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의 일본사신 영접 절차와 의례적 특징

        최희준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5

        Silla had their own reception ceremonies for welcoming Japanese envoys. To list these procedures of the reception in order, when the Japanese envoys arrived at the port of Ch'ŏng Province (Ch'ŏngju 菁州), their arrival was reported to Silla’s king. If the envoys’ entrance to the capital (王京) was decided, Reception Envoy (Yŏnyŏngsa 延迎使) was sent to Ch'ŏng Province and the envoy will lead the Japanese envoys to the capital. When the Japanese envoys reached to the outskirt of the capital (郊), there was welcome ceremony at the outskirt (Kyoyŏng 郊迎). Later, the envoys stayed in the guesthouse within the capital, while Silla received the state document and state-letter from Japanese emperor. In this procedure, Silla’s king sent officials in the rank of Sop'an (蘇判) or Ich'an (伊湌) to proceed the ceremony; this shows a distinct difference from the ceremony to receive the Tang emperor’s state document, since Silla’s king received the document in person. The reason Silla had a distinction in ceremonies was that they adopted the courtesy between a suzerain and vassal state’ to the Tang dynasty, while they had the ‘courtesy for a neighboring country’ to Japan. Afterward, the Japanese envoys was granted an audience with Silla’s king in the main hall, and received Silla’s return gifts before their return to Japan. At this procedure, instead of writing a reply to the Japanese state letter, Silla’s king let the Japanese envoys listen to his verbal answer and report it to Japan; this attitude was Silla’s diplomatic policy against Japan’s unilateral and continuous demands to Silla’s submission of memorial from since the eighth century, whereas maintain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 impartial courtesy. During the Japanese envoys’ stay, Silla held parties several times for them. Accomplishing their mission after these procedures, the Japanese envoys were on their way to their homeland with the guidance and escort from Silla’s emissaries the king appointed, taking the above procedures in reverse order. 본 논문은 신라가 자국을 방문한 일본사신을 어떠한 영접 절차에 따라서 맞이하였고, 그 속에 내포된 의례상의 특징은 무엇이었는지를 구명한 결과물이다. 신라는 일본사신들을 영접하기 위한 나름의 체계화된 영접의례를 갖추고 있었는데, 이를 영접의 절차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사신이 선박을 이용하여 신라의 邊關 浦口에 내착하면, 그 사실이 신라국왕에게 보고되었다. 신라국왕이 일본사신의 입경을 결정하면 사신이 대기하고 있던 내착지로 延迎使를 파견하여 王京까지 호위・인솔해 왔다. 사신이 郊에 이르면 郊迎을 베풀고 왕경 내 객관에 안치시킨 다음, 일본천황의 國書와 國信을 전달받았다. 이때 신라국왕은 蘇判이나 伊湌의 관등을 지닌 신하를 보내 의식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당황제의 국서를 신라국왕이 직접 전달받았던 점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신라가 이 같은 영접의례 상의 차이를 둔 까닭은 당에 대해서는 ‘君臣의 禮’를 취한 반면, 일본에 대해서는 그 보다 격을 낮춰 ‘交隣의 禮’를 취했기 때문이었다. 이후 신라국왕은 일본사신을 正殿으로 불러 접견하였고, 일본사신의 귀국 전에 신라 측의 答禮品을 전달하였다. 이때 신라국왕은 答書를 작성해 전달하는 대신 일본사신에게 자신의 답변을 청취한 뒤 귀국 후 口頭로 그 내용을 보고하도록 하였다. 이는 지속적으로 ‘表文’을 요구한 일본 측의 일방적 요구에 대응하여 亢禮를 유지하면서 관계를 지속하기 위한 신라의 외교적 방책이었다. 일본사신의 체류 기간 동안 신라에서는 연회를 베풀었고, 이상의 과정을 거쳐 임무를 모두 완수한 일본사신은 신라국왕이 임명한 사자의 호위와 인솔을 받으며 입경의 역순으로 귀국길에 올랐다.

