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애사 접근법에 기초한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인식변화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김은정,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7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election and perception change to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of teachers in the level of the kindergarten of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t based in life history. Two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of the school dor the hearing impairment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two teachers had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23 years. The interview method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wo hours every three meeting were required for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preferred the oral method other than those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s; and (b) the teachers' perception in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changed after experiences of newly appointed teacher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maintained the main point how to select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focused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infant. 이 연구는 생애학적 접근에 따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선택 배경과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인식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하여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로 재직 중인 교사 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설문지, 전화, 이메일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면접을 시행하였다. 또한 현직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삶과 교직생활을 토대로 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인식변화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생애사 연구의 주된 접근 방법인 내러티브 분석 방법의 절차를 거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주된 선택은 구화법이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변화는 초임 교사 시절을 보낸 후에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선택 배경과 인식변화는 교사의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경험이 다양해지면서 청각장애유아를 교수함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은 청각장애유아의 개인적인 특성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통한 효율적인 언어교육방안 모색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1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doesn't listen auditory information should be different from linguistic systems processing with normal hearing students. It does not take activity at first auditory cortex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bout auditory stimul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 to how processing for linguistic systems o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surve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investigat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m. Hearing impaired children were revealed activation at superior parietal lobule in left hemisphere, differ with normal hearing.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hearing impaired children received linguistic information through space-sensory. Therefore, to grow learning ability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increase experiential information using their space-sensory, like as sign language. But in Korea, special schools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not educational planning for sign yet. Hence we have to establish linguistic education plain to learn sing for their parents and teacher.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피드백의 결손으로 인해 언어자극을 받아들이는 대뇌 경로가 건청아동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결함으로 대뇌 일차 청각피질의 활성이 청각이 아닌 다른 정보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되는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적합한 언어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받게 되면 청각적 피질이 아닌 공감각적 피질인 두정엽영역의 활성이 활발하며, 언어자극을 기억하는 대뇌 피질영역들이 공감각적인 요소들을 기억하는데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이 초기 언어지도를 위해 수화를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고 그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 밝혀졌다. 그러나 국내 특수학교에서는 수화 관련된 교육과정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특히, 영유아부에서는 부모나 교사들의 전문성이 고려된 언어지도가 제공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언어지도를 위해 다양한 언어지도방법에 숙련된 교사와 부모, 그리고 구화를 강조하지 않은 융통성있는 언어지도방법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인식 및 개발역량에 관한 연구

        김동인,정은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eacher-level curriculum and the degree of teacher-level curriculum development capability of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75 teachers of 13 schools for hearing impaired nationwid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teacher-level curriculum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was ave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variables such as teaching experience, school level, experience in guiding hearing impaired students, experience in operating curriculum, and experience in guiding deaf and hard of hearing children. Second, the degree of teacher-level curriculum development capability of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avera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variable groups. Finally, the necessity of distributing guide materials that reflect the specificity of hearing-impaired education and include practical examples, an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activit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field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various types of curriculum requir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student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인식 정도와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정도를 알아보고 변인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13개 청각장애학교 교사 7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인식 정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교직 경력, 학교급, 청각장애학생 지도 경력, 교육과정 운영 경험, 청각중복장애학생 지도 경험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정도는 보통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변인 별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청각장애 교육의 특수성이 반영되고 실제적 사례가 포함된 안내자료의 보급과 청각장애학교 학생 구성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을 위해 현장성과 실제적 맥락이 고려된 교사 연수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 체육 관련 문헌분석

        정승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6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search direction of research through literature analysis related to the ‘hearing impairment physical’. Due to the nature hearing impairment characteristics raised are a lot of education difficulties, whereby academic research was done for various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s, mathematics accordingly. However, research regarding domestic ‘hearing impairment physical’ is very limited. So it was analyzed the articles published in trends in domestic journals in 2006 by ‘the year of publication, subject of study, the research method, topics of study’ of related to the ‘hearing impairment physical’. The result that the subject of the studies were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as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 most frequently the topics of study for physical change of the hearing impairment. These results raised the need for research on various topics in relation to the ‘hearing impairment physical’. The should be a various studies on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earing impairment. 이 연구는 청각장애 체육과 관련한 문헌분석을 통하여 청각장애학생의 청각적 특성을 고려한 체육 교과의 구성과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청각장애 특성으로 인하여 교육적 어려움이 많이 제기되어왔고, 이에 따라 국어, 수학 등 여러 교과에 대하여 학문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국내에서 ‘청각장애 체육’과 관련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청각장애 체육’과 관련하여 2006년부터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게재년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각장애 중․고등학생과 성인 대상의 연구가 많았으며 실험연구의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많았다. 그리고 청각장애의 신체적 변화에 대한 주제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 체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한다. 즉 청각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내용, 교수․학습, 평가 방법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큐드 스피치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재조명

