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의 소종래(所從來)에 대한 고봉(高峯)·퇴계(退溪)·율곡(栗谷)의 인식 비교

        조첨첨 ( Zhao Tian Tia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38 No.-

        사단과 칠정을 구분하는 기준은 ‘所從來’와 ‘所主[所指]’ 두 가지이다. 高峯은 사단과 칠정은 ‘所指’는 다르지만 ‘所從來’는 동일한 ‘性’ 하나이기 때문에 ‘실질은 같고 이름만 다르다[同實異名]’라고 주장하였다. 退溪는 사단과 칠정은 ‘所指’ 뿐만이 아니라 ‘所從來’가 각각 리와 기이기 때문에 사단과 칠정은 리와 기의 차이에 상응하는 이질성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栗谷은 부분과 전체의 관계에 있는 사단과 칠정은 물론 대립적인 인심과 도심도 소종래는 동일한 ‘理’ 하나이기 때문에 사단과 칠정은 하나의 정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즉 高峯과 栗谷은 사단/칠정의 소종래에 대하여 ‘理一源論的 認識’을 갖고 있었던 반면에 退溪는 ‘理氣二源論的 認識’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사단과 칠정의 ‘所就而言[所指]’가 다르다는 점에 대해서는 고봉·율곡와 退溪의 의견이 일치하였으나 ‘소종래’에 대해서는 의견이 서로 첨예하게 달랐던 것이다. 고봉·율곡와 退溪의 주장이 충돌하는 핵심적인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이와 같이 퇴계·고봉·율곡이 사단칠정논변의 핵심적 과제는 ‘사단과 칠정의 소종래가 무엇인가’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하여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다. 더구나 율곡과 우계의 논변에 있어서 이 문제가 어떻게 논의 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고 퇴계, 고봉의 주장과 비교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논문은 이 문제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our-Seven Debate is based on 'sojinglae (origin,source)' and 'soju (the main referred to). Toegye thinks the two are two kinds of emotion, because their 'sojinglae' are li and ki. Gobong thinks the two are one kind of emotion, because their 'sojinglae' are li. They all agreed on ‘sochuiion(different point of view about same thing)’ of the Four and the Seven. However, they had different opinions about 'sojingla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ir different theories. Although the questions of 'sojinglae' is the main issues of the four and seven, it has not gotten attention and systematic research so far. This issue in Yulgok and Ugye's Four-Seven Debate is rarely discussed, so this paper focuses on this.

      • KCI등재

        특집 : 율곡학의 확산과 심화2 ;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율곡(栗谷) 심성론(心性論) 이해

