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소리 문학 재생산에 나타난 도시 문화적 양상

        서유경 판소리학회 2016 판소리연구 Vol.41 No.-

        The artistic quality of pansori literature is that it is dynamically related to the contemporary enjoyment of culture, which is depicted in the performance and manner of reproduction of a pansori work. This study observes how pansori literature was related to the city culture in its reproduction in the modern times. For this discussion, the following materials were researched: Geuhsa, LeeChunPungJeon, ShimChungJeon, MahnMoon Cartoon ShimChungJeon, and MahnGeuk ShimChungJeon. According to concept definition, we can decide whether a region is a city or not, only by comparison.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tical Reform of 1894, our society changed significantly; as a result, a city had different definitions before and after 1894.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se changes in pansori literature and its reproductions. For instance, Geuhsa and LeeChunPungJeon show that consumption, pleasures, and entertainment are the characteristics of a city’s culture, and that pansori performances are a part of this culture. In modern times, the reproduction of pansori literature demonstrates the changes in city life and culture. MahnMoon Cartoon ShimChungJeon reveals the commercial entertainment culture and poverty in cities by complexly shaping the urbanization process and existing local culture. MahnGeuk ShimChungJeon reflects the life of the poor, who is forever bound to poverty, and the lure of merchandised sex in cities. Through the progressive assimilation and transitional aspects of pansori, works such as MahnMoon Cartoon and MahnGeuk ShimChungJeon criticaliy view the coexistence of poverty with lavishness in cities. 우리 판소리 문학은 연행성과 전승 방식으로 볼 때 당대 향유 문화와 매우 역동적으로 관련되는 특성을 지닌다. 이 논문은 판소리 문학이 도시 문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근대 시기 재생산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게우사>, <이춘풍전>, <심청전>, 만문만화 <모던 심청전>, 만극 <모던 심청전> 등을 자료로 하였다. 개념상 도시인가의 여부는 다른 지역과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가능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갑오경장 이후 사회적 변화가 매우 커서 이전의 도시와는 다른 모습을 지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우리 판소리 문학과 그 재생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게우사>와 <이춘풍전>에서는 도시 문화가 상업이 발달한 곳에서 유흥과 소비가 왕성하게 이루어지며, 판소리 연행이 도시 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은 양상을 볼 수 있었다. 근대 시기에 이르러 매체를 달리하며 이루어진 판소리 문학의 재생산에서는 도시적 삶의 문화를 담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만문만화 <모던 심청전>은 도시화 과정과 기존의 지역 문화를 복합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상업적 유흥 문화와 도회적 빈곤을 드러낸다. 만극 <모던 심청전>은 좋아진 세상에서 빈곤하게 살아야 하는 빈민의 삶과 성이 상품화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만문만화 <모던 심청전>과 만극 <모던 심청전>의 도시 문화 반영이 지니는 의미는 판소리의 매체 접변을 통해 화려한 도시 문화 속 빈곤을 비판적으로 드러내며, 판소리 문학의 이행기적 양상을 보여준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20세기 초 <심청전>의 대중성

