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星湖 李瀷의 退溪 읽기와 學派分裂 ─ 星湖와 近畿南人의 학문적 접점과 “道東”論의 괴리 ─

        정도원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8 No.-

        Sungho Yi-ik emphasized that he emulated Toegye Yi-hwang and Misu Heo-mok as Neo-Confucian heirs. He redacted Toegye’s texts and made a report on many Toegye’s disciples. He was valuated as one of the heirs, who succeeded to Toegye’s Neo-Confucianism and lived in near Seoul, in the consequence of these efforts. But this estimation was fictional, because his Neo-Confucianism was not Neo-Confucianism of Toegye. He did his own philosophy, not Toegye style Neo-Confucianism. His compilations of Toegye’ texts had not the core of Toegye’s Neo-Confucianism. Especially, Dodongrok, the Records of Neo-Confucian Core in Korea, is a representative sample. Therefore, Soonam Ahn-jungbok, in his famous disciple, re-edited this book, completely. Yijasuo, the collection of Saint Yi’s maxims was the result. Soonam was orthodox Neo-Confucian scholar and the heir of Toegye’s Neo-Confucianism. Their philosophical goal was different. So Soonam became silent at the controversy between the Sungho left and Sohnam Yoon-donggyu. In his point of view, maybe Sungho was not a legitimate successor of Toegye School in near Seoul. The Sungho left argued “Self-Complacency”, which was a new prospect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On the other hand, Sungho right asserted norm-observance in the horizon of Neo-Confucianism. This was the flare of rupture in Neo-Confucian world. There was two ideological flow in 18th century Chosun. One was orthodox Neo-Confucianism, main and old, and the other was Silhak, weak but new. They had the same goal for reform but different strategy for real world. That is the reason why they have different ways in last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nowadays Silhak means the Confucianism as it is, without Neo-Confucain practical strategy. Sungho and his schools division was a symbolic incident telling new epoche and change of thought. 성호는 자신의 사상적 연원을 퇴계에 두고 근기남인의 한 명인 미수와의 관련성을 강조하였다. 퇴계의 저술을 편집하여 사숙자로서의 위치를 분명하게 하려하였고, 더하여 다수의 근기남인을 발굴하여 퇴계의 급문제자록을 증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호의 이러한 주장은 후일 번암에 의해 체계화되었지만, 당파적인 색채와 지연, 혈연, 단순한 학연이 성글게 엉킨 이상의 의미를 가지기 힘들다. 막상 이러한 맥락에서 강화되었어야 할 사상적 귀결은 그 스스로 부정한 측면이 있다. 스스로 퇴계학적 귀결을 부정한 「사칠신편중발」이 그렇고, 좌파와 우파의 퇴계읽기 방식 대립에 침묵한 것이 그러했다. 성호의 사상적 귀결은 스스로 내세우는 학문적 지향과는 일치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의 사상적 귀결은 대체로 근기남인의 일반적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반면, 정통적인 퇴계학 체계로 보기는 어렵다. 이는 성호의 대표적 퇴계읽기 결과인 『도동록』과 『이자수어』, 『사칠신편』 등에 드러난 사상적인 편차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자수어』가 정통적인 퇴계학 체계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면, 원저인 『도동록』은 「사칠신편중발」, 『성호사설』 등에서 발견되는 성호철학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성호학이 주장하는 퇴계 연원과 자득의 논리가 서로 괴리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호학파에서 퇴계 사숙이라는 면모를 여실히 보여준 저작은 『이자수어』이다. 그러나 이 책은 성호나 성호좌파가 아닌 성호우파, 특히 순암의 손에 의해 완성되었다. 순암은 전편에 걸쳐 수정했을 뿐만 아니라 책 제목까지 바꿨는데, 그 결과 ‘도통’을 자임하던 『도동록』의 원래 의미는 사라졌다. 결국 정산이 성호 사후 성호의 원저를 필사하여 家藏用으로 보관했어야 할 정도로, 양측의 학문적 차이는 분명한 것이었다. 순암은 성호 문하에 들기 전에 이미 나름의 학문을 구축했던 학자였고, “自得”을 주장하는 성호와 달리 “謹守䂓矩”를 주장하였다. 그는 정통적인 퇴계읽기, 즉 도학적 퇴계읽기를 함으로써 자득적 퇴계읽기를 하고 있는 성호나 성호좌파와 구별된다. 후일 성호좌파는 성호의 퇴계 이해가 소남-순암의 우파와 달랐음을 적극 주장하고 성호의 학풍이 自得에 방점을 찍고 있다고 본다. 반면 소남은 좌파가 퇴계 적통으로서의, 성호를 왜곡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길고긴 논쟁에 임하고 있다. 이는 성호와 소남의 긴밀한 사제 관계와 퇴계학맥으로서의 근기남인, 그리고 이를 계승한 것으로 자임한 성호의 입장을 정확하게 대변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성호 생전에 『이자수어』 출간에 앞장섰던 순암이 이 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여러 모로 원인을 추측해볼 수 있겠지만, 이미 『이자수어』 편찬 과정에서 성호의 학문적 진의가 무엇인지를 짐작한 탓은 아니었을지 생각해보게 하는 대목이다. 일반적으로 실학은 주자학의 도학적 모습이 탈각된 유학을 지칭한다. 도학적 모습의 탈각은 선대의 권위가 아닌 “자득적” 학문태도로 드러난다. 그들에게 현실에 대한 치열한 고민은 있어도, 앞 시대 학문에 대한 고민은 적다. 성호를 실학자라고 할 때 발견하게 되는 모습도 바로 이 연장선에 있다. 반면 퇴계 사숙자로서의 성호는 그 반대쪽에 있다. 그러므로 도통의 계승자임을 주장하는 성호와 자득의 학문을 주장하는 성호가 존재하는 것은, 도학자적 ...

