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년 성인의 특성들을 고려한 웹기반 코스웨어 설계 방안

        양희정,이석균,Yang, Hee-Jung,Lee, Suk-Ky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0 No.5

        As the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service has increased fast, various web-based coursewares for the educational purpose have been devolop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web-based coursewares for old-aged adults is far from satisfactory. Since most existing web-based coursewares are designed for the youth, they are not proper for old aged people to use confidently. In this paper, we analyse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ld aged adults and propose the starategy for designing web based coursewares for them. Then, We apply the design strategy to develop the web-based courseware in Excel subject and analyse the effect of the design strategy by means of questioning and answring.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다양한 교육용 웹기반 코스웨어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장년 성인학습자를 위한 웹기반 코스웨어의 개발은 아직 미흡한 편이다. 기존의 웹기반 코스웨어는 주로 젊은 층을 대상으로 설계되어 있어 장년 성인들이 사용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장년의 성인들의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웹기반 코스웨어의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제안한 설계 방안을 엑셀과목의 웹기반 코스웨어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 KCI등재
      • 한국 문학에 나타난 직유 표현의 아랍어 번역과 교육 방향 : 한강의 『채식주의자』와 아랍어 번역서를 중심으로

        양희정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문학에 나타난 직유 표현의 아랍어 번역 사례들을 살펴보고 직유 표현의 번역 교육 방향에 대해 연구하기 위함이다. 비유적 표현은 번역에서 어려 운 과제로 손꼽히는 주제이다. 비유적 표현의 번역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은유 표 현을 다루어 왔지만, 비유적 표현 중 문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은 직유 표현이다. 저자 는 묘사나 감정 표현을 보다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표지어로 연결 하는 직유 표현을 활용하는데, 이때 독자와 소통 가능한 어휘를 사용하지만 저자 고유 의 참신한 어조를 반영하기 위해 단순한 표현을 기피한다. 이 때문에 번역사는 직유 표 현의 미학적인 부분과 소통의 기능, 저자 고유의 어조를 도착언어 독자에게 전달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번역 학습자에게 어려운 과제임이 분명하다. 본 연 구는 2018 년 번역 출판된 한강의 『채식주의자』 아랍어 번역서를 중심으로 직유 표현 에 대한 번역 사례들을 살펴보고 직유 표현 번역 전략에 대해 고찰하며, 직유 표현의 번 역 교육 방향에 대해 연구한다.

      • KCI등재

        높은 망막색소상피박리를 동반한 삼출성 황반변성에서 안내주사 후 망막색소상피파열의 예측인자

        양희정,김기석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7

        Purpose: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tear after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reatment in patients with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high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PED) (>400 μm). Methods: Fifty-five treatment-naive patients with high PED (>400 μm) and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reated with an initial series of 3 monthly loading injections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7,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Results: The RPE tear rate was 16.4% (9/55). The areas affected by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and PED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tear group compared with the no-tear group (p = 0.004, p = 0.029, respectively). The rate of intraretinal fluid (IRF) was 89% and 28% in the tear and no-tear groups, respectively (p = 0.001), and the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was significantly thinner in the tear group (p = 0.00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age, sex, laterality, underlying disease, baseline visual acuity, diagnosis, type of PED, or presence of subretinal fluid between the tear and no-tear groups.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the presence of IRF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RPE tear (odds ratio = 20.3, p = 0.007). Conclusions: The presence of IRF was associated with RPE tear development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for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목적: 망막색소상피박리의 높이가 400 μm 이상인 삼출성 노인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입술 후 일어나는 망막색소상피파열에 관여하는 인자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삼출성 노인황반변성을 진단받고 첫 치료로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3회 loading dose를 시행하고 1년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중 망막색소상피박리의 최대 높이가 400 μm 이상인 55명 55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55안 중 9안(16.4%)에서 망막색소상피파열이 발생하였다. 맥락막신생혈관의 넓이와 망막색소상피박리의 넓이는 모두 파열군이 파열이 일어나지 않은 군보다 크게 측정되었다(p=0.004, p=0.029). 초진시 망막내액이 관찰되는 빈도는 파열군이 89%, 파열이 일어나지 않은 군이 28%로 파열군이 높았으며(p=0.001), 중심와밑맥락막두께는 파열군에서 유의하게 얇게 측정되었다(p=0.003). 나이, 성별, 편위성, 기저 질환 여부, 초기시력, 진단, 망막색소상피박리의 종류, 망막하액의 빈도는 두 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망막내액의 유무가 망막색소상피파열과 연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odds ratio=20.3, p=0.007). 결론: 망막내액의 존재 유무가 삼출성 황반변성에서 안내주사 후 발생하는 망막색소상피파열과 연관성을 보였다.

