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접이식 직렬날개형 공중투하 무인비행체의 공력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이승진,이정민,안정우,박진용,Lee, Seungjin,Lee, Jungmin,Ahn, Jeongwoo,Park, Jinyong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8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7 No.4

        The aerial launch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 mainly uses a set of folding tandem wings to maximize flight performance and minimize the space required for mounting in a mothership. This folding tandem wing has a unique aerodynamic problem tha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type of fixed wing aircraft, such as the rear wing interference problem caused by the wing of the front wing wake and vortex, and the imbalance of the pivot moment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wings when the wing is deployed. In this paper, we have modeled and simulated various cases throug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based on the finite volume method and analyzed various aerodynamic phenomena of the tandem wing type aircraft. We find that the front wing shall be installed higher than the rear for minimizing the wake influence and the rear wing can be deployed faster than the front because of the pivot moment due to aerodynamic forces. Also, considering the pivot moment due to aerodynamic force, the rear wing can be deployed much faster than the front w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when developing the wing deploy mechanism. 공중투하형 무인비행체는 비행성능의 극대화 및 모기체 탑재시의 소요공간 최소화를 위하여 접이식 직렬날개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접이식 직렬날개는 전방날개의 후류에 의한 후방날개 간섭문제, 날개 전개시 전후방 날개에 걸리는 피봇 모멘트의 불균형 등 일반적인 형태의 고정익 비행체와 다른 독특한 공기역학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한체적법 기반의 전산유체역학을 통하여 여러 경우에 대하여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접이식 직렬날개 방식 비행체의 여러 공기역학적 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받음각 변화에 따른 전방날개에 의한 후류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방 날개를 후방날개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공력에 의한 피봇모멘트를 고려시 전방날개에 비하여 후방날개가 훨씬 빠른 속도로 펼쳐질 수 있으므로 날개 펼침 기구 개발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정보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이승진,최현종,Lee, Seungjin,Choe, Hyunjong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5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정보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 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의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현재까지의 정보 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179편을 선정하여 16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문제 중심 학습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언플러그드 학습, CPS(Creative Problem Solving)모형, 동료교수법 등도 비교적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정보 교육의 내용 영역으로는 문제 해결과 프로그래밍 영역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교수 학습 방법을 선정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a focused on creative and convergent student education, so the importance of informatics education is arising along with emphases on i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uggested their implications by selecting 179 studies of same keyword searching from 2000 to the present years and classifying them into 16 categories. This analysis showed that problem based learning was the most researched topic on these subjects, while unplugged learning,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peer teaching were among the actively studied topics. In the content domain of informatics curriculum, the problem solution and programming was most researched.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not only studying informatics education research but also selec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field of class for teachers.

