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지연행동에 대한 내면화된 수치심의 영향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장영아,김정문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from researching high school students. Moreover, the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from interac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can be verified in this study. Especially, this study discussed about proper effect and adverse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fro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482 high school student in Seoul and Gyeonggi-do and used by SPSS 22.0 to analyze. From the analysi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s one's academic procrastination through internalized shame. However internalized shame performs to ease rapid rise in academic procrastination. Thus, this study tells to find the way people treat their internalized shame that increased b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o reduce academic procrast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 Furthermore, positive understanding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s needed to control the internalized shame, for the degree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changes its fun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상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상호작용하여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업지연행동에 대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순기능과 역기능적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2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48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학업지연행동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반면, 내면화된 수치심이 학업지연행동을 높이는 과정을 완충하는 양가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고등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로 인해 높아진 내면화된 수치심을 다루기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정도에 따라 그 기능이 변하므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홍삼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장영아,김한나,김보애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4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possibilities of applying cosmetic material about extracts from red ginseng. For this we carried out biological active evaluation about anti-inflammatory by using extracts of red ginseng.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samples in macrophages (RAW 264.7 cells), MTT assay was used to evaluate the toxicity of red ginseng extracts and the inhibitory activity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and genes. The inhibitory activity of nitric oxide in the LPS-induced RAW 264.7 cells was 71.2% at 25 μg/ml concentra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protein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from red ginseng may have value as the potential cosmetic materials.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항염증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한 홍삼 추출물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 내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활성은 25 μg/ml에서 71.2 %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 었으며, western blot 시험결과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 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홍삼추출물이 항염 효과를 가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제안할 수있다.

      • KCI등재

        화장품소재로서의 인삼복합물의 항염증 및 미백효능 검증

        장영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인삼복합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인삼복합물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 미백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는 인삼(A), 상황(B), 리기다소나무(C)를 각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A)1 : (B)1 : (C)0.5 의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대식세포(RAW 264.7 cells)내에서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멜라노마(B16F10 cell)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 및 멜라닌 생합성량을 측정하였다. LPS 로 유도된 RAW 264.7 세포내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 활성 결과는 25 µg/mL 농도에서 71.2%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western blot 실험결과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인삼복합물의 농도 50 µg/mL 에서 36.8% 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멜라닌 생합성 억제 평가 결과에서 농도 50 µg/mL 에서 47.8%의 감소를 나타냈 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인삼복합물의 우수한 항염증,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for checking the possibility of ginseng complex as cosmetic materials. For this we carried out biological active evaluation about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by using ethanol extract of ginseng complex. Samples were prepared by extracting 70% ethanol from each of Panax ginseng C. A. Meyer (A), Phellinus linteus (B) and Pinus rigida Mill. (C), and mixing them at a ratio of (A) 1 : (B) 1 : (C) 0.5.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samples in macrophages (RAW 264.7 cells), MTT assay was used to evaluate the toxicity of the samples and the inhibitory activity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and genes. To evaluate the whitening effect of the samples in melanoma (B16F10 cell), MTT assay was used to evaluate the toxicity of the sample, cellular tyrosinase inhibition, and melanin contents. The inhibitory activity of nitric oxide in the LPS-induced RAW 264.7 cells was 71.2% at 25 μg/mL concentra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protein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showed 36.8% inhibition at 50 μg/mL concentration of ginseng complex and inhibition of melanin contents showed 47.8% inhibition at 50 μg/mL concentration.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ginseng complex had excellent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 and could be used as a safe natural cosmetic material in the future.

      • KCI등재

        정향(Syzygium aromaticum)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 효과

        장영아,이정민,최윤식,김보애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checking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yzygium aromaticum ethanol extract. For this, we investigated biological active evaluation about antiinflammatory effects by Syzygium aromaticum ethanol extract. Syzygium aromaticum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This extract was tested for the cell viability on RAW 264.7 cell line by MTT assay, nitric oxide inhibitory activity and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The extract showed low cytotoxicity as more than 90% cell viability in under 25 µg/ml concentration. On LPSinduced RAW 264.7 cell line, nitric oxide inhibition activity result showed that the extract reduced NO production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s PGE 2 , TNFα and IL1β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NOS and COX2 proteins expression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western blot analysis. We confirmed that the Syzygium aromaticum ethanol extract has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This results suggested that extract of Syzygium aromaticum may have value as the cosmetic materials. 본 연구의 목적은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 다. 이를 위해 정향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세포독성과 항염증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 였다. 시료는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식세포 RAW 264.7 세포 내에서 MTT assay를 통해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 발현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 25 µg/ml 이하의 농도 에서 90% 이상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됨을 보아 정향추출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였고, 시료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성 cytokine인 PGE 2 , TNFα, IL1β의 발현을 낮추었다. Western blot 실험결과 최고 농도 25 µg/ml에서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실험 결과로부터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KCI등재

        CCD-986sk 세포 내 주박 분획물의 항주름 효능

        장영아,이혜정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1 No.2

        본 연구에서는 주박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분획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평가와 인간섬유아세포인 CCD-986sk 세포에서의 주름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주박 Ethyl Acetate 분획물 1,000 μg/ml 농도에서 75.5%로 나타나 분획 용매 중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Elastase, Collagenase 저해 활성측정을 통해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두 실험 결과 모두 주박 Ethyl Acetate 분획물이 1,000 μ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UVB로 유도된 CCD-986sk 세포 내 pro-collagen type I 의 합성율을 측정한 결과 주박은 동일농도에서 20 μg/ml에서 Ethyl Acetate, Water, Acetonitrile, Hexan 분획물 순으로 높은 효능을 보였다.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의 저해률을 측정한 결과 4가지용매 분획몰은 20 μg/ml에서 모두 70% 이상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Real time PCR 실험에서pro-collagen type I, MMP-1 및 MMP-3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UVB 단독군 대비 Jubak 추출물을 함께 처리했을 때 pro-collagen type I의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되었고, MMP-1과 MMP-3의mRNA 발현량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조군(EGCG) 다음으로 Ethyl Acetate 추출물이 주름개선에 가장 효능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주박의 용매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은 UVB 자극에 의한 광노화에 대한 항주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화장품의 천연물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Jubak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fractions and anti-wrinkle efficacy in CCD-986sk cells, a human fibroblast,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easuring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Jubak's Ethyl Acetate fractions was found to be 75.5% at a concentration of 1,000 μg/ml, showing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extraction solvents. The wrinkle improvement effect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inhibitory activity of elastase and collagenase, and in both test results, Jubak's Ethyl Acetate fractions showed the highest efficacy at a concentration of 1,000 μg/m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ynthesis rate of pro-collagen type I in CCD-986sk cells induced by UVB, Jubak showed the highest efficacy in the order of Ethyl Acetate, Water, Acetonitrile, and Hexan fractions at the same concentration of 20 μg/m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nhibition rate of MMP-1, a collagen degrading enzyme, all four solvent fractions showed an efficacy of more than 70% at 20 μg/m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pro-collagen type I, MMP-1, and MMP-3 in a real-time PCR experiment,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of pro-collagen type I increased when treated with Jubak fractions compared to the UVB group alone.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MMP-1 and MMP-3 were confirmed to be decreased, and Ethyl Acetate fractions was th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wrinkles after the control group (EGC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s among Jubak's solvent fractions has an anti-wrinkle effect against photoaging caused by UVB stimulation,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natural material for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