      • KCI등재

        신라 진평왕대 對隋 외교와 請兵

        정덕기(Jung, Duk-gi)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2

        신라-수 외교는 신라-남북조 외교에서 신라-당 외교로의 이행과정에 해당하며, 학술·문화 교류를 주요 목적으로 시작해 ‘對隋 請兵 外交’로 발달하였다. 579년부터 593년까지 중국 정세는 급변하나, 신라는 이에 반응하지 않았다. 이 기간에 삼국 항쟁은 일시적인 소강기를 맞이했기 때문이다. 신라는 594년에 對隋 外交를 개시하였다. 신라의 대수 외교는 Ⅰ기(594~604년)·Ⅱ기(605~617년)로 구분된다. Ⅰ기에 신라의 사신 파견 빈도 증대·정기화가 이루어졌고, 유학승・사신의 연계가 강화되었다. Ⅰ기는 대수 외교의 효과가 목적을 견인하며, 정기 사행을 촉진한 시기이다. Ⅱ기는 신라의 請兵 및 국제적 위상 증대가 나타난 시기이다. 신라는 수에 請兵하고, 고-수 전쟁을 이용해 실리를 취했다. 수는 신라가 고-수 전쟁에 협조했다고 인식하였고, 이로 인해 신라의 국제적 위상이 대폭 증대되었다. 신라의 ‘對隋 請兵 外交’는 ‘對唐 請兵 外交’를 수행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신라-당 외교의 원형적 형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외교사적 의의가 있다. Silla"s diplomacy toward Sui is a part of the process of diplomatic transition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o Tang. It started with academic and cultural exchanges as the main purpose and developed into "request for troop diplomacy toward Sui (對隋 請兵 外交).“ From 579 to 593, the situation in China changed rapidly, but Silla did not react. This is because the war between the Three Kingdoms enters a temporary lull during this period. Silla started diplomatic relations with Sui in 594. The diplomatic development is characterized by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from 594 to 604, Silla"s dispatch of envoys increased and regularized. Also, the connection between envoys and priest studying abroad strengthened. The first phase was a period that a much greater effect of the diplomacy toward Sui invigorated dispatch of regular envoy. The second phase from 605 to 617 was the period when Silla enhanced its international status and increased the number of request for troop. Silla asked for a dispatch of troop and took advantage of Goguryeo-Sui War. Consequently, Sui regarded that Silla had cooperated in the war, which greatly increased Silla"s international status. Silla’s "request for troop diplomacy toward Sui" has diplomatic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a platform for Silla"s diplomatic principle and showed the original form of “request for troop diplomacy toward Tang (對唐請兵 外交).”