      • KCI등재

        콘텐츠 변용·생성 연구

        이승진(Lee, Seung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60

        2014년 겨울에 방영된 SBS의 드라마 <피노키오>, 그 후속 프로그램이었던 현빈 주연의 <하이드, 지킬, 나> 그리고 2015년 6월 개봉한 <은밀한 유혹>의 공통점은 3편 모두 창작시나리오가 아닌 원형스토리의 변용시나리오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3편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대부분의 콘텐츠는 무에서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는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원형콘텐츠(스토리)가 다양하게 변용되면서 생성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점에 주목해 한 편의 원형콘텐츠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변용 · 생성되는 과정을 스토리텔링의 변용과 매체변용이라는 - 서로 연관된 -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한다. 아울러 가상의 원형 콘텐츠 <김갑순 전설>과 그리스 신화 <메데이아>가 그 예로 분석될 것이다. 스토리 변용은 원형스토리텔링에 사용된 모티프들의 변형(추가, 삭제, 재해석) 또는 모티프 연계 순서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모티프 연계의 변용 이외에도 원형콘텐츠의 변용과정에는 매체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일찍이 레싱이 서구 미학 최초의 매체미학서인 「라오콘 또는 회화와 시학의 경계에 대하여」에서 간파한 것처럼 콘텐츠의 형성과정에서 매체는 주요 형성요인으로 작용한다. 매체 없이는 원형콘텐츠가 재해석된 결과를 하나의 독립된 콘텐츠로 형성해낼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실례로 본 논문은 <메데이아> 원형콘텐츠(신화)가 회화, 오페라, 소설, 게임 등의 매체에 따라 변용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또한 이 예를 통해 스토리의 변용과 매체 변용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서로 상보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이루어지는 ‘일관공정’이라는 점을 밝힌다. This paper analyzes the generative transformation of contents from the two perspectives of storytelling transformation and media transformation. As shown by the generative transformation of the virtual prototype-contents, such as <The Kim Gap Soon legend> or the <Medea> myth, it is by means of alterations (e.g. additions, deletions, reinterpretations and sequence rearrangements) of the motif used in the original content that the storytelling is transformed. In addition to the storytelling transformation, the media act as a decisive factor, for without them, it is impossible to form the result of the (re)interpreted content into a new independent content. As an example thereof, this paper analyzes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content <Medea> taking place through different media, such as painting, opera, novel, video games, etc. And supported by the example above, it suggests that the story transformation and the media transformation are not two independent processes, but a simultaneous process based on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ship, a so-called "single consistent process" This paper can not only be applied to any analysis of original contents, but also serve as a useful tool for people employed in the cultural business who are interested in producing new contents through the generative transformation process (films, webtoon/online comic strips, music videos, etc.) 2014년 겨울에 방영된 SBS의 드라마 <피노키오>, 그 후속 프로그램이었던 현빈 주연의 <하이드, 지킬, 나> 그리고 2015년 6월 개봉한 <은밀한 유혹>의 공통점은 3편 모두 창작시나리오가 아닌 원형스토리의 변용시나리오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3편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대부분의 콘텐츠는 무에서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는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원형콘텐츠(스토리)가 다양하게 변용되면서 생성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점에 주목해 한 편의 원형콘텐츠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변용 · 생성되는 과정을 스토리텔링의 변용과 매체변용이라는 - 서로 연관된 -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한다. 아울러 가상의 원형 콘텐츠 <김갑순 전설>과 그리스 신화 <메데이아>가 그 예로 분석될 것이다. 스토리 변용은 원형스토리텔링에 사용된 모티프들의 변형(추가, 삭제, 재해석) 또는 모티프 연계 순서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모티프 연계의 변용 이외에도 원형콘텐츠의 변용과정에는 매체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일찍이 레싱이 서구 미학 최초의 매체미학서인 「라오콘 또는 회화와 시학의 경계에 대하여」에서 간파한 것처럼 콘텐츠의 형성과정에서 매체는 주요 형성요인으로 작용한다. 매체 없이는 원형콘텐츠가 재해석된 결과를 하나의 독립된 콘텐츠로 형성해낼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실례로 본 논문은 <메데이아> 원형콘텐츠(신화)가 회화, 오페라, 소설, 게임 등의 매체에 따라 변용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또한 이 예를 통해 스토리의 변용과 매체 변용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서로 상보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이루어지는 ‘일관공정’이라는 점을 밝힌다. This paper analyzes the generative transformation of contents from the two perspectives of storytelling transformation and media transformation. As shown by the generative transformation of the virtual prototype-contents, such as <The Kim Gap Soon legend> or the <Medea> myth, it is by means of alterations (e.g. additions, deletions, reinterpretations and sequence rearrangements) of the motif used in the original content that the storytelling is transformed. In addition to the storytelling transformation, the media act as a decisive factor, for without them, it is impossible to form the result of the (re)interpreted content into a new independent content. As an example thereof, this paper analyzes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content <Medea> taking place through different media, such as painting, opera, novel, video games, etc. And supported by the example above, it suggests that the story transformation and the media transformation are not two independent processes, but a simultaneous process based on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ship, a so-called "single consistent process" This paper can not only be applied to any analysis of original contents, but also serve as a useful tool for people employed in the cultural business who are interested in producing new contents through the generative transformation process (films, webtoon/online comic strips, music videos, etc.)

