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셰일 가스 자원의 지화학적 평가 및 특성화

        이영주,Lee, Young-J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4

        셰일은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은 쇄설성 퇴적물이 고화되어 형성된 퇴적암으로 암석화되는 과정에서 유기물을 잘 보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통적으로 석유나 가스의 탐사 및 개발에서 탄화수소를 생성하는 근원암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셰일층은 매우 낮은 투과율 때문에 불투과층으로 인식되어 트랩을 형성하는 덮개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수평채굴과 수압파쇄 등 시추 기술의 획기적인 발달로 북미를 중심으로 셰일층 내에서 막대한 양의 가스를 발견하고 상업적으로 생산함에 따라 셰일을 석유나 가스를 생산하는 지층뿐만이 아니라 탄화수소를 저장하는 저류층으로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셰일층의 지화학 평가 기술은 셰일 내에 함유된 유기물의 특성을 지화학 분석을 통해 파악하여 유기물의 석유 및 가스 생성 능력을 평가하는 기술인데 최근에는 셰일층내에 생성된 가스가 저장되어 있는 셰일 가스층을 평가하고 탐사하는 데에 적용되고 있다. 셰일 가스층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탄화수소의 생성과 집적 그리고 매장량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지화학적인 과정과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셰일층 내에서 탄화수소 생성 메카니즘을 살펴보고 셰일층 평가 및 특성화에 활용되는 지화학 분석 기술을 고찰하였다. Shale is considered as a source rock for conventional oil and ga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because shale is fine-grained detrital sedimentary rock which can preserve the organic matter better. Shale has a good sealing capacity for the petroleum trap due to its low permeability. Commercial recoveries of gas from shale in the North America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of horizontal drilling and hydraulic fracturing reveal that shale also function as a effective reservoir rock. Geochemical techniques to evaluate generation potential of the hydrocarbons from organic matter in the source rocks can be applied for the exploration of the shale gas resources. To evaluate shale gas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various geochemical processes and shale characteristics controlling generation, storage and estimation of shale gas reserves. In this paper, the generation mechanism of the oil and gas from organic matter is reviewed, and geochemical techniques which can be applied for the evalu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hale gas are introduced.

      • 제어데이터 중복전송기법에 관한 연구

        이영주,강순덕,Lee, Young-Ju,Kang, Soon-Duk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6 情報學硏究 Vol.9 No.4

        The intelligent elder brother groove network robot service the new broadband presence line is conversionce application service. Robot control data transmission hazard UDP packet of the remote control data which stands duplication necessary to transmit. TCP the error ratio to be high qualitative recording transmission pattern it of the transmission unit and is irregular the distance is distant to show and also the transmission lag is visible increases. The recording packet drop whose UDP degree error ratio will be high is frequent and does not arrive packet little by little increases is a possibility of knowing in the transmission unit. The technique which it proposes with traffic pattern of the transmission unit is visible the transfer characteristic of the same shape from 1% packet error ratio degree. The effective transmission technique of the robot control data which puts a base in UDP protocols was proposed from the present paper. Following research it leads and it follows the duplication transmission number of time in error rate of radio link and it was thought all that controls petty the research of the mechanism which progresses is necessary.

      • 울릉분지 남동부 시추 퇴적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천부가스의 특성

        이영주,허식,곽영훈,김학주,천종화,한상준,유해수,Lee Young joo,Huh Shik,Kwak Young hoon,Kim Hag ju,Chun Jong Hwa,Jun Sang Joon,Yoo Hai Soo 한국석유지질학회 1999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7 No.1