      • KCI등재

        6세기 신라의 가야지역 지배와 가야유민의 역할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본고는 신라의 가야지역 지배 과정에서 가야유민의 역할과 위상 변화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가야유민은 524~527년 사이에 신라가 금관국을 정복하면서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 지배세력은 아직 자치권을 유지했으나, 532년 仇亥王이 신라로 항복해 阿干支에 가까운 경위를 받았다. 금관국 내에서는 그의 친족이 구해의 식읍을 관리하고 지역세력과 신라의 관계를 조정했다. 일반 干層의 일부도 지방관의 업무에 협조했다. 금관국의 유민이 우대받은 배경은 이들이 자발적으로 항복한 점 외에도 5세기 이후 양국의 우호관계와 신라의 영향력에 있었다. 신라가 고구려의 압박과 백제와의 긴장에 대응하기 위해 남변을 안정시키려 했던 정책도 작용했다. 안라국에서는 친신라 세력과 가야 제국 및 백제, 왜와 연대하려는 세력이 대립했다. 후자는 560년경 신라의 안라국 정복으로 상당 부분 제거되었다. 관산성전투 후에 즉위한 대가야의 道設智王은 신라의 간섭을 거부하다가 562년 신라군의 정복으로 기존 嘉實王 세력과 함께 제거되었다. 반면 522년 異腦王과 신라 왕족 사이에 태어난 月光은 대가야인들을 회유하기 위한 상징적 인물이 되었다. 신라가 안라국과 대가야에서 강압정책을 구사한 것은 이들이 신라의 압력에 저항했기 때문이다. 백제가 관산성전투의 충격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집중했고 고구려가 대내외 문제의 해결에 골몰했던 것도 그 배경이 되었다. 이 기회에 신라는 옛 가야지역을 확실하게 장악하려 한 것이다. 565년 신라는 大耶州를 설치하여 내지의 지역지배체제를 가야유민에게 적극적으로 이식했다. 阿良村(함안)에는 邏頭가, 휘하의 노함촌・칠토에는 道使가 파견되어 外位의 협조를 받아 통치했다. 6세기 후반~말에는 성산산성이 구축되어 군치의 역할을 했다. 이를 위한 물자동원은 대부분 낙동강 중상류에서 이루어졌지만, 인근 가야유민의 노역이 적지 않게 동원되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적어도 591년까지 가야지역에서도 군・성(촌)이 편성되었다. 이로써 신라는 백제・고구려와 경쟁하기 위한 후방의 안전판을 마련했고, 가야지역에서 인적・물적 자원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 가야유민은 이제 신라의 공민으로 변화했다. This a rticle was written to investigate the role change of Gaya’s people in Silla’s domination of this region. When Geumgwan State collapsed between 524 and 527, the ruling forces still maintained their autonomy. King Guhae surrendered to Silla and was awarded Gyeongwi(京位) in 532. His relatives and common Gan(干)-class cooperated in the work of local official in the Geumgwan region. The reason why the ruling power of Geumgwan State were favored was that they voluntarily surrendered despite friendly relations with Silla since the 5th century. Silla’s efforts to cope with the tensions with Goguryeo and Baekje were also responsible. In Anra State, pro-Silla forces and pro-Gaya・Baekje・Wai(倭) ones were at odds with each other. The latter was removed in 560 when Silla conquered this state. In Daegaya(大加耶), which collapsed in 562, King Doseolji and the former King Gasil were removed. On the other hand, Wolgwang, who was born between King Inoi and Silla royalty, became a symbolic figure to appease the Daegaya people. Silla’s coercive policies in Anra State and Daegaya were made because these co untries resisted. This was also due to Baekje’s efforts to escape the shock of its defeat in the Battle of Guansan Castle and the fact that Goguryeo was bent on solving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n this occasion Silla a ttempted to dominate t he Gaya region strongly. Silla established Daeya Ju(州) to systematically control the people of Gaya in 565. Nadu(邏頭) was dispatched to Aryangchon(村), Dosa(道使) to Nohamchon and Chilto for ruling with the cooperation of Woewui(外位). Seongsan Fortress was constructed to become the center of Kun(郡)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nd of that. Most of the supplies were requisitioned in the upper-middle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but the labour force in the nearby Gaya region. In the end, Kun・Seong(城)(Chon村) were established in Gaya until 591. Silla secured a safety zone in the rear to compete with Baekje and Goguryeo, and gaineds tabl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Gaya region. The Gaya people changed into the citizen of Silla.

