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치적 외음부절제술 , 서혜부 임파절제술 및 박근 근피판 이식술로 치료한 외음부암 1 례

        박인서,김혜경,박찬용,박창서,홍성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3

        저자들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50세의 여성에서 발생한 외음부 편평상피암을 외음부절제술, 심층서혜부 임파 절제술을 시행하고 박근 근피판을 이용한 회음부 재건술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xtensive en bloc surgery is recommended as the treatment method of choice for invasive carcinoma of the vulva and has enhanced the probabilities of increased 5-year survival. At the same time, reconstruction of vulvar defect following radical surgery has been great concern to surgeon. Among surgeries for vulvovaginal reconstruction, gracilis myocutaneous falps can afford simple and save methods. Our experience with myocutaneous gracilis flap at the time of radical vulvectomy for vulvar cancer will lead us to adopt it as our routine procedure.

      • KCI등재

        폐와 비장전위 및 자연 비장파열을 동반한 악성융모상피종양 1예

        박찬영(CY Park),임경주(KJ Lim),서희숙(HS Suh),박세웅(SW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11

        저자는 폐전위와 비장전위 및 파열을 일으킨 매우 희귀한 악성융모상피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전반적인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choriocarcinima of uterus with pulmonary and splenic metastasis, which was encountered in 32-year-old woman is reported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concerned.

      • KCI등재

        사후제왕절개술에 의한 생존분만아의 1예

        박찬영(CY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12

        임신 제 40주에 중증폐결핵으로 인한 대량각혈로 질식사망한 경우에서 모체사망 약 15분 후 에 사후제왕절개술을 시행하여 분만된 성숙여아가 생후 약 62시간 생존한 1예를 경험하였기 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postmortem cesarean section with survival of infant survial and a brief literature are presented. An well developed full term female infant was delivered 15 minutes after the mother`s death due to hemoptysis and asphyxia in far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and lived about 62 hours in poor conditions.

      • KCI등재

        산부인과 영역에 있어서 초음파장치의 임상적 이용 ( I )

        박찬무(CM Park),박영세(YS Park),김용철(YC Kim),박찬용(CY Park),엄승호(SH Ohm),이우홍(W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3

        저자는 자궁내 태낭의 성장속도와 태아의 성숙도 및 태아예상체중을 위한 방법으로 정상임 신부 422명중 63명에게는 태낭을 위해 1회의 초음파 단층촬영을, 359명에게는 아두대횡경치 를 위해 1회의 초음파단층촬영을 실시했고 아두대횡경치에 의한 태아 예상체중을 위해 신생 아 97명의 분만후 24시간내에 신생아 체중을 계측하여 임신월령에 따른 태아 아두 및 예상 체중의 희귀직선을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재태기간 제 5주부터 12주사이의 정상임신부에서 태낭은 제 5주에 5명중 3명에서 (66%) 제 6주는 9명중 7명에서 (77%) 최초로 태낭이 보였고 7주 이후에서는 모든 예에서 태 낭이 관찰되었다. 2. 임신재태기간 제 5주부터 12주까지 임신주수에 다른 태낭의 성장은 y=0.62 X (wks) - 1.75로 0.57cm/week의 비율로 성장한다. 3. 임신재태기간 제 11주부터 40주까지 임신주수에 따른 아두대횡경치는 y=0.27 X (wks) - 0.88로 성장하고 임신재태기간 제11주부터 20주까지는 0.34cm/week로 제 21주부터 40주까지 는 0.23cm/week의 증가율을 나타낸다. 4. 임신제대기간 제 35주부터 40주까지 각 임신주수에 다른 아두대횡경치에 의한 아두대횡 경치에 의한 태아 예상체중은 y=1.14 X (mean BPD) - 7.2(kg)로 0.16kg/week의 증가율로 나타난다. The ultrasonic measurements of fetal biparietal diameter (BPD) were obtained by real time scanning (ADR 2130) from 380 times in normal 359 pregnant women between 11th to 40th gestational weeks. Before 11th gestational weeks of pregnancy, gestational sac was measured by same method from 81 times (63cases). The results of these data were as follows; 1. the regression line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gestational sac between 5th and 12th gestational weeks; y=0.62 X (wks) - 1.75. 2. The regression line from 11th to term of biparietal diameter ; y=0.27 X (wks) - 0.88 and the growth rate of the biparietal diameter during same period (0.34cm/week) was faster than one of 21th-40th gestational weeks (0.23cm/week). 3. The expected fetal body weight was calculated from the regression line (y=1.14 X (mean BPD) - 7.2(kg)) was obtained from sonar measurement of biparietal diameter (from 35th to 40 th gestational weeks).

