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나현 ( Na Hyun Kim ),이은주 ( Eun Joo Lee ),곽수영 ( Su Young Kwak ),박미라 ( Mee Ra Park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3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취업모가 경험하는 양육부담감의 본질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된 현상학적 연구로 양육부담감의 7가지 주제모음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첫 번째 주제모음은 ‘끊임없이 갈등하는 삶’으로, 참여자들은 일과 양육을 병행하며 힘겨운 시간을 보내지만 아무도 그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지지해주는 사람이 없어 힘들어 하였다. 성공중심의 사회속에서 자녀를 잘 기르기 위한 궁극적 목표를 가지면서도 자기계발에 대한 부담과 아이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는 양육 현실 간의 상충되는 상황으로 인하여(Yang, 2011) 갈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취업모가 가정에서 ‘엄마’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하고, 직장 내에서도 여성으로서 특별한 배려의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두 역할사이에서 힘들어 한다는 Kim, Kim과 Lee (2011)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해 주었다. 이러한 고민과 갈등은 양육 스트레스를 더욱 가중시켜 자녀를 둔 젊은 취업 여성들뿐만 아니라 미혼여성들에게도 자녀 출산을 고민하게 하는 요인으로 이어지고 있으므로(Kim et al.,), 출산을 장려하고 양육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일, 가정 양립 지원책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두 번째 주제모음은 ‘죄책감’으로, 참여자들은 전업주부처럼 온종일 아이를 잘 보살펴주지 못하여 미안해하고 죄책감을 느꼈다. 이는 특히 우리나라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자녀를 위한 희생정신과 책임감이 강하여 돌봄이 부족하거나 양육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죄책감을 많이 느끼기 때문으로(Sung & Park, 2011), Yang과 Shin (2011)의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미안함과 죄책감 때문에 참여자들은 의도적인 스킨십으로 사랑을 각인시키고, 자녀가 원하는 물건을 갖게 함으로써 부족한 엄마 역할을 만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하는 어머니와 집에 있는 어머니 간 영유아 자녀의 발달위험 정도에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1)에서도 알 수 있듯이 어머니의 취업이 아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기때문에 취업모들은 자녀에게 갖는 과도한 죄책감에서 벗어나 현명하고 일관적인 양육태도를 취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참여자들은 아이에게 미안해하면서도 일, 가사, 육아를 동시에 감당해야 하는 과중한 부담과 피로로 인해 쉽게 짜증을 내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것은 직장에서의 스트레스와 피로가 가시기도 전 또 다른 노동을 시작해야 하는 이중의 긴장 속에서 육체적, 정신적 소진을 경험하기 때문일 것이다. 스스로 감정조절에 실패한 취업모는 미안한 마음과 죄의식을 느끼고 이를 만회하고자 최대한 행복한 모습을 보여주고 질적으로 더욱 집중해야 한다는 부담을 더 가지게 된다(Kim & Chang, 2008). 이러한 현상은 육체적 피로뿐만 아니라 해결 되지 않은 스트레스로 인해 모아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고, 자녀의 성장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Yoon, Hwang, & Cho, 2009) 적절한 휴식과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시간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주제모음은 ‘아이교육에 관한 정보와 시간부족으로 불안함’으로, 참여자들은 자신은 일을 하고 있어서 절대시간이 부족함에도 자녀교육에 임하는 자신의 처지를 전업주부와 끊임없이 비교하면서 조급하고 불안해(Mishina, Takayama, Aizawa, Tsuchida, & Sugama, 2012; Yang & Shin, 2011)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녀교육열이 매우 높고 자녀의 성공 여부에 따라 능력있는 어머니로 평가되기 때문에 취업모에게 자녀교육은 이중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Lee, 2007). 게다가 참여자들은 늦은 퇴근 시간과 피로함으로 자녀의 학습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함으로 인해 현재 자녀의 학업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장래까지도 염려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자녀양육에서 교육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주어진 여건 속에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지만 교육 문제에서만큼은 늘 부족하다고 느끼며, 이로 인해 받는 양육 스트레스도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네 번째 주제모음은 ‘부족한 엄마로 낙인찍힘’으로, 참여자들은 고된 삶을 누구에게든 편하게 털어놓고 위로 받고 싶었지만 오히려 전업주부보다 육아에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었고, 부족한 엄마라는 낙인이 늘 따라다녔다. Yang과 Shin (2011)의 연구에서도 취업모는 ‘가정을 포기한 여자’라는 인식과 여성의 역할을 가족 중심에 두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힘들어 하였다. 하지만 실제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비교하였을 때 가정에서의 안전사고나 입원 경험 등에 차이가 없으며 양육태도 측면에서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Bang, 2004). 