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이 예비특수교사의 청각장애교육 교과지식과 용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안성우,서유경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9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knowledge acquisition and the terminology learning related to hearing impaired students’ education in college students from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o being exposed to active learning using choral responding and responding car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enrolled in ‘Education hearing impaired students’ course at P university in B city: 19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23 students in control group. At the end of every lecture, the instructor presented the review questions and asked students to respond verbally as a group(that is, chorally) or using respond cards in the experimental group. Active learning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7 weeks. The subject knowledge acquisition was measured by the mid-term test score at the 8th week, and SAFMEDS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terminology acquisition at the 15th week.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ubject knowledge and terminology acquisi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ubject knowledge and terminology acquisi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구두로 동시에 반응하기와 반응카드를 활용한 능동적 학습 참여 여부에 따라 예비특수교사들의 청각장애교육 교과지식 습득과 용어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B시 P대학교의 ‘청각장애아교육’ 과목을 수강한 특수교육과 학생 42명으로, 이 중 능동적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19명, 능동적 학습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이 23명이다. 교수자는 강의 후반부 15분 동안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에 대해 학생들에게 질문을 하고 구두로 동시에 반응하거나 반응카드를 사용하여 대답하게 하였다. 실험집단에만 7주간 능동적 학습을 적용하였으며, 8주차에 중간고사로 교과지식 습득 수준을 측정하고, 15주차에 SAFMEDS를 활용하여 용어 습득 수준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교과지식 수준과 용어 습득 수준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은 교과지식 수준과 용어 습득 수준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장애아동들의 지역학교내 통합교육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태도 비교 연구

        안성우,김미경 한국특수아동학회 200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3 No.-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 대한 초ㆍ중ㆍ고등학교의 교사들의 태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94년에 개정된 특수교육진흥법 제15조에 의해 통합교육을 장애 아동 교육 정책으로 삼고 있다. 이 새로운 정책은 장애 아동들을 일반 학교에 받을 것인 지 아닌 지 교사들이 더 이상 결정할 수 없게 하였고 일반 학교에서 장애 아동들을 교육하는 것이 선택 사항이 아니게 되었다. 이 정책은 장애 아동들의 교육 뿐만이 아니라 일반 아동들의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정책의 실행 성공 여부는 교육적 지원 외에도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달려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들의 태도를 조사하는 것은 통합교육의 성공을 위한 준비 노력으로서 상당히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와 중등 교사들의 태도를 비교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는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교육 현실이 상이한 점 때문으로 태도는 개인이 속한 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존의 선행 연구들은 특수교사와 일반 교사간에는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있으나 학교급간에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학교급별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는 것은 상당히 의의가 있다. 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이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의 특수교육에 대한 지식 정도가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교사들이 방학중 특수교육 관련 연수를 이수한 직후에 태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장애 아동들의 통합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급간에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해 상이한 태도를 갖고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더 호의적이었고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덜 호의적이었다. 이는 중고등학교의 교육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또 교육적 효과의 하위 영역에서는 교사들이 통합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는 영역도 있고 아동들의 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는 영역도 있다. 교사들은 아동들의 교과 학습면을 가장 우려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우려하는 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 정책이 입안되고 실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attitudes as measured by responses of teachers from three different levels of school toward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1994 a new policy which emphasized the rights of all children to an education in community based regular schools and the consequent expectation that teachers and no choice about whether they would accept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their classrooms had been introduced in this country. This policy has changed teaching environments in community based regular school.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eachers express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integration of children disabilities into their classroom. It was also found that the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re more positive than the attitudes of teachers working in either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and that teachers did not view that mainstreaming help non handicapped children in academic area. They viewed that mainstreaming might have a negative effect on an academic achievement of non handicapped students in general.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availability of ancillary staff was seen as a major factor in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policy.

      • KCI등재후보

        BLE 기반의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출석 확인 시스템

        안성우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2

        In an environment of IoT services, sensors to track things and human activities are included as an essential element and smart phone is actively used as a means of collec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from sensors. Especially, wireless communication and NFC provided by the smart phone are key technologies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participants of IoT ser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the smart attendance checking system based on BLE using a beac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 university lecture by processing attendance information automatically. Proposed system uses the beacon sensor for being aware of attendance information and the smart phone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is information. The implemented system has the benefit to improve the lecture quality because a professor can minimize attendance checking time and spend a lot of time on the lecture. 사물인터넷 서비스 환경에서는 사물과 인간의 활동을 추적하는 센서가 기본 요소로 포함되며,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매개수단으로 스마트폰이 적극 활용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 구현 시에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무선 및 근거리통신기술은 정보 교환을 위해 꼭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출석정보의 확인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대학 강의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비콘과 BLE 기반의 스마트 출석 확인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강의실 출입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센서로 비콘을 사용하고, 학생과 교수의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BLE 통신을 매개수단으로 사용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교수는 출석확인 시간을 최소화하여 좀 더 강의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어 강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KCI등재

