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특수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을 위한 제언 : 가족지원과 팀 협력을 중심으로 Focusing on Family-Centered Intervention and Team Collaboration of Professionals

        백유순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3 지성과 창조 Vol.- No.6

        유아특수교사는 장애유아와 가족을 위한 교육을 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가족지원과 전문가간 팀 협력을 위한 능력은 예비교사 양성기관에서 그 교육과정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할 내용이다. 대학의 교육과정은 직접적이고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대학, 지역사회 관련기관, 프로그램, 가족 등이 학습 공동체를 조성하여 함께 참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유아환경평가척도에 의한 유아특수교육 기관과 일반유아교육 기관의 환경 실태 비교

        백유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6 유아특수교육연구 Vol.6 No.2

        Comparison of the environment betwe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and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의 현재 학습수행수준 작성 실태

        백유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4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현재 학습수행수준은 수렴적 교육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학습수행수준 작성 당시의 현재 유아의 수준을 보호자의 의견을 포함하여 발달영역별로 작성되어야 한다. 현재 학습수행수준에는 유아의 강점과 요구를 진술하되 측정가능한 용어로 진술함으로써 개별화교육목표의 시작점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충청 지역 교육기관의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을 수집하여 현재 학습수행수준 작성 실태를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개별화교육계획은 현재 학습수행수준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현재 학습수행수준은 발달영역별로 작성되어 있었으나, 보호자의 의견을 포함한 개별화교육계획은 절반정도에 불과했고, 현행수준의 작성 시점에서의 평가를 통한 유아의 현행수준을 진술한 것인지, 수렴적 평가를 통해 현행수준을 파악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거의 제공되지 않았다. 셋째, 대부분의 현행수준은 유아의 강점과 요구를 진술하였으나 현행수준을 측정가능한 용어로 진술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IEP 목적과 목표는 현행수준과 연계되어 진술되었다. The present level of educational performance(PLEP) is one of the components of IEP. A child’s PLEP must be based on the educational assessment using variety of methods, stated the child’s current performance, include parents’ input, and written into developmental areas. The present level of educational performance should include child’s strengths and needs in measurable word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realities of the PLEP in the IEP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 IEPs for young children special needs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IEPs included present level of educational performance. Second, the PLEP statements were written into developmental areas, however only half of the PLEP statements included parents input. Most of the present level of educational performance specified neither the date that educational assessment conducted showing PLEP is child’s current performance nor using variety of assessment methods. Third, most of the PLEP statements include strengths and needs of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ereas only few IEPs stated the PLEP in measurable way. Finally, IEP goals and objectives were written based on the PLEP.

      • KCI등재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에서의 부모 참여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백유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1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에서의 부모 참여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교육하는 (유아)특수학교, 공ㆍ사립유치원 특수학급,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 7명을 대상으로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 1) 부모의 IEP 이해, 2) IEP 교육 계획 시 부모 참여, 3) IEP 실행 시 부모 참여, 4) 부모 참여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와 부모 참여의 어려움의 4개의 주제와 1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부모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on the parents’ participation of the IEP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for thei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is research, 7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from severa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have been interviewed individually. Analyzing the interview, 4 main themes and 10 sub-themes were derived. The main themes were 1) parents’understanding of IEP, 2) parents’ participation on the process for IEP development, 3) parents’ participation on the process for IEP implementation, 4) satisfaction of the educators on the parents’ participation and the reasons for difficulties of participation. Based upon th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promote parents’ participation on IEP for thei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 유아 부모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참여 실태 및 만족도

