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메타신 투여 시 미숙아 동맥관개존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윤민정,혜선,정성훈,한미영,배종우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6

        Purpose : Indomethacin treatment is successful in about 90% of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in premature infants, but in some, repeated administration or surgical closure is required. The object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of indomethacin treatment and to predict the treatment result. Method : The 29 preterm neonates,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Kyung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and Eulji university hospital between September 2002 and April 2006 were diagnosed of PDA and treated with indomethacin. The risk factors that might affect the efficacy of treatment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single-administered group was 19 patients out of 29 (65.5%) and among the repeated- administered group, 5 patients (17.2%) had repeated indomethacin administration and the other 5 patients (17.2%) underwent surgery due to reopening of the duct after repeated medical treatment. In repeated-administered group, the diameter of PDA was significantly larger (3.66±0.8 mm vs 2.55±0.8 mm, P<0.01), especially when larger than 3.5 mm (sensitivity: 70%, specificity: 89%). Also, the mean postnatal age of the first indomethacin administration was significantly delayed in repeated- administered group (19.7 days vs 12.5 days,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stational age (32 wk 5 days vs 30 wk 8 days) and in birth weight (1598.9 g vs 1750.5 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ssociated morbidities. Conclusion : In patients with larger diameter of PDA (>3.5 mm) and older postnatal age (>7 days), the effect of indomethacin was decreased. Therefore in such cases, repeated dose of indomethacin or surgical ligation should be considered earlier. 목 적 : 인도메타신 투여는 미숙아 동맥관개존의 치료로 약 80-90%에서 효과를 보이며 일부는 반복 투여나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인도메타신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치료 효과를 관찰함으로써 조기에 인도메타신 재 투여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할 경우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2002년 9월부터 2006년 4월까지 경희 의료원과 노원 을지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중 동맥관개존을 진단받고 일차적으로 인도메타신 주사를 투여 받은 환아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1 cycle 투여로 치료된 경우를 단일 투여 군으로, 약물을 재 투여하였거나 재 투여 후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경우를 재 투여 군으로 하였으며 인도메타신 치료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에 관하여 후향적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결 과 : 단일 투여 군은 전체 29명 중 19명(65.5%)였고 재 투여군 중 수술적 치료 없이 인도메타신의 재 투여로 치료된 환아는 29명 중 5명(17.2%), 재 투여 후 재발하여 수술 받은 환아는 29명 중 5명(17.2%)이였다. 재 투여 군에서는 동맥관개존의 크기가 유의하게 더 컸으며(3.66±0.8 mm vs 2.55±0.8 mm, P< 0.01), 또한 인도메타신의 첫 투여 시 평균 연령은 재 투여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19.7일 vs 12.5일, P<0.05).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은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밖에 기관지 폐 이형성증, 괴사성 장염, 패혈증, 뇌실 내 출혈 등과 같은 예후에도 양군간의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동맥관개존의 크기가 3.5 mm 이상인 경우, 인도메타신 투여시기가 생후 7일 이상으로 늦은 경우에 적극적인 인도메타신의 재 투여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보다 많은 환자 군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뉴딜 노동 체제와 남부 노동계급의 형성

        윤민정,김진희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4 韓國 政治 硏究 Vol.33 No.1

        오늘날 미국은 대표적인 자유주의 시장 경제체제를 가진 국가로서, 탈규제적 시장 경제와 낮은 노동조합 조직률, 그리고 계급 간 이해관계 및 갈등 조정을 담당하는 범사회적 기관과 제도의 부재 등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경제체제를 이룩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미국의 정치경제체제의 기원을 탐구하며 “왜 미국에 사회민주주의가 없는가?”라고 하는 오랜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오늘날 미국의 사회보장제도 및 임노동관계의 기반이 되는 다수 정책들이 입안되었던 뉴딜 시대에 주목하여, 당시 노동계급의 압도적 지지를 바탕으로 한 개혁주의적 민주당이 이후 장기 집권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정치경제 구조가 강력한 사회민주주의 정책 대신 규제 완화 및 적대적 노사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자유시장 경제체제로 귀결된 역사적 경로 이행의 과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계급 중심의 권력 자원 이론과 국가 중심 이론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 계급과 인종문제의 상호관계 속에서 뉴딜 시대 노동계급의 형성 과정을 재구성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roots of the U.S. liberal market economy and its labor-management relations with the central question: why is there no social democracy in America? Focusing on the New Deal era, it examines the emergence of fundamental social welfare policies and labor regulations that still shape the U.S. political economy. After crafting a critical historiograph on the conventional theories regarding the progression and regression of New Deal labor regulations, the research highlights the growing importance of racial subjugation in understanding New Deal labor history. It particularly focuses on the formation of the southern working class during that era and the entwined history of class and race.

