddha at Chnagnyeong Dharma Propagation Center(布敎堂) in 1727 and took charge of reparing triad Amitabha . His activity period turned out so far is from in 1703 to in 1730. Wood seated Bodhisattva, whose height is 76.0cm and grafted mid-size statue. Its upper body is slightly bended forward. This Bodhisattva has an oval face, slightly open and slant upward eyes, triangular shape nose, and quiet smile. It has typical features of made late Joseon dyanasty Bodhisattva, but narrow shoulder for head and high knees for body. The shape of garment drapery is simplified by several lines. The features of Garment drapery like this sculptor is similar with buddha sculptor made by monk sculptor Saeknan working in late 17th century. For this paper, I can present that Hacheon belonged to monk sculpture school``s pedigree: Saeknan(色難), Ilgi(一機) → Hacheon(夏天), Pilyeong (弼英), Seokjun(碩俊), Seongchan(成澯), Jonghye(宗慧), Geongcheok(宏陟).

      • KCI등재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무천년왕국에 대한 해석학적 쟁점(계 20:1-7)

        최선범(Sun-Bum Joseph Choi)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3 신약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interpretation of amillennialism mainly based on Revelation 20:1-7 with reference to the inner-contextual relation to the Book of Revelation. Having stated several issues for deciding reality of the millennial kingdom, this paper provides the hermeneutical bases of the amillennial perspectives. First of all, Revelation 20:1-7 should be interpreted symbolically, rather than literally. John employs numeral symbols such as 666 for the reality of anti-Christ and 7 for representing the power of the lamb, as well as the Holy Spirit. The chain and abyss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etaphor for restrictions of the dragon. Secondly, the millennial kingdom begins with the ministry of Christ, including death and resurrection by the first coming of Christ rather than the second coming of Christ. The parousia, which is hardly identified as parousia, may have occurred at the final judgment day(cf. 16:6; 19:11-22; 20:7-10). The Christ event of first coming caused war between the dragon and the church; as well as to establish the kingdom of Christ. On one hand, Revelation 12 depicts the reality of the dragon who fell down by defeat in the cosmological heavenly war. On the other hand, Revelation 20 focuses on the same defeat of thedragon by the metaphor of binding with a big chain and restriction in the abyss. Thirdly, the millennial kingdom is the present reality, realized in the life of the church rather than the future reality after the second coming of Christ. The restriction of dragon in the abyss is a signal of millennial kingdom(20:3). There is shockingly no activity of the dragon, except chapter 12, in the Book of Revelation. John se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at is reined by the power of Christ and at the same time persecuted by the beasts. Fourthly, Revelation 20:1-7, only states that the base of millennial kingdom should be treated as a new unit which redescribes the life of church before the final judgment and saving day by the second coming of Christ. Καὶ εἶδον (and I saw) is a literary device that refers to a switch over of the other aspect of the same visional event. The large context of Revelation 16- 20 shows the recapitulation of the final war between the army of Christ and the dragon(16:6; 19:11-22; 20:7-10). Before the last eschatological battle takes place, the dragon is already put into the temporary prison so called the abyss. Fifth, the millennial kingdom manifests the reality of heavenly aspects rather thanearthly aspects. In Revelation 20, the dragon is bound and directly put into the abyss.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 millennial kingdom is literally established on the earth. The martyrs who sit on their thrones in the heavenly temple court function as a mirror that shows both the present suffering reality of the earthly church and the future glorious reality of the eternal kingdom. Finally, the aorist active verb ἔζησαν(they lived) does not give any clear indication of the general resurrection or bodily resurrection. John only mentions the first resurrection for the life of the martyrs in the heavenly temple. If all human beings participate in the second resurrection as bodily transformation in the eternal kingdom, the first resurrection must be understood as a spiritual or symbolic resurrection appeared in the heavenly vision.

      • KCI등재

        Effects of Chungkookjang Extract on Growth Hormone Secretion from GH3 Mouse Pituitary Cell and Growth Hormone Receptor Signaling Pathway

        Sun Il Choi(최선일),Ji Eun Kim(김지은),In Sik Hwang(황인식),Hye Ryun Lee(이혜련),Young Ju Lee(이영주),Hong Joo Son(손홍주),Dong Seob Kim(김동섭),Kyu Min Park(박규민),Dae Youn Hwang(황대연)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9