      • KCI등재

        애장왕・헌강왕대의 대일외교와 그 활용

        채미하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4

        These thesis is studying the records on envoys between Silla and Japan during king Aejang and king Heongang and their making use of it in the domestic politics. Japan during king Aejang dispatched envoys just after breaking nations’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In the third year of king Aejang, the reason Japan sent envoy to Silla is that they wanted to have assurance of safety in the sea and get help at their arrival in relation to Kyondangsa dispatch. King Aejang in his 2ndreigning year, tried to install a fake prince and send him to Japan as the envoy and in his fourth year, traded with Japan. King Aejang was active in relation with Japan because it was related to his opposition about China’s centered world order internationally. Domestically king Aejang made use of the diplomatic relation with Japan as one way to establish his direct ruling from Kim Unseong’s rule as regent. After beginning direct ruling, King Aejang held in check Tang and kept close relation with Japan. That is, when Tang’s Goaesa concurrent positioned Chekbongsa visited Silla in King Aejang ‘s 4thyear, they were treated poorly, but Japan’s envoy was greeted in Jowon-Jeon and treated hospitably in King Aejang’s 7thyear and 9thyear. And King Aejang tried to establish order internally and extenally through Binrye which was royal authority ceremony, and other various revolutionary politics helped King Aejang to have power centered around himself. In King Heongang’s period, the envoys between Silla and Japan visited each country. Japan’s envoy was sent in King Heongang 4thyear because pirates from Silla invaded Japan and there were worries of Silla’s invading Japan so Japan wanted to know the circumstances. At those days, Silla got through Hwangso’s uprising so they could not send envoys to Tang and also the politics were insecure internally and externally. King Heongang did ingyon the envoys at Jowon-jeon and tried to rid their worries and also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ternally and externally at those days through effects of the ceremony. And at King Heongang’s 8th and 9th year, Japan’s envoy visited again to know news from Tang which caused King Heongang sent envoys to Tang in those years and sent envoys to Japan in his 10th and 11thyear. The reason why around King Heongang’s 10thyear, the king sent envoys to those two countries was related to the king’s feeling of insecurity about the successor to the throne at his late ruling years. Therefore King Heongang colluded with Hyo’s mother in his 10thyear and Hyo became King Hyogong later, and also through his diplomatic relation with Tang and Japan around his 10thyear, he tried to achive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s well as stability of royal family. 본 논문은 애장왕대와 헌강왕대 신라와 일본의 사신 왕래 기사를 검토하고 애장왕과 헌강왕이 이것을 대내 정치에 활용한 측면을 생각해 본 것이다. 신라와 일본의 국교가 단절된 직후인 애장왕대 일본은 신라에 사신을 보낸다. 애장왕 3년 일본이 신라에 사신을 보낸 이유는 遣唐使 파견과 관련하여 신라로부터 해로의 안전을 보장받고 견당사가 漂着할 때 도움을 받고자 한 것이었다. 애장왕은 왕 2년에 假王子를 책봉하여 일본에 사신을 보내려고 하였고 왕 4년에는 일본과 ‘交聘’하였다. 애장왕이 대일본 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대외적으로는 당 중심의 세계 질서에 대한 반발과 관련있었다. 대내적으로는 김언승의 섭정을 받았던 애장왕이 攝政期에 親政 구축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대일본 외교를 활용하였다. 친정 이후에도 애장왕은 당을 견제하고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즉 왕 6년 신라에 온 당의 告哀使 겸 冊封使를 홀대하였지만, 왕 7년과 9년에 신라에 온 일본 사신은 朝元殿에서 引見하고 후대하였다. 그리고 애장왕은 왕권의례인 賓禮를 통해 대내외의 질서를 확립하려 하였고, 이와 연동되어 행해진 다양한 개혁정치는 애장왕에게 권력을 집중시켰다. 헌강왕대 역시 신라와 일본 사신은 왕래하였다. 헌강왕 4년 일본이 신라에 사신을 보낸 이유는 신라 해적의 침입과 신라가 침공한다는 우려가 팽배했기 때문에 그 사정을 알기 위해 온 것이라고 하였다. 당시 신라는 황소의 난으로 당에 사신을 보내지 못하였고 대내적으로는 정국이 불안정하였다. 헌강왕은 때마침 신라에 온 일본 사신을 조원전에서 인견함으로써 우선 일본의 우려를 불식시키려고 하였고, 의례가 지닌 기능을 통해 당시의 대내외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헌강왕 8년 일본 사신은 당의 소식을 알기 위해 신라에 왔는데, 헌강왕은 이를 계기로 왕 8년과 9년에 당에 사신을 보냈고 왕 10년과 11년에는 일본에도 사신을 파견하였다. 헌강왕 10년을 전후하여 헌강왕이 양국에 사신을 보낸 것은 헌강왕 후반기 왕위계승권자에 대한 불안감과 관련있다고 하였다. 이에 헌강왕은 왕 10년 觀獵에서 후일 효공왕이 되는 堯의 생모와 野合하였고, 왕 10년 전후 당과 일본과의 외교관계를 통해서는 왕권 강화와 왕실의 안정을 꾀하였다고 보았다.