즉 육아의 책임을 여성에게 떠넘기는 우리 사회의 불공평한 편견과 오해 속에서도 취업모는 최대한 아이에게 소홀 하지 않기 위해 부단하게 노력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섯 번째 주제모음은 ‘소원해진 가족관계’로, 육아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나 비협조는 가족 간 갈등을 초래하였으며, 이로 인해 가족관계가 소원해지고 사이가 멀어졌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의 양육방식과 차이를 보이는 대리양육자는 대부분 할머니였으며, 대리양육자와의 육아갈등은 Kim과 Seo (2007)의 연구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취업여성의 경우 배우자와의 불평등한 역할분담과 자녀교육방식에 불만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데(Lee, 2008) 본 연구에서도 참여자들의 양육부담감은 남편의 무관심이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더욱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전과 달리 남성들이 여성의 취업을 지지하고 가사를 분담하는 등 도움을 주고 있지만 여전히 역할분담이 공평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Yang & Shin, 2011) 보인다. 외국의 경우 법적으로 자녀 양육의 책임을 부모에게 공동으로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Kim & Seo, 2004) 양육을 인식하는 무게 정도가 우리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자녀양육의 책임을 개인이나 가족내의 문제로 남겨두기보다는 좀 더 제도적인 차원에서 접근한다면 취업모가 경험하는 역할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여섯 번째 주제모음은 ‘지쳐가는 삶’으로, 평상시에는 물론 특히, 급한 일이 생겼을 때 도움 받을 곳이 없어 어떠하든 혼자서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매우 힘들어 하였다. 이럴 때마다 취업모는 더욱 극심한 갈등을 겪음과 동시에 심신이 지쳐가는 경험을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등(2011)도 부부가 함께 일하기 때문에 육아를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자연스럽게’ 여성의 책임으로 여기게 된다고 하였다. 이는 남편이 육아에 협력하기는 하지만 도와주는 정도의 수준으로,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남편의 가치관과 태도는 전통적인 성역할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Yang & Shin, 2011)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 주제모음은 ‘하루하루 버텨나감’으로, 참여자들은 지금은 힘들지만 아이가 자라면 엄마의 부재를 이해하고,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 생각하였다. 즉, 현재 자신이 양육에 매진 하지 못하는 상황을 애써 긍정적으로 합리화하면서 버텨나가기 위해 노력하였다. 실제로 사춘기 딸의 경우 엄마의 사회적 성공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성공한 엄마를 자신의 역할 모델로 삼고 있어(Jeong, 2005) 취업모의 이러한 합리화는 현재의 양육부담감을 이겨나가는 긍정적인 방어기제로 보인다. 주목할 점은 취업모의 삶이 힘겹고 지쳐가지만 본 연구참여자들은 전업주부로 돌아가기를 원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전업 주부로서 감당해야 할 양육과 가사일이 두렵기도 하지만(Kim et al., 2011) 사회로부터의 단절과 고립을 원하지 않으며 (Kim & Seo, 2012) 일을 하면서 얻는 성취감도 큰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취업모들은 육아와 일 사이에서 갈등함, 육아에 대한 죄의식, 충분한 사랑과 보살핌을 주지 못한 미안함, 남편의 방관자적 태도에 불만을 가짐, 슈퍼우먼을 바라는 주변의 요구, 신체적 피로로 인한 잘못된 양육태도, 아이 교육을 걱정함, 전업주부와 교류가 없고 소외됨, 아이들이 자라면 엄마를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 생각함 등은 취업모의 양육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Kim et al., 2011; Kim & Chang, 2008; Yang & Shin, 2011)의 결과와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그러나 가족 관계가 소원해짐, 지쳐가는 삶, 하루하루 버텨나감 등의 새로운 주제모음이 도출되었다. 즉, 양육방식에 있어서의 가족간 의견 차이로 가족관계 마저 소원해진 채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었으며, 이러한 갈등과 부담감으로 삶은 지쳐가지만 자녀들의 미래와 자녀들이 자신의 노고를 알아줄 것이라는 희망으로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취업모의 이러한 부정적인 양육경험은 둘째, 혹은 셋째 아이의 출산을 포기하게 만들어 저출산의 문제를 더욱 가중시키는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을 줄이기 위하여 양육부담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이면서도 다차원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취업모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그들의 미안한 마음을 위로해야 하며, 취업모 역시 잘못된 모성애적 믿음에서 비롯된 죄의식에서 벗어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working mothers` parenting burden in Korea. Methods: Eight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interviewed. The Colaizzi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applied. Results: Seven theme clusters were extracted: a life with constant conflict, sense of guilt, feeling anxious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about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social stigma as a deficient mother, family relationship becoming distant, a life being exhausted, day to day struggle.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an opportunit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working mothers related to parenting their young children. It would also serve as a medium for the formulation of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relevant to burdens of parenthood.