        1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리튬과 발프로산의 장기간 치료 효과에 대한 후향적 평가 : 2년 이상 치료받은 환자의 효과 비교

        안성우,양소영,최유진,홍경수,Ahn, Sung Woo,Yang, So-Yung,Choi, Yujin,Hong, Kyung Sue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6 생물정신의학 Vol.23 No.4

        Objectives Treatment response of bipolar disorders (BDs) to long-term mood stabilizers maintenance has not been well explored because of complicated clinical and treatment cours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long-term clinical response of BDs to lithium and/or valproate in a naturalistic setting of a tertiary-care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Methods Subjects were 65 patients with bipolar I (BD-I) disorders who had been treated with lithium and/or valproate for more than two years at single bipolar disorder clinic. Long-term response to the best treatment based on treatment algorithms and the current clinical standard of care was retrospectively evaluated using the Alda Scale an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 for use in bi-polar illness (CGI-BP).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full responder and partial/non responder groups based on the total score of the Alda Scale with the cut-off score generated from the frequentist mixture analysis of the authors' previous study.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treatment with the index medication was 69.2 months. Baselin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not different among three mood stabilizer groups (valproate, lithium, and combination groups). Twenty-on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ull responder group (32.3%). Treatment response assessed by the Alda Scale and CGI-BP scores was not different between lithium and valproate groups. The Alda Scale score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CGI-BP scores (p < 0.05). Conclusions One third of the patients showed a full response to the long-term lithium and/or valproate treatment in BD-I. The degree of response was similar between lithium and valproate groups.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원의 전문성과 처우에 대한 인식과 지원요구 분석

        안성우,김정은,박병도,최상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4 통합교육연구 Vol.9 No.2

        This study intends to draw out ways to enhance professionalism and treatment targeting teachers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via survey and core group interview. According to the survey outcome, professionalism awareness situ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most important task is itinerant education, the most difficult task to carry out is administrative task, and the most number of tasks is 7. Professionalism awareness level was high in aggressiveness, building respect and trust among center members, while it was low in self-development. And the most difficulty they face was excessive workload, and a way to enhance professionalism was to lessen workload. Satisfaction level was high in self-development, autonomy,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le it was low in compensation, work, and self-development. And then, in the core group interview, diagnostic assessment and placement, itinerant educ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tasks, while administrative task and handling civil affairs were the most difficult tasks.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stress from administrative tasks, and absence of experts, and necessary knowledge showed the order of knowledg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understanding of the related laws, use of diagnostic assessment tools, and knowledge related to administrative tasks. And ways to enhance professionalism were division/lessening of works, securement professional manpower,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training, and ways to enhance treatment were allowance preservation, lessened workload, enlarged opportunity to join trainings, and professional manpower allocation.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핵심집단 면담을 통해 전문성과 처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설문조사 결과, 특수교원들은 중요한 업무로는 순회교육을, 수행하기 어려운 업무로는 행정 업무를, 대부분 7가지 이상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책임감 있는 업무 처리나 적극성, 센터 구성원간의 존중과 신뢰감 형성 등에서는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았으나 자기계발 영역의 전문성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애로사항으로는 과중한 업무를, 업무량 경감을 전문성 향상방안으로는 꼽았다. 그리고 자기발전과 자율성, 대인관계 영역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반면 보상, 업무, 자기발전의 영역에서는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방학부재, 자유로운 연수 참여의 어려움, 과중한 책임감, 업무 과중 등이 개선되어야 할 처우로 나타났고, 처우 개선을 위해서는 우대책 마련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핵심집단 면담에서는 진단평가와 배치와 순회교육이 가장 중요한 업무이며, 행정업무와 민원처리 업무가 가장 어려운 업무로 나타났다. 또한 행정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전문가의 부제 등이 애로사항으로 나타났으며, 필요한 지식으로는 특수교육 관련 지식, 관련 법령의 이해와 진단평가도구의 활용, 행정업무 관련 지식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성 향상 방안으로는 업무 분리와 경감, 전문 인력의 확충, 체계적인 연수 실시 등으로 나타났으며, 처우 개선 방안으로는 수당 보전, 업무 경감, 연수참여 기회 확대, 전문인력 배치 등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