      • KCI등재

        산과 영역의 모성 사망율에 관한 임상적 고찰

        박춘식(CS Park),박찬용(CY Park),박창서(CS Park),이규완(KW Lee),주영철(YC J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4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66년 1월 1일부터 1977년 12월 31일까지 만 12년간 임산부 사망 총 65례를 임상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망한 임산부는 총 65명이었고 동 기간중 총 생아출생수는 14,978명이었으며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생존분만당 434.0명이었다. 2. 임산부 사망 원인으로 가장 많았던 것은 임신중독사(32.3%)였고 출혈사(24.6%), 그리고 감염사(20.0%)의 순위였다. 3. 동 기간중 전체 산모 사망의 연도별 추세로 보면 병원사(35례)와 타 병원에서 이송되었던 례(30례) 공히 다소 기복을 보여주었으나 모두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최근 2년간의 모성사망율은 16년간의 평균사망율의 3/4으로 감소되었다. 4. 임신중독증의 주요 임상적 사인은 폐수종, 급성 신부전증, 심장마비, 그리고 뇌출혈이었으며 계절별로 춘계에 다소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5. 출혈사의 주요 임상적 사인은 이완성 자궁출혈 및 자궁파열이 62.5%로 대부분이었고 그의 태반조기박리, 자궁외임신, 혈액응고부전, 유산후 출혈, 경관 손상 등이었다. 6. 감염사의 주요 사인은 폐혈성 유산이 61.5%로 제일 많았다. 7. 간접사인 14례 중 11례는 융모상피암, 2례는 심장질환, 1례는 간질환이었다. 8. 출혈사는 모두 산전관호를 규칙적으로 받은 바 없었고 임신중독증도 2례를 제외하고는 산전관호를 받은 바 없었다. 9. 임신중독증사는 1회 초산부에서 52.4%, 출혈사는 4회 이상 경산부에서 37.5%로 높은 사망률 을 보였고 감염사는 여러 연령층에서 고르게 분포되었다. 임신중독증사는 30세 미만에서 85.7%, 출혈사는 31∼35세 군에서 68.8%, 감염사는 30세 미만에서 76.9%의 빈도를 보였다. 10. 입원후 사망시간으로는 임신중독증, 출혈 및 감염으로 24시간 내에 사망했던 율은 각각 57.1%, 62.5%, 61.5%로 높았으며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임산부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임산부에게 올바른 건강교육과 산전관호의 철저, 의료인의 질적 향상, 병원시설의 확충 및 병원분만이 절대 필요하다고 본다. Clinical analysis on maternal mortality in N.M.C. was made for the period of 12 years from 1966 through 1977.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65 maternal deaths including 35 cases of hospital death and 30 cases transferea from outside were encountered among 14978 live births. Maternal mortality rate was 434.0 per 100,000 live births. 2. The leading causes of maternal deaths were toxemia(32.3%), hemorrhage(24.6%), infection(20.1%) and choriocarcinoma(16.9%) in the frequency of order. 3. Maternal mortality showed decreasing tendency down to about 75% in the recent 2 years compared with that of 16 years ago. 4. The leading clinical causes of deaths in toxemia were cardiopulmonary insufficiency, acute renal failure, heart failure and cerebral hemorrhage. 5. The leading clinical causes of deaths in hemorrhage were atonic uterine bleeding and uterine rupture. 6. The leading clinical cause of deaths in infection was septic abortion. 7. The choriocarcinoma indicate the majority of indirect causes of maternal deaths(78.6%) and the rest of causes were cardiac valvular disease(14.3%) and infectious hepatitis(7.1%). 8. All cases of deaths due to hemorrhage did not take the regular antenatal care and all cases of deaths due to toxemia except 2 cases did not, also. 9. 52.4% of maternal deaths due to toxemia occurred in para 0 state and 37.5% of ones due to hemorrhage occurred in para 4 or more state but maternal deaths due to infection showed rather even distribution in Each para state. 10. Most of the maternal deaths were considered to be preventable one(81.5%) in viewing of the medical mismanagement at local clinics in the majority of cases(41.7%) and of delayed admission(43.4%). In order to prevent avoidable maternal deaths on the base of the study, every possible efforts should be emphasized. Particularly,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the patients, high quality antenatal care, early identification of high risk patients, regular service in training of both general practioners and paramedical personne

      • KCI등재

        분만 예에 있어서 모성건강기록의 임상통계학적 분석 ( II )

        박인서(IS Park),이규완(KW Lee),조명준(MJ Cho),박찬용(CY Park),박창서(CS Park),차인환(IW Cha)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3