      • KCI등재

        臼山旨訣과 絅齋 金永燮의 간재학 계승

        정도원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1

        GusanJigyeol is a collection of articles such as letters from Jeon-Woo to Kim-Youngsup. This book was printed in lithograph in Shanghai in 1897. Kim-Youngsup brought about 1,000 vaginal products into Korea and distributed them. Kim-Youngsup believed that Joseon Confucian scholars would read this book and understand the thoughts of his teacher Jeon-Woo. He also thought that he would be recognized as a disciple who succeeded in the orthodoxy of Jeon-Woo. However, Korean Confucian scholars read this book and criticized Jeon-Woo. “At the time, Joseon was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nationally, and Jeon-Woo ignored it. This appearance of Jeon-Woo is the result of Jeon-Woo's lack of personality and wrong judgment. He has no qualifications as a leader of Joseon Confucianism.” Faced with these criticisms, Jeon-Woo and Jeon-Woo's disciples ordered the book to be collected and burned, but the criticism did not subside. Kim-Youngsup was posthumously removed from Jeon-Woo's list of pupils. Kim-Youngsup was reinstated after Jeon-Woo died. This book contains the teachings of Jeon-Woo passed down to Kim-Youngsup. Kim-Youngsup packaged it as revealing his academic legitimacy, but Jeon-Woo's anthology has removed this packaging. The Jeon-Woo anthology excludes many of the letters contained in this book. Most of the letters excluded were those that caused scandal or contained content that Kim-Youngsup would be proud of.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is book did not receive Jeon-Woo's approval. However, the contents of this book and its comments help us understand the times in which Jeon-Woo and Kim-Youngsup lived. And it helps us understand what Jeon-Woo taught his disciples. Perhaps the virtue of this book lies in its value as a historical material. 臼山旨訣 은 田愚가 金永燮에게 보낸 편지 등의 글을 모은 책이다. 이 책은 1897년 상해에서 석판본으로 인쇄되었는데, 김영섭은 약 1,000질 가량을 국내로 들여와 유포하였다. 김영섭은 사림들이 이 책을 통해 스승 전우의 도학을 이해해줄 것으로 믿었고, 자신 또한 전우 문하의 정통을 이은 제자로 인정받으리라 생각했겠지만, 이 책은 사림들의 거센 비판만 야기했다.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전우의 처신은 儒宗을 자처하는 사람으로서 매우 부족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에 직면한 전우는 이 책을 수거, 소각하도록 지시했지만, 비판은 수그러들지 않았고 김영섭은 사후에 문인록에서 삭제되었다. 김영섭이 복권된 것은 전우가 사망한 뒤이다. 이 책은 김영섭에게 전해진 전우의 心法을 담고 있고, 김영섭은 이를 자신의 학문적 정통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포장하고자 하였으나, 전우의 문집은 이러한 포장을 거둬 냈고, 이 책에 담긴 많은 편지 역시 제외하였다. 제외된 편지 대부분은 물의를 일으켰거나 김영섭의 심법 수수를 유추할 만한 내용이 담긴 것들이었다. 전우가 생전에 자신의 문집을 직접 산삭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이 책이 결국 전우의 인가를 받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 담긴 내용들과 그에 관한 주석은 전우와 김영섭이 산 시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전우가 제자들에게 어떤 식으로 도학을 전수하고자 하였는지 또한 보여준다. 이 책의 가치는 바로 이런 역사적 사실로서의 의미에 있을 것이다.

