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acillus licheniformis strain 0DA23-1, a potential starter culture candidate for soybean fermentation

        정도원,이병훈,허소정,장미현,이종훈,Jeong, Do-Won,Lee, Byunghoon,Heo, Sojeong,Jang, Mihyun,Lee, Jong-Hoon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8 미생물학회지 Vol.54 No.4

        된장으로부터 콩발효 종균후보 Bacillus licheniformis 0DA23-1가 분리되었다. 0DA23-1 균주는 GC 함량 45.96%, 약 4.4 Mb 크기의 단일 chromosome을 보유하고 있었고, 식중독균 Bacillus cereus 및 Staphylococcus aureus가 보유한 위해성 유전자는 유전체로부터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8종의 항생물질(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streptomycin, tetracycline, vancomycin) 저항성 및 혈청분해 활성, 바이오필름 생성 관련 유전자도 확인되지 않았다. Bacillus licheniformis strain 0DA23-1, a potential fermentation starter candidate, was isolated from doenjang, a Korean high-salt-fermented soybean food. Strain 0DA23-1 contains a single circular 4,405,373-bp chromosome with a G + C content of 45.96%. The complete genome of strain 0DA23-1 does not include any of the virulence factors found in the well-known pathogens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Additionally, no gene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eight antibiotics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streptomycin, tetracycline, and vancomycin), hemolysis, or biofilm formation were identified.

      • KCI등재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acillus licheniformis 14ADL4 exhibiting resistance to clindamycin

        정도원,이병훈,이종훈,Jeong, Do-Won,Lee, Byunghoon,Lee, Jong-Hoon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8 미생물학회지 Vol.54 No.2

        Clindamycin 내성 Bacillus licheniformis 14ADL4 균주는 된장으로부터 분리되었다. 14ADL4 균주의 유전체분석 결과, GC 함량 45.86%, 약 4.3 Mb 크기의 염색체가 확인되었고, 유전체 상의 lmrA와 lmrB 추정 유전자가 clindamycin 내성에 관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Clindamycin resistant Bacillus licheniformis 14ADL4 was isolated from doenjang, a Korean high-salt-fermented soybean food. Strain 14ADL4 contains a single circular 4,332,232 bp chromosome with a G + C content of 45.86%. The complete genome of strain 14ADL4 includes lmrA and lmrB homologs may confer resistance to clindamycin.

      • KCI등재

        조선 전기 도학자들의 리(理) 인식과 사회실천론 - 정암·퇴계·율곡의 역사의식과 실천담론의 계승,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

        정도원 ( Jeong Do W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조선전기, 특히 16세기 전후 도학파들의 실천담론을 그들의 역사의식과 철학적 근거라는 지평에서 살펴보았다. 이들의 실천 담론은 이전 시기부터 내려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종의 집단지성 혹은 시대정신이며 개혁의 논리였다. 이 논리는 정암, 퇴계, 율곡을 거치면서 구체화, 현실화되었다. 이들은 이전의 정상 사회로의 복귀가 아니라 요순을 잇는 참다운 인간 이상의 사회적 실현을 목표로 하였다. 이 점에서 이들의 논리는 이전 시기 경세 담론들과 분명한 차이를 가진다. 다만, 목표가 높았던 만큼 정확한 현실 이해를 추구하였으며, 앞 세대의 사회체제 또한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이러한 소명의식과 실천이 당시 시대정신의 정화였음은, 兩難과 대기근, 갖은 政變을 거치면서도 이들이 제시한 진로를 부정하지 않는 개혁론들의 등장과 소명의 계승자임을 자처하는 후학들, 그리고 급격히 유교화 하는 생활양식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퇴율에 의해 정립된 주자학적 세계관을 벗어나는 흐름이 18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감지되기 시작하지만, 19세기까지도 사회나 정치의 중심은 여전히 주자학이었다. 현실적이면서도 이상적인 도학의 실천 담론이 가져온 결과라고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thoughts of Neo-Confucianists in the early Joseon period, especially around the 16th century, through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philosophical grounds. And it is concluded that their practical discourse was the logic of reform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period as a collective intelligence or spirit of the times, and it was not completed by any one individual at any one moment. At least, through Jeongam, Toegye, and Yulgok, they realized their logic. They had high ideals, but to that extent they tried to accurately read the problems of reality, and also tried to make the most of the social system established in the previous period. However, their goal was not simply to recover to a normal society before, but to realize more than a true human being. This has a clear difference from the discourses of governance in the previous period. Their sense of vocation and practice was the purifying of the spirit of the times, such as the emergence of reformists who did not deny their career path, the descendants who claimed to be the heir to the calling, and the rapidly Confucian lifestyle. It was after the 18th century that a flow beyond their worldview. However, until the 19th century, the Neo-Confucian worldview was still a social and political center. It can be said that it was the result of a realistic and ideal Dohak practice discourse.

