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 영재 판별도구로서의 읽기 메타인지 검사의 타당성 탐색

        최선일(Sun Ill Choi),진석언(Su kun Ji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3

        본 연구는 중학교 언어 영재 학생과 수학ㆍ과학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들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언어 영재 학생들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이 수학ㆍ과학 및 일반학생들과 다르다는 것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반 학생 132명, 수ㆍ과학 영재 102명, 언어영재 69명에게 Mokhari & Rechard(2002)의 읽기 메타인지 검사지(MARSI: Metacognitive Awards of Reading Strategies Inventory)를 활용하여 읽기 메타인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읽기 메타인지는 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들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언어 영재학생은 수학ㆍ 과학 영재학생들의 읽기 메타인지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메타인지의 하위 영역인 총체적 읽기 전략은 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들보다 우수하였으나, 언어 영재학생과 수학ㆍ과학 영재학생들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문제해결전략과 지원읽기 전략은 영재학생들의 일반학생들에 비해 우수 하였을 뿐만 아니라 언어 영재학생들이 수학ㆍ과학 영재학생들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읽기 메타인지 검사는 언어 영재학생들을 판별하기 위한 도구로써 고려해 볼 수 있으며, 같은 영재집단 안에서도 언어 영재학생들이 읽기 메타인지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볼 때, 읽기 메타인지를 활용할 수 있는 별도의 언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ing the values of reading megacognition as tools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ampled 301 students, which consisted of generan students,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and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s. MARSI(Metacognitive Awards of Reading Strategies Inventory) by Mokhari & Rechard(2002) was implemented to thes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were superior to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s, as well as to general students, in terms of reading metacognition. When these three groups were compared in three sub-areas of reading metacognitive, whice are glabal reading strategies,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support reading strategies,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were better than general students in all three areas. On the other hand, gifted students in language were better than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s in two areas of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support reading strategies, but not in the area of glabal reading strategies. This implies that measuring reading metacognition can be a valid method to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 KCI등재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와 대인관계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최선일(Sun Ill Choi),차주환(Ju Hwan Cha)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와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영재학생 206명, 일반학생 220명 등 총 426명을 대상으로 다차원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FMPS),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척도, 한국판 대인관계 유능성 질문지(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를 실시하였다. 검사 실시 후,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변인들에 대한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중학교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와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재중학생과 일반중학생 간에는 완벽주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유능성 모든 면에서 영재중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재중학생은 일반중학생에 비해 적응적 완벽주의 뿐만 아니라 부적응적 완벽주의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 특징적이었다. 매개효과의 분석에서 영재학생은 적응적 완벽주의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는 자아정체감이 부분매개 하였고,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는 자아정체감이 완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학생의 경우에는 적응적 완벽주의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는 자아정체감이 부분 매개하였으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대인관계 영향을 미칠 때는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학생들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과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interpersonal skills in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how self-identity has a mediated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For this study, 206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220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totaling 426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received higher scores in the factors of perfectionism, self-identity, and interpersonal skills than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Compared to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lso received higher scores in adaptive perfectionism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An analysis of the mediated effect revealed that when adaptive perfectionism had an influence on interpersonal skills i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self-identity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Moreover, when maladaptive perfectionism had an influence on interpersonal skills i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self-identity had a full mediated effec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analysis revealed that when adaptive perfectionism had an influence on interpersonal skills, self-identity only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however, when maladaptive perfectionism had an influence on interpersonal skills, self-identity had no mediated effect. It is hope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study, further discussions will take place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on appropriate methods of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gifted students.