        동해 울릉분지에 분포하는 천부 가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분지 남동부 해역에서 채취한 시추 코아 (98EEZ-3)에서 가스를 포집하여 탄화수소 가스의 함량, 성분 및 탄소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스의 함량과 시추 코아 퇴적물의 연관성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시추 퇴적물에 대해서 유기 지화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추 코아에서 포집된 천부가스 중 탄화수소 가스의 함량은 755.3 ppm에서 6176.7 ppm을 나타났다. 탄화수소 가스로는 메탄의 함량이 가장 우세해서 $697.9{\~}6054.4 ppm$을 포함하였고 메탄 외의 탄화수소 성분으로는 에탄, 프로판, 부탄, 헥산이 소량 분석되었다. (100 ppm 이하). 퇴적물 분석 결과 총 탄소는 $1.84{\~}5.11{\%}$,유기탄소는 $0.29{\~}2.65{\%}$의 함유량을 나타냈다. 총 유기탄소와 총 질소의 비율은 분석 구간 중 일부를 제외하고는 10 이상으로 육상 기원 유기물의 유입이 우세했음을 시사한다. 포집된 총 탄화수소 가스 중 메탄의 성분비와 탄소 안정 동위원소 비를 고려하면 울릉분지 남동부에 분포하는 천부가스는 열기원 가스가 우세하고 일부는 생물기원 가스와 흔합되어 나타나는 양상을 나타낸다. 시추 퇴적물 중 유기물의 열적 성숙도는 동위원소 결과에 따른 가스의 열성숙 단계 보다 낮게 나타나서 시추구간보다 심부에서 생성된 열기원 가스가 이동하여 현재의 위치에 집적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Chemical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hydrocarbon gases were analyBed to characterize the properties of the shallow gases distribu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offshore Korea. Sediments from the core were also analyz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to shallow gases. Hydrocarbon gases in the sediments consisted of methane (697.9-6054.4 ppm), ethane, propane, butane and hexane. The total carbon content of the sediments ranges from 1.84fe to $5.11{\%}$ and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ranges from $0.29{\%} \;to\; 2.65{\%}$. High C/N ratio (>10) indicates that input of terrestrial organic matter was prevalent at the time of deposition. The methane content and stable isotopic data indicate that hydrocarbon gases from the sediments are identified to be thermogenic gas and mixture of both biogenic and thermal gases. Based on the Rock-Eval and carbon isotopic data, the level of thermal maturity of organic matter in the sediments $(Tmax<425^{\circ}C)$ is lower than that of gas. It suggests that thermal gases in the sediments migrated from the deeper sediments than the penetrated depth.

      • KCI등재

        다양한 적입방식이 봄배추의 선도유지에 미치는 효과

        이영주,이혜옥,김지영,김병삼,Lee, Young-Joo,Lee, Hye-Ok,Kim, Ji-Young,Kim, Byeong-Sam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7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2 No.4

        Kimchi cabbage is in demand all year, but there is an unbalance in its supply and demand due to climate reasons, requiring practical methods for extending storage without high cos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ssess available storage methods. 'Choongwang' Kimchi cabbages cultivated in Pyeongchang, Gangwon-do were on June 14 harvested and packed in plastic boxes. Control group was treated by loading four to five heads. Moisturized paper was applied as a liner inside the box to prevent dehumidification and damage to the cut root parts, and a small loading amount (three heads) was applied for better air circulation. Weight loss rates after 12 weeks of storage were 13.83% in the control group, 12.57% in the first group, and 13.38% in the second group. Trimming loss rates after 9 weeks of storage were 14.96% in the control group, 12.29% in the first group, and 12.55% in the second group. 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 the control group lost its marketability after 6 weeks of storage, while the second group maintained it until 9 weeks and the first group maintained it until 12 weeks and scored higher than 6 points. Therefore, the tested methods were effective for extending the freshness of Kimchi.

      • KCI등재

        닭 분변유래 E. coli 및 Salmonella spp.의 항생제 내성패턴

        이영주,김애란,정석찬,송시욱,김재홍,Lee, Young-Ju,Kim, Ae-Ran,Jung, Suk-Chan,Song, Si-Wook,Kim, Jae-Hong 대한수의학회 2005 大韓獸醫學會誌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E. coli and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chicken feces. One hundred and forty-seven E. coli isolates showed resistance to tetracycline (95.2%), erythromycin (89.2%), ampicillin (70.1%), streptomycin (59.2%), cephalothin (56.5%),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53.7%), ciprofloxacin (57.1%), enrofloxacin (59.2%) and norfloxacin (57.1%). The multiple resistance was seen in 144 isolates (97.9%) and the rate of five, six and seven drugs resistance pattern were 20.4%, 18.4% and 16.3%, respectively. Also, the multiple resistance of E. coli to twelve drugs were seen in 1 isolates (0.7%). Fourteen Salmonella spp. showed resistance to ampicillin (50.0%), streptomycin (57.1%), erythromycin (64.3%) and tetracycline (57.1%) and the rate of two and three drugs resistance pattern were 4 isolates (28.6%),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resistant organisms in Korea probably reflects lack of proper antibiotic policy resulting in prolonged and indiscriminate use of antimicrobial agents.

      • KCI등재

        닭 분변유래 Enterococcus spp. 및 Staphylococcus aureus의 항생제 내성패턴

        이영주,김애란,정석찬,송시욱,김재홍,Lee, Young-Ju,Kim, Ae-Ran,Jung, Suk-Chan,Song, Si-Wook,Kim, Jae-Hong 대한수의학회 2005 大韓獸醫學會誌 Vol.45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Enterococcus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isolated from chicken feces. All isolates showed high resistance to erythromycin (E) and tetracycline (TE). Of the 63 Enterococcus faecalis (E. faecalis) isolates, 73.0% were resistant to E and 98.4% to TE. Of the 44 Enterococcus faecium (E. faecium) isolates, 50.0% were resistant to E and 95.5% to TE. Of the 52 S. aureus isolates, 57.6% were resistant to E and 96.2% to TE. The prevalence of two and three drugs resistance pattern were 28.6% and 17.5% of E. faecalis, 40.9% and 25.0% of E. faecium and 38.5% and 23.1% of S. aureus, respectively. The multiple resistance pattern to six drugs was observed in 1 E. faecalis isolates, and five drugs resistance pattern were seen in 1 E. faecalis, 1 E. faecium and 1 S. aureus isolates. The prevalence of resistant organisms in Korea probably reflects lack of proper antibiotic policy resulting in prolonged and indiscriminate use of antimicrobial agents.