      • 지식베이스를 이용한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이해

        이승진(Seungjin Lee),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199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B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작업은 유지보수 과정에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이 작업을 자동화 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다. 객체지향 방법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유지 보수성에 많은 향상이 있지만, 프로그램의 자동화된 이해 기법에 있어서는 객체지향적 특징이 오히려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즉 기존의 자동화된 프로그램 이해 기법들은 객체지향 프로그램에 적용하기에 부적당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자동화된 이해를 위한 방법으로 지식베이스를 이용한 하항식 이해 기법을 제시한다.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지식 뿐만 아니라 이해 절차에 관한 지식 또한 지식베이스에 저장되며 지식베이스는 여러 역공학 도구들을 통합하는 기반이 된다.

      • KCI등재

        유미리의 『도쿄 우에노 스테이션』 고찰 : ‘자의식’에 대한 물음에서 ‘현실 세계’를 향한 목소리로

        이승진(Lee, Seungji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코기토 Vol.- No.95

        본고는 개인의 실존과 일본사회의 뒤틀림을 아울러 조망한, 유미리의 『도쿄 우에노 스테이션(TOKYO UENO STATION)』의 내실을 작가의 세계인식 변화라는 관점에 주목하여 고찰한 것이다. 2020년 말에 열린 제 71회 전미도서상 수상식에서 번역문학부문을 수상한 유미리는 영문 시집 『DMZ 콜로니(DMZ COLONY)』로 시 부문의 상을 거머쥔 재미한국인 최돈미와 함께 한국계 외국인의 2개 부문 석권이라는 뉴스로 화제를 모았다. 전년도인 2019년에도 한국계 미국인 작가 수전 최가 『신뢰연습(Trust Exercise)』으로 픽션 부문의 상을 받기도 한 전미도서상은, 아직까지 한국인 수상이 전무한 가운데 ‘한국계’ 작가들의 약진이라는 이슈로 한국 사회에서 회자되고 있다. 유미리 작품 전체를 부감하면 그 대부분이 민족과 국가, 그리고 이념 같은 주제들과 거리가 멀다는 사실을 이내 발견할 수 있다. 그녀가 작품 활동을 시작한 1990년대 일본사회는 문화 전반에 걸쳐 ‘자의식’의 위기라는 주제가 표출된 시기였다. 유미리는 베스트셀러 작가로 일본의 일반 대중들로부터 인증 받은 재일문학의 첫 번째 사례인데, 이러한 성과는 기존 재일문학이 표현해온 재일조선인의 역사 내지는 재일사회의 현실과 같은 요소를 작가가 작품 속에서 의도적으로 소거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다시 말해 주인공의 직면한 ‘불안’과 ‘소외’라는 문제를 ‘국가’와 ‘민족’ 같은 속성이 아닌 철저하게 개인의 ‘자의식’이라는 측면에서 조명한 것으로, 이 같은 특징이 동시기의 일본 대중들에 호소하면서 작가로서 유미리의 활동 공간을 열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2000년대를 지나면서 이 같은 작가의 태도에 서서히 변화가 찾아온다. 2000년대 일본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자의식에서 현실 세계에 대한 물음으로 이행하는 가운데, 유미리 또한 ‘머무를 장소를 잃어버린 사람들’과 그들의 삶을 뒤흔드는 현실 조건을 본격적으로 살피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2003년부터 17년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야마노테선 연작은 이같은 작가의 시선 변화가 농밀하게 담겨 있는 작품들로, 그중에서도 동일본대지진 발생 이후 발표된 『도쿄 우에노 스테이션』은 등장인물의 실존적 ‘절망’을 ‘천황’과 ‘종교’, 그리고 ‘국가’로 표상되는 집단의식과 여기에서 기인한 부조리함과 연동하여 포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일본이라는 현실 세계를 정면에서 직시하면서 뚜렷한 전환점에 들어선 유미리의 다음 작품이 향후 어디로 나아갈지는 예단하기 어렵다. 다만 그 목적지가 ‘한국계’ 내지는 ‘일본계’라는 기호에 담긴 내셔널리즘적인 욕망과 동떨어진 장소일 것이라는 점만은 분명해 보이며, 그런 의미에서 ‘재일작가’ 유미리가 그려갈 앞으로의 세계상이 더욱 더 기대되는 시점이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substance of Tokyo Ueno Station by Miri Yu, which views the existence of individuals and distortion of Japanese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ing world perception of the author. At the award ceremony of the 71st National Book Awards held at the end of 2020, Miri Yu won the Translated Literature Award. She appeared on the news with Donmee Choi, a Korean American who won the Poetry Award with an English poetry book titled DMZ Colony, for sweeping two awards together. The National Book Awards in the United States also awarded the Fiction Award to a Korean American author named Susan Choi for Trust Exercise in 2019. This issue is still discussed in Korean society as a breakthrough made by authors of ‘Korean descent’ while no Korean has won an award yet. By looking upon all works of Miri Yu, it becomes easily apparent that most of them are distant from topics like ethnicity, nation, and ideology. Japanese society in the 1990s when she began to produce works showed the crisis of ‘self-awareness’ throughout the entire culture. Miri Yu is the first case of Zainichi literature approved by the general public of Japan as a bestselling author. This achievement was made possible because the author intentionally eliminated elements like the history of Zainichi Korean and the reality of Zainichi society that had been expressed in previous Zainichi literature. In other words, Miri Yu strictly viewed ‘anxiety’ and ‘alienation’ faced by the protagonist from the perspective of ‘self-awareness’ instead of properties like ‘nation’ and ‘ethnicity.’ Such characteristics allowed her to create her activity space while appealing to contemporary Japanese people. Such attitude of the author changes slowly in the 2000s. While the primary interest of Japanese society shifted from self-awareness to the questioning of the real world, Miri Yu began to look into ‘people who lost a place to stay’ and reality conditions that shook the lives of such people. The Yamanote Line series that has continued for over 17 years since 2003 comprises works that densely depict changes in the author’s viewpoint. Among them, Tokyo Ueno Station, published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catches attention by capturing existential ‘despair’ of characters in connection with the group awareness symbolized by the ‘Japanese emperor,’ ‘religion,’ and ‘nation’ and the irrationality resulting from the group awareness. It is difficult to prejudge the directivity of Miri Yu’s future works after marking a clear turning point by starting to face the real world of Japan. However, her destination will definitely be remote from the nationalistic desire contained in signs like ‘Korean descent’ and ‘Japanese descent.’ In this sense, the outlook of the world to be illustrated by Miri Yu as a ‘Zainichi author’ raises much expectation.