        1980년 2월1일부터 1980년 7월31일까지 만 6개월간 국립의료원 산과에 입원, 분만한 총 551 예를 대상으로 분석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분만 551예중 초산부가 287예(50.63%) , 경산부가 271(49.37%)이었다. 2. 산전 산모의 상태는 합병증이 없는 경우가 397예(71.24%)로 가장 많고 합병증이 있는 경 우는 임신성 고혈압 54예(10.15%) 생식기 및 골반의 이상이 20예(3.76%), 감염이 13예(2.44%) 및 산전 질출혈이 12예(2.26%)순이었다. 3. 분만 방법은 정상 질식분만이 333예(60.84%)로 가장 많고 기계분만 113예(20.58%) 및 제 왕절개술 93예(16.94%)의 순이었다. 4. 분만 중 합병증은 분만지연이 24예(초산 19예, 경산 5예)로 가장 많았고 태반계류가 15예 (4:11), hypotonic uteruie contraction 이 8예(5:3) 전치태반 7예(3:4)의 순이었다. 5. 총 분만 549예중 일반 전공의 (인턴)가 분만을 시술한 경우는 45예(8.20%)로 초산모 8예, 경산모 37예이며 나머지 502예(91.44%)는 산부인과 전공의 (레지던트)이상이 시술하엿다. 6.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은 제왕술의 기왕력이 36예(38.70%)로 가장 많고 이상태위 13예 (13.98%), 전치태반 8예(8.60%)의 순이었다. 7. 신생아의 평균 1분 Apgar score는 7.65±1.07이었으며 5분 Apgar score는 7.68±1.54이었 다. 8. 평균 신생아 체중은 3125.22±598.78gm이었으며 초산은 3054.07±587.21gm이었고 경산은 3194.62±603.73gm이었다. 9. 산후 합병증은 치료를 요하였던 산욕열이 18예로 제일 많았고 치료를 요하였던 산후출혈 6예, 요로감염증 6예, 봉합술파열 1예의 순이었다. 10. 총 분만 551예 중 모성 사망은 한 예도 없었으며 신생아 사망률 은 1000명당 42.11이었다. This is a review of 551 cases of delivered women in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Feb. 1 to July 31, 1980. Maternity record which was designed by Korean Institute for Family Planning was checked for all delivered cases The results of these material were as follows; 1. The times of mean antenatal visit was 3.05±2.84, gestational weeks; 39.11±3.94, Hb. level ; 10.53±1.87gm%, mean age ; 28.05±3.95 year and mean educational duration 10.82±1.76 years. 2. The incidence of primary antenatal complications was 28.76% in 532 cases, of which hypertensive disorder was most one (10.15%). 3. The methods of deliveries were as follows; spontaneous viaginal delivery ; 334 (60.84%) operative one 113(20.58%) and C-section 93 (16.94%). 4. Of 82 cases of intrapartum complications, prolonged labor was major one (24 case) others were as retained placenta hypotonic uterine contration and placenata previa. etc. 5. Majority of attendant at delivery was resident or staff (91.44%). 6. Indications for cesarean section revealed as previous history of cesarean section (38.70%), malpresentation (13.98%), placenta previa (8.60%) and so. 7. The mean Apgar score at one minute was 7.65±1.07 and at 5 minutes after birth 7.68±1.54. 8. The mean body weight of newborn was 3125.22±598.78gm 9. of analized 542 cases, 42 cases had postpartum complications as purepheral fever, postpartum hemorrhage and urinary tract infection. 10.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42.11 per 1000 infants delivered, but maternal one was zero.

      • KCI등재

        인삼덱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고찰

        박인서(IS Park),박찬용(CY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3

        결론 1979년 7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개복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 중 80명을 선택하여 그 중 50 명에 인삼덱스 2ml(인삼 600mg에 해당)을 수술 후 10일간 근육주사하고, 3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치료 전후의 혈액성상 및 체 중,혈압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혈색소치, hematocrit치, 백혈구수는 대조군 및 치료군 공히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혈청 총 단백량과 albumin량은 치료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형당은 양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혈청 총 cholesterol치는 치료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5.체중 및 혈압은 양군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6.부작용은 전무하였다. The effects of Insamdex on postoperative rexovery in gynecologic patients were studied during July to October, 1979. 2ml of Insamdex containing 600mg of ginseng was given intramuscularly for 10 days after laparotomy in 50 patients and 30 patient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Hemoglobin, hematocrit, leukocyte, serum total protein, albumin, glucose, total cholesterol,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Changes in hemoglobin, hematocrit,and leukocyte count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groups. 2.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eated group. 3.Change in serum glucose was not significant in both groups. 4.Serum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reated group. 5.Changes in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group. 6.The side effect was nil.