      • SCOPUSKCI등재

        Cu oxide의 형성과 H(hfac) 반응을 이용한 Cu 박막의 건식식각

        양희정,홍성진,조범석,이원희,이재갑,Yang, Hui-Jeong,Hong, Seong-Jin,Jo, Beom-Seok,Lee, Won-Hui,Lee, Jae-Gap 한국재료학회 2001 한국재료학회지 Vol.11 No.6

        O$_2$plasma와 H(hfac)을 이용한 Cu 박막의 건식 식각을 조사하였다. 휘발성이 큰 Cu(hfac)$_2$와 $H_2O$를 탈착시키기 위하여 $O_2$ Plasma를 이용한 Cu 박막의 산화와 생성된 Cu 산화막을 H(hfac)과의 반응으로 제거하는 공정으로 식각을 수행하였다. Cu 박막의 식각율은 50-700 /min의 범위를 보였으며, 기판온도, H(hfac)/O$_2$ 유량비, plasma power에 따라 변하였다. Cu 박막의 식각율은 기판온도 215$^{\circ}C$보다 높은 온도구간에서 RF power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산화 공정과 H (hfac)과의 반응이 균형을 이루는 최적의 H (hfac)/O$_2$ 유량비는 1:1임을 확인하였다. Ti mask를 사용한 Cu Patterning은 유량비 1 : 1, 기판온도 25$0^{\circ}C$에서 실시하였고, 30$^{\circ}$외 taper slope를 갖는 등방성 etching profile을 얻을 수 있었다. Taper angle을 갖는 Cu 건식 patterning은 고해상도의 대면적 thin film transistor liquid-crystal(TFT-LCDs)를 위래 필요한 것으로써 기판온도, RF power, 유량비를 조절한 one-step 공정으로부터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Dry etching of copper film using $O_2$ plasma and H(hfac) has been investigated. A one-step process consisting of copper film oxidation with an $O_2$ plasma and the removal of surface copper oxide by the reaction with H(hfac) to form volatile Cu(hfac)$_2$ and $H_2O$ was carried but. The etching rate of Cu in the range from 50 to 700 /min was obtained depending on the substrate temperature, the H(hfac)/O$_2$ flow rate ratio, and the plasma power. The copper film etch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RF power at the temperatures higher than 215$^{\circ}C$. The optimum H(hfac)/O$_2$ flow rate ratio was 1:1, suggesting that the oxidation process and the reaction with H(hfac) should be in balance. Cu patterning using a Ti mask was performed at a flow rate ratio of 1:1 on 25$0^{\circ}C$\ulcorner and an isotropic etching profile with a taper slope of 30$^{\circ}$was obtained. Cu dry patterning with a tapered angle which is necessary for the advanced high resolution large area thin film 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s was thus successfully obtained from one step process by manipulating the substrate temperature, RF power, and flow rate ratio.