        유연석 ( Yon Seok Yoo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2 No.-

        尤庵 宋時烈은 17세기 栗谷학파의 지도자로서 退溪학파와의 대결 구도 속에서 栗谷 心性論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견지하였다. 心是氣說에 대해서는 性卽理說과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는 이론이라고 설명하면서 先儒들의 학설 가운데 관련된 내용들을 근거로 제시하여 그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性心情意一路說에 대해서는 純善한 本然之性인 五性으로부터 善惡이 혼재한 七情이 유발된다는 栗谷의 理일원적 性情論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 이를 ``모든 事物의 근본은 理이므로 天下에 理를 벗어난 사물[理外之事]이 없고 性을 벗어난 사물[性外之物]이 없다``는 언명으로 정식화함으로써 理일원적 관점을 강화하였다. 尤庵은 이러한 관점을 人心道心說에서 보다 철저하게 적용하여 人心과 道心을 모두 本然之理로 규정하였다. 즉 本然之性으로부터 ``直出``하여 人心이 中節한 것을 ``人心 本然의 體段``이라고 명명하고, 本然之性으로부터 ``傍出``하여 人心이 不中節한 경우를 人心이 왜곡 변질된 人欲으로 간주함으로써, 人心이 원칙적으로 善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와 같이 尤庵은 전반적으로 栗谷의 心性論을 지지하고 계승하는 태도를 취하지만, 유독 四端의 개념에 대해서 만큼은 이견을 보이고 있다. 氣發理乘一途說에 입각할 때, 七情에 中節과 不中節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四端에도 中節과 不中節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四端과 七情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四端七情論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은 尤庵이 情의 포섭관계를 규명하는 부분이다. 즉 本然之性으로부터 유발되는 수만 가지의 情은 四端과 七情으로 통합되고, 四端과 七情은 惡(오)와 欲 두 가지로 통합되며, 惡(오)와 欲은 惻隱 한 가지로 통합된다는 것이다. 이를 역으로 재구성하면 仁의 발현인 惻隱 한 가지가 생명현상의 파괴를 부정하는 惡(오)와 생명현상의 고양을 긍정하는 欲의 두 가지로 분화되고, 惡(오)와 欲은 다시 四端과 七情으로 분화되며, 四端과 七情은 수만 가지의 情으로 분화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尤庵의 견해는 四端을 食色과 대비시키는 『孟子』의 문맥에서 벗어난 것으로, ``天下에 理를 벗어난 사물[理外之事]이 없고 性을 벗어난 사물[性外之物]이 없다``는 理일원적 性情論의 논리적인 전개가 도달한 궁극적인 결론이라고 생각된다. Song Siyeol as a leader of Yulgok School in the 17th century, supported Yulgok`s theory of mind-nature, in confrontation with Toegye School. The theory that ``human mind is the disposition(qi)`` and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the principle(li)``, he explained that h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 evidence presented to the opinion of previous wise confucian scholars. For the monistic theory of mind-nature, he faithfully succeeded Yulgok`s monistic theory of principle(li) and reinforced Yulgok`s perspective by saying that the root of all things is principle(li). Song Siyeol applied more thoroughly this point of view to the theory of bodily desire and altruistic feeling, by both bodily desire and altruistic feeling has defined as original principle(li). Thus proper bodily desire, which arise straightly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is called original state of bodily desire, but improper bodily desire, which arise diagonally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is called devil. It stressed that bodily desire is essentially good. As such, Song Siyeol inherited largely Yulgok`s theory of mind-nature, but presented differrent opinions about the concept of the four beginnings. On the basis of monistic theory of the principle(li) and disposition(qi), the four beginnings is divided into proper response and into improper response, as well as the seven feelings is divided into proper response and into improper response. Therefore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It is a noteworthy feature in the theoy of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at Song Siyeol explained the subsumable relations of feelings. Many kinds of feelings, which arise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are integrated into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en, both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integrated into dislike and desire. Then again, both dislike and desire are integrated into compassion. Reconstructing the opposite direction, compassion which arise from benevolence is divided into dislike and desire. Then, dislike and desire are divided into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en again,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divided into many kinds of feelings. This view is based on the monistic theory of principle(li) that there are no things out of the principle(li).