        서유경 판소리학회 2016 판소리연구 Vol.42 No.-

        Based on the popularity of ShimChungJ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aspects and meanings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ShimChungJeon. The early 20th century encouraged new literature, culture, and art, and this led the renewed interest in ShimChungJeon, which also evolved during this time. The popularity of ShimChungJeon in the 20th century reflects the interest of various media and aesthetic sensibility of the public.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t aspects of ShimChungJeon, and regards its popularity as an indication of its evolution. Following are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evolved ShimChungJeon: 1) The features of ShimChungJeon which make it entertaining popularly. 2) It reflects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3) It aims to entertain the public. 4) It maintains a balance between artistic value and popularity. These aspects show that the evolved ShimChungJ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reflected the aesthetic sensibility of the public. Some of the abridged versions have an instructive purpose; therefore, they reinforce the tragic aspects and are less popular. In comparison, the versions that seek to entertain the public reinforce the humorous aspect by blanketing sorrow with laughter. The Photodrama and movie versions balance the elements of sorrow and humor. This research showed that most of the versions of ShimChungJeon have artistic value and are popular; they are modern with traditional qualities; sensational but elegant; and humorous and emotional. While some versions focus on only one of these aspects. 이 연구에서는 20세기 초에 들어 <심청전>의 향유가 다양한 개작본으로, 매체 변용으로 다변화하는 양상에 주목하여 그 양상과 의미를 대중성의 관점에서 다루어보고자 하였다. 20세기 초는 새로운 문화의 유입으로 문학, 문화, 예술에 변화를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새로운 문학 향유의 양상은 이러한 요구에 대한 부응이라 할 수 있다. <심청전> 역시 이러한 문화적 격동기를 겪으면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심청전>의 20세기적 향유는 매체적 다양성의 추구와 대중의 미적 감수성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20세기 초 <심청전>의 다양한 모습을 정리하고, <심청전> 변화의 단서를 대중성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20세기 초 <심청전> 변용에 나타난 대중화 양상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는 <심청전> 향유의 대량화를 들었다. 둘째는 대중을 향한 작가 의식의 발현으로 이루어진 <심청전> 개작본들을 살펴보았다. 셋째는 대중적 오락 추구의 양상으로 만문만화와 만극 <모던 심청전>을 들었다. 마지막으로는 예술성과 대중성이 조화를 추구한 영화와 영화극 <심청전>을 들었다. 이러한 양상들에서 20세기 초의 양식 변용 <심청전>이 대중적 취향의 미감을 반영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개작자가 밝혀진 개작본들은 교훈적 의도가 강하여 통속성을 배제하면서 비극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만문만화와 만극 <모던 심청전>은 슬픔을 웃음으로 뒤집으며 해학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영화극과 영화는 슬픔을 극대화면서도 곳곳에 웃음의 요소를 배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심청전>의 다변화는 예술성과 통속성, 모던한 것과 조선적인 것, 선정적인 것과 점잖은 것, 웃음과 눈물을 적절히 혼합하거나 어느 것 하나를 부각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고전문학교육 연구의 새로운 방향

        서유경 한국어교육학회 2007 국어교육 Vol.0 No.123

        This research treats what is the study on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how it is changed. So this study conducts what is the problem and issue of the current of the research on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which is the tendency and the direction? Since ten years, the study on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has changed, so that it is necessary to view how it is changed and how we to do. It is the problem that in the area of the Korean education how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related with the other area. So, in this research, it is tried the analysis on the trend of the research on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synthesis of the issue on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And it is aimed where is the point of the direction in reference to current research. The research on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ever conducted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y : the study on the apprecia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on the expressional mechanism of the classical literature , on the classical-cultural literacy through the classical literature, on the subject who accept the classical literature, on the policy and practice of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important issue in these research is that what is the concept of the cultural view about the classical literature, what is the criterion classifying the knowledge and the activity, and how we can judge the appropriation about the diverse activity of the student. In conclusion, it is needed, in the study on the educa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that we must research practical educa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try to expand the area of the educa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such as applying medea in to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herapeutics through the classical literature, writing education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otherwise. 이 연구는 이제까지 이루어진 고전문학교육 연구의 흐름을 정리, 분석함으로써 국어교육 내에서 고전문학교육이 새롭게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고전문학교육 연구는 지난 10여년간 이전의 고전문학교육의 일반적 경향에서 국어교육의 흐름에 맞추어 새롭게 변화, 모색, 발전해 온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의 고전문학교육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제기된 고전문학교육 연구의 쟁점을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방향이나 고전문학교육 자체의 논의에서 제기된 방향 설정과 관련지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제까지의 고전문학교육 연구는 (1)이해론, (2)표현론, (3)고전-문화적 문식성론, (4)수용자론, (5)제도 및 실천론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는 (1)‘문화’ 개념을 둘러싼 고전문학교육의 본질 문제, (2)고전문학교육에서 ‘지식’과 ‘활동’의 문제, (3)해석의 ‘적합성’과 ‘다양성’의 범위 문제 등을 중심으로 고전문학교육의 문제가 쟁점이 되었다. 이렇게 볼 때, 전체적인 고전문학교육의 범주는 (1)고전문학교육의 구성 변인과 (2)고전문학교육이 실행되는 교육과정 변인으로 삼아 고전문학교육 연구의 하위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구분, 통합할 수 있다. 이들 범주는 별개의 연구 영역으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상호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볼 때, 앞으로 필요한 고전문학교육 연구의 영역은 연구의 효용성을 위해 구체적이면서 국어교육에서의 실행과 관련되는 부분이다. 즉 내용론도 다루어야 하지만, 평가나 방법과 같은 국어교육 실천 영역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구체성, 실천성과 함께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 볼 수 있는 범주는 문학치료학, 작문론, 매체론이다. 이들 연구는 고전문학교육 연구임을 표제로 드러내고 있지는 않지만, 고전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한 경우들이 많아 주목할 만하다.