      • KCI등재

        산부인과 영역에 있어서 패혈증의 임상적 고찰

        이규완(KW Lee),박찬용(CY Park),박창서(CS Park),박완석(W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4

        1970년 1월1일부터 1979년 12월31일까지 만 10년간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입원가료를 받 았던 환자 17114명 중 폐혈성 쇼크로 진단받고 치료하였던 42예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 다. 1. 폐혈성 쇼크의 발생빈도는 0.25%이었으며 년령분포는 26-30세군이 12예(29%)로 가장 많 았고, 31-35세군이 3예의 순이었다. 2. 폐혈성 쇼크의 원인적 질환을 보면 유산 수술후가 31예로 74%를 차지하였으며 산욕열 5 예, chorioamnionitis 3예, 수술후 감염 3예, 신우신염 1예 등이었다. 3. 임신 주 수에 따른 분포를 보면 34예중 20예에서 중기 임신의 유산으로 59%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4. 분만과 인공유산의 개조자에 따른 분포는 일반의가 21예(50%) 전문의 5예, 조산원 5예, 무자격 조수 5예 환자나 그 가족이 5예이었다. 5. 본원 내원시의 주소들은 오한, 고열, 빈맥, 호흡곤란, 질출혈, 하복통, 저혈압 등이었다. 6. 사망률 은 42예중 15례로 35.7%를 나타내었으며, 사망요인을 추정하여 급성신부전, 폐수 종, 혈액응고부전증, 심부전 등이었다. 7. 치료는 내과적 치료를 주로하였던 예가 23예(54.7%)이었고, 외과적 치료가 19예에서 실시 되었으며 소파술이 12예, 자궁적출술이 3예 등이었다. 1. The incidence of the septic shock was 0.25% Twenty six to 30 year old group was most frequent and 31 to 35 year group followed them. 2. Underlying diseases of the septic shock were 31 cases of induced abortion 5 cases of puerperal infection 3 cases of chorioamnionitis and postoperative infection and one cases of pyelonephritis on order. 3. Majority of the cases belonged to the second trimeter, having incidence 59% in 34 pregnant cases. 4. The distribution of attendant of delivery and artificial abortion was as followings ; General physician 21 (50%), Obstrician 6, Midwife 5, Unqualified assistant 5, patients and without care 5. 5. Chief complaints on admission were fever, chilling, tachycardia, dyspnea, vaginal bleeding, lower abdominal pain, and hypotension in decreasing order. 6. The positive result for becterial culture were following such as 30.5% in blood culture, 16.6% in urine culture and 56.6% in vaginal discharge culture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organism was E.coli and the other were pseudomonas and proteus, etc. 7. The mortality rate was 35.7%(15/42) The causes of death were, acute renal failure, pulmonary edema, coagulation defect, and haert failure the leading treatment of patients were medical treatment 23(54.7%) and surgical 19 (45.3%)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경게성 난소상피종양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훈기(HK Kim),구은주(EJ Koo),최완주(WJ Choi),박창서(CS Park),박찬용(CY Park),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

        1981년 1월1일부터 1985년 12월31일까지 본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경계 성 난소상피종양으로 진단 받았던 21예에 대한 임상 고찰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연령분포는 18세에서 64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41.6세이었고, 평균 출산력 2.0회이었다. 2. 종양의 좌우측 비는 2.3:1이었으며 종양의 평균직경은 17.9cm이었다. 3. 21예 모두 임상 제1기에 속했으며, 제 Ia기가 17예(81.0%)로 대다수를 점하였다. 4. 병리조직학적 형태로는 점액성 종양 17예(81.0%)이었고, 장액성 종양이 4예(19.0%)이었다. 5. 수술방법은 전자궁적출 및 양측 부속기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11예(52.4%), 일측 부속기 절제술만 시행한 경우 7예(33.3%), 전자궁적출술 및 일측부속기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3예 (14.3%)이었다. 6. 수술후 보조적 치료는 5예(23.8%)에서만 시행하였고, 항암제인 Melphalan을 사용하였다. 7.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경우는 12예(57.2%)이었고 이 중 1예에서는 종양의 증거가 발견되었 으며 평균 추적조사 기간은 23.7개월이었다. Clinical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21 patients with borderline epithelial tumors of ovary at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une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81 to December 31. 1985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Range of age distribution was 18 to 64 years with a mean of 41.6 years and mean parity was 2.0 2. The ratio of left to right in relation to tumor location was 2.3:1 and mean diameter of the tumors was 17.9cm 3. All the 21 cases belonged to clinical stage I, among which 17 cases (81.0%) was stage Ia. 4. Histopathologically 17 cases (81.0%) were mucinous tumor and 4 cases (19.0%) were serous type. 5. We performe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phorectomy in 11 cases (52.4%)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unilateral salpingoophorectomy in 3 cases (14.3%) and unilateral salpingoophorectomy in 7 cases (33.3%). 6. Five cases (23.8%) were given postoperative adjunctive chemotherapy with Alkeran. 7. Complete follow-up was possible in 12 cases (57.2%) and mean duration was 23.7 months. Evidence of tumor was detected in one case among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