      • 퇴계 이황의 지행병진과 존체응용의 리더십

        정도원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9 儒敎文化硏究 Vol.1 No.15

        Nowadays some of the traditional relics are under examination, but the objects of examinations are just suitable for commercializing. It is not for reflection on western culture in the point of cultural pluralism but for efficient access to the glocal market. Of course, it is undoubtedly a result of capitalism, but the cultural pluralism base can be a bridge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ized society. The leadership of Yi Hwang has special features of Neo-Confucianism by Chu Hsi, but there is an universal aspect too, because of his universal philosophy and it may be interpreted as an alternative idea for general leadership which has the lack of ethics and principle. The image of man in Neo-Confucianism does not correspond with that in capitalism, but practical ethics based on Golden Rule, and social practice in Golden Mean would not run counter to the capitalistic system, the competition in good faith but be a complement of social loss from selfish struggles in capitalism. It would be a good proposal to modern society as an efficiency maximization plan without social loss. Yi Hwang had applied his theory to his times and influenced deeply in political ideology or Neo-Confucain world view of 16th century Chosun Dynasty. Today so many Korean criticize the Moral Hazard of upper class in the point of Neo-Confucain moral view which made in 16th century. 유교는 긴 역사를 통하여 광범위한 지역에서 다양하게 전개되어왔으나 어떠한 경 우에도 논의가 사회를 벗어난 경우가 없었다. 유교에 당면한 사회를 어떻게 이끌 것인가에 대한 풍부한 시사점이 있다면 이는 바로 유교가 현세적 사상이기 때문이며, 전통적인 유교의 이론이 사회정치사상이나 리더십 등과 유사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는 퇴계 이황의 리더십을 이황의 철학 그 자체에서 먼저 이해하고자 한다. 이황의 리더십은 유교, 특히 주자학적 특수성을 가진다. 이황은 이 논리를 16세기 조선의 상황에 직접 적용해냈고, 실제로 16세기 이후 조선의 정치이념이나 도학적 세계관에 큰 영향을 끼쳤다. 오늘날도 통용되는 “사람이 사람다워야 한다”라던가 “지도자가 지도자다워야 한다”라던가 하는 사회지도층에 대한 비판이 바로 이러 한 도학적 세계관에 영향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황의 이러한 논리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도 응용이 가능하다. 신유학적 인간관이 자본주의적 인간형과 일치한다고 할 수는 없으나,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실천 윤리와 시중(時中)의 사회적 실천이 자본주의의 공정한 룰(Rule)에 의하여 선의의 경쟁 구조와 상충하지 않으며, 자칫 이기적 극한투쟁으로 흐를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할 수도 있고, 사회적 손실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회적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안의 하나로서의 검토 가치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acillus licheniformis 14ADL4 exhibiting resistance to clindamycin

        정도원,이병훈,이종훈,Jeong, Do-Won,Lee, Byunghoon,Lee, Jong-Hoon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8 미생물학회지 Vol.54 No.2

        Clindamycin 내성 Bacillus licheniformis 14ADL4 균주는 된장으로부터 분리되었다. 14ADL4 균주의 유전체분석 결과, GC 함량 45.86%, 약 4.3 Mb 크기의 염색체가 확인되었고, 유전체 상의 lmrA와 lmrB 추정 유전자가 clindamycin 내성에 관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Clindamycin resistant Bacillus licheniformis 14ADL4 was isolated from doenjang, a Korean high-salt-fermented soybean food. Strain 14ADL4 contains a single circular 4,332,232 bp chromosome with a G + C content of 45.86%. The complete genome of strain 14ADL4 includes lmrA and lmrB homologs may confer resistance to clindamycin.