      • 포항 지역 지하수에 분포하는 탄화수소 가스의 지화학

        이영주,정태진,김진석,김학주,윤혜수,곽영훈,Lee Youngjoo,Cheong Taejin,Kim Jinseok,Kim Hagju,Yun Hyesu,Kwak Younghoon 한국석유지질학회 1998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6 No.1

        포항 지역의 지하수에 녹아있는 수용성 탄화수소 가스의 지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하수를 채취하여 지하수의 성분, 추출된 가스의 함량, 탄화수소 가스의 성분 및 탄소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하수들로부터 추출된 총 가스의 함량은 최소 27.0 ml/l, 최대 50.1 ml/l이다. 추출된 가스 중 탄화수소 성분은 메탄 $(CH_4)$이 27 ppm에서 376,420 ppm까지 나타났고 에탄 $(C_2H_6)$ 성분도 일부 시료에서 19 ppm에서 127 ppm까지 검출되었다. 지하수로부터 추출된 총 가스의 함량은 대수층 및 주변 지질에 따른 변화는 없었던 반면, 총 탄화수소의 함량은 대수층 및 주변 지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수층이 제3기층이거나 제3기 퇴적층의 두께가 두꺼운 곳에서 시추된 공의 지하수에서 탄화 수소 가스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지하수에 녹아있는 탄화수소의 함량과 지하수의 총 고형물 (T-solids)성분이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탄화수소 성분은 제3기층의 지층수에 녹아있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지하수에서 추출된 총 탄화수소 가스 중 메탄 성분은 $99.9\%$ 이상을 차지하고, 메탄 가스의 탄소 동위원소 비 $({\delta}C^{13})$는 $-73.1\%_{\circ}$에서 $-43.22\%_{\circ}$ 까지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포항 지역 수용성 가스는 저온, 무산소 환경에서 메탄 생성 박테리아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 생물기원 가스로 해석된다. Chemical components of water, chemical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extractable gases were analyzed to characterize the properties of the natural gases which are dissolved in ground water in the Pohang area. Amount of total extracted gases ranges from 27 ml/l to 50.1 ml/l. Hydrocarbon gases are composed of methane ($27{\~}376,420 ppm$) and ethane ($19{\~}127 ppm$). Amount of total hydrocarbon gases is related to the lithology and geological factors around the reservoir. Quantity of hydrocarbon gases tends to increase in the Tertiary reservoirs and in the reservoirs where the Tertiary formations are thick enough.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ydrocarbon gases and total solids in the ground water, it is believed that the hydrocarbon gases were dissolved in the Tertiary formation water. Based on the methane content ($>99.9\%$) and isotopic composition (${\delta}C^{13};-73.1\%_{\circ}{\~}-43.22\%_{\circ}$), we interpret the gases to be of predominantly biogenic origin which were generated by the methanogenic bacterial processes under the low temperature and anoxic conditions.

      • SCOPUSKCI등재

        PCR 기법을 이용한 Mycoplasma gallisepticum의 검출

        이영주,김기석,김종완,탁연빈,Lee, Young-ju,Kim, Ki-seuk,Kim, Jong-wan,Tak, Ryun-bin 대한수의학회 1999 大韓獸醫學會誌 Vol.39 No.1

        A species-specific 760 base pair(bp) BamHI to EcoRI DNA fragment(fMG-2) of lipoprotein gene was isolated from a Mycoplasma gallisepticum(M gallisepticum) genomic library. Based on the DNA sequence data of fMG-2, a pair of 25bp primers was synthesized. When used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732bp DNA products were amplified from 6 standard strains and 10 field isolates of M gallisepticum, but not from 2 Mycoplasma synoviae and 7 other Mycoplasma species. The lower detection limit was 100fg of the genomic DNA. Identity of the PCR products was confirmed by comparison of patterns of restriction endonuclease analysis with AseI, DraI, EcoRV and SspI.