      • KCI등재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멘토 양성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이승진(Seungjin Lee),정현민(Hyunmin Jung),최선일(Sun Ill Choi)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지원을 위한 교사 멘토 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예술영재 멘토 교사로서의 핵심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지원을 위한 교사 멘토 양성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멘토 역량에 대한 정의와 개념 및 하위 요인들을 분석하고, 도출된 멘토 역량의 하위 요인들 중 공통된 요인들을 유목화하여 문항 구성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은 다시 델파이(Delphi) 분석과 심층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수정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수정된 문항으로 초·중·고등학교 현직교사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예술영재 멘토 교사 역량 진단도구 문항을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멘토양성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언하기 위해 교사들의 학교급별, 성별, 교직경력별, 예술 관련 교과 전공 유무별, 예술 관련 전공 분야별, 영재교육 경험 유무별, 영재교육 경험교사 중 예술 영재교육 경험 유무별로 역량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변인에 따른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is a preliminary study develop teacher -mentor training programs to support disadvantaged gifted in arts. For this purpose, analyzed the definitions, concepts and subfactors of mentor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previous extracted common factors and items . The items of the mentor competency assessment questionnaire were modified through Delphi analysis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43 elementary , middle and high schoo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mentor competency assessment questionnaire was finalized . Lastly, to suggest the mentor training programs , inspected differences between teacher group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 gender , teaching career, major, experience gifted education.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