      • KCI등재

        『구당서』의 王言과 신라의 문예

        張日圭(Chang, Il-gyu)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9

        이 글은 『구당서』 본기의 조서나 제서 등 당 황제의 왕언을 신라 국왕의 외교문서와 비교해 당 문예를 수용한 신라 문예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당의 왕언은 821년 이전 조서와 제서가 혼용되었던 반면, 821년 전후 조서와 제서는 칙서와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 특히 805년~846년, 888년~908년에는 활발하게 작성되어 반포되었다. 왕언은 황실 권위 신장과 국가 안정 염원을 담았다. 신라는 당과 외교 관계를 맺은 뒤 당의 제도 정비와 정책 시행을 꾸준히 주목했다. 신문왕 때 당시 전하는 시문을 모은 1천권 문관사림 중 규범에 해당하는 글을 모은 50권을 받았고, 성덕왕 때는 상문사를 통문박사로 개칭하고 서표의 임무를 전담시켰다. 또한 851년 편찬된 개벽~수나라 때까지 제왕의 美政과 詔令, 制置, 銅鹽錢穀 損益, 用兵, 僧道 등을 연대별로 수록한 300권 『통사』도 참고했다. 신라 왕실은 당과의 교류에서 당의 문물과 제도를 수용하고 당의 문예에 민감했다. 신라 문한관은 신라에 있거나 당의 국자감에 머물면서 여러 양식의 글이 담긴 『백씨장경집』 등 당 문인의 문집을 열람했고, 당 문인의 글이나 신라에 파견된 당 사절단, 또는 당 연회에 참석한 문무관과 교유하면서 유교 경전에 대한 이해는 물론 문장의 형식과 내용을 익혔다. 현재 전하는 당의 왕언과 신라의 표문을 비교하면, 형식의 통일성은 비슷하지만, 신라가 중화의 의관과 제도를 수용해 유풍을 품고 예악의 성행을 이룬 번국으로 조공의 임무를 다했음이 特記되었다. 당이나 신라는 당시 동아시아 문서의 보편적 구성, 보편적 문체를 염두에 두어 3단락 구성과 변려문체로 외교문서를 작성했다. 신라 말에 이르러서 신라의 문한관은 중국의 제후국 중에 신라가 가장 유사한 나라라고 자부하는 소중화적 자존의식을 가지고 신라 고유정서를 문예에 담고자 했다.

      • KCI등재

        660년 7월 백제와 신라의 황산벌 전투

        문동석(Moon, Dong-seok)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660년 7월에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은 13만 대군을 동원하여 백제를 멸망시켰다. 이 나당연합군 중 신라군의 주요한 역할이 무엇이었을까? 나당연합군은 7월 10일 백제 사비성 남쪽에서 만나기로 약속을 하였다. 그러나 신라군은 황산벌에서 백제군에게 막혀 약속 날짜를 어겨 7월 11일에 도착하였다. 이에 소정방은 약속한 날짜보다 늦게 도착한 신라군의 책임을 물어 督軍 김문영을 참수하려고 하였다. 왜 소정방은 신라의 주요한 장수 중 유독 김문영을 죽이려고 하였던 것일까? 이는 김문영이 독군이라는 관직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 동안 독군은 신라군의 전반을 감독하는 지휘관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중국 사서의 용례를 볼 때 ‘督軍’은 후한 광무제대에 처음 등장하여 군사지휘관이라는 뜻으로 통용되었으나 魏나라부터 督軍糧御史등과 같이 군수물자의 보급과 관련된 직무를 병기하면서 그 임무가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고려사》, 《고려사절요》를 보면 ‘독군’ 뒤에 양식 糧자가 공통적으로 붙어 있음으로 볼 때 김문영은 독군양어사일 가능성이 높다. 김문영을 포함한 신라군 5만은 13만 당나라군의 병참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 주요한 임무였을 것이다. 한편 신라군은 황산벌에서 백제군의 지연작전에 말려들어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 그 결과 약속한 날짜에 당나라군에게 보급품을 전달하지 못하였다. 군대가 약속 시간을 지키지 못하는 것은 죄가 크다. 따라서 신라군의 입장에서는 황산벌 전투가 얼마나 치열하였으며 어떻게 승리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정당화가 필요했다. 이를 위해 관창이 필요했다. 신라 왕실은 관창의 장렬한 죽음을 강조하기 위해 적장이었던 계백을 영웅화 했다. 백제 영웅 계백에 맞서 두 번의 싸움 끝에 장렬하게 죽은 관창, 이보다 더 극적인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In July 660, the allied forces between Silla and Tang Dynasty destroyed Baekje using a hundred-thirty thousand army. What was the major role of Silla troops among Silla-Tang allied forces? Silla-Tang allied forces promised to meet at the southern part of Sabi Castle, Baekje in July 10th, but Silla troops broke their promise and arrived in July 11thbecause Baekje tried to block the mat Hwangsanbeol. For that reason, Su Ding fang tried to be head Kimmunyoung to hold him responsible. Why SuDingfang at tempted to kill especially Kimmunyoung of all the main generals? That’s because Kimmunyoung was a ‘Tuchun’(督軍), one of a position in the government. In the meantime, Tuchun had been understood as a commander who supervised the whole Silla troops. To take an example from Chinese classics, the word ‘Tuchun’ first appeared during the era of Emperor Guangmu of the Later Han dynasty and used its meaning as a military commander, but it had also written as ‘Tuchun liang yushi’(督軍糧御史), a royal secret inspector who had a duty of military supplies and its duty had found a shape since Wei(魏). In 《Goryeosa》 and 《Goryeosa Jeolyo》, they both have the letter ‘liang’(糧) after ‘Tuchun’, and it mean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Kim munyoung was a ‘Tuchun liang yushi’. The major assignment of fifty thousand Silla troops include Kim munyoung would be supporting logistics to a hundred-thirty thousand Tang troops. Meanwhile, Silla troops entangled themselves in delaying operations by Baekje troops and fought a hard battle with them. As a result, Silla troops couldn’t deliver supplies to Tang troops. In the military, missing an appointment is a cardinal sin; so Silla troops needed to justify how fierce the Battle of Hwangsanbeol was and how they won. To do this, they needed Gwanchang- Silla Kingdom made a hero of Gyebaek, who was an enemy general from Baekje, to emphasize the glorious death of Gwanchang. ‘Gwanchang, who met a heroic death on the battlefield to fight against Gyeback twice’- it couldn’t have been more dramatic.

