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수산지의 내용과 특징

        서경순,이근우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1

        In this paper, the first aim is to explain how Chronicle of Korea Fishery was compiled and what was the purpose of publication, and secondly, to pursue the compositio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Chronicle of Korea Fishery. This material was compiled by imperialist Japan for expediting Japanese fishermen’s fishing in sea of Chosun and the Japanese migration since the 1905’s forced treaty. Futhermore, for the intention of colonizing Chosun Dynasty.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first book in Chronicle of Korea Fishery consists of photos in the beginning of book, historical and geographical data, which can be called human geography information, and main maritime information like mammals・fishes・shells and salt. The other three books are organiz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coastal areas and fishing in order of Hamgyeong, Gangwon, Gyeongsango, Jeolla, Chungcheong, Gyeonggi, Hwanghae and Pyongan Province. This composition seems to be intended to supply information to Japanese fishermen fishing in the coast of Chosun, as well as to encourage the Japanese to move to Korea by provid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Chosun.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 of Chronicle of Korea Fishery is that it is the first survey of the fishing industry for the entire Chosun. Secondly, it has not only the character of the fishery chronicle but also the character of the geography. Thirdly, for the first time in Chosun, marine produ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odern animal and plant classification methods. Fourth, it provides detailed and modern statistical data on weather and ocean such as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Finally, it specifies what fishing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on the all coast of Chosun and how to transport and sell them. 본 논문에서는 한국수산지가 어떻게 성립되었는지 그 목적이 무엇인지, 그리고  한국수산지의 구성・내용 및 그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한국수산지는 을사늑약 이후 제국주의 일본이 자국민의 출어자 육성 및 조선 내 일 본인 어촌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다 신속하게 장려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조선의 식민지 화를 촉진시키려는 목적에서 편찬된 것이다. 한국수산지의 전체적인 구성은 각 권마 다 권두에 사진을 배치하고 있으며, 제1집은 인문지리정보라고 할 수 있는 제1편과 수산 정보라고 할 수 있는 제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집에서 제4집은 함경도에서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황해도, 평안도의 순서로 각 도별의 연안 정보 및 어업 정보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있다.1) 이러한 구성은 어업을 목적으로 조선 연안에 출가(出稼)하는 어민들뿐만 아니라, 일본 수산관계자에게 조선의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 하여 조선 내에 일본인 어촌을 건설하고자 하는 의도에 부합되는 것이다. 한국수산지의 내용이 갖는 특징을 들면 우선 한국의 최초 수산 조사서라는 점을 지 적할 수 있다. 둘째, 수산지의 성격뿐만 아니라 조선에 대한 인문지리지의 성격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조선 최초로 린네의 근대적인 동식물분류법에 따라 수산물을 분류 하였다는 점이다. 이것은 본초학의 분류학을 따르고 있는 종래의 어보와 구별된다. 넷째, 기온・수온 등 기상 및 해양에 대한 구체적이고 근대적인 통계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사진 자료를 활용한 최초의 사례 중 하나이다. 다음으로 2권에서 4권에 는 지명 색인이 첨부되어 있는데 이 또한 대단히 중요한 근대적인 문헌의 구성 요소이다. 마지막으로, 조선 연안에서 어떤 어업활동을 할 수 있으며, 어획물이 어떻게 운송・판매 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미생물활성 및 total polyphenol함량

        서경순,윤경원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4 No.1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er and ethylacetate fractions from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iwayomogi used as Inji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s from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iwayomogi for tested microbe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ether fractions of the two Artemisia plant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s of Artemisia iwayomogi was higher than that of frac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for the tested microbes. The extracts of young shoots and leaves showed strong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ose of young leaves. The range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MICs) of ethylacetate fractions from the part of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iwayomogi were 0.25~2.0 mg/ml. The MICs of ether fractions were showed higher concentration than those of ethylacetate fractions. The fractions of Artemisia iwayomogi showed lower MICs than frac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found in young shoots and leaves of A. capillaris. The young shoots and leaves of the two kinds of Artemisia plants showed higher content of total polyphenol. 본 실험은 인진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의 항미생물활성을 검정한 것으로 추출용매에 따른 항미생물활성은 gram양성균 3종과 gram음성균 2종 모두에서 ethylacetate추출물들이 ether추출물들보다 전반적으로 높았다. 실험미생물 중 B. subtilis와 B. cereus에 대한 추출물들의 활성이 다른 실험미생물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났으며 더위지기 추출물들이 사철쑥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보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최소저해농도는 ethylacetate추출물이 ether추출물보다 낮은 농도에서 대부분의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더위지기와 사철쑥 부위별로는 잎과 줄기에서 잎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더위지기 추출물들의 최소저해농도가 사철쑥 추출물들보다 낮았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사철쑥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27.5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잎 추출물에서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Gold care 의 영양식품 소재화를 위한 신령주름버섯의 성분분석

        서경순,김경제,반승언,정후길,오현희,양희선,박태영,최봉석,장은경,김유선,김민경,고영우,김진경,황금별,진성우 한국버섯학회 2013 버섯 Vol.17 No.1

        주름버섯목의 주름버섯과에 속하는 신령주름버섯(Agaricus blazei Murr.)은 주로 남미의 브 라질 동남부 상파울루 지방의 부식질이 많은 산지에서 자생한다. 신령버섯은 혈당강하, 혈압 강하 및 콜레스테롤을 저해하며, 면역을 증진하고 암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신령주름버섯의 기능성 물질을 활용하여 항산화 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신령주름버섯의 조단 백, 아미노산, 무기성분 그리고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신령주름버섯의 총아미노산 의 함량은 7,815.96 mg%로 나타났으며, 그 중 필수아미노산인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histidine 및 lysine의 함량은 3,287.03 mg%로 나타났다. 신령주름버섯의 무기성분 함량은 칼륨(K)이 2,407.96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 나트륨, 그리고 칼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신령주름버섯의 β-glucan 함 량은 14%로 나타났다. 신령주름버섯은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나 환자, 노인들을 대 상으로 한 의․영양식품개발의 소재로 잠재력이 크다고 본다. 사 사 : 본 연구는 산업통산자원부 지역특화기술융복합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 KCI등재

        부산진일신여학교와 호주여선교사의 항일정신- 벨라 멘지스․마가렛 데이비스