        백유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level of parents' understanding on IEP, 2) the level of parent participation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EP for their child's with special needs, 3) the parents' satisfaction level on their child's IEP and their participation in IEP process and the difficulties in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ly about 60%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y understood IEP, and participated parent education program on IEP. The main contents of this family education were identifying goals and objectives, identifying the present level of performance, general concepts of and objectives of IEP. Second, only about half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EP. The parents participated in 1) reporting the present level of performance of the child, 2) evaluating their child by themselves, and 3) establishing their child's goals and objectives with the educators. Third, only about 30%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EP. The parents participated in 1) engaging in the child's intervention to achieve objectives, 2) determining the child's achievement of objectives, 3) providing suggestions on adjustment/resetting the child's goals and objectives, and 4) collecting data on the child's progress, in IEP developing process. Fourth, about 70%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y were satisfied on their child's IEP, however, 30% of the parents reported they did not know if they were satisfied. Parents had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on their child's IEP process due to their lack of time and interests, the lack of time of educators, circumstances of the their family, and lack of skills to facilitate collaboration of the educator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high correlations among parents understanding on IEP,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program on IEP,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EP,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EP, satisfaction on their child's IEP, and satisfaction o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IEP.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을 계획 및 실행하는 과정에서의 특수교육대상 유아 부모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고 부모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137명의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들은 IEP에 대한 이해 정도가 높지 않고, 기관의 IEP 이해교육에 1-2회 정도 참여하고 주로 자녀의 IEP 목표 선정, 현행수준 파악, 일반적인 IEP에 대한 내용 등이 이해교육에 포함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절반정도의 부모들만이 자녀의 IEP를 계획하는 단계에서 참여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참여 횟수는 1-2회가 많았고, 주된 내용은 유아의 현행수준 보고, 현행수준 직접평가, 장단기 목표의 공동작성 등이었다. 셋째, IEP 실행단계에서의 부모 참여는 매우 저조하였으나, 주로 1-2회 정도며, 주된 내용은 교육목표 중재 참여, 아동의 목표 성취 여부 판단, 목표 수정이나 보완에 대한 의견 제시, 아동의 진도점검 자료 수집 등이었다. 넷째, 많은 부모들은 자녀의 IEP와 현재의 참여수준에 만족한다고 하였으나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많았다. 부모의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은 부모의 시간과 관심 부족, 교사의 시간 부족, 유아 가정의 환경 및 상황, 교사의 협력 촉진 기술의 부족 순으로 보고되었다.

      • KCI등재

        특수학교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자들이 인식하는 장애영아 지원 실태 및 요구

        백유순,이명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state and needs of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special schools and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Korea.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were 77 administrators of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31from the special schools and 46 from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subjects of the survey were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intervention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2) the process for child diagnosis,evaluation and placement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3) managing ofthe curriculum for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s; 4) providing special educationrelated service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5) support for administrationand finances for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suggestions for ensuring quality early intervention were presented: 1) expandingearly intervention programs across the nation for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needs and their families to access easily in various early childhood programs; 2)recruiting qualifie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to provide quality educations;3) developing evaluation inventori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providing guidelines on curriculum for infants with special needs; 4) providing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regardless of theirregion and attend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영아를 위한 특수교육기관인 특수학교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관리자들이 인식한 장애영아를 위해 제공되는 특수교육 지원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는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특수학교 관리자 31명,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자 46명, 총 77명이다. 연구 결과, 장애영아를 위한 1) 특수교육기관의 특성, 2) 특수교육대상자 선정ㆍ배치실태 및 요구, 3)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요구, 4)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지원 실태 및 요구,5) 행ㆍ재정 지원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의 평가계획 실태

        백유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realities 1) i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 goals and objectives are measurable and 2) progress monitoring plan of the IEP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oth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nd daycare setting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IEPs for young children special needs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and daycare set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goals and objectives of the IEPs were significantly greater from the daycare settings tha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Second, the mastery criteria were higher than the retention criteria in the IEP objectives both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nd the daycare settings. Third, only few IEPs presented assessor and time interval for progress monitoring, monthly monitoring was higher among the IEPs that presented timeline for progress monitoring. Finally, among the methods for progress monitoring presented in the IEPs, observation and portfolio were used most. However, there were many IEPs that did not present which method would be used for progress monitoring.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평가계획은 목적과 목표의 성취를 판단하기 위한 체계적인 자료수집과 분석이 요구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 충청 지역의 교육기관과 보육기관을 중심으로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을 수집하였고 총 50부에 대해 평가계획을 분석하여 그 실태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IEP는 목적과 목표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았고 보육기관이 교육기관보다 유의미하게 많았다. 둘째, 목표에 대한 수행기준은 대부분 제시하였으나 성취기준은 거의 제시하지 않았다. 셋째, 평가자는 거의 제시하지 않았으며, 평가 주기의 제시는 매우 낮은 수준이며, 평가 주기를 명시한 경우 월 간격의 평가 주기가 가장 많았다. 넷째, 제시된 평가 방법은 관찰, 포트폴리오 순으로 제시되었으나 평가방법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도 많았다.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와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수행 과정과팀 협력에 대한 질적 연구