        신지현,정승희,박경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 No.1

        There are constant efforts for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of Hearing Impairment children but there is a limit of suggesting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 Relying on sight instead of hearing to improve language ability of Hearing Impairment children, who are not able to hear but possible to see, we use sign language and Cued Speech. Cued Speech is a method of giving Cued, the clue which is relevant to consonant and vowel, to help Hearing Impairment children to recognize the vocalization providing sight clue to improve the low literacy standard. It helps Hearing Impairment children from English-speaking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to acquire the vocalization of consonant and vowel without help of sound. It is especially effective in spoken language guidance for the highest degree Hearing Impairment children and it also gives the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with those children teaching this system to their parents. Cued Speech has been very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language ability of Hearing Impairment children since it was developed but there is hardly any methodical study about Cued Speech domestically. Therefore we would like to interpret the possibility for usage of Cued Speech, giving opportunity to assure the possibility of Cued Speech as a new way of approaching, and anticipate the advantages of the new usable technologies like an automatic formation of Cued Speech or cochlear implant. 청각장애아동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교수학습 전략 등을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들을 수 없으나,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청각장애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해 청각이 아닌 시각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으며, 수화를 이용한 시각 언어, 그리고 큐드 스피치(Cued Speech)가 활용되고 있다. 큐드 스피치는 낮은 문해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여 발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자음과 모음에 해당하는 큐드, 즉 단서를 제공하는 방안으로써, 미국과 영어권 국가의 청각장애아동이 소리의 도움 없이 자음과 모음의 발성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최고도 청각장애아동을 위한 음성언어 인지에 효과적이며 청각장애아동의 부모에게 전수하여 청각장애아동이 부모와 원활한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한다. 큐드 스피치가 개발 된 이후 지금까지 청각장애아동의 언어발달에 있어 많은 효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큐드 스피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큐드 스피치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재조명해봄으로써 큐드 스피치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인한 잠재성을 확인해보는 기회를 제공하고, 큐드 스피치의 자동 생성이나 인공와우처럼 사용 가능한 새로운 기술들과 함께 새로운 이득 등을 기대해 본다.

      •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인공와우 시술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질적 연구

        김소연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5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perception toward hearing impaired students with cochlear implant.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designed for this study. Five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school for the deaf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cochlear implant surgery; (b) the identity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hearing and speech after cochlear implant surgery; and (c) the teachers had a perception which the cochlear implant and sign language learning were no rel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ochlear implant was good device for listening and speech, however the personality factor was not related with the cochlear implant. Key words : special education, education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perception of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cochlear implant 이 연구는 청각장애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인공와우 시술의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핼되었다. 청각장애특수학교 유치부 교사 2명, 초등부 교사 2명, 고등부 교사1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인공와우와 교수학습 영역, 인공와우와 사회성 영역, 인공와우와 언어선택의 문항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각장애학교교사는 인공와우 시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인공와우 시술 청각장애학생의 자아정체성은 듣고 말하기 정도와 수준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셋째,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인공와우시술과 수어는 별개의 관련성으로 인식하며, 학생의 필요성에 따라 결정되는 사안이라 인식하였다.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나, 인공와수 시술을 한 청각장애학생의 부모의인식과 통합교육 환경에서 청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인공와우 시술의 만족도 및 자아정체성 등의관계가 분석되기를 제안하고 있다.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청각장애유아 수학교과 교수방법에 대한 질적 연구

        장효민,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thematics methodology of teachers for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individual interview was utilized for this study. Four teachers were participate for this study. The teachers's working experiences for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t the special school were at the least three years to eight years.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tic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efficiency and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tic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positive; (b) the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were very importance to teach the mathematic knowledge; and (c) the teachers' efficiency wes very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attitudes of the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hearing impairment at the special school toward mathematical importance was very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effective mathematic achievement of the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출생 후부터 약 만4세까지의 유아는 수학적 발달의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를 경험한다. 특히, 청각장애유아의 수학적 발달에는 조기교육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수화의 사용이 익숙지 않은 청각장애유아는 수학적 상호작용 표현과정에서 더욱더 효율적인 의사소통 활용방안이 필요하였으며 이와 함께 청각장애유아들의 수업태도와 수학적 성취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연구 할 필요가 있었다.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현장에서 수학교과 교수방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수반되어야하는 선행조건들을 파악하고, 현실적인 수학교과 교수방법을 조사 및 개발하여 수학교수-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청각장애유아 수학교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과 관계를 밝혀 특수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특수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수업의 질을 높여 효율적인 특수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현장에 있는 교사에게 도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및 방법은 대구지역의 청각장애학교에서 근무 중인 유치원과정을 담당하는 교사들로 구성되어 개별 심층 면담 및 반구조화된 면담지, 추가적인 질문 등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청각장애유아들은 조기교육을 통해 사고 및 표현의 향상으로 인한 언어적 표현기술이 수학적 상호작용의 향상으로 연결되고 자신감과 유능감이 형성되어 긍정적인 수학적 태도가 형성된다. 이는 수학적 성취도 및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다시 유아의 성취도와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청각장애 교육과정 적합성 고찰