      • KCI등재

        김승옥 소설의 개인 연구

        김미영(Mee Young K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현대소설연구 Vol.- No.34

        The innovative gist of the novels written by Kim Sung Ok lies in the discovery of a new persona and the revolution of sensitiv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lications of the persona that Kim discovered in his novels based on the theory of subjectivity of Levinas. The personas in Kim Sung Ok`s novels that arguably represent 60`s of Koreans literary community show the transformation from the nihilistic beings to the capitalist beings. In other words, the personas that Kim found in his novels purely represent the severed beings that had to move down to the economic and political ground from the war-haunted beings. Ultimately the personas of Kim`s novels develop into ones pursuing for the transcendental beings by converging with other beings. His literary journey from Seoul, 1964 Winter, Travel to Moo Jin , to Moonlight Seoul, Chapter 0 reveals the writer`s transcendence from personal, anonymous self, to self-standing self, and finally to self-achieving self by making relations with other beings. In sum, the personas found in Kim`s novels can be said as a becoming being towards ontological diversity. These personas keep trying to transcend from vagueness of lives. Transcending, in this context, means a journey from being-what to being-who. The characters in Kim`s novels never enjoy successes in this journey. However, by the incessant failures of the characters, the writer tries to demonstrate the never-ending zeal of egoistic individuals towards and for other beings-in-the-world. In this respect,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the primary purpose of Kim Sung Ok`s literary works is to overcome the sarcasm and dispair of post-war era of 1960s and to construct a ``transcending, subjective being`` that pursue for the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of 1970s.