      • 팬아트 권리침해 약관의 마련과 통지 및 게시중단 절차의 실효성 확보 방안

        서유경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21 Law & technology Vol.17 No.5

        팬(fan)은 특정한 저작물이나 아이돌과 같은 스타 등을 열광적으로 좋아하면서 팬덤(fandom) 을 형성한다. 팬덤은 자율적이고 자치적인 불문율을 가지고 있으며, 성숙한 팬덤 문화가 점차 강조 되는 추세이다. 팬아트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창작된다. 첫째, 특정한 저작물을 원작으로 창작되는 경우로 팬아트는 원저작물의 2차적 저작물인 동시에 그 자체로 독립된 저작물에 해당한다. 이때 원작의 저작권 침해 문제는 팬아트의 목적과 비상업적 성격에 비추어, 공정이용 항변에 의해 방어될 수 있다. 한편 팬아트 작가가 다른 팬아트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경우, 원작의 저작권자가 팬아트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경우, 기타 팬아트의 저작권 침해가 문제 되는 경우에는 법적 책임뿐만 아니라 윤리적 비난가능성 또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둘째, 팬아트가 실존 인물을 대상으로 창작되는 경우로 그 대상 인물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인격권을 침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논란이 된 알페스(Real Person Slash, RPS)에 의한 성적 대상화 문제나 딥페이크나 딥보이스 등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인물의 얼굴을 포르노 등 배우에게 덧입혀 만드는 음란물 이 바로 그것이다. 국내외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면서, 국내에서도 기존의 형사적 처벌과 민사적 손해배상책임뿐만 아니라 특별법을 제정함으로써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팬아트에 의한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하여 법적으로 조치하는 것이 과연 실효성이 있을지 미지수이다. 형사적 처벌은 절차적으로나 실체적으로 한계가 있다. 오히려 콘텐츠/엔터테인먼트 기업이 팬덤 시장을 겨냥하여 사전에 성적 대상화를 기획하는 경우도 있다. 무엇보다 팬덤은 기본적으로 원작이나 대상 인물을 좋아하는 집단이므로 권리 침해가 발생하더라도 적극적으로 법적 조치를 할만한 실익이 없다는 지적도 분명 일리가 있다. 본고에서는 팬덤 문화 내에서 불문율처럼 존재 하는 팬아트 관련 자치규범을 파악하고, 이를 약관으로 성문화하여 플랫폼에 가입하는 팬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이때, 팬아트의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내지 인격권 등 기타 권리침해 문제를 유형화하여 등급표시를 하는 방안으로 ‘팬아트 커먼즈 라이선스(Fan Art Commons License, FACL)’를 제안한다. 팬아트 창작 관련 약관을 마련하면 팬으로서는 무엇이 원작이나 대상 인물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인지에 대해 예상 가능한 지침을 얻을 수 있다. 팬아트 약관이 저작권법상 온라인서비스제공자나 정보통신망법상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통지 및 게시중단 절차와 결합하는 것 또한 적절한 대응 방안이 된다. 팬아트 작가는 권리침 해의 가능성이 있는 창작활동에 대해 예상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원작 또는 실존 인물의 권리, 팬아트 작가의 권리 등을 아울러 판단함으로써 팬아트 문화의 법적 성숙도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A fandom is composed of fans who are enthralled by the certain copyrighted material or the celebrities like idols and share the common interest. Fandom itself is autonomous, but it definitely has rules that the fans implicitly agree and abide by. Fan art is primarily created in 2 forms – one based on the specific copyrighted material, and the other based on the real celebrities. For the first type, whether the copyright of the original work was infringed by the fan art, a secondary as well as original copyrighted material, or not can be decided by the fair use defense such as the purpose of the fan art and the non-commercial nature thereof. Other possible legal implications include the fan artist infringement of the copyright of other fan art, the copyright infringement of the fan art by the original copyright holder, and so on. In those cases, we should not only contemplate the legal responsibility but also the ethical, moral culpability. Regarding the latter type that might damage the reputation of the person in subject or infringe his/her moral right, the following would be the major matters: obscene and lewd material created by the AI technology such as deepfake and deepvoice that superimposes a person’s image onto another person like pornography actors, or sexualization of a person by Real Person Slash, RPS. These harms caused by fan art have caused controversy in Korea and overseas, therefore, the experts raise an argument that we should reinforce the penalties by legislating the special act, not only applying existing criminal penalties and granting civil damage awards. It is not tested, however, whether taking legal measures would have a substantial effect in reality as the imposition of criminal penalty itself has innate, procedural and substantial limitation. Furthermore, what makes it worse is that content creation/entertainment companies set up the sexualization of the celebrities to target the fandom market to maximize financial gain and refrain from taking legal action against their fans to avoid breaking their careers. In this article, I will navigate the autonomous rules existing in the fandom culture as an unspoken rule, and will formulate those rules into the terms of use that can be utilized by the platforms when fans register the platform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an Art Commons License, FACL and under FACL, which will categorize the type of fan art copyright infringement, and other right violations such as defamation or moral right. I expect that with terms of use pertinent to fan art creation, the fans will have a reliable guidance to decide what may constitute a copyright infringement of the original work or harm to a person in the subject’s right. In addition, adopting the notice procedure and/or the take down measure by the online service provider in accordance with the Copyright Act, or by telecommunication service supplier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can also be an appropriate response. By referring to the fan art terms of use, fan artists can predict what creative activities have possibility to infringe on other’s rights, and can ultimately appreciate the copyright of the original work, the rights of the actual person, the right of other fan artists. With such recognition, we can make a firm foundation for the fan art culture.