      • KCI등재

        율곡학연구(栗谷學硏究)의 새로운 지평 및 신공동체(新共同體)의 모색

        손흥철 ( Son Heung Chul ),박용석 ( Park Yong Suk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이 논문은 율곡학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보고, 21세기 미래사회의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이상을 율곡의 경세론에서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율곡의 철학을 두 가지 분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첫째는 율곡의 성리학(性理學) 연구의 경향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여기서 필자는 그동안 율곡 성리학을 연구하는데, 기존의 주리·주기의 이분법적 연구 경향과 지나친 퇴계와의 비교연구의 태도를 버려야 율곡 성리학의 진면목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율곡성리학의 세계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는 율곡 경세론의 특징을 정리하고, 이에 관한 적극적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율곡학은 바로 성리학과 경세론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그동안 경세론에 관한 연구가 부족함을 반성하고, 율곡의 경세론을 연구함으로써 미래 사회의 새로운 사회윤리와 이념을 모색하였다. 여기서 필자는 공동체 운영에서 지도자는 도덕적 정의를 실천해야 하고, 또한 실무능력과 희생정신을 갖추어야 하며, 일반 백성은 자유로운 소통(疏通)과 공론(公論)을 존중해야 함을 논증하고 확인하였다. 율곡의 경세론에서 이러한 정신을 밝혀서 미래의 공동체 형성과 운영의 원리로 삼아야 함을 검토하였다. In this paper, I seeked for new horizons of Yulgok(1536~1584) studies, and looked up the ideal to form a new community of futur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n Yulgok's administration theory. For this purpose, I divided Yulgok's philosophy into two areas. The first was criticizing the tendency of study Yulgok's Neo-Confucianism and seeking new directions. As a researcher who has been studying Yulgok’s Neo-Confucianism, I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discard the dichotomous research trends of the existing Li(理)-centered(主理) and Qi(氣)-centered(主氣), and to cease the excessive attitude of comparative research with Toegye(退溪) to understand the true aspects of Yulgok Neo-Confucianism and thus to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Yulgok’s Neo-Confucianism. Secondly, I emphasized the need for active research on Yulgok’s theory of Administration(經世論). The studies of Yulgok consist of two parts : Neo-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Administration, but the latter has not yet been studied enough, and thus we need to study further Yulgok’s theory of Administration to get new social ethics and ideologies in future society. Here, I argued and confirmed that in the operation of the community, leaders should practice moral justice, also have practical skills and spirit of sacrifice, and the general public should respect free communication and public opinion. This spirit was revealed in Yulgok's theory of Administration, and it was proposed that the principle of the formation and the operation of good community should be based on the spirit.

      • KCI등재

        정암 이현익의 사단칠정론

        이선열 ( Sun Yuhl Yi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18세기 낙학계열의 학자인 정암 이현익의 사단칠정설을 중점적으로 조명한 것이다. 김창협의 제자였던 이현익은 초기 낙학파 사유에서 두드러졌던 퇴율절충적 사칠론의 경향을 따르고 있다. 즉 율곡학파의 전제를 바탕으로 퇴계설을 최대한 율곡설과 모순되지 않도록 해석하는 것이 이현익의 기본입장이었다. 그는 사단과 칠정이 모두 인의예지에서 발원한 것이라 하여 양자의 발생경로를 일원화하는 ‘기발리승일도’의 관점을 취하되, 퇴계가 말한 ‘리발’과 ‘기발’ 역시 ‘주리’와 ‘주기’의 맥락에서 용인하는 입장에 선다. 이현익에 따르면 사단과 중절한 칠정은 모두 선한 정(情)으로 가치상 동일하며, 존재상으로도 어느 쪽이 더 리에 가깝다거나 기에 가깝다는 식으로 차별화할 수 없다. 하지만 개념의 층위에서 각자가 함축하는 취지에 주안점을 둘 때 양자의 차이가 불거진다. 즉 사단은 리의 순선한 측면만을 단적으로 지시하고 기의 측면을 언급하지 않은 것인 반면, 중절한 칠정은 기가 리를 순조롭게 따른 경우를 지칭하기 때문에 기의 역할에 강조점이 놓인다. 이처럼 가치론적ㆍ존재론적으로 동일한 대상이더라도 무엇을 의도하고 강조하는지에 따라 개념상의 차이는 변별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 이현익의 기본생각이다. 그는 기에 따라 좌우되는 우연적ㆍ가변적인 선악의 한 측면과 동일시하기에는 사단의 도덕적 함의가 크다는 퇴계의 문제의식에 공명한다. 즉 사단이 칠정의 일부로만 간주될 때 단순히 ‘중절한 일반감정’과 차별화되는 ‘천부적인 도덕감정’의 가치가 희석된다고 본 것이다. 그 같은 취지하에 이현익은 논리구조상 율곡의 학설을 따르면서도 그 안에 퇴계의 문제의식을 수렴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아울러 그는 퇴계와 율곡의 관점이 각각 빠질 수 있는 편향을 지적하면서 사단칠정에 관한 종합적인 인식을 꾀하기도 했다. 비록 자신만의 독창적인 해석을 제시하지는 못했지만 낙학파의 논리로 사단칠정 문제를 명료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현익의 학설은 일정한 사상사적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performed by Yi Hyun-Ik. Yi belonged to Rakhak(洛學) in Yulgok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Yi``s view on this issue can be recapitulated as two claims: (i) Yulgok was entirely right as regards to the relations between Four Beginnings and Seven Fellings, and (ii) nevertheless, Toegye``s view on this issue, if examined closely to understand what it was originally meant, is not incompatible with Yulgok``s theory. This reveals the basic attitudes of Yi``s philosophy, which compromises the two great philosophers`` views. At the same time, Yi provides criticisms on their views. He attempted to reach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while pointing out the problems one may face taking Toegye or Yulgok``s view tendentiously. In sum, Yi``s view on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s the result of accommodating both Toegye``s and Yulgok``s philosophies, and, at the same time, of critically examining their view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Yi``s view lies in the fact that it clarifies the complex issues raised by the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within his own line of thinking, as opposed to merely following previous discourses.