      • KCI등재

        여백의 역설적 발언 -김종삼 시의 근저

        김영미 ( Kim Young-me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7 No.-

        전쟁의 상흔과 기억 속에 김종삼의 시는 놓여 있다. 하지만 그는 이를 정확히 그리고 제대로 말할 수 없었다. 전쟁과의 밀착된 거리에서 벗어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김종삼의 시쓰기는 전쟁의 광포한 폭력 앞에서 말더듬과 실어, 혹은 다른 말로 드러내기이다. 이런 이유로 그를 절제와 고전주의자, 혹은 유미주의자로 일컫는 학계 또는 문단의 지배적 논의에 대한 의문에서 본고는 시작한다. 김종삼의 시는 말하고 싶지만 말할 수 없는 것으로 가득 차 있다. 그 내적 동인은 전쟁으로 비롯된 세계에 대한 공포다. 그는 과작의 시인이었다. 작품의 길이도 대체로 짧으며, 작품의 양도 많지 않다. 침묵의 세계를 거느리고 있다. 이 침묵은 그의 시에서 여백으로 구체화되어 되어 드러난다. 김종삼 시는 최소한의 언어만 남겨둔 채 여백으로 차 있다. 밀집된 언어로 의미를 구축해 나가는 시가 아니다. 그리고 그 여백은 적막하다. 노장(老莊)이나 선(禪)의 고답적인 것과는 다르다. 그가 현실을 드러내는 데에는 공포와 무력의 정신적 실어증이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김종삼은 말하지 않음(또는 못함)의 말함, 곧 `불언(不言)의 언(言)`의 세계에 갇혀 있었던 시인이다. 그러나 그의 시가 주는 감동은 불행한 시대와 대면해야 했던 그의 고통이 그의 배면으로부터 언어를 뚫고 스며나오고 있다. 말하지 못한 바들이 그의 시 이면에서 되살아나는 것이다. 대상 또는 세계에 대한 그의 거부는 공포를 낳았고, 그것의 조심스러운 세상과의 말걸기가 그의 시라는 점에서 그 아픔을 공유할 수 있다는 사실은 역사의 한 위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김종삼 시와 역사의 상관성 문제는 보다 면밀한 검토를 요한다. 하지만 그의 닫힌 언어는 그런 점에서 하나의 한계다. 그로 말미암아 왜소한 형식과 난해의 관문이 소통을 막고 있기 때문이다. Kim, Jong-sam`s poems are placed within the scars and memories of war. Kim, however, could not directly express this because he could not escape the war laden streets. Kim, in the context of outrages of war, expresses poetry as if to stutter or to experience language loss, or express his feelings with incongruent words. For such reasons, the academic and literary circles` predominant consensus is that Kim is a moderate, a classicist, or an aestheticist. I would like to begin my paper by raising skepticism towards such overwhelming consensus. Kim`s poems overflow with the desire to express what is unexpressable. Such inner chaos is rooted in the fear of the world which is generated by war. He was an un-prolific poet in that he did not produce many works and of the few most were short. He wandered in the land of silence. In his poetry, the silence is expressed as empty space. The poet was overly frugal with words. Words were replaced with empty spaces. They filled the places where words did not. The emptiness manifests as a desolate space. His is unlike that of Lao-tzu and Zhuangzi or Dhyana. He is not concerned with the transcendent. It seems that a psychological mutism towards fear and violence played a major part in Kim`s manifesting reality in his work. The poet was imprisoned in a world of not-speaking(or rather unable to speak), in other words in a world of speaking in silence. Nevertheless, the afflictions of an unfortunate era pours out from the depths of his soul in the language of poetry. The things he could not express directly comes alive from the hidden side of his work. The rejection of objects or the world created fear. His poems are apprehensive attempts at starting a conversation with the world he rejected. In this regard, readers are able to share the historic scars with the poet, providing solace for the broken past. On the other hand, however, his confined language is a barrier to his work. The short length and convoluted content of his poetry causes obstruction to communication.

      • 부산지역 무균성 뇌막염 원인 바이러스의 분리 및 동정 : 1998년을 중심으로

        김영희,정영기,김기순,지영미,윤재득,김병준,구평태,민상기,정구영,김만수,조경순 동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0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10 No.1

        The incidence of aseptic meningitis infection is ensuing and threatening the health of children. Enteroviruses are the major agents of aseptic meningitis and identification of virus has been a clue to diagnosis and epidemiology. The outbreak of aseptic meningitis occurred in Pusan, 1998. Patients were concentrated from April through November. Children were more susceptible than adults. Among 306 cases of specimens from stool, throat swab tested, only 7.2% were positive on virus isolation, 12 cases from stool and 10 from throat, respectively. All isolated 7 serotypes of viruses represented cytopathic effect on cultured cells. Three types of echovirus 6, 25, 30 and coxsackievirus B2, B3, B4, B6 were identified by neutralizing anti body test. Isolated coxsackievirus and echovirus were observed by an electron microscope with negative staining.

      • KCI등재

        김동리 문학에 있어서 자연의 의미 : 한국전 이전에 발표된 평론과 작품을 중심으로

        김미영 한국어문학회 2004 語文學 Vol.0 No.84

        A core object of this study on Kim Dong Ree's novels and critics is how to be revealed the postmodernity in his speciality. According to his theory of the literature, the reality of literature depends on the sincere descriptions of the objectivity involved writer's subjectivity. He insists that the ultimate object of pure literature is to seek the harmony between a rhythm of nature and a breathe of human. His realism is composed up three essential elements, nature, human, spirit. Those are existed on same levels and mixed. He said, the more mixed three elements in novel, the higher reality accomplished in literature. In his novels, like Moo-nye-do, Yueg-ma, Hwag-to-gi, Dal, Ba-wi, there are three types of nature. The first one is the natural things like a mountain or river. The second one is human nature like a passion. The third one is a destiny or fortuity of life. He gives attentions the shaman who are an incarnation compounded nature, passion, fatal. For example, 'mowha' in Moonye-do is an main character, is an exorcist who murders her only son that is a christian with knife, in ecstasy. Kim Dong Ree regards that kinds of behaviour as a coincidence of human nature, fate, spirit. And In that time, human being turns out the nature. His final aim of literary works is to make a nature off every things even human being. So the view of nature of Kim Dong Re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his view of human being and his view of literature. He considers human being is a part of nature. And He makes his character be removed reasoning power and will. There are not social lifes and a guilty conscience in his characters. In most of his novels published before Korean War, characters adapts to their fortune as determined by the Four Pillars. They thought that is their fate. That's the first point why the speciality of Kim Dong Ree's literature is located out of the modernity. He alternates a social life of human being with human nature and fate.