      • KCI등재

        '遊'의 측면에서 본 조희룡의 예술정신

        양희정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5 No.-

        Cho Hee-ryong is a female writer and a Lee Kwi-hwa, a memb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s also known as Chusa Pao. He was known as Samjeol because he was good at both poetry, western and western painting. He was loved by King Heonjong (1834-1849) and reinterpreted the plum flower that he introduced from China with his own sensual colors, drawing his own unique plum flower. He focused on “Bukooshisa” made by his acquaintances and transformed the Chinese Southern painting into a Joseon color, reinterpreting it with sentiment and aesthetic sensibilities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o open the world of “Joseon Munhwa.” His art of painting has a world of painting, complete with both style and content, and his unique plumage is by far the most visible. His paintings show sensuous color and intensity, not bound by any one form. On this basis, it can be said that he is the most thought-oriented pers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at he did not regard any of the three bridges as being true, and that he has an open reason to believe that everything can be true. Cho Hee-ryong's “遊” aspect can be seen as having a strong playful personality, but the fact that he created his own deserter world through his paintings and enjoyed his spirit in a deserterous state of escape from the world is that there is a certain amount of common sense, and that he was able to express his desire to escape the limitations of the world and the spirit of the times. Under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e backgr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he tries to look at his art creation works in the expression of his desire and outspoken self, and look only at his artistic creative aspects of free thought that transcends Confucianism, Buddhism, and Buddhism. 조희룡은 중인 출신의 여항인으로 당시 여항문학의 중심인물이다. 그는 시,서,화 삼절로 『호산외사』, 『석우망년록』, 『한화헌제잡존』 등의 문집을 남겼으며 매화에 능한 묵장의 영수로 알려져 있다. 그의 탈속한 듯한 유희적 성격은 작품의 창작에서 잘 드러나는데 도가적인 ‘遊’의 정신의 도를 체득하여 자유롭게 노니는 정신의 ‘遊’가 아닌 유희적 성격의 ‘遊’를 예술창작의 표현으로 구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의 ‘遊’는 개인적 감정과 욕망에 충실한 유희적 성격이 강하여 세속의 탈피적인 면에서는 상통할 수 있지만 그의 ‘遊’의 경계는 다분히 즐기는 그 곳에서의 정신의 자유로운 해방이 생활 속에서 유희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어느 정도 정신적 측면의 관점에서 그는 작품 창작을 유희의 장소로 정하여 탈속의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는 측면에서는 공자의 ‘游於藝’, 장자의 ‘遊’, 종병의 ‘臥遊’와 상통함이 있음을 밝히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조희룡의 도가적 측면을 밝히거나 조희룡의 유희적 성격을 소식의 창작정신과 연계한 연구는 있으나 ‘遊’적인 측면을 밝힌 연구는 비교적 적거나 없다. 조희룡의 遊는 유희적 성격이 강하나 탈속을 꿈꾸고 그 곳에서 노닌다는 점에서 장자의 ‘遊’와 공자의 游於藝, 종병의 臥遊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그가 추구하는 遊 정신의 근거가 되는 조희룡의 시대적 배경과 함께 그가 여항문인으로서의 예술창작에서 구현하고자 한 ‘유’의 의미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희룡이 살았던 조선후기는 유가의 사상이 존재하지만 개인의 자유와 욕망을 용인하는 동아시아의 시대정신과 맞물려 어느 정도는 무너져 새로운 조류가 사회 전반에 요동치고 있었다. 그는 조선을 이끌어 온 신분질서의 동요와 새로운 사조의 세례를 맞으며 유가만이 아닌 불교와 노장적 사상을 일정 정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으며, 이 시대의 지식인으로서 자신의 자유와 욕망의 표출하는 문화의 흐름 속에서 감정의 표출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는 자신만의 그림으로 표현해 내고자 하였다. 또한 과거처럼 개인의 ‘遊’에 그치지 않고 시대정신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여항인들의 모임을 만들어 함께 즐기고 골동서화를 품평하고 모으고 소비하는 문화, 즉 그들만의 ‘遊’를 드러내는 행동으로 나아가기도 하였다. 이러한 시대 배경 아래 그가 유·불·도 삼교의 사상을 비교적 자유롭게 흡수하여 그의 예술창작 정신이 형성되었으며, 그의 화론이나 예술창작의 근간에 장자의 遊, 유교의 游於藝, 종병의 臥遊적 정신이 스며들어 자신만의 遊의 의경을 확립했음을 알 수 있다