      • KCI등재후보

        통일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율곡학적 모색

        윤사순 ( Sa Soon You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5 율곡학연구 Vol.30 No.-

        근대 이념과 체제의 대립인 남과 북의 분단현상을 극복할 통일 작업은 여러 측면으로 강구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전통사상인 유학, 그 중에도 율곡(栗谷 李珥, 1536-1584) 사상에 근거하여 강구하려 한다. 통일의 성취를 위해서는 ‘남과 북의 평화적 화합’만이 최상 최선의 방법임은 누구나 다 인정할 것이다. 평화적 화합에 의한 통일 성취가 본고의 대 전제적 명제이다. 그 화합을 이룰 수 있는 필요조건을 들어보겠다. 첫째 남과 북이 다 함께 ‘공존 공생의 의지’를 공유해야 한다. 이 요건은 율곡이 유학의 일부를 자기 사상화한 이른바 ‘성(誠)사상’, 곧 ‘진실 순수 정성’의 의미를 함출한 ‘성의 마음가짐’으로 가능하게 된다. 이런 마음가짐은 ‘상호신뢰’라는 인격적 감화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공존 공생 자체가 보편성을 띠었다고 할 수 있는 덕목인데다가, 우리에게 아직 잔유한 민족의식은 이 사고의 실천에 크게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남과 북의 화합을 위해서는 또 서로가 ‘상생(相生)의 길’을 터야 한다. 이 상생의 사고가 바로 율곡이 계승한 유학의 우주발생론 등에 깃든 “서로가 상대편을 존립케 하는 뿌리가 되어준다(互爲其根)”는 사고이다. 유학에서 사용되는 ‘서로 기다려준다’는 의미의 이른바 ‘대대(待對) 상수(相須)’로 불려온 개념의 성격이 또한 이 사고방식이다. 지금부터 상생 사고의 중요성 인식에 철저해야 함은 물론이고, 이것의 실효성 있는 실천이 요망된다. 그 실제 실천은 정신적 물질적으로 ‘상대를 도와줌(상부상조)’이 무엇보다 유효하다. 셋째 남과 북의 궁극적 화합은 나아가 율곡의 ‘언론자유’를 전제한 ‘공론(公論)에 의한 국시 론 (國是論)’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율곡은 사욕을 버린 공익(국익) 추구의 시각에서 국민 ‘모두가 스스로 옳다고 동의하는 것’을 공론이라 하고, 그 “공론이 있는 데에 국시가 있게 된다”고 했다. 그런데 이것의 구현에는 두 가지 요건의 충족이 필수적이다. 인간의 생태적 욕구로 상징되는 ‘민생 돈후 문제를 충족’시키는 한편, 정신적 욕구로 상징되는 ‘문화 창발 의욕을 원활히 충족’시킬 방안의 사상을 구비하는 작업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사상적 요건들 가운데 가장 지난한 것이 아닐 수 없다.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imed at resolving the conflict of modern ideologies and systems between the two countries, can be realized by different approaches. This study seeks to resolve the conflict based on Confucianism, or more specifically, the ideology of Yulgok (1536-1584). Peaceful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the most ideal form of reunification. This study is built on premise that reunification should be achieved by peaceful means. The conditions for peaceful reunification are listed below. First, North and South Korea must share a determination for co-existence. This condition can be achieved using Yulgok’s ideology of “sincerity (誠)”, part of which was borrowed from Confucianism. It is this mentality, represented by values such as “truth, purity and sincerity,” that leads to the establishment of mutual trust. Secound, North and South Korea must pave a road of “mutual life-improvement” for peaceful reunification. This mentality is based on the belief that “each acts as a root for the other’s existence (互爲其根),” which is inherent in Confucian cosmology. The meaning of “waiting for each other,” as used in Confucianism, is evident in the concept known as “daedae sangsu (待對 相須).”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tual life-improvement and to take practical measures accordingly. Practical implementation under the belief of mutual life-improvement is most effectively achieved by offering emotional and material aid to the other under the spirit of “interdependence (相扶相助).” Mutual life-improvement, seen as universal virtue, can be adopted based on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at still remains in us. Third, ultimate harmon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an be supported by Yulgok’s public opinion-based national policy theory, which assumes the freedom of the press. Yulgok defined public opinion as that which is regarded as right and agreed upon by all citizens; he saw public opinion as the basis of national policy. Here, there are two pre-requisites: the satisfaction of ecological desire, represented by public humanity, and th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desire, represented by cultural creation. Thus, this is the most difficult among the aforementioned ideological conditions.