      • KCI등재

        「현대미술의 요람」의 필자 확정 문제

        김미영 ( Mee Young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 구- 경북어문학회) 2010 어문론총 Vol.52 No.-

        "The Cradle-land of Modern Art" is an important article published on May, 14th~23th, 1934 in Me-il-Shin-Bo, a famous daily news paper in Japanese Colonialists ruled Korean Peninsula. The name of writter`s that article is Kim-Hae-Gyeong, 金海慶with Chinese character. Kim-Hae-Gyeong was entirely unknown person in Korean Modern History. Yi-Sang is a very famous poet, novelist, painter & architect in Korean modern history. Yi-Sang is pen-name. His real name is Kim-Hae-Gyeong. But the Chinese characters of his real name is not 金海慶but 金海卿. This essay want to prove this article`s writer is Yi-Sang. "The Cradle-land of Modern Art" deals with how to be changed & improved from middle age`s art till modern art in Western culture. This article focused & emphasized role of Cezanne to develop the modernization of fine art. The writter said real modern art had begun cubism. In the future, cubism, vorticism. fauvism, surrealism, dadaism etc are going to be popular. Those are based on expressionism. In the same time, most Korean painter`s article about western art history was focused on impressionism. But the art book published Bauhouse emphasized role of Cezanne & expressionism. Yi-Sang was under the influence of Bauhouse as an architect & painter. In addition, the writing style of this article are very similar to Yi-Sang`s. Yi-Sang has liked using different pen-name, every different genre essay or literature. The conclusion of this essay is quite within the realms of possibility that the writter of "The Cradle-land of Modern Art" is Yi-Sang.