        권순황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6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7 No.2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culum had about five decades since the Education Department issued the first Special Schools Currculum in 1967. The object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based on the half-century history. First, what i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Korean deaf curriculum? Second, to what extent has the curriculum been appropriate? To answer those inquiries, the author first conducted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the deaf curriculum. In addition, the author reviewed the literatur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af curriculum. The results tell us that first, the deaf curriculum has been improved in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Still it faces endogenous demand for the betterment of deaf students’ academic ability and exogenous demand for the reflection of the societal turbulences. Seco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af curriculum is directly related to its achievement standard. The balance between content- and performance- standard is the key to raise the curriculum achievement level. 문교부가 1967년 제1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을 공포한 이래 2015년의 현 개정특수교육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약 반 세기가 흘렀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청각장애 교육과정 변천 역사를 중심으로 다음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변천과정별 우리나라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공포된 청각장애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과 관련된 문헌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개선되어 왔다. 그럼에도 청각장애 교육과정은 내재적으로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력신장이 요구되며, 외재적으로는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둘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은 청각장애학생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적정선을 고려한다.

      • 청각장애학교 초등학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 선택과 효율성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윤지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5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6 No.1

        In the hearing impairment education the selection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effective education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election and effectiveness in language teaching method of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elementary at school for hearing impairment. Two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interview method was utilized for this study. Researcher and the two teachers met the fifty to one and half hour every three times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selection of language teaching method of the hearing impairment school teachers in the level of elementary was influenced by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language and educational needs; and (b) the effectiveness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influenced by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needs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parents was main factor to select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the attitudes on deaf culture and sign language also was main factor to determine the effective language teaching method.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초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2명을 대상으로 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특수교육 총 경력이 15년 이상이며 청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경력이 10년 이상인 교사 중에서 청각장애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 이상을 수료한 경우로 제한하였다. 연구 참여자 면담결과를 내러티브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교육방법의 선택배경은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와 교육적 요구에 기초하고, 수화와 구화 중에서 선택하기보다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수용하고 있었다.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언어교육방법의 효율성은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또한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보다 청각장애학생과 부모의 요구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을 또한 시사하고 있다.

      • 청인과 청각장애학생의 수화어휘 이해력 분석을 통한 수화언어 특성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수화언어가 갖는 특성을 살펴보고자 청인과 청각장애학생의 수화어휘 이해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청인 10명과 청각장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한국표준수용어휘력검사의 어휘를 수화로 동영상을 제작하여 수용어휘력을 조사하였다. 결과자료는 독립 t 검증과 one-anova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청인과 청각장애학생의 수화어휘 이해력은 청인이 55점, 청각장애학생이 75점으로 청각장애학생의 이해력이 높았다. 또한 집단간 어휘 품사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각 집단에서 어휘품사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청각장애학생이 사용하는 수화는 사물이 갖는 상징적인 이미지 표현이 많은 도상성으로 인해 청인들도 이해하기가 쉽다. 수화의 도상성은 초기 수화언어수준에 해당되며, 수화언어가 발달함에 따라 수화언어가 갖는 의미적 규약성을 갖는 자의성 수화언어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find features for sign language(SL) hearing impaired person used. Ten hearing and 10 hearing impaired students participated and evaluated through SL vocabulary test transfer vocabulary at Korea Standard Reception Vocabulary Battery to SL moving picture. Data was deal with independent t-test and oneway-ANOVA. The results were reception vocabulary ability of normal hearing was 55 and tha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75. At parts of vocabulary(word class) was also higher hearing imparied students' scores than normal hearing scores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among parts of vocabulary at each groups. We know that SL has symbols representative of objets and normal hearing could understand SL vocabulary because SL has iconicity feature. Generally there is a lot of iconicity of SL at easy word and arbitrariness of SL at difficult word as like metaphor or image w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