      • KCI등재

        16세기 도학의 심법론 : 퇴계를 중심으로

        정도원 ( Jeong¸ Do-won ) 퇴계학연구원 2020 退溪學報 Vol.148 No.-

        16세기 조선 유학은 스스로를 도학이라고 일컫는다. 도학은 내성과 외왕의 기반을 “마음”에 둔다. 이 마음은 천리를 담은 도덕 주체로서 모든 실천의 뿌리이다. 이 마음의 이상에 관한 담론을 “심법”이라고 한다. 조선 도학의 마음에 관한 담론은 주자의 新說을 전제, 퇴계의 담론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퇴계는 ‘평상의 마음을 유지하는 삶 속에서 집착이나 강박관념 없이 각각의 사태에 대처하라’는 심법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는 선이든 악이든 마음에 담아두면 안 된다는 가르침을 계승한 것이다. 남명은 無欲을 추구하는 공부를 끝까지 밀고 나가 마음에 아무것도 없는 경지에 이르고자 하였다. 퇴계의 제자들은 이 상태를 실체화하고, 직관적으로 인식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간재나 우계 등은 퇴계의 심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자신들의 담론으로 전환하였다. 율곡은 퇴계와 달리 心意에 보다 주목하였으므로 심법 역시 달랐다. 그는 ‘가볍게 가볍게 스스로의 마음을 살펴 조절하라’고 하였다. 이는 퇴계의 ‘집착이나 강박관념 없이 각각의 사태에 대처하라’는 지침과 유사하지만, 本體에 대한 논리 구조는 달랐다. 퇴계를 계승했든 퇴계와 다른 길을 찾았든, 퇴계 이후의 학자들이 퇴계를 기준으로 자신들의 논리를 세웠다는 점은 동일했다. 이후로도 퇴계의 심법은 모든 관련 논의의 기준이 되었다. Neo-Confucianism in Joseon in the 16th century is said to be DaoXue (道學, a Confucian school of philosophy of the Song dynasty). The DaoXue is based on self-completion and the realization of political ideals on the “heart and mind”. This heart-mind is the moral subject that contains the heavens and is the root of all practices. This discourse about the ideal of the mind is called "rule of heart-mind(心法)". The discourse on the heart-mind of Chosun DaoXue presupposes the new theory of ZhouXi, and Toegye Yi-Hwang's discourse serves as the standard. Toegye had a guideline to 'address each situation without obsession in a life that maintains a normal mind.' This is the inheritance of the teaching that Be it good or evil, you must not keep it in your heart. Nammyeong Jo-Sik tried to push this to the end and reach the point where there is nothing in mind. Toegye's disciples had a tendency to materialize this state and perceive it intuitively, but Ganjae Yi-DukHong and Woogye Sung-Hon made their own discourse by taking it as it is. Unlike Toegye, Yulgok Yi-Yi paid attention to reason, consciousness, or psychological orientation, so the discourse about the mind was also different. He set up a guideline saying, 'Let's lightly and lightly examine your own mind and control.' This is similar to Toegye's guideline of “address each situation without obsession”, but the logic of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the heart-mind was different. Whether they succeeded Toegye or found a path different from Toegye, it was the same that they all set their own logic based on Toegye. Since then, Toegye has become the standard for discussion of all "discourses on the mind." And all of these discussions were aimed at discussing the realization of social ideals. Therefore, how these discussions turn into discussions for realizing social ideals should be followed by further research.

