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 부모의 자기성장과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분석

        엄혜선 ( Hyesun Eom ),한기백 ( Gibaeg Han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6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7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 부모의 자기성장과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하는 2개 초등학교의 어머니 총 52명이 3개의 실험집단(26명)과 3개의 통제집단(26명)에 무선 배치된 후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효과분석은 ANOVA검증을 중심으로 한 양적분석과 집단원의 회기별 경험보고서를 근거이론으로 분석한 질적분석 방법이 동시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성장과 양육효능감의 긍정적 방향의 변화 수치는 통제집단의 변화 수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실험집단 참여자의 회기별 경험보고서를 줄 단위 분석방법과 개방코딩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22개의 상위범주와 53개의 하위범주, 13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는데 `매체 및 집단원과의 상호작용에서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성장하기`가 핵심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자기성장과 양육효능감을 동시에 촉진하는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와 변화과정을 검증하기 위해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동시에 사용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Bibliotherapy program for Personal Growth and Parenting Efficacy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ers and to verify its effects. A total of 52 mot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Kyungido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randomly assigned to 3 experimental groups(8 per group) and 3 control groups(8 per group), respectively. The group Biblio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Personal Growth and Parenting Efficacy was constructed systematically on the basis of theory, experts` consultation, and 2 pilot experiments conducted. The program was conducted a total of 12 sessions(120 minutes per session) for approximately four month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examined by both quantitative(t-test, repeated measured ANOVA) and qualitative methods (grounded theor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personal growth scores and parenting efficacy score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Open coding of reflection notes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resulted in a total of 138 concepts, 53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The line-by-line analysis of all reflection notes identified a core category entitled `Understanding self and other and growing through media and interactions with group members.` Counseling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wit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보리의 제맥과정 중 Arabinoxylan의 용해성 변화

        엄혜선(Hye-Seon Eom),이영택(Young-Tac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2

        보리를 침맥한 후 5일 동안 발아하는 제맥과정 중에 arabinoxylan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제맥과정 중 초기에 불용성인 보리의 arabinoxylan은 발아과정 중에 가용화됨에 따라 수용성 arabinoxylan의 함량이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발아중인 보리의 수용성 arabinoxylan 부분은 21℃ 추출온도에 비해 45℃의 추출온도에서 보다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발아시간에 따라 적절히 변형된 맥아(96시간 발아)와 덜 변형된 맥아(60시간 발아)를 선발하여 변형정도에 따른 두 가지 맥아에 대하여 당화온도별로(45~75℃) 당화 후 맥즙의 arabinoxylan 함량을 분석하였다. 당화온도를 45℃에서 75℃를 증가시킴에 따라 맥즙에 용출되어져 나오는 arabinoxylan의 함량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의 당화조건에서 적절히 변형된 맥아로부터 얻은 맥즙과 덜 변형된 맥아로부터 얻은 맥즙 간의 arabinoxylan 함량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Barleys at different malting stages from steeping to 5 day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for soluble, insoluble, and total arabinoxylans at three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of 21, 45 and 65℃. Slight differences in total arabinoxylan levels in barleys were observed during malting stages. During germination, initially insoluble arabinoxylan could be more soluble, thus the solubilized arabinoxylan tended to increase until 4 day germination. The proportion of soluble arabinoxylan in germinating barleys was increased from ambient temp (21℃) to 45 or 65℃. Two barley malt samples were selected at two different stages of germination, well-modified malt germinated for 96 hr and poorly-modified malt for 60 hr, and mashed isothermally at 45, 55, 65, or 75℃ for 2 hr. Increasing temperature over 45 to 75℃ slightly decreased the amount of arabinoxylan solubilized in wort. Arabinoxylan content of wort from well-modified mal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oorly-modified malt at all mashing temperatures.

      • KCI등재

        경기에어로빅 여자선수의 비만이 최대심폐능력, 운동 중 심혈관반응, 피로도 및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홍상민,엄혜선,홍애림,신윤아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besity on maximal exercise capacity, cardiovascular responses, fatigue and muscle activation in female sports aerobic athletes during graded exercise test.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 female athletes in sport aerobic athletes(4.29±1.14 year) were assigned to two groups: normal weight group(N=7, BMI: 20±1.32 , Body Fat: 20.37±2%) and obesity group(N=7, BMI: 25.09±2.5, Body Fat: 30.19±4.49%). Maximal cardiorespiratory fitness(VO2max, HRmax, VEmax), cardiovascular responses(HR, SV, Q, TRP, BP), fatigue(RPE, LA), muscle activation(RF, VMO, VLO, BF, TA, MG, LG, SO)were measured and estimated.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asuring maximal cardiorespiratory fitness, cardiovascular responses(HR, SV, Q, TRP, BP), fatigue(PRE, LA) and muscle activation except for RF and VMO during graded exercise tes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shown between two groups(p>.05).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 differences were founded in maximal cardiorespiratory fitness, cardiovascular responses, fatigue and muscle activation during graded exercise test between normal weight and obesity group because of ongoing training of obese aerobic athletes. Consequently, obesity is not a factor of maximal cardiorespiratory fitness, cardiovascular responses, fatigue, and muscle activation in aerobic athletes. [서론] 이 연구는 여자에어로빅 선수를 대상으로 점증적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여 비만이 최대심폐능력, 운동 중 심혈관반응, 피로도 및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에어로빅 선수경력이 3년 이상(4.29±1.14년)인 여자선수(20.71±2.4세) 14명을 BMI, Body Fat(%)를 기준으로 비만군(n=7)과 정상체중군(n=7)으로 분류하였으며, 점증적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여 최대심폐능력, 운동 중 심혈관반응, 피로도 및 근활성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측정결과 최대심폐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p>.05), 운동 중 심혈관 반응으로 측정된 혈압, 심박수, 1회 박출량, 심박출량 및 말초혈관저항에서도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피로도 반응과 하지의 근활성도는 대퇴직근과 내측광근을 제외하고는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결론] 비만군에서 일반체중군과의 최대심폐능력 및 운동 중 심혈관 반응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비만군의 지속적인 에어로빅 훈련을 통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에어로빅 선수의 경우에는 비만이 최대심폐능력과 운동 중 심혈관계 스트레스 반응 및 근활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나타낸 결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TV시청지도가 일반아동의 장애아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최영하,엄혜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TV시청지도활동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수용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실험분석결과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TV시청지도는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적 수용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고, 행동적 수용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TV시청지도가 실험대상아동의 성별에 따른 수용태도에는 일관성 있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여자아동이 남자아동에 비해 긍정적인 수용태도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 that the TV program the handicapped person appeared reached the general children's attitudes of accepting the handicap. The conclusion of this is as follows. First, watching TV guidance to improve the handicap cognition had an effect on the change of general children's awareness side of attitudes of accepting toward the handicapped children positively. Second, watching TV guidance to improve the handicap cognition had an effect on the change of general children's behavioral side of attitudes of accepting the handicapped children positively.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s of accepting according to the sex of children as an object of experiment, but watching TV guidance to improve the handicap awareness presented positive attitudes of accepting in the girl students compared with the boy students. Namely, it found out that if the proper program for improving the handicap awareness would be supplied, it could change the general children's attitudes of accepting toward the handicapped children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