      • KCI등재후보

        임산부의 브라질리언 왁싱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윤민정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2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2 No.1

        This study is about pregnant women who have experienced brasilian waxing and completed postpartum care, and inexperienced pregnant women who have completed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 without experiencing brasilian waxing,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pregnant women.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65 pregnant women who experienced Brazilian waxing from their 20s to 40s and completed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 and 148 pregnant women who completed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 without experiencing Brazilian waxing. The survey period was analyzed by distributing a total of 365 copies from September 20, 2020 to October 11, 2020.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5.0 program. As an analysis techniqu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In addition, 22 (Chi-square),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one-variable analysis), and t-test were performed to find out pregnant women's awareness of Brazilian waxing, side effects after waxing, satisfaction with Brazilian waxing, and awareness of unexperienced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general characteristics, out of a total of 365 people (217 pregnant Brasilian waxing experience and 148 pregnant Brasilian waxing experience), those in their 30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with 62.7% by age, 49.9% of college graduates, and 30.1% of service workers by occup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pregnant Brasilian experienced people, 52.1% of pregnant women learned about brasilian waxing through the Internet (mom cafe, blog), and 4.59 out of 5 points about the degree to which brasilian waxing helps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 Third, 44.7% of pregnant women who did not experience Brazilian waxing accounted for the most of the reasons for not having experienced Brazilian waxing, and 73.3% of pregnant women who felt stingy due to maternal growth during postpartum care. Fourth, 93.5 percent of the women received Brazilian waxing, 41.2 percent of the women experienced itching due to side effects after Brazilian waxing. Fifth,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birth, 4.04 percent of the women felt cleanliness. 본 연구는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을 경험하고 출산과 산후조리를 마친 임산부들과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을 경험하지 않고 출산과 산후조리를 마친 미경험 임산부들 대한 연구로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와 그에 따른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는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에 대한 인식도 및 이용실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20대부터 40대까지 브라질리언 왁싱을 경험하고 출산과 산후조리를 마친 임산부 217명과 브라질리언 왁싱을 경험하지 않고 출산과 산후조리를 마친 임산부 148명 총 36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20년 9월 20일∼2020년 10월 11월까지 총 365부를 배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또한, 임산부들의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에 대한 인식도와 왁싱샵 이용실태, 왁싱 후 부작용,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의 만족도, 그리고 미경험자의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과 빈도분석,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그리고 t-tes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총 365명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 유경험자 217명,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 미경험자 148명)중 연령별로는 30대가 62.7%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최종학력 별로는 대졸이 49.9%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별로는 서비스직이 30.1%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둘째, 임산부 브라질리언 유경험자 인식도를 보면 임산부들이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을 알게 된 경로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인터넷(맘카페, 블로그)을 통해 알게 된 임산부가 52.1%로 가장 많았으며,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이 출산과 산후조리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하여는 5점 만점 중에 4.59로 나타났다. 셋째,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 미 경험자들의 인식도는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 경험이 없는 이유는 정보부족 44.7%로 가장 많았고 산후조리 시 모 성장으로 인해 따가움을 느낀 임산부가 73.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넷째, 이용 실태를 보면 임산부들이 브라질리언 왁싱을 받은 장소는 왁싱 전문샵이 93.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부작용의 증세를 살펴보면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 후 부작용 증세로 가려움을 경험한 임산부가 41.2%로 가장 많았으며 다섯째, 만족도를 살펴보면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이 임신으로 분비물의 불쾌감 경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5점 만점 중에 4.04로 나왔으며, 임산부들이 산후조리 시 오로 배출 기간 중 느낀 청결 정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4.83으로, 임산부들은 산후조리 시 오로가 나오는 기간에 위생적으로 청결하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8주간 필라테스 운동이 주요 사용부위가 다른 운동선수의 신체균형과 평형성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윤민정,김기진 대한운동학회 2012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4 No.3