      • 무우자갈버섯(Hebeloma crustulineforme)을 위시한 한국산 담자균류 46종의 용혈활성 검색

        양희정,정수현,김진향,정경수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97 藥學論文集 Vol.13 No.-

        To elucidate the hemolytic toxicities of Korean basidiomycetes, the cold-water extracts of 46 wild mushrooms were tested for hemolytic activity on mouse erythrocytes. Twelve species including Amanita esculenta, A. griseofarinosa, A. longistriata, A. melleicepe, A. phalloides, A. rubescence, A. spissacea, A. vaginata, Hebeloma crustuliniforme, Lepiota cygnea, Macrolepiota procera, and Oudemansiella platyphylla showed strong hemolytic activities. Of these, A. griseofarinosa and H. crustuliniforme showed no decrease in their hemolytic activity even after five minutes' boiling.

      • KCI등재

        청말 일본으로의 유학생 파견과 일본어

        양희정 중국근현대사학회 2012 중국근현대사연구 Vol.54 No.-

        1894年の日清戦争で日本に敗北したことを皮切りに、中国は近代化の持つ力を思い知り、日本から「近代」を学ぼうとする。その際必然的に求められる日本語の人材を養成するため、日本語教育が始まる。1896年、近代中国初の日本留学生が派遣され、中国内でも数々の日本語学校が登場する。しかし列強の侵略や反清運動など、不安定な状況が続く中で国内での教育は成長できず、日本留学だけが成果をもたらすことになる。ところで、清末の日本留学は近代の学問を身につけることに重点が置かれていたため、中国人留日学生に対しては主に速成教育が行われていた。留学生には儒教教育の経験しかなかったため、数学や物理、化学など基礎学問の知識がなく、目指している高等な技術などを得るためには長年の学習が必要であった。しかし近代化を進めようとする清朝からみると、良質の教育とともに短期間で学業を終え政策の実行を担ってくれる人材を養成することも重要な課題であった。そこで生まれたのが速成科である。そしてその速成科では教授期限を短縮させるために主に言語修得の期間を削る方法が取り入られていた。 「漢字」という同じ文字を用いる利点に加え、言語習得から離された留学の目的、手段としての速成科の流行、通訳を通じた授業や中国人だけの宿舎生活等々、当時の状況を考えると留学生に日本語能力が必ず求められていたのか疑問が生じる。しかし留学生たちが在籍していた中国人向けの教育機関ではしっかりと日本語教育の場を設けていた。当時の学科は普通科と専門科に分けられる。普通科は日本の高等専門学校へ入学するために普通学と日本語を教えることを目的に設けられたものである。したがって普通科での教育経験はより高等な教育を受けるための基盤となっていたのである。そしてその普通科の教育の中では全体の半分ほどの時数が日本語教育に使われていた。特に1年目に日本語の授業を集中させることで日本語が普通学より先に学ばれるようにしていた。専門科は文字通り普通科より専門的な内容を教授する学科であった。留学生に最も人気があったのは師範、警務、法政の学科で、速成教育は多くの場合これら専門科に用いられていた。しかしすべての専門科が日本語教育を行っていなかった訳ではない。学校によって修業年限3年以上の速成ではない専門科を設けていたり、また速成科でも日本語が教授されていた例もある。専門科教育は速成で教授するが、その予備教育として普通科過程を必ず卒業するように定められていた学校もあった。すなわち専門科の中でも一部は日本語の教育が行われていたのである。また清末に制作された日本語学習書からも留日学生の日本語学習を確認できる。戦前の日本において刊行された日本語学習書の多くは中国人の日本留学がブームをなしていた同時期に刊行されたものである。このことは当時の中国人留学生による学習書の需要が相当なものであったことを意味する。そしてその学習書の多くが留学生教育の経験から書かれたものである。つまりこの時期に刊行された学習書から中国人留日学生に行われた日本語教育の方法や内容を窺えるのである。それらの学習書は語彙、構文、文法、読解の内容から日本語を説明していた。初めは中国語の語彙にあ...