      • KCI등재

        異斯夫의 가야 침공과 伴跛의 逆襲

        서영교(Seo, Young-kyo) 신라사학회 2017 新羅史學報 Vol.0 No.40

        《日本書紀》 繼體紀를 보면 514년 3월 伴跛(=대가야 이하생략)가 성을 쌓고 일본을 대비하고 신라를 대대적으로 약탈했다고 한다. 앞서 백제에게 영토를 침탈당해 왔던 伴跛가 신라에 대한 보복성 공격을 한 것은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았고, 해결될 수 없는 문제였다. 여러 가지 대안과 해석이 나왔다. 먼저 시기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 사건을 16년 내려 《일본서기》 권17, 계체기 23년(529) 3월 是月조에 보이는 가라(=伴跛)와 신라의 혼인동맹 파기 이후의 일로 보기도 했다. 그 후 두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그러한 일이 벌어졌다고 보는 것이다. 다음으로 연대는 그대로 두고 伴跛에게 공격당한 주체를 백제나 安羅로 바꾸는 것이다. 己汶, 帶沙를 영유하게 된 것은 백제임에도 불구하고 신라를 공격했다는 기술 내용은 믿을 수 없으며, 伴跛가 공격해야 할 세력은 신라가 백제가 되어야 한다거나, 또는 《日本書紀》 에서 安羅를 新羅로 잘못기록한 것으로 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신라가 백제에 동조했기 때문에 伴跛에게 보복을 당했다는 주장도 있었다. 513년 국제회의에서 신라가 伴跛의 기대를 저버리고 백제의 입장을 지지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 때문에 伴跛가 신라를 급습하여, 子女를 잡아들이고, 남아있는 것이 없을 정도로 村邑을 노략질 하고, 誅殺한 사람들이 헤아릴 수가 없을 정도의 잔혹행위를 했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물론 伴跛의 신라공격에 대한 의문 제시는 신빙할 수 없는 《일본서기》의 모습을 재삼 보여준다고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사료를 부정하는 것은 좋은 연구자세가 아니다. 아무리 모순되어 보인다고 하더라도 왜 그러한 형태의 기록이 존재하는지 고심해야 한다. 혁거세 8년(기원전 50)부터 21대 소지왕 22년(500)까지 총 59회의 신라에 대한 왜의 침공기록이 보인다. 그러나 500년 지증왕 즉위 이후 《삼국사기》신라 본기에서 왜침 기록은 갑자기 사라진다. 교묘하게도 이는 倭國 畿內 세력의 장기간 내분과 시기가 겹친다. 또한 같은 시기 고구려의 침공도 중단되었다. 신라의 입장에서 보면 가야로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왔다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이사부전에 보이는 지증왕대(500-514) 가야병탄 기록을 신빙할 수 있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지증왕 후반인 512년 경 이사부가 가야를 병탄하여 그 영토 일부를 차지했다. 그곳은 伴跛의 영토였다. 여기서 514년에 가서 伴跛가 新羅에 대한 처절한 보복을 감행한 이유가 설명이 된다. 512년 직전부터 백제가 서쪽에서 伴跛의 기문과 대사지역을 공략하여 伴跛의 주력이 서쪽에 묶이자, 지증왕이 이사부를 시켜 동쪽에서 그 영토를 침략했던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 대한 보복으로 514년 伴跛가 신라에 대한 잔인한 급습을 했던 것이다. 양국의 화합의 길은 514년 신라에 대한 伴跛의 급습만 존재했다면 이루어지지 않았다. 앞서 512년 경 신라가 伴跛를 침공했고, 그에 대한 반발로 伴跛가 보복을 하는, 서로 주고받은 역사가 있었기 522년 결혼동맹이 가능했다. There is a contradiction in the record of the Ban-pa attack on the Silla which is shown in the Nihonshoki. Have been questioning this Point for 100 years and Having come up with a lot of speculative view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strictly contrast it with the records of the Japanese scribes, the Nihonshoki and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Samguksagi and find the records symmetrical to each other. However,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the Silla attack on the Kaya recorded on the Samguksagi Isabu Electric is contrasted with the records of the Ban-pa attack on the Silla. In the year 512, the governor Isabu battled the Banpa and occupied part of the territory, and in 514, the Banpa tried to retaliate against Silla.