      • KCI등재

        17세기 도학실천론의 사상적 특징과 정치적 의미

        정도원 ( Jeong Do-won ) 퇴계학연구원 2020 退溪學報 Vol.147 No.-

        도학자들은 당위적 목적과 주체적 신념, 그리고 계승되어온 진리에 대한 믿음을 전제로 현실을 파악하고 대처하려고 하였다. 이들에게 현실은 ‘가치판단’ 혹은 ‘선택’의 場이다. 신념과 당위에 따른 실천이 합리나 효율보다 우선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특히 17세기에 두드러진다. 현실과의 괴리도 그만큼 크다. 그런데도 이런 입장이 강화된 데는 까닭이 있다. 본고는 이를 사상사적 맥락에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17세기에는 당파 혹은 학파 간의 다툼이 심각하였다. 大一統의 원칙과 世道, 北伐의 강령을 공유하면서도 內修外攘의 실제에서 논리가 갈리고 “斯文亂賊” 혹은 “經禮壞亂”으로 서로를 비판하였다. ‘世道’ 혹은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념적으로 대립하였기 때문이다. 학파와 당파를 일치시키고 학파의 비조를 道統에 연결하여 世道와 義理 혹은 학문적, 정치적 리더십을 행사하는 것이 17세기 도학 정치의 기본 방식이었다. 道統, 즉 주자학적 정통성은 학문적 정통성인 동시에 정치적 정당성이기도 하였다. 17-18세기 理學은 정파와 관계없이, 현실에서 理의 보편성 혹은 공공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세도자임자로서 사회의 진로를 분명히 하고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여야 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여러 개혁정책도 강구되었다. 이를 위한 道統이고 주자학이었다. 하지만 理의 보편성에 대한 검토가 민생의 안정을 위한 현실 사회 분석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우암이나 백호나 對症的 時務를 논의할 뿐, 현실 분석에 기초한 經世의 그림은 제시하지 못했다. 사상적인 골격이나 시대 과제에 대한 인식이 같았음에도, 상대의 주장을 배척하고 자신들의 주장을 절대화하는 모습만 남게 되었다. 이는 시대를 자신들의 관념 속에서 규정하고, 이에 어긋나는 주장은 모두 이단으로 모는 정치적 엄숙주의와 닫힌 담론으로 이어졌다. 이는 분명한 17세기 도학의 한계였지만, 정치·경제적 욕망을 도덕으로 포장하였던 때문은 아니었다. 이 시기에는 같은 시대 담론이나 사상적 토대를 가지면서도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사상 변화도 일어나고 있었다는 점에서, 17세기 사상사를 새로운 세계관과 열린 담론으로 가기 위한 긴 사상 변화의 과정에서 보아야 할지, 농업·유교 국가 조선이라는 현실에 갇힌 도학적 세계관의 한계로만 이해해야 할지 좀 더 숙고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Neo-Confucianists try to grasp and cope with reality on the premise of their purpose, subjective beliefs, and belief in the inherited truth. For them, the reality is the “value judgment” or the “choice”. Therefore, practice based on beliefs and standards takes precedence over realistic choices or efficient actions. This was prominent in the 17th century.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causes of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vein of the history of thought. Conflicts between the 17th-century factions and schools show ideological confrontations to secure political legitimacy or to take the lead in society or to establish the right public opinion. This responsibility countered Wooam, who took the position that people with both Neo-Confucianism of Zhu Xi and school orthodoxy should take responsibility, and Baekho introduced a way of claiming that authority in the ancient Confucian Classics comes first. This led to criticism by Neo-Confucianists called ‘heresy’. When Wooam criticized Toegye’s moral philosophy, claiming that he was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a moral social circumstance, academic descendents such as Galam confronted it. When Wooam tried to bring Yulgok and Woogye to the Confucian shrine, scholars inherited Toegye’s Confucianism criticized Yulgok and Woogye for their behavior and academic purity. It was because they thought they were the heirs of the Neo-Confucianism of Zhu Xi. The fact that Baekho expressed interest in the philosophy of Toegye and Yulgok, while insisting on the study of ancient Confucian Classics, was driven by the interests of reality. This is because he doubted the legitimacy of the Wooam’s Neo-Confucianism, which borrowed this authority. It was the method of exercising academic and political leadership at the time that it had the power to create a social atmosphere and moral judgment by calling its own school or partisan an orthodox successor to the Neo-Confucianism of Zhu Xi. This is why they share a policy of authenticity, responsibility for forming a moral society, and attack of the Qing dynasty, while criticizing the other as a heresy and taking a different position on economic and social stability. As scholars and politicians, it was necessary to clearly provide the way for society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but it was necessary to politically analyze how to establish a moral social atmosphere, review moral standards, and examine social ideals for the stability of people’s lives. It has not been able to provide a blueprint for state operations. Only the countermeasures for each problem in reality were presented. It was not a policy competition with a philosophical background, but a political confrontation over authenticity. More advanced policy discourses are embodied in the 18th century. The 17th-century Joseon Neo-Confucianism of Zhu Xi is an extreme example of how public Li (理), subject’s moral convictions, and historical callings can be embodied in a collapsing social ord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is is due to changes in the times or whether it is because of Joseon, an agricultural and Confucian state.