      • KCI등재

        백낙청의 리얼리즘론과 로렌스, 하이데거, 불교의 관련성

        김미영(Kim Mee 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4

        백낙청 비평담론의 핵심은 ‘리얼리즘론’이다. 그런데 그의 현실 참여적 민족 문학론의 실질적 근간인 리얼리즘론은 로렌스의 소설론, 하이데거의 예술론, 불교적 진리관이라는 이질적인 세 요소에 기초해 있어 특이하다. 1969년 『시민 문학론』 이후 백낙청의 비평적 개성은 여기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 세 요소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그의 리얼리즘론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백낙청은 리얼리즘을 ‘창작방법’의 차원이 아닌, ‘정신’의 문제로 간주하고, ‘시적 인간’과 ‘역사적 인간’의 접점에서 문학의 리얼리즘이 실현된다고 보았다. 사실적인 묘사보다 현실에 대한 정당한 인식과 실천적 관심을 강조한 그는, 리얼리즘문학의 좋은 예로 한국의 한용운과 영국의 로렌스의 문학을 꼽았다. 그는 로렌스의 장편소설론을 하이데거의 예술론에 연결시키고, 또다시 이를 불교적 진리관에 연관시켜 리얼리즘론을 구성하였다. 로렌스는 장편소설에서 디테일한묘사, 즉, ‘살아있는’ 것들의 ‘생생한’ 상호관련 하의 형상화를 중시하였고, 하이데거는 진리란 선재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적 형상화를 통해 ‘현현’ 또는 ‘탈은폐’되는 것으로 본다. 백낙청은 하이데거의 형상화를 통한 진리(본질)의 현현을 로렌스의 ‘~임(Being)’의 찰라적, 직관적 제시라는 소설관에 연결시켰다. 로렌스는 절대적 진리의 부재를 주장하여 진리관에 있어서는 하이데거와 유사한 측면이 있는데, 백낙청은 이를 ‘지공무사’, ‘돈오’라는 불교적 진리관과 상통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백낙청의 이러한 비평적 개성은 그가 루카치의 재현론이나 엥겔스의 발자크론, 레닌의 톨스토이론을 수용하여 민중적 민족문학론을 주창할 때에도 지속되고 있어 이해가 쉽지 않다. 분명한 것은 백낙청이 후기로 갈수록 한국적 현실 속에서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실천들이나 예술작품의 창작과 종교적 수행을 동일시하는 관점을 보인다는 점이다. 『창작과 비평』의 수장으로서 그는 예술의 현실적 실천력의 획득이라는 목적달성이 수용자의 감응력을 매개 하지 않고는 불가하다는 입장에서 문학의 사회적 실천력과 예술성을 포괄하고자 하였기에, 이질적인 이 세 요소의 지난한 접합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how to be connected the theories of D. H. Lawrence, Heidegger, and Buddhism in Baek Nak-Cheong"s theory of Realism. These 3 factors are so different in kind, but Baek Nak-Cheong said those were the bases of his all theories of Literature. Baek Nak-Cheong"s theories of national literature were constructed on those, too. So this article is aimed to show us how to be constructed on those 3 very different parts are connected in the Baek Nak-Cheong"s speciality of realism. First of all, Baek Nak-Cheong"s dissertation of Ph.D was dealed with D. H. Lawrence in Harvard University in 1972. Before that He had announced "The Theory of Citizen Literature"(1969). The that essay he had evaluated master pieces of D. H. Lawrence were based realism, in western culture of literature tradition. After that he always proclaimed D. H. Lawrence"s liberty & Han Young Woon"s love, Kim Soo young"s liberty & engagement as the comtemporary citizen spirit. The other hands, he quoted from Heidegger"s aesthetics. He regarded D. H. Lawrence"s thoughts about a long novel that is the unique genre being represented somethings are connected the other things, and being revived every things vividly. In the Heidegger"s aesthetics, the truth is exposed from time to time by giving shape artistically to revive. Baek Nak-Cheong said those truths are similar to thought of Buddhism"s truth. In the later period, He emphasized "Ji-gong-moo-sa 至公無私" as the supreme fairness and impartiality. That means his realism is located over the literature. Baek Nak-Cheong regards aesthetical creative works, participating in some social problems & some religious performances are same. That"s why Baek Nak-Cheong"s theory about literature are evaluated having aspects some metaphysical idealism.

      • SCISCIESCOPUS

        Identification of a sensitive urinary biomarker, selenium-binding protein 1, for early detection of acute kidney injury

        Kim, Kyeong Seok,Yang, Hun Yong,Song, Hosup,Kang, Ye Rim,Kwon, JiHoon,An, JiHye,Son, Ji Yeon,Kwack, Seung Jun,Kim, Young-Mi,Bae, Ok-Nam,Ahn, Mee-Young,Lee, Jaewon,Yoon, Sungpil,Lee, Byung μ,Kim, Hyung TAYLOR & FRANCIS 2017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Vol.80 No.9

        <P>Acute kidney injury (AKI)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rate in patients but clinically available biomarkers for disease detection are currently not available. Recently, a new biomarker, selenium-binding protein 1 (SBP1), was identified for detection of nephrotoxicity using proteomic analy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ensitivity of urinary SBP1 levels as an early detection of AKI using animal models such as cisplatin or ischemia/reperfusion (I/R). Sprague-Dawley rats were injected with cisplatin (6 mg/kg, once i.p.) and sacrificed at 1, 3, or 5 days after treatment. Ischemia was achieved by bilaterally occluding both kidneys with a microvascular clamp for 45 min and verified visually by a change in tissue color. After post-reperfusion,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t 9, 24, and 48 hr intervals. Urinary excretion of protein-based biomarkers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In cisplatin-treated rats, mild histopathologic alterations were noted at day 1 which became severe at day 3.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rum creatinine (SCr)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day 3. Levels of urinary excretion of SBP1,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a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were markedly elevated at day 3 and 5 following drug treatment. In the vehicle-treated I/R group, serum levels of BUN and SCr and AST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sham. Urinary excretion of SBP1 and NGAL rose markedly following I/R. The urinary levels of SBP1, NGAL, TIMP-1, and KIM-1 proteins excreted by AKI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were compared. Among these proteins, a marked rise in SBP1 was observed in urine of patients with AKI compared to normal subjects. Based upon receiver-operator curves (ROC), SBP1 displayed a higher area under the curve (AUC) scores than levels of SCr, BUN, total protein, and glucose. In particular, SBP1 protein was readily detected in small amounts of urine without purification. Data thus indicate that urinary excretion of SBP1 may be useful as a reliable biomarker for early diagnosis of AKI in patients.</P>