      • KCI등재

        특집 : 율곡학의 확산과 심화2 ; 율곡학파의 리기론 -리기 이해 문제를 중심으로

        리기용 ( Ki Yong Le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율곡학파의 율곡 리기의 이해(분석) 방법을 살펴본 글이다. 분석의 대상은 시기적으로는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구체적 인물로는 율곡 이이와 그의 적전으로 보기에 논란이 없는 우암 송시열, 수암 권상하, 남당 한원진을 선정하였으며, 그 분석 내용은 리기 이해에 국한시켰다. 먼저 율곡의 리기 이해를 분석하였으며, 그의 제자들이 그의 리기를 이해 방식이 어떻게 구체화하고 심층화시켰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고찰을 통해서 살펴본 리기 이해의 변화는 율곡의 리기 이해를 원론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다변화시켜 다각도로 설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리기론 자체의 발전만이 아니라 심성론의 심화로도 나타난다. 율곡과 그의 제자들은 리기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고 고백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리기는 하나이면서 둘이요, 둘이면서 하나라는 주자학의 원론적 난제로부터 연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리기를 다각도에서 접근하는 한편, 세분하여 분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율곡학파의 리기 이해에서 주리와 주기는 한 단편의 이해일 뿐이었다. 이를 통해서 퇴계학파의 주리와 주기의 대립이라는 도식은 제한적으로만 가능할 뿐이라는 것도 부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focused on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LiKi by Yulgok school.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he understanding of LiKi, from 16th century to 18th century. Specifically, this thesis analyzes the understandings of Yulgok Lee I, and his indisputable disciples, Wooam Song Si-yeol, Suam Kwon Sangha and Namdang Han Wonjin. First, this thesis analyzes Yulgok`s understanding of LiKi and how his disciples made depth in his understanding. Yulgok school could diversify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LiKi in various angles, based on Yulgok`s understanding. Also, this resulted not only in development of Theory of LiKi but also in advance of Theory of XinXing. Yulgok and his disciples confess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explain LiKi. This is drawn from neo-confucian dilemma of Li and Ki being one but two, and two but one at the same time. Yet, they approached LiKi in various angles, subdivided and analyzed LiKi to explain this dilemma. In Yulgok school`s understanding of LiKi, zhuli and zhuqi are only one part of fragmented understandings. Through th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oegye school`s diagram of dialectic conflict between chuli(主理, principle(li) as the predominant factor) and chuki(主氣, materail force(ki) as the predominant factor) is only available in restrictive understanding.