      • KCI등재
      • KCI등재

        전통발효식품용 종균의 안전성 평가 필요성

        정도원 ( Do Won Jeong ),이종훈 ( Jong Hoon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1

        식품발효용으로 사용하는 미생물은 오랜 기간의 사용이력에 근거하여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지 않고 사용되어 왔다. 한편, 가공식품산업의 발달로 국제적인 식품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수입국의 소비자와 정부당국은 식품에 첨가하는 미생물의 안전에 대해서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현재, 식품에 첨가하는 미생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기준은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가 사용하고 있는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와 유럽연합 European Food Safety Agency (EFSA)의 Qualified Presumption of Safety (QPS)가 대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GRAS는 식품에 첨가하는 미생물 자체에 대한 안전성이 아닌 특정용도에서의 첨가에 따른 안전성을 의미하고, QPS는 식품에 첨가 가능한 미생물 단위(분류학적 단위, taxonomic unit)에 대한 안전성 평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발효식품의 상업적 생산이 증가하면서 종균 적용이 추진되고 있지만, 식품발효용 종균에 대한 안전성 기준규격 없어 안전성 평가 없이 기능 성만으로 종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전통발효식품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향후 적용될 종균에 대한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안전성의 확보가 필요하고, 식품용 미생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기준의 마련이 필요한 시점에 도달해 있다. Most microorganisms have been used for foods for such a long period of time with no question posed for their safety. However, the progress of food processing technology has activated international food trades, and the consumers and authorities of import countries have come to question the safety of microorganisms used in foods. At present, the most widely known safety standards are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 status from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nd Qualified Presumption of Safety (QPS) status by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GRAS status is not for the safety of microorganisms themselves but for the permissibility of strains or cultures in specific food uses. QPS provides a qualified generic approval to a defined taxonomic unit. The increase of commercialized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n Korea has spurred the starter development for traditional food fermentations. However, starter development in Korea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technological properties of microorganisms with no research on developing a standardized tool for safety assessment. In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technological properties as well as safety of future starters should be guaranteed, and establishment of the safety assessment regulation for microorganisms used for foods is necessary.