      • KCI등재

        신라·백제의 문화적 특성과 융합

        서현주(Seo, Hyun-ju)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2

        본고에서는 고고학 자료 중 주거와 건물, 고분, 이와 관련이 많은 기와, 토기 등의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신라와 백제의 문화적 특성을 정리해보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신라와 백제 문화의 융합(교류) 문제에 접근해보았다. 신라와 백제는 6세기 중엽 이후 대체적인 변화 양상이 유사하지만, 그 이전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는 주거뿐 아니라 고분, 기와의 제작기법, 토기의 기종 구성과 형식 등에서 잘 드러난다. 그 배경에는 원삼국시대 이래 두 국가의 왕실이나 건국세력의 계통이나 구성, 북방과의 친연성, 지리적인 위치에 따른 중국과의 친연성 차이와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 국가의 문화적 특성은 신라의 경우 전통성, 배타성(획일성), 후진성, 백제의 경우 다양성(포용성), 개방성, 그리고 선진성으로 정리될 수 있겠다. 두 국가는 일정 시기에 문화적인 융합이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그 양상은 단계적으로 차이가 난다. 4~6세기 전엽에는 두 국가의 변경지역인 충청지역에 신라가 진출하여 백제계(마한계 포함) 문물이 늦게까지 공존하기도 하는데 이는 그 지역 일대의 백제계 지방민에 의한 것이다. 이 시기에 신라 왕경에 나타나는 토기나 기와 등의 백제 문물도 이들을 매개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6세기 중엽 이후 신라 문화가 전반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신라와 백제 문화의 융합이 본격적으로 나타난다.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에서 여러 문물을 받아들이는데 기와의 제작기술, 사찰을 비롯한 건물의 건축기술, 토기를 중심으로 한 식기문화 등에서 백제 문화의 영향이 확인된다. 이 때의 문화적 융합은 나제동맹, 혼인동맹 등으로 맺어진 백제와 신라 관계가 바탕이 된 것이며, 주로 신라지역에서 백제 멸망 직후까지 이어진다. 이후 신라는 기존의 전통문화나 중국 문물을 받아들여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백제와 신라의 문화적 차이는 다소 커지는 양상도 나타난다.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illa and Baekje in archeological materials about dwelling, buildings, old tombs, and many roof tiles and pottery related to them and take an approach to the issues of cultural convergence(including exchanges) between Silla and Baekje. The two states showed similar changing patterns overall since the middle sixth century, but there were big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he former period. These differences are clear in houses, old tombs, making techniques of roof tiles, and types and forms of pottery. As for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states reflected in them, Silla was characterized by tradition, exclusiveness(uniformity), and backwardness, while Baekje was characterized by diversity(acceptability), openness, and advancement. There was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Silla and Baekje, as well, with some differences in its pattern according to the stages. During the period of the fourth century ~ the former half of the sixth century, the Baekje-style things remained in some areas of Chungcheong that were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y of Silla or were partially found in Wanggyeong of Silla. Since the middle sixth century,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Silla and Baekje became full-blown in the overall changing process of Silla culture. Silla accepted many things from Goguryeo and Baekje, and the influence of Baekje culture was found in Silla"s roof tile-making technology, building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ableware culture around pottery. This cultural convergence was based on the relations of Baekje and Silla including Silla-Baekje Alliance and marriage alliance. As Silla created a new culture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Chinese civilization as well as its old traditional culture since then,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Baekje and Silla became large again.