      • KCI등재

        양촌 권근의 역사의식과 주자학 이해 : 이원적 사고와 大一統의 華制

        정도원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8

        This is a report on YangChon GwonGeun, the Neo-Confucianist in late Korea Dynasty and the early part of Josun Dynasty. He explain his thought in order of metaphysical theory, practical theory(from inner practice to social practice). He believe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in the meaning of Neo-Confucianism. And he emphasized the pure inner piety(敬). But this unity is a kind of vertical integration, and the piety is similar to obedience to the absolute thing. His social practice theory is based on the class distinctions, therefore. He got this idea from Chinese Classic Annals of Spring and Autumn. The Great and One Unity(大一統) is constituted by the obedience to the Absolute Morality(理) and its real menifestaion(禮). The real meaning of the unity may translated the universal realization of one class social order to the new dynasty. He thought the order is universal and ultimate goal of human and society. He called it "HwaJe(華制)". He may construct his own philosophy or didn't understand the core of the doctrines of Chu-tzu. Anyway his thought is different from the thought of orthodoxical Neo-Confucianist PoEun Jeong Mongju, in the same age. But in the point of the spirit of the times, he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hilosopher and a practical-minded person. Most of all, he can show the hole scale of Neo-Confucianism in late Korea dynasty. 본고는 양촌의 주자학 이해의 특징과 춘추와 예학으로의 전개 방식을 살펴본 것이다. 양촌은 주자의 이학→심학→경세의 구조로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 그는 ‘하늘과 사람의 심성 상의 합일’이라는 전제 아래, 敬이 주자학의 핵심임을 강조하고, 이를 전 체계에 걸쳐 일관시키고 있다. 다만 이 일관은 『춘추』의 大一統의 논리에 기반하고 있다. 이 대일통의 실체는 중국의 예제 문화[華制]이고, 양촌은 이를 “尊卑의 等級”으로 이해한다. 그가 華夷를 엄별하고 異端을 변척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이다. 양촌에게 있어 禮란, 敬의 실현이자 춘추 대일통의 구현이다. 즉, 천인의 심성적 합일을 대일통의 원리에 따라 禮로 전환하여 사회에 구현하고자 하는 논리인 것이다. 양촌의 『춘추』나 중화, 혹은 화이론의 핵심은 내성외왕의 심학적 도리가 아닌 대일통의 예제, 즉 존비등급의 문물제도에 초점이 있었으며, 그 실제는 大一統을 원칙으로 한 엄격한 계급적 질서의 예외 없는 적용이라고 하겠다. 이는 양촌이 주자학의 전반적인 구도를 파악하고 있었기는 하지만, 주자학의 핵심인 敬의 심학으로 깊게 들어가지 못하고 수직적 계급논리에 근거한 分의 예학으로 논의를 전환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양촌의 주자학 이해가 규모면에서는 전반적이고 체계적이지만, 이해의 심도라는 면에서는 분명한 한계를 가진다. 포은을 비롯한 여말 신진 사대부들은 내성외왕의 원리에 따라 사회개혁을 시도하고 『가례』의 실천을 통해 솔선수범의 전형을 수립하였다. 이는 주자학 경세론의 원론이자 조선중기 정암 이래 도학의 전형과 일치한다. 반면 양촌이나 삼봉의 논의는 이 지점에 충실하다고 할 수 없다. 단순히 조선 건국에 참여했다는 점에서만 후대의 저평가가 있었던 것이 아닐 수 있는 것이다. 실제 포은과 삼봉-양촌은 역사를 판단하고 실천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여주었고, 조선의 사림은 이 차이를 통해 자신들의 연원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 결정하고 있다. 즉, 양자의 차이는 주자학을 심학적으로 이해하는가, 제도적인 차원으로 전환하는가의 차이를 가진다. 다만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촌의 주자학 이해와 춘추 및 예에 대한 의식은 이 시대의 정신이 주자학과 춘추, 특히 벽이단 의식을 특징으로 한다는 점, 대일통의 논리와 화이론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주자학의 핵심을 이 시대가 어떻게 파악하고 있었는지 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포은 등의 절의파에게서도 분명히 관측된다는 점에서 양촌의 사상이 시대정신을 대변하고 있음은 분명하고 하겠다.