      • KCI등재

        세종 · 정조 영재성의 실증적 고찰 및 비교

        최선일(Sun Ill Choi),이은영(Eun Young Lee),류숙열(Sook Ryeol Rhyou)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뛰어난 군주이자 영재로 보편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세종대왕과 정조의 영재성에 대한 실증적 자료들을 분석하여 영재로써의 세종과 정조를 비교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현대 영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함이다. 연구를 위하여 조선왕조실록, 홍재전서, 악학궤범, 보한재집, 훈민정음 등 1차 사료를 직접 번역한 번역본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되, 세종과 정조의 영재성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자료를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Renzulli(1978)와 Gardner(1999)의 영재성에 대한 정의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종과 정조 모두 일반 지적 능력, 과제집착력, 언어 지능, 음악 지능, 창의성, 대인 관계 지능 등에서 우수한 영재성을 나타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과 정조의 영재성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비교 · 고찰해 볼 때, 언어 지능에서 세종은 언어학적으로, 정조는 언어 활용과 창작에서 우수하였고, 음악 지능에서 세종은 음악 창작에서, 정조는 음악 시스템 구축에서 우수한 영재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세종이 우수한 발명을 위한 창의성을 소유하고 있었다면, 정조는 빼어난 신체 운동지능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의 사회적 · 문화적 ·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한 영재교육의 다각적인 방향성 모색을 위하여 세종과 정조의 양육방식의 차이, 민족에 따른 가정에서의 양육방식의 차이, 세종의 창의성 및 정조의 회복탄력성, 평범한 환경에서 살았던 영재들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irical data in order to compare the natural giftednes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both of whom have been universally recognized as respected kings and figures of natural intelligence. Additional objectives considered the implications and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 for gifted education today. The primary data for this research was collected through ancient literary works written during the dynastie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HongjaeJeonSeo, the AkHakGweBeom, the BoHanJaeJip and the HunMinJeongEum. From these works, the focus was narrowed down to specific data that directly mentioned the natural giftednes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The aforemention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definition of giftedness inspired by a combination of definitions from Renzulli (1978) and Gardner(1999).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both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demonstrated outstanding giftedness in general intellectual ability, task commitment,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creativity,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Particularly, in the area of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King Sejong excelled linguistically, while King Jeongjo demonstrated specific excellence in the use and creation of language. In the area of musical intelligence, King Sejong excelled specifically in musical creation, while King Jeongjo excelled in the construction of musical systems. The biggest difference, however, between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is that King Sejong demonstrated brilliant creativity as an inventor, while King Jeongjo demonstrated superb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in order to seek a multilateral directional approach to gifted education considering our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specificity, as in the parenting style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the difference in parenting styles in different families based on ethnicity, King Sejong’s creativity, King Jeongjo’s resilience, and the gifted people that lived in a normal environment.

      • KCI등재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멘토 양성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이승진(Seungjin Lee),정현민(Hyunmin Jung),최선일(Sun Ill Choi)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지원을 위한 교사 멘토 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예술영재 멘토 교사로서의 핵심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지원을 위한 교사 멘토 양성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멘토 역량에 대한 정의와 개념 및 하위 요인들을 분석하고, 도출된 멘토 역량의 하위 요인들 중 공통된 요인들을 유목화하여 문항 구성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은 다시 델파이(Delphi) 분석과 심층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수정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수정된 문항으로 초·중·고등학교 현직교사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예술영재 멘토 교사 역량 진단도구 문항을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멘토양성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언하기 위해 교사들의 학교급별, 성별, 교직경력별, 예술 관련 교과 전공 유무별, 예술 관련 전공 분야별, 영재교육 경험 유무별, 영재교육 경험교사 중 예술 영재교육 경험 유무별로 역량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변인에 따른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is a preliminary study develop teacher -mentor training programs to support disadvantaged gifted in arts. For this purpose, analyzed the definitions, concepts and subfactors of mentor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previous extracted common factors and items . The items of the mentor competency assessment questionnaire were modified through Delphi analysis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43 elementary , middle and high schoo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mentor competency assessment questionnaire was finalized . Lastly, to suggest the mentor training programs , inspected differences between teacher group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 gender , teaching career, major, experience gifted education.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