      • KCI등재

        신라사 補正을 위한 당 金石文 기초 연구

        권덕영(Kwon, Deok-young)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최근 중국의 국토개발 과정에서 당나라 금석문을 포함한 수많은 역사자료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그런데 비록 빈도가 높지 않으나 고대 한반도 삼국과 발해 관련 당 금석문도 가끔 발견된다. 이런 점에서 중국금석문은 한국고대사 연구 자료에 대한 갈증을 다소나마 해소시켜준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중국에는 1만여 점의 당대 금석문이 공식적으로 조사, 보고되었다. 그 가운데 신라 관련 금석문 38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한 금석문은 크게 在唐 新羅人 관련 자료와 唐人의 신라 내왕자료로 대별되고, 자료의 내용은 신라와 당 사이의 사절 왕래와 전쟁, 求法과 문화교류가 중심이 된다. 사실 신라 관련 당 금석문이 신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을 광범위하게 補正 할 수 있을 정도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이러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당 금석문은 신라사의 일부를 보완하는데 충분히 유익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당 금석문을 활용한 신라사 복원’이라는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설정한 기초 연구 작업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특정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보다 신라와 관련한 당 금석문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정리, 분석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다. 추후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신라사 補正 작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Recently a lot of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T’ang epigraphy have been excavated and found in China. Although the frequency is not high, sometimes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history are found. This situation supplement somewhat the lack of Korea ancient historical resources. More than ten thousands of T’ang epigraphy officially have been investigated and reported until now. Among them, 38 items of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are included. We can classify them into two broad categories in terms of content. That is to say, one is politics and foreign affairs, the other society and cultural exchange. Although they are not quantitative enough for research, they can not be denied that it is useful. This article is a basic research to realize such a T’ang epigraphy to supplement the Silla history. So rather than draw specific conclusions here, I would like to be satisfied with broadly investigating and organizing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Based on these data, I plan to work on supplementing Silla history in earnest.

      • KCI등재

        신라 하대의 三寶

        백미선(Baek, Mi-sun)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신라는 많은 보물을 가진 나라였다. 이 보물들은 모두 신라의 흥망성쇠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것으로, 신라사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매우 컸다. 이 가운데서도 황룡사의 장육존상과 9층 목탑 그리고 천사옥대는 신라 하대에 三寶과 불리며, 신라의 멸망과 고려의 건국을 함께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녔던 보물이었다. 신라 삼보는 신라 하대 경명왕 4년에 처음 등장한다. 그간에는 신라 삼보가 중고기에 성립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들이 ‘삼보’로서 함께 언급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재고를 요한다. 삼보는 처음 고려 태조 왕건의 친신라정책에 대한 이슈로서 재기되었다. 그러나 이후 삼보에 대해 주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신라이다. 신라는 경명왕 5년 삼보를 찾고 그것을 통해 대외관계에서 자국의 위상을 높이려고 시도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당시 후삼국관계 속에서 효용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신라 삼보 각각이 신라 중고기에 성립한 것인 만큼 신라 하대에 어떤 필요로 요구 되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삼보 각각과 신라 하대의 상관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황룡사 장육존상은 현재 전하는 기록이 없어, 추후 황룡사와의 관계 속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볼 필요가 있겠다. 황룡사 9층 목탑은 그 상징하는 의미가 유연해 중고기 이후 다양하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천사옥대의 경우는 앞의 두 보물과는 좀 다르다. 호국보로서의 모습 보다는 진평왕대의 왕권 강화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 신라 하대에 이러한 성격이 요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려 태조 왕건이 신라 경순왕으로부터 천사옥대를 이어받은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경순왕이 귀부와 동시에 천사옥대를 바친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지고 있다가 후삼국이 통일된 뒤에야 바친 것에 대해서 주목해 보았다. 후삼국 통일 이후 고려는 신라를 있는 통일 왕조로서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와 함께 고려 태조는 천사옥대를 비롯한 삼보를 필요로 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