      • 정상과 갑상선 종양조직에서 사람 IGF-I 유전자의 발현

        김성운,장현하,박상미,김덕윤,우정택,양인명,김진우,김영설,김광원,고석환,홍성화,최영길 경희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3 遺傳工學論文集 Vol.5 No.-

        Many of the growth-promoting properties of growth hormone(GH) are mediated by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a highly conserved circulating 70-amino acid peptide.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multiple mechanisms influence IGF-I gene expression, including transcription from two promoters, alternative RNA splicing, and variable polyadenylation. In thyroid tissue, 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and IGF-I are the most possible candidates for follicular cell proliferation and hypertrophy. Actually IGF-I had autocrine and paracrine effect for tissue growing. We prepared thyroid tumor tissue mRNAs using single step method for detecting IGF-I levels according to different tissues, i.e., thyroid adenoma 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e used Northern blot analysis for IGF-I mRNA and RNase protection assay (RPA) for IGF-I transcription start sites. For Northern blot, we used whole human IGF-I cDNA as a DNA probe and for RPA, we used IGF-I exon 1 containing noncoding promoter 1 as a riboprobe. We got good RNA bands from Northern blot analysis around 1 kb (IGF-IA) and 7.5 kb (IGF-IB) region. To clarify the amount of both IGF-IA and IB mRNAs, we measured autoradiographied signal of IGF-I mRNAs bands using densitometer. In IGF-IA signals, there's no change among liver and thyroid tissues, but in case of IGF-IB mRNA bands, the signal was markedly increased in thyroid carcinoma tissues than that of normal thyroid tissue (85% vs 14%). In the study of RPA, all thyroid tissues used the same transcription start sites as those of liver's. We concluded that that this different regulation of IGF-I mRNA was originated from tissue specificity. That meant some tissue 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were related to tissue IGF-I expression.

      • 김치담금재료의 미생물 오염상태와 오존처리효과

        김미정,김미경,오영애,김미향,김순동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1992 식품과학지 Vol.4 No.-

        배추김치 담금재료의 미생물 오염상태를 조사하고 동시에 ozone처리에 의한 청정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배추, 고추 마늘 및 생강의 오염정도를 부위별 또는 생태별로 조사해 본 결과 세균수는 24.67-334.96×10 exp (4)범위였으며, 곰팡이+효모는 17.89-274.50×10 exp (4) 범위이었다. 미생물 오염 정도는 배추의 경우 겉부분 보다 속부분과 상부에서 높았다. 또 고춧가루는 무포장이 포장한것 보다 8-9배의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마늘은 깐마늘의 경우가 까지않은것 보다 6-7배의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 고추의 미생물 오염도는 숙도가 높을 수록 높았으며 표면보다 내부의 오염도가 높았다. 배추를 흐르는 수돗물로 세척한 결과 세척 20분 동안에 총균의 46%가 제거되었으나 그 이상의 세척효과는 없었다. 오존수에 의한 세척은 오존농도 6㎎/ℓ/sec에서 0.5-1시간 처리시 총균의 92-95%가 제거되었으며, 개스상의 오존을 동일 동도로 처리하였을 때는 86-89%가 제거되었다. 오존을 처리시에 생존한 미생물은 유도기가 연장되었으며, 생육도도 현저하게 낮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soaking materials of Chinese cabbage kimchi and cleaned effect by ozone treatment. of the kimchi. In Chinese cabbage, red pepper powder, garlic and ginger, the mumber of bacteria was 24.67-334.96×10 exp (4) and that of mold and yeast was 17.89-247.50×10 exp (4). Microbial contamination was higher in the outer and upper part of cabbage than in the inner part. The contamination was 8-9 times higher in unpackaged red pepper powder than in packaged one. That was 6-7 times higher in peeled garlic than in unpeeled one. As a result of washing by tap water for 20min, 46% of the total number of microbe in Chinese cabbage was eliminated. 92-95% of that was eliminated by treatment of ozone water 6㎎/ℓ/sec for 0.5-1.0 hour whereas 86-89% of that was eliminated by treatment of ozone gas. The lag phase of survival microbes was extended but the growth of the microbes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oz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