      • KCI등재

        고려시대 아미타팔대보살도 도상 연구

        양희정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7 No.257

        대승불교의 초기 경전에서 說法主인 여래 주위로 무량보살중의 圍繞를 상징하는 수사법으로서 8이라는 숫자를 취해 八大菩薩을 헤아리는 전통이 시작되었다. 8이라는 숫자는 고대 인도의 방위 개념에서 전방위를 대유함과 동시에, 완벽한 수호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상징적 법수이기도 하다. 팔대보살을 명칭하는 경전은 40여 종 이상이 있고 호명되는 바는 조금씩 다르다. 그렇지만 팔대보살이 팔방에 偏在한다는 기본 개념은 7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되는 밀교의 만다라에 차용되어 본존 주위에 팔대보살을 조성한 예가 8세기 이래 인도, 돈황지역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석굴이나 사원에 봉안되었던 것은 대부분 不空 譯 『八大菩薩曼茶羅經』계열의 觀音ㆍ彌勒ㆍ虛空藏ㆍ普賢ㆍ文殊ㆍ除蓋障ㆍ地藏이었다. 이 계열의 팔대보살은 중국 이서지방에 머물지 않고 고려시대 아미타 관계 불화에도 수용되어 14점의 아미타팔대보살도를 남기고 있다. 고려불화에 등장하는 팔대보살은 경궤에 규정되지 않은 대세지보살이 포함되면서도 총 숫자는 변함없이 8로 유지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자 존명을 파악하는 데 큰 난점이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1776년명 전남 구례 천은사〈아미타후블탱〉 등에 기입된 존상의 명칭을 근거로 고려시대 팔대보살에는 허공장보살 대신 세지보살이 포함되며, 그에 따라 제장애(제개장)보살이 칼을 든다는 설이 일반적인 전제가 되어 왔다. 그러나 팔대보살 관련 경궤와 도상자료, 수량이 풍부한 인도와 돈황지역 팔대보살 작례에서 추출한 지물의 조형 경향과 비교함으로써 얻게 된 결론은 허공장보살이 탈락되었다고 보는 기존의 견해와 차이가 있다. 고려시대 아미타팔대보살도에는 언제나 칼을 든 보살이 등장하는데, 문헌 자료에서는 칼을 들 수 있는 보살의 범주를 허공장, 보현 또는 문수로 제한한다. 그리고 인도 팔대보살이 보여주는 지물 표현의 경향성, 명문을 가진 돈황 팔대보살의 작례, 고려불화 내의 도상 전통을 참조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더욱 좁혀 들어갈 수 있었다. 그 결과 이 시기의 문수와 보현은 한 쌍을 이루어 경책과 여의를 지물로 한다는 것이 확실하므로 칼은 허공장의 지물임이 분명해졌다. 제개장이 칼을 지물로 한다는 설은 경전적 근거나 유례를 찾을 수 없었다. 한편 고려 팔대보살 중에 언제나 포함된다고 생각되었던 세지의 도상 중에 세지의 전통적인 표식인 보관의 병 대신 화염보주가 표현되고 손에도 경합 대신 화염보주를 드는 보살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전체 작례의 1/3에서 발견된다. 팔대보살에 있어 지물은 존명을 구별짓는 중요한 표지이며, 다른 보살의 경우에는 약간의 형태 변화가 있을지언정 중요한 표식이 사라지는 경우는 볼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화염보주를 특징으로 하는 이 보살은 제개장으로 비정될 수 있다. 제개장과 관련된 각종 도상 자료에서도 제개장이 화염보주를 드는 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개장과 세가지 같은 자리에 흔재할 수 있었던 것은 화염보주라는 공통분모가 존재했기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도상학적 측면에서 정리하면, 아미타팔대보살도에는 허공장의 도상이 일관되게 존재하며, 제개장과 세지는 한 자리를 두고 대치 관계에 있다. 이렇게 고려시대에는 『팔대보살만다라경』의 존명을 그대로 따르는 팔대보살 세트와 제개장 대신 세지가 포함... This paper explores the iconography of the eight great bodhisattvas as.t.amaha¯bodhisattvas in Goryeo Buddhist painting The concept of as.t.amaha¯bodhisattvas appears in Buddhist texts from at least the second century AD Its origin is closely related to the ancient notion of the eight directional guardians as.t. adikpa¯ la In association with the nature of as.t. adikpa¯ la the as.t.amaha¯bodhisattvas of the eight directions serve to transmit Buddhist faith and to protect the devote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esoteric Buddhism in India different groupings of the eight bodhisattvas were established to form various man.d. alas Among them especially a group consisting of Avalokites´vara Maitreya Aka¯s´agarbha Samantabhadra Vajrapa¯n. i Mañjus´rı¯ Sarvanivaran. avis.kambhin Ks.itigarbha became most popular in Buddhist art after the eighth century The iconographical details of these bodhisattvas are described in