        [INTRODUCTION] Athletes were often showed the pain and body imbalance by the over-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body balance, posture, pain and 8 week pilates-mediated effects between tennis-archery, and athletics. [METHOD] The subjects were recruited by 41 male and female of athletes who divided into tennis(n=15), archery(n=10), and athletics(n=16). They are 16-18 years old. Piltes program performed 8 weeks with 2 hours per day and 3 days per week. The subjects were tested in body stability, sensorimotor control ability, and subjective pain scale (VAS) prior to and following to piltes program. SPSS 18.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RESULT] Athletics group mainly showed the pain of lower body, but tennis and archery group showed the pain of upper body. Body balance, stability, and sensorimotor skills in tennis and archery group showed low tendency than athletics group.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changes of pain and body balance after 8 week pilates program. [CONCLUSION] Regional pain of athletes showed the preference following to main body movement part. Pilates program can lead to the positive effects on pain and body balance-related variables. [서론] 운동선수들은 체력 및 기술향상을 위해서 훈련하는 과정에서 통증, 평형성 및 신체균형의 부정적인 양상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으며, 운동종목의 특성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낸다. 이에 테니스 및 양궁선수와 육상선수를 대상으로 신체균형, 평형성 및 통증의 차이와 함께 아울러 8주간 필라테스 운동의 처치효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고등부 및 대학부의 테니스 및 양궁선수그룹과 육상선수그룹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수들은 웨이트 트레이닝을 꾸준히 하고 있었으나, 6개월 이내에 필라테스 운동경험이 없었다. 통증 정도는 VAS scale 설문조사, 평형성은 MFT S3check, 신체의 균형정도는 IBS 체형 측정기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양측성 운동형태이며 하지를 주로 사용하는 육상선수들은 고관절을 비롯한 하지에서 통증이 나타났으며, 테니스 선수들은 어깨와 허리 손목에서 통증이 나타남으로서 선수들의 통증은 자주 사용하는 신체 부위에서 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운동 후 두 그룹 모두 운동전에 비해 통증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MFT S3check의 sensorimotor와 stability에서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여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며, IBS측정결과에서도 필라테스 운동 후에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통증의 발생정도는 주요 사용부위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편측성의 운동형태가 신체균형 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서 신체 특정부위를 과도하게 사용을 할 경우에는 균형 향상과 더불어 통증 감소를 위해서 필라테스 운동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 KCI등재

        Transparent resin block을 이용한 K3, NRT, PROFILE의 apical transportation 및 working length 변화양상의 비교

        윤민정,송민주,신수정,김의성 大韓齒科保存學會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가진 3가지 Ni-Ti 파일, 즉 K3, NRT, Profle을 사용하여 레진 블록 으로 제작된 만곡 근관에서의 apical transportation 양상 및 working length 변화를 서로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 방법은 30개의 레진 블록을 Schneider technque을 사용하여 만곡도 측정 후 각 group당 임의로 10개씩 배분하였다. 이를 각 Ni-Ti 파일을 사용하여 crown down technique으로 근관 성형하였다. 이의 분석을 위해 double radiograph superimposition method (Backman CA 1992)를 사용하고, 분석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위해 특별히 고안 된 jig, digital X-ray 및 apical transportation의 측정 시 CAD/CAM software를 이용하였다. Apical transportation 양 은‘근단공-0.5 mm’부위로부터 0, 1, 3, 5 mm에서 측정 하였으며, working length 변화는 근관 성형 전후의 working length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 통계 처리는 각 group의 apical transportation 양과 working length 변화를 Kruskal- Wallis One Way Analysis로 분석 후 다중 비교는 Mann-Whitney U-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각 group간 working lengh 변화 및 0, 1, 3 mm 부위에서의 apical transportation 측정 값 사이에는 유의할만한 차 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p = 0.924), 5 mm 부위에서는 K3와 Profile사이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있었다(p = 0.027). 결론: 서로 다른 기하학적인 형태를 가진 3가지 Ni-Ti 파일의 apical transportation 및 working length 변화 정도 평가 시,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는 3가지 파일 모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가운데 본래의 근관 형태를 잘 유지한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pical transportation and working length change in curved root canals created in resin blocks, using 3 geometrically different types of Ni-Ti files, K3, NRT, and Profile. Materials and Methods: The curvature of 30 resin blocks was measured by Schneider technique and each groups of Ni-Ti files were allocated with 10 resin blocks at random. The canals were shaped with Ni-Ti files by Crown-down technique. It was analyzed by Double radiograph superimposition method (Backman CA 1992), and for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specially designed jig, digital X-ray, and CAD/CAM software for measurement of apical transportation were used. The amount of apical transportation was measured at 0, 1, 3, 5 mm from ‘apical foramen - 0.5 mm’area, and the alteration of the working length before and after canal shaping was also measured. For statistics, Kruskal-Wallis One Way Analysis was us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amount of working length change and apical transportation at 0, 1, and 3 mm area (p = 0.027), however, the amount of apical transportation at 5 mm a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3 and Profile system (p = 0.924).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3 geometrically different Ni-Ti fi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pical transportation and working length change and maintained the original root canal shape. [J Kor Acad Cons Dent 2011;36(1):59-65.]