      • KCI등재

        통번역 수요와 공급 불균형 개선을 위한 통번역 교육 방안 고찰: 신남북방 언어를 중심으로

        서유경,방교영,정혜린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22 통번역교육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balance between the demand and supply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the language of the New South and North regions and to suggest flexible education plans to solve the imbalance. Firs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stitutions and companies that had entered the New Southern and Northern countries to examine the potential demand for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Next, the situation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 (university/graduate school)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languages of the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interview and research, we have found that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 is still biased towards only several languages like English and Chinese, so that education cannot keep up with the demand in the field. In conclusion, we suggested 3 plans to solve the im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 KCI등재
      • KCI등재

        고전소설 신자료 <牀下俠客傳> 연구

        서유경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한국문화 Vol.80 No.-

        This research introduces concrete facts of manuscript, Sanghahyupgagjeon which belongs to the National Hangul Museum as well as translation copy of Yeegyeongonggungjeouhyupgag which is the subject matter of Geumgogigwan. Yeegyeongonggungjeouhyupgag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1963 for the first time into Yeegyeongonggi of Fully translated Geumgogigwan which is a copy of Jungum.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Sanghahyupgagjeon is the first Hangul manuscript of Yeegyeongonggungjeouhyupgag. Sanghahyupgagjeon was written by YoonYongGu and was translated when YoonBaekYoung was 25-26 year old age. In the light of this, Sanghahyupgagjeon could be written in 1913. It is noticeable for Sanghahyupgagjeon that the translator added new contents and changed narration from the original text. The translation patterns of Sanghahyupgagjeon are below; 1) a story frame of new narration, 2) reverse narration in three stages between Sanghahyupgagjeon and Yeegyeongonggungjeouhyupgag, 3) emphasis on discipline of women. The most remarkable point of Sanghahyupgagjeon is to consist of new narration as a story frame. Furthermore, Sanghahyupgagjeon highlight attitudes towards life as women because Sanghahyupgagjeon targeted at women and changed the 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