such texts as the As.t.amaha¯bodhisattavaman. d. ala-su¯tra and the Maha¯vairocana¯-su¯tra But examples in India and Dunhuang show that they did not strictly follow the canon The most common attributes are an open lotus a na¯gakesara oval objects possibly buds or jewels sword a vajra a book on an utpala and a banner or jewel The common factors drawn from various examples in India and Dunhuang are a useful guideline for further studies on the images of as.t.amaha¯bodhisattvas in Korea The iconography of the eight bodhisattvas in Goryeo painting stems from the same tradition as Indian or Central Asian as.t.amaha¯bodhisattvas The iconographic details however are quite different In the Goryeo dynasty the eight great bodhisattvas were closely tied with Amita¯bha Buddha and the belief in his Pure Land Attributes of bodhisattvas were also influenced by Pure Land paintings of the Sung and Yuan dynasties In fourteen examples from Goryeo that represent the eight great bodhisattvas the attributes are fairly consistent a bottle or a bowl with a willow branch a sutra case a book juyi a lotus flower a jewel a vajra and a sword Among them a bodhisattva with a sutra case is identifiable as Maha¯stha¯mapra¯pa Although there is no textual reference a number of surviving Goryo paintings of the Amita¯bha triad support the hypothesis that one of the eight bodhisattvas is Maha¯stha¯mapra¯pta Regardless of this change the number eight remains the same Th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depictions of as.t.amaha¯bodhisattvas from Goryeo and raises a question as to which bodhisattva was replaced by Maha¯stha¯mapra¯pta Most studies in previous scholarship sought an answer in the colophons of the 18th-century Amita¯bha painting in Cheoneunsa According to these colophons it was Aka¯s´agarbha that was replaced by Maha¯stha¯mapra¯pta and therefore the sword that troubled scholars with finding iconographical source is alloted to Sarvanivaran. avis.kambhin But passages from the As.t.amaha¯bodhisattavaman. d. ala and Maha¯vairocana¯-su¯tra strongly suggest that the sword denotes Aka¯s´agarbha Samantabhadra or Mañjus´rı¯ and examples found in India and central Asia also support this identification Moreover Mañjus´rı¯ and Samantabhadra became a common pair attending S´a¯kyamuni or Vairocana in the Sung and Yuan periods as in Goryeo They established a distinctive feature in their attributes a book and juyi These attributes are also reflected in the as.t. amaha¯bodhisattvas paintings of Goryeo dynasty By eliminating the sword from the iconography of Mañjus´rı¯ and Samantabhadra and relating the sword to Aka¯s´agarbha it becomes clear that Maha¯stha¯mapra¯pta substituted Sarvanivaran. avis.kambhin in the Goryeo period But the close observation provides that it is not always Maha¯stha¯mapra¯pta who appears in his usual disposition As parallels to the Chinese paintings a bottle in the headdress and a sutra case in one hand are a clear indication of Maha¯stha¯map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