      • 틸팅열차 안전운행을 위한 운영기술 연구

        정도원(Do-Won Jeong),김명수(Myoung-Soo Kim),김호순(Ho-Soon Kim),김영율(Yeong-Yul Kim) 한국철도학회 2010 한국철도학회 세미나자료 Vol.2010 No.10

        Tilting trains is a train can enable to improve the train speed as a trian rounds a curved rail by tilting the body to the opposite way against centrifugal force and has a lot of strong points in domestic land has lots of mountain area causes many curved lines with the least improvement of facilities. Especially when it's possible to provide Tilting train service, it would cause many troubles for drivers to have to deal with. because they couldn't have enough experience to drive tilting train can run upto 10~30 Km/h than the one of ordinary train. and we do not have operated tilting train yet. So we have to be sure driving safety of all things, as tilting train is a brand new rolling stocks has complicated system and mechanism. Hence, we have developed standard manual for drving and an instructions of emergency procedures of tilting train for drivers in case of emergency than makes sure of driving safety. we also tried to make sure of comprehensive safety in case of providing tilting train service investigating a method reducing risk by PHA, which should be conducted ahead of introducing of new rolling stocks.

      • KCI등재

        배양법을 이용한 새우젓갈 숙성과정 중 박테리아상 분석

        정도원 ( Do Won Jeong ),정광식 ( Gwangsick Jung ),이종훈 ( Jong Hoon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3

        6종류의 배지를 이용한 135일 동안 8번의 박테리아상 분석을 통하여 새우젓갈 숙성 관련 우점종을 결정하였다. Marine agar를 배양에 사용하였을 경우, 가장 많은 수의 박테리아가 검출되었고, 숙성 65일차에 그 수가 2.51 × 107 CFU/g에 달하였다. 순수분리된 총 467균주는 42속 87종으로 동정되었고, 16균주는 기존의 알려진 박테리아와 상동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1일차 분석에서 39종이 검출되었던 박테리아는 135일차에 13종으로 감소하여 우점화가 진행됨을 학인하였다. 속 수준에서의 우점은 Staphylococcus, Salimicrobium, Kocuria, Psychrobacter 순으로 나타났고, 1일차 분리균주의 2% 수준을 차지하던 Staphylococcus, Salimicrobium 속 균주는 135일차에 각각 39%와 36%에 달하였다. 우점종으로 확인된 Staphylococcus equorum, Salimicrobium salexigens, Kocuria palustris는 각각 전체 분리균주의 23.6%, 16.1%, 10.9%을 차지하였다. St. equorum와 Sm. salexigens는 21% (w/v) NaCl 농도에서의 생육이 확인되어 새우젓갈 숙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To determine the dominant bacterial species during the Saeu-jeotgal ripening process, the cultivable bacterial population was examined over a 135-day period using six different growth media. The greatest numbers of bacteria were identified when marine agar was used for culture, with maximum cell density identified at day 65 (2.51 × 107 colony forming units/g). Over the course of 135 days, the bacterial diversity was analyzed eight times. A total of 467 isolates, comprising 87 species from 42 genera, as well as 16 isolates belonging to previously unknown species, were identified. The number of species detected decreased from 39 at day 1 to 13 at day 135. The order of dominance at the genus level was as follows: Staphylococcus, Salimicrobium, Kocuria, and Psychrobacter. Staphylococcus and Salimicrobium accounted for 2% of the diversity at day 1, and then increased to 39% and 36%, respectively, at day 135. The dominant species Staphylococcus equorum, Salimicrobium salexigens, and Kocuria palustris accounted for 23.6%, 16.1%, and 10.9% of all isolates, respectively. Importantly, both St. equorum and Sm. salexigens remained viable at a NaCl concentration of 21% (w/v), which indicates their strong involvement in the ripening of Saeu jeotgal.