      • 포항 분지 제3기층 시추코아 유기물의 석유 지화학적 특성

        이영주,곽영훈,윤혜수,정태진,오재호,김학주,강무희,Lee Youngjoo,Kwak Young Hoon,Yun Hye Su,Cheong Tae Jin,Oh Jae Ho,Kim Hagju,Kang Moohee 한국석유지질학회 1997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5 No.1

        포항 분지 신제3기 연일층군 퇴적물내 유기물의 석유 지화학적 특성연구를 위하여 시추공 B, E, F, H에서 이암 시추 시료를 채취하여 유기탄소 분석, Rock-Eval 열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시추공의 선별된 시료에 대해서 케로젠을 분리하고 비투멘을 추출하여 광학 현미경 관찰, 적외선 분광 분석, 생물표기화합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추공 시료의 유기탄소 함량은 $0.55{\~}3.74{\%}$로 석유 근원암의 조건을 갖추었고 석유 생성 잠재력을 나타내는 S1+S2 값은 H공을 제외한 거의 모든 시료에서 각각 2mgHC/gRock 이상을 나타내어 시추공 시료의 유기물 함량 및 유기물의 석유 생성 잠재력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Rock-Eval 열분석, 적외선 분광 분석 및 케로젠의 현미경 관찰을 통해서 살펴본 B, E, F 시추시료의 유기물은 타이프 II에 비교되었고 H공의 시료는 육성 기원 유기물이 우세해서 타이프 III에 비교되었다 H공 시료의 유기물이 다른 시추공 시료의 그것에 비해 석유 생성 잠재력이 상대적으로 낮은데 이는 분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육성 유기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일층군 유기물의 열 성숙도는 미성숙 단계이고 시추 심도에 따른 뚜렷한 열적 진화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석유 지화학적 분석 자료를 종합하면 포항 분지 연일층군은 유기탄소의 함량 및 석유 생성 잠재력은 양호하지만 열적으로 미성숙 상태라서 아직 석유 생성 단계에 이르지 못하였는데 이는 주로 퇴적층의 매몰 심도가 얕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케로젠의 현미경 관찰 결과와 생물표기화합물 분석에 의하면 연일층군 유기물은 주로 해양기원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으나 육상 기원 유기물도 상당히 포함되어 있었으며, 프리스테인/파이테인의 비율을 고려 할 때 환원 환경하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퇴적 환경 및 유기물 특징을 고려했을 때 포항 분지는 육지에서 가까운 바다로 주변 육상 기원 유기물의 유입이 용이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시추공 분석 시료의 최하부 구간에는 육상 기원 유기물이 우세한데 이는 포항 분지 초기의 육성 퇴적 환경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Core samples from the B, E, F, H wells in the Tertiary Pohang Basin were analysed for total organic carbon (TOC) content and subject to Rock-Eval pyrolysis in order to assess petroleum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Following geochemical screening, we selected samples from each well for the study of bitumen and kerogens such as optical observation, infra-red spectroscopy and biomarker analyses. Sediments of the Tertiary Yonil Group contain total organic carbon ranging from $0.55{\%} to 3.74{\%}$ with S1+S2 values higher than 2mgHC/g Rock in B, E and F wells, which indicates fair hydrocarbon generation potential. Most organic matter in the B, E, F wells is compared to type II based on the Rock-Eval pyrolysis, infra-red spectroscopy and optical observation. However, organic matter in the H well is compared to type III because the well is located at the margin of the basin where the preservation of terrestrial material is dominant. Geochemical analyses show that organic matter in the Yonil Group is thermally immature although thermal maturity slightly increases with depth. Maturity levels of the extracted kerogens are similar to those of bulk samples ($Tmax<435^{\circ}C$. Petroleum geochemical charateristics of the sediments in the Tertairy Yonil Group is fair in terms of the organic richness and hydrocarbon genetic potential, but organic matter is thermally immature due to the shallow burial depth. Optical observation of the kerogens and biomarker analysis show that organic matter in the Yonil Group is both marine and terrestrial origin, although it was deposited in marine environment. Pristane/phytane ratio suggests rather anoxic depositional environment.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indicate that the marine Yonil Group was deposited near the terrestrial environments. Input of terrestrial organic matter is more prevalent in the samples recovered from the lowermost horizon in the wells due to the terrestrial environment at the time of basin formation.

      • 자동차 배기가스와 대기오염(2)

        이영주,Lee, Yeong-Ju 한국방위산업진흥회 2002 國防과 技術 Vol.- No.282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자동차에 대한 대기환경 오염물질 배출량은 앞으로도 계속 가속화될 것이며 교통량의 증가에 따른 교통난, 각종 사고유발과 함계 환경오염 문제는 심각한 요인으로 등장할 것이다. 도로에서 자동차는 이제 사고뿐만이 아닌 달리는 오염물질 생산기로서 자동차의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술적 연구 못지않게 자동차 생산 및 정비에 종사하는 사람들 그리고 운전자 개개인의 바람직한 운전습관, 운전자세 등의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