        백유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수행 과정과 이 과정에서 유아특수교사와 관련 전문가의 협력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교육하는 다양한 교육 환경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 7명을 대상으로 질적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1) IEP 수행 과정, 2) IEP 수행 시 팀 협력, 3) 어려움과 요구와 같은 3개의 대주제와 1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에대한 분석을 토대로 협력적인 IEP 팀 구성과 수행, 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perform the IEP development and implement and collaborate with team members during IEP process. In this research, 7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from various educational setting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have been interviewed individually. Analyzing the interview, 3 main themes and 9 subthemes were derived. The main themes were 1) IEP process, 2) team collaboration during IEP process, 3)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Based upon the results, to promote IEP process and team collaboration during IEP process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1)systematic support for IEP process and team collaboration is needed to ensur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educational settings, 2) provision of curricular for collaboration related instruction in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program to facilitate team collaboration is required, 3) provision of the administrative support by the directors such as time to communications among team members, reduction of the teacher child ratio in inclusive classroom, and flexibility on release of the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successful IEP process and team collaboration.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 영유아의 조기 발견을 위한 대중인식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백유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7 No.4

        아동발견은 특수교육대상 아동 찾기의 첫 단계이며 조기 중재의 가능성을 높이고 조기 중재 시작 연령을 낮춤으로써 더 큰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대중인식 활동은 아동발견에 필수적이며, 따라서 효율적인 대중인식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중인식활동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포괄적인 아동발견 체계의 수립, 둘째, 포괄적인 아동발견 체계 하에서 조기발견을 위한 대중인식 프로그램의 계획과 개발, 셋째, 지역사회 중심의 대중인식 활동, 넷째, 대중매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대중인식 활동의 계획과 자료 개발, 다섯째, 아동발견을 위한 적절한 내용을 포함하는 대중인식 자료의 개발, 여섯째, 대중인식 활동의 대상에 적절한 자료의 개발, 일곱째, 일반대중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자료의 개발 및 실행 방법의 다각화 등이다. Child find increases the possibilities of early intervention and lower the beginning age of early intervention. Public awareness activities are necessary to child find and need to be efficient. The present study point out the problems of public awareness activities in Korea, and provide several suggestions 1) establish a comprehensive child find system; 2) develop appropriate public awareness program; 3) implement child find activity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4) develop and design effective public awareness program and materials including mass media; 5) develop and design public awareness materials with appropriate contents, 6) develop and design public awareness materials that can vary for target population(i.e., general public, medical professionals, educators, social workers etc.), 7) develop and implement public awareness activities that can vary for people in diverse situation(people in rural area, low internet accessibility, readability, and disability etc.).

      • KCI등재

        유아특수교육에서의 개별화교육계획(IEP)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백유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IEP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The present study reviewed 23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0 in Korea. Those studi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 criteria including year of the publishment,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 objects, the research methods used, the topics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IEPs increased between 2005 and 2015. Second, there were more studies of hav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parents. Third, majority of studies applied survey research method and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on IEP document analysis were actively conducted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The topics of the research were IEP planning, assessment planning and implement, perception on IEP, IEP implement, parents participation, IEP team in the order. Fourth, the results of the studies were low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IEP team, perfunctory team meeting, inadequate IEP goals and objectives, and insufficient educational assessment and progress monitoring. Fifth, suggestions of the studies were preparation of the intensive plan to encourage IEP team participants and collaboration, writing a qualitative IEP document, and development of a guidebook for team members.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studies in ECSE we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20여 년간 유아특수교육 분야에서 발표된 개별화교육계획에 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개별화교육계획에 관한 논문 중 논문 선정 기준에 맞는 총 23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은 발표 연도, 연구 대상, 연구 유형, 연구 주제, 주요 결과, 제언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2000년대 중반 이후에 개별화교육계획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은 유아특수교사, 부모가 대부분이었고 IEP 문서도 상당수 있었다. 셋째, 연구 유형은 조사연구, 질적 연구, 문서 분석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는 IEP 계획, 평가 계획 및실행, IEP 인식, IEP 실행, 부모 참여, IEP 지원팀이 고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결과는 팀 구성원의 IEP에 대한 낮은 인식과 참여, 형식적인 IEP 지원팀 회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IEP 목적과 목표, 평가 계획 등을 나타냈다. 유아특수교사들은 IEP를 유치원의 일과와 활동에 적용하기어렵다고 하였고 장학자료는 IEP에 관해 상이한 내용을 안내하였다. 여섯째, 연구들이 제시한 주요 제언은 IEP 지원팀의 참여와 협력을 위한 강력한 방안과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것과 IEP에필수 구성요소에 대한 질적 기준을 충족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IEP 지원팀의 역할과협력, IEP의 형식과 구성 요소에 대한 지침서 등의 개발, 대학과 교사 재교육에 IEP 작성에 관한이론 및 실습 등 실질적인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유아특수교육 분야에서의 향후 IEP에 대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