        뇌하수체 전엽에서 성장호르몬의 생산과 분비는 세포의 분열과 분화 그리고 이동을 조절하는 몇 가지 천연물질에 의해 유도된다. 따라서 발효과정을 통해 제조된 청국장이 성장호르몬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성장호르몬 분비능과 반응성을 뇌하수체 세포와 성장호르몬 표적세포에서 관찰하였다. 6가지 종류의 콩 품종으로 제조된 청국장 추출물 중에서, 대원, 대풍, 태광의 3종류 청국장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GH3 세포로부터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였다. 비록 세포 생존능은 이러한 추출물에 의해 유의적인 변화가 유도되지 않았으나, 성장호르몬의 분비량은 청국장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성장호르몬의 표적 기관으로부터 유래된 MG63과 HepG2 세포는 GH3로부터 수집된 조건적 배양액에 의해 유의적으로 활성화되었다. 또한 이러한 세포에서 STAT5 발현은 대원 청국장 추출물을 처리 후, 15분 혹은 30분부터 세포질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STAT5는 핵에서 30분 혹은 60분부터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3가지 종류의 청국장 추출물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며, 청국장의 조건적 배양액은 성장호르몬 표적세포에서 신호전달을 유도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oduction and secretion of growth hormone (GH) in the anterior pituitary gland can be induced by several natural products to control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To investigate whether Chungkookjang (CKJ) produced by the fermentation process affects GH-related metabolism, the secretion and the response of GH were observed in pituitary cells and GH target cells. Among six CKJs manufactured by different strains of glycine max, only three CKJs, including Daewon (DW), Daepung (DP), and Taegwang (TG), induced GH secretion from GH3 cells at 5.0 mg/ml concentr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detected in the viability of any of the cells treated with these CKJ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GH secretion from the GH3 cells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the three types of CKJs. The proliferation of cell lines, including MG63 and HepG2 cells, that originated from those derived from the GH target organs was significantly activated by treatment with the GH-containing conditional medium (GCM) harvested from the three CKJ-treated GH3 cells, although their induction rate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se cells, p-STAT5 was maximally translocated into the nucleus of MG63 cells 30 min after DW treatment, while it was translocated in HepG2 cells at 60 m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three types of CKJ could enhance the secretion of GH, as well as the GCM-derived response, in the two target organs.

      • KCI등재

        『한금신보』 (1724) 편찬자의 음악적 배경

        최선아 ( Sun A Choi ) 한국음악사학회 2013 한국음악사학보 Vol.51 No.-

        『한금신보』는 1724년 응천(凝川) 후인(後人)에 의해서 한립(韓笠 또는 韓立)의 악보를 토대로 편찬된 거문고보이다. 이 악보는 『금보신증가령』(1680)과 18세기 후반 『유예지』 사이의 거문고 음악의 변천을 밝혀주는 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는 거문고보로 주목되었다. 그러나 『한금신보』를 편찬한 응천 후인이 어떤 집안 출신이며, 어떤 역사적·사회적·음악적 배경을 가진 인물인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응천 후인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바탕으로 그의 집안을 찾고, 다음으로 그를 둘러싼 음악적 배경이 『한금신보』 편찬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응천 후인이 어렸을 때 거주한 수명정은 소북에 속한 박이서가 1616년 마포 강가에 창건한 정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박이서의 본관이 밀양 즉 응천이므로 응천 후인은 박이서의 후손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명정은 밀양 박씨 집안의 수신과 풍류의 공간이었는데, 응천 후인이 거문고 음악에 처음 뜻을 둔 장소이기도 하다. 그리고 수명정이 위치한 한강의 삼포는 17세기 후반에 거문고 연주가인 한립과 김성기의 음악활동의 장소이기도 하다. 응천 후인 집안은 당시의 정계에서 소외받던 소북임에도 불구하고 장악원 및 성균관의 음악을 관장한 관리를 계속해서 배출하였다. 이것은 악(樂)을 애호하는 집안의 분위기와 더불어 악(樂)의 중요성을 알고 항상 가까이 하며 직접 익히고자 노력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응천 후인이 『한금신보』를 편찬하면서 『악학궤범』을 상당량 인용할 수 있었던 점도 장악원 관리를 배출한 집안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 생각된다. 응천 후인의 선조인 박노는 당시 청나라 통으로 수년간 청나라를 다녀왔고, 청에서 들여온 서적을 집안에 소장하였다. 그래서 응천 후인은 『형천패편』과 『만보전서』의 음악 관련 기록을 『한금신보』에 직접 인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금신보』에는 이전의 악서와 거문고보에 수록된 금론 외에 다양한 중국의 악론과 금론까지 수용될 수 있었다. 한편 응천 후인은 『한금신보』를 편찬하면서 『양금신보』의 금론을 다수 인용하였다. 이것은 『양금신보』의 간행을 담당한 김두남과 박노의 음악적 교유가 있었고, 후대에 집안 간의 혼인으로 이어진 인맥을 통해서 응천 후인이 『양금신보』를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었고 인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까지 응천 후인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친필 자료가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재 밀양 박씨 충헌공파 집안의 문헌자료가 활발하게 정리·공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추세라면 『한금신보』는 응천 후인이 직접 작성한 친필본이기 때문에 친필 비교를 통해서 머지않아 응천 후인이 누구인지 분명하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