      • KCI등재

        한국철학 : 16세기 퇴계학파 예학의 심학적 기반과 수범적 예교 -학봉, 간재를 중심으로-

        정도원 ( Do Won Jeong )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1 No.-

        본고는 16세기 도학파 가운데 퇴계와 그 직전문인들로 이루어진 퇴계학파의 예학 사상을 검토하여 이들의 예학이 理學과 心學을 기저로 하여 성립되는 內聖外王의 道學혹은 聖學의 實踐的歸結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이학-심학의 연관구조 혹은 道學, 聖學체계에 따라 분석하되, 外王의 다른 한 축인 經世論과의 연결에 특히 유의하였다. 내성외왕의 논리로 볼 때 이학과 심학은 지치의 왕도로 전환되어야 하고, 도학에 서 경세와 예학은 ``義理``라는 측면에서 소통된다. 의리는 수양을 통해 완전히 인식될 수 있지만, 그 근거는 理와 性이다. 따라서 이 모두는 하나의 정합적인 체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퇴계의 예학은 矯俗의 차원에서, 호발의 내성론이 지행을 병진시키며점진적 기질변화를 추구하듯이 풍속의 교정 역시 급격하지 않게 차츰차츰 추구하여 자연스럽게 교화하는 방식을 추구한다. 內聖학의 반면에 경세의 일변으로서의 外王의 禮敎가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제자들은 聖君의 存體應用이 아니라 자신들의 爲己之學, 혹은 戒愼恐懼의 차원에서 예학에 접근하고 있다. 이는 내성의 연장선에서, 도학자로서의 出處를 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퇴계의 논의에 비해서 상당히 경직되고, 내면적으로 후퇴해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祖述이 가진 본질적인 의미, 즉 이론의 계승이 아니라 이론을 포함한 학문적 본령의 계승이라든가 爲己之學으로서의 道學이 가지는 기본 특징, 즉 학문내용의 자기화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지만,끝없이 확인하고자 하는 本源이 아직 應用의 主體로 서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논의의 정점에 이르지 못하고 있음 역시 분명하다. 16-17세기퇴계학파의 학문은 스승 퇴계의 사상을 祖述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예학의 경우 이러한 특징이 자주 지적되는데, 바로 이러한 學統이나 道統을 중시하는 도학적 사고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큰 틀에서 보면 퇴계학파의 예학 역시 당시 예학의 당면 과제를 고민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타의 예학들과 크게 다를 것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운용하는 주체의 사상적 기반이 달랐던 만큼 서인 계통의 논리와는 일정한 차이를 가질 수밖에 없는데, 특히나 호발의 논리 속에 점진적인 교속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원론적인 일원화를 추구하는 입장과는 분명한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수범과 예치의 방향이 이러한 사상적 기반에 따라 결정되었으므로 양자의 차이는 결과적으로 보면 상대적이지만 그러한 결과를 도출한 원인은 본질적인 학문 차이였다고 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전례논쟁이 본격화되면서 퇴율의 학문적 차이가 새로이 부각되는 것도 이러한 학문적 기반의 차이가 예설의 차이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16th Century ToeGye School`s thoughts of Confucian rituals and investigated that their thoughts of Confucian rituals were result of Neo-Confucian metaphysical foundation and the practical ethics. The key of being sage and government is "innate moral justice" and it is the basis of Confucian rituals. All of these categories are co-related. ToeGye approached Confucian rituals as a method of correcting wrong social customs or rituals in the standpoint of sage king, so he insisted on gradual change of innate nature and wrong social customs on his metaphysical perspective. But ToeGye`s disciples approached Confucian rituals as an extended personal ethics. Their retreat came from their own self-cultivating level was not equal to that of ToeGye. They accepted their own level honestly and tried to be faithful to their inner sides because the standpoint of the sage king allowed for the consummated character. This may explain why ToeGye`s disciples followed their master faithfully. ToeGye School`s perspective on Confucian ritual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another School, especially that of West Party, because the urgent problems of that time and responsibility for people were same. So the final outcomes were about the same but their metaphysical bases were different. It was a fundamental difference. This difference brought out the academical difference of ToeGye and YulGok in sharp relief after 17th century controversy on Confucian rit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