      • KCI등재

        近畿南人 學統 再檢討 ─道統의 계승인가, 形而上學의 계승인가?─

        정도원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6 No.-

        근기남인의 학문은 퇴계를 계승한 한강으로부터 미수를 거쳐 성호로 이어진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통설이다. 퇴계를 기점으로 한강에서 미수로 내려가는 적계와 여헌, 백호의 방계가 있고 이 모두가 결국은 성호로 귀결되고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주장을 주자학의 “도통”이라는 관점에서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퇴계 학통의 계승이라는 통설은 재고의 여지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강의 경우 퇴계보다 남명의 심학에 가까웠고, 여헌의 경우 독자적인 문호를 세운 것으로 평가해야 했다. 미수와 백호의 경우 이전의 학자들보다는 선배인 여헌의 학문을 많이 참고한 흔적이 역력하였다. 특히 주목되는 것이 여헌의 一原經緯의 이학이었다. 여헌의 이 논리는 性發爲情의 명제를 거쳐 사칠론을 판단하는 기준이자 각자의 이기론을 수립하는 토대로 작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근기남인의 계보는 ‘남명을 이은 한강과 독립적인 여헌, 그리고 여헌의 이학에 영향을 많이 받은 미수와 백호’ 정도로 정리될 수 있을 뿐, 도학적인 계보를 설정할 수는 없다고 판단된다. It has been common sense that the Neo-Confucian scholastic mantle of Scholas who live in the suburbs of Seoul and belong to South men’s Party inherited from Yi-Hwang and Jeong-Gu, Heo-Mok to Seongho School. Jang-HyeonGwang and Youn-Hyu are added as a collaterial line. I investigated all of scholars in this line, but there was not any evidence to prove it. It is the conclusion of this investigation that the Neo-Confucian scholastic mantle of Scholas who live in the suburbs of Seoul should be reconsidered. Jeong-Gu’s philosophy was familiar to Jo-Sik, not Yi-Hwang, and Jang-HyeonGwang was independent philosopher and his influence was very wide. Heo-Mok and Youn-Hyu’s philosophy were influenced from Jang-HyeonGwang, rather than Jeong-Gu. As a result, I should suggest a new academical succession tree that one branch is from Jo-Sik to Jeong-Gu and another branch is from Jang-HyeonGwang to Heo-Mok and Youn-Hyu.

      • KCI등재

        Terbium and Tungsten Co-doped Bismuth Oxide Electrolytes for Low 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정도원,이강택,Eric D. Wachsman 한국세라믹학회 2014 한국세라믹학회지 Vol.51 No.4

        We developed a novel double dopant bismuth oxide system with Tb and W. When Tb was doped as a single dopant, a Tb dopantconcentration more than 20 mol% was required to stabilize bismuth oxides with a high conductivity cubic structure. Hightemperature XRD analysis of 25 mol% Tb-doped bismuth oxide (25TSB) confirmed that the cubic structure of 25TSB wasretained from room temperature to 700oC with increase in the lattice parameter. On the other hand, we achieved the stabilizationof high temperature cubic phase with a total dopant concentration as low as ~12 mol% with 8 mol% Tb and 4 mol% W doubledopants (8T4WSB). Moreover, the measured ionic conductivity of 10T5WSB was much higher than 25TSB, thusdemonstrating the feasibility of the double dopant strategy to develop stabilized bismuth oxide systems with higher oxygen ionconductivity for the application of SOFC electrolytes at reduced temperatur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long-term stabilityof TSB and TWSB electroly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