      • KCI등재

        12주간 필라테스와 복합운동이 누적외상병 여성농업인들의 통증과 신체균형에 미치는 영향

        윤민정,변자영,김혜진,김기진 대한운동사협회 2011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3 No.3

        [서론] 본 연구는 누적외상병 여성농업인들을 대상으로 12주간 필라테스와 복합운동(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 프로그램을 각각 실시한 후 어깨와 허리 통증, 신체안정성과 감각운동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고령군과 경기도에 소재한 여성농업인을 대상으로 필라테스 19명, 복합운동 19명, 통제그룹 15명으로서 주 2회, 한 시간씩 운동을 수행하였다. 측정항목은 어깨와 허리통증의 주관적통증자각도(VAS)를 측정하였고, 신체균형요인을 MFT S3chec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산출하고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이 있는 경우 대응표본 t검증으로 사후검증 하였다. [결과] 필라테스운동그룹은 어깨와 허리통증이 운동 후 유의하게(p<.05) 감소하였으며, 안정성과 감각운동기능에서도 유의하게(p<.05) 향상되었다. 복합운동그룹은 어깨통증에서만 운동 후 유의하게(p<.05) 감소하였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통제그룹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결론] 12주간의 필라테스운동은 누적외상병 여성농업인들의 어깨와 허리통증, 안정성과 감각운동신경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향후 어깨와 허리통증이 많이 발생되는 중년여성과 산업체 근로자들에게 필라테스가 어깨와 허리통증 감소 뿐만 아니라 신체균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INTRODUCTION] To examine how stability and sensorimotor skills of female farm workers suffering from Cumulative Trauma Disorders respond to pilates and complex exercises after a 12-week period. [METHOD] The subjects aged 44 to 53 years old participated for 12 weeks in this study. Pilates and complex exercise regimes were undertaken twice a week for 12 weeks. The subjects were tested in body stability, sensorimotor control ability, and subjective pain scale (VAS) prior to and following pilates and complex exercises. [RESULT] Shoulder and back pain in the pilates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bility and sensoryimotor skills (p<.001) in shoulder pain test subjects undertaking a complex exercise regime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05). [CONCLUSION] Pilates can lead to improvement of shoulder and back pain, in addition to stability and sensorimotor skills of female farm workers suffering from Cumulative Trauma Disorders. In the near future, these workers will require balance exercises in order to maintain a neutral position.

      • KCI등재후보

        부신백질형성장애가 있는 한국인 가족 안에서 나타난 다양한 임상양상

        윤민정,박형준,장윤경,김현진,최지현,최영철,박기덕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14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6 No.2

        Adrenoleukodystrophy (ALD), caused by the alteration in ABCD1 gene, is an X-linked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disease characterized by the accumula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s (VLCFA). ALDshows highly variable clinical presentations. The proband, a 53-year-old man, presented with a six-yearhistory of progressive spastic paraparesis and voiding difficulty. The plasma VLCFA level was elevated. Because c.1394-2A>G ABCD1 mutation was identified through genetic test, the patient was diagnosedwith adult onset adrenomyeloneuropathy (AMN). Additionally, there were affected men with variablephenotypes of ALD in his family. The grandson of proband’s sister revealed juvenile onset AMN. Theproband’s nephew and younger brother had child onset cerebral ALD and spinocerebellar phenotype,respectively. Here, we report phenotypic variability in a Korean family with ALD. This intrafamilial variabilitysuggests the presence of modifying factors besides ABCD1 mutations in ALD.

      • KCI등재

        허브 볼의 비수술적 처치를 통한 유방 확대에 따른 집단 간 비교분석

        윤민정,김민신 국제보건미용학회 2022 국제보건미용학회지 Vol.16 No.2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differences in breast augmentation, using herb ball therapy, one of traditional Thai therapeutic treatments as a nonsurgical method. For this, a total of 36 women in their 20-40s were collected from social media and online communiti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them to exami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their breast. Specifically, after measuring chest circumference, inter-nipple distance, collarbone-right nipple distance and collarbone-left nipple distance, the therapy was given, and breast satisfaction was examined.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once a week (3 times in total) against three different groups: a group of the massage pushing breast muscles into the nipples by creating a space in the back of breast after pectoralis fascia massage; a herb ball group in which breast muscles and blood are pushed into nipples, using heated herb balls by creating a space in the back of breast after temporal pectoralis fascia massage; control group (no treatment was giv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5.0. To examine breast augmentation effects, 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In terms of interactions,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t each measurement by group (F(6, 99)=30.307, p<.001). In other words, all three groups revealed changes in breast circumference after each therapy. In particular, the herb ball group was relatively greater than the massage and control groups in terms of breast circumference impro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