      • KCI등재후보

        율곡 이이의 동북아 인식과 21세기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

        김용헌 ( Yong Hun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2013년 8월 현재 동북아는 여러 힘들이 충돌하는 장이면서 경제·문화의 측면에선 화해와 협력, 나아가 상생을 위한 공동체 담론들이 성숙되어 가고 있다. 미국의 전통적인 동북아 전략은 동북아는 물론 태평양 지역의 패권을 지속시켜 나가는 것이다. 중국은 미국 중심의 세계 체제를 미국과 중국이 균형을 이루는 새로운 체제로 재편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일본의 대외 전략에서 두드러진 것은 미일 동맹체제의 강화와 이를 바탕으로 한 우경화와 군사대국화의 경향이다. 더욱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조치, 그리고 개성공단 가동 중단등 경색된 남북 관계는 해법의 실마리를찾지 못하고 있다.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율곡 이이가 제시한 대외 정책의 두 기준은권(權)과 의(義)이다. 권으로써 변화에 대처하고 의로써 일을 처리한다면 나라를 다스리기가 전혀 어렵지 않다는 것이율곡의기본적인 생각이었다. 권은때에 따라 중을얻는 것[隨時得中]이고 의는 일처리를 합당하게 하는 것[處事合宜]이다. 율곡은 이 두 기준에 따라 동북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자국중심주의, 백성이익주의, 상호신뢰주의, 비침략주의 원칙을 적용했다. 율곡의 사상에 비추어 보자면, 동북아 문제에 접근할 때 우리가 지녀야 할 두 기준은 대한민국의 번영과 동북아의 평화·공생이다. 우리의 동북아 전략은 대한민국 국민의 삶의 고양, 동북아 국가 간의 신뢰와 협력, 그리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율곡이 전해주는 동북아 전략의 지혜이다. Two criteria for formulating foreign policy which Yulgok(1536∼1584, his real name is Lee Yi), who served in various high-ranking government posts as a famous Neo-Confucian in Joseon Dynasty, proposed are gwon(權) and eui(義). Yulgok thought that it would be not difficult for a king to govern his country if he coped with change by means of gwon(權) and carried out a task in accordance with eui(義). Gwon(權) means to follow the golden means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eui(義) means to deal with issues rightly. According to these criteria, Yulgok gave priority to profit of his own country and interests of his country`s people in solving international problems of Northeast Asia. At the same time he maintained mutual trust between countries and objected to military attacks against other countries. On the basis of Yugok`s diplomatic policy, we have to keep two principles, that is, the prosperity of Korea and peace and co-prosperity of Northeast Asia about issues of Northeast Asia. Our strategy for Northeast Asia must be focused on the sustainable improvement of Korean people`s life, their national confidence and cooperation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the peace and co-prosperity of Northeast Asia.

      • KCI등재후보

        율곡학파의 심시기와 철학적 문제의식

        김경호 ( Kyung H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율곡학파는 심시기(心是氣)를 중심으로 한 심설을 논의하면서 무엇을 고민했고, 무엇을 해명하려 했을까?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하여 한국유학사에서 ‘마음의 문제’를논제로 하여 철학적 논변을 전개했던 율곡학파의 심설을 탐구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단계를 설정한다. 첫째, 율곡학파 계열의 심설이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율곡 심설에 대해 검토한다. 둘째, 율곡학파 계열에서 제기하는 심설의 흐름을 학술사(지성사)의맥락에서 검토한다. 셋째, 심설을 통해 제기되었던 문제의 근간에는 어떠한 철학적 문제의식이 개입되어 있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를 해명한다. 율곡학파의 심설은 이이가 제안한 ‘심시기’를 전제로 한다. 이 개념은 17세기 퇴계학파의 경쟁적 관계 속에서 율곡학을 정립하려던 송시열에 의해 재발견되고, 이후 율곡학파 심설의 종지로 확정된다. 이러한 흐름은 18세기의 호락 논변기를 거치고, 19세기로 넘어오면서 다양한 견해가 착종되는 새로운 양상을 보이게 된다. 심설의 논란은 단순히 철학적 개념의 문제만이 아니라 사유와 실천이 결합된 ‘이념적 편향성’을 보여준다. 필자는 이 과정에서 결코 오래되지 않은 철학적 사유를 발견한다. ‘마음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세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심설’이 던지는 근본적인 철학적 물음이다. This article starts from several questions: why theories of mind were mainly discussed by Yulgok school, and what they attempted to explicate. I examined Yulgok School`s theories of mind considering these questions. First, I studied Yulgok`s ideas of mind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ories of mind developed in Yulgok schools. Secondly, I examined the phases of theories of mind suggested by Yulgok school in the context of theories of mind. Third, I explicated the significance and philosophical issues under the issue of theories of mind. Yulgok School`s theories of mind are presupposed on "the mind is the energy flow or the mind is the vital force(心是氣)“ presented by Yulgok. The statement is found again by Song Siyeol, who tried to establish Yulgok School in a competition with Toegye School, and was defined as the main purport of Yulgok School. This trend experienced Horak discussion in the 18th and revealed different aspects in the 19th century. The theories of mind are not only philosophical issues but also "dogmatic preference" in the combination of thought and practice. In this process, I found philosophical and fundamental issues, which are far from old: what our mind is and how we should understand this world and live.

      • KCI등재

        율곡(栗谷) 리통기국논(理通氣局論)의 內包와 外延

        손흥철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9 No.-

        理一分殊論은 리일과 분수의 형이상학적 관계를 해명하는 논리이며, 현상의 다양성과 그 다양성의 원인을 분석하는 논리이며, 도덕적 최고가치인 仁을 실천하는 논리이다 율곡의 理通氣局論은 伊川과 朱子의 理一分殊論을 발전시킨 이론이며, 보편과 특수의 소통근거를 설명하는 논리이다. 그런데 湖洛論爭에서는 인간의 심성에 관한 문제, 도덕가치의 판단근거로서 선악의 문제, 그리고 仁을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가능성에 대한 검증논리로 발전하였다. 율곡의 리통기국론이 보편과 특수를 아우르는 리기론적 내용이 그 內包라면, 인간의 도덕적 본성과 행위의 주체인 心性에 대한 해명과 최고가치인 仁을 실천하기 위한 내용은 그 外延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外延은 호락논쟁과 녹문의 철학에서 크게 확대된다. 호락논쟁에서는 인간의 심성에 관한 문제, 도덕가치의 판단근거로서 선악의 문제, 그리고 仁을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가능성에 대한 검증논리로 발전하였다. 녹문은 율곡의 리통기국론은 첫째, 리와 기를 一과 萬에 分屬함으로써 리와 기를 분리하여 둘로 볼 수 있다고 비판하였다. 둘째, “湛一淸虛之氣, 多有不在”라고 하여 화담을 비판한 것은 氣를 잘못 이해하였다고 하였다. 녹문의 이러한 비판은 理一의 보편적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실현자인 氣의 湛一이 개개의 사물 속에 보편적으로 존재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즉 理의 善을 실현하는 주체인 氣에 理를 실현할 수 있는 功能이 존재해야 한다는 논리적 당위성을 주장한 것이다. 이 논문은 그동안의 伊川과 朱子의 理一分殊論에 관한 연구에 대한 검토나 비판이 아니라, 리일분수나 리통기국 이론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의식과 철학사적 논리에서의 발전해 나가는 추이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 것이다. 就栗谷的理通氣局論來說,如果說統攝普遍與特殊的理氣論之內容屬于內包,那요人的道德本性與行爲主體-心性的闡明與性理學最高价値-仁的實踐內容就屬于其外延,而這一外延在鹿門那里大爲擴展。鹿門以理氣同實之觀点爲中心,試圖說明事物之本源(普遍性)和現象的多樣性(特殊性), 以及貫通普遍性與特殊性的統一性。鹿門對栗谷理通氣局論的批評可以整理爲如下兩点。其一,栗谷的理通氣局論似乎將理和氣分屬于一與万,將二者分別看待。其二,栗谷批評花潭時所指出的“湛一淸虛之氣, 多有不在”,是錯오理解氣的結果。這是因爲鹿門認爲爲實現“理一”的普遍原則,實現者-“氣之湛一”只能普遍地存在于每一個別事物的里面。卽是說他主張實現之主體氣應具有實現理的功能這一理論的正當性。大部分程朱性理學家將理視作是最高的原理與善的根源,옹有完全實現善(或最高原理)的能動性和主宰性。但是鹿門對于理,수然承認其原理與法則性,但是對于理對氣的主宰性,則不承認。這是因爲這不符合于理氣同實這一前提。鹿門的“莫之然而然”與徐花潭的“机自爾”以及栗谷的(氣的活動) ‘非有使之’,都是在氣之活動性的同一脈絡上講的。這一觀点可謂强調了氣的能動性,又可以說明照理根本无法說明的現象的問題,幷且在修養論上矯氣質與타成爲更具體的修養對象的理論흔自然地相連接。

      • KCI등재후보

        율곡(栗谷) 경세론(經世論)의 경영학적(經營學的) 함의(含意) -『성학집요(聖學輯要)』 「위정편(爲政編)」을 중심으로-

        김혁 ( Hyuk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5 율곡학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유학의 현대적 의미를 찾는 연구의 일환으로 율곡의 경세론의 경영학적 함의를 분석하고 논의하고 있다. 율곡은 조선조 임금 선조가 옛 성현과 같은 덕을 쌓는 수기(修己) 공부를 한 후 훌륭한 정치를 펼치기를 바라는 뜻에서 『성학집요(聲學輯要)』를 저술하였다. 본 논문은 『성학집요』의 「위정편」에 있는 왕도정치의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 「위정편」에서는 임금이 정치하는 자세와 능력있고 어진 신하를 등용하는 방법, 세상의 변화에 따라 제도를 개혁하는 일 등 왕도정치를 잘 이끌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율곡의 경세론이 현대 경영학에 주는 의미를 다음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검토하고 있다. 1. 리더십 2. 인재선발과 소통 3. 경영혁신 율곡 경세론의 근본바탕은 국가의 수장인 임금이 덕을 닦아 인(仁)의 정치를 펼쳐야 한다는 덕치(德治)의 사상이다. 덕의 리더십은 인위적인 행동을 하지 않아도 백성들이 교화되고, 말하지 않아도 믿으며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지는 것임을 밝힌다. 인재선발과 소통과 관련하여서는 ``용현``과 ``취선``장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율곡은 정치를 수행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어질고 능력있는 인재를 발굴하여 마땅한 직위에 임명하는 것임을 밝힌다. 이는 현대경영에서도 변하지 않는 지혜이다. 경영혁신과 관련하여서는 ``식시무``와 ``법선왕``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율곡은 환경변화에 맞추어 옛 것을 그대로 지킬 것인지 아니면 새롭게 할 것인지를 잘 판단하는것을 환자이면 약을 먹어야 하지만 아프지 않다면 약을 먹으면 안된다는 비유로 설명하고 있다 ``법선왕``장에서는 선왕의 통치행태 등을 살펴서 오늘 어떤 방식으로 통치를 할 것인지를 논의하고 있다, 즉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이라는 지혜로운 방식을 권하고 있다. 율곡의 이같은 경세론의 구체적 내용은 오늘날의 경영에서 리더가 보다 인간적인 조직을 이끌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지혜라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and discussed the managerial meaning of Yulgok Li``s thought of governing people based on Seoung Hak Jip Yo``s Politics Chapter. Yulgok published Seoung Hak Jip Yo in order to educate king SunJo in Lee Dynasty to hope him to cultivate the virtue and to govern the people well. Politics Chapter discussed the way how to govern the people such as selecting and employing the wise man for the administration, innovating the system, etc. The way mentioned by Yulgok has the managerial meaning for the modern organization. This study discussed three parts of the Yulgok``s thought of governing people. First, leadership is discussed for the virtual governing people thought. Second, the subject of employment of wise people and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a king and the people is discussed. Third, the innovation is discussed in the recognition of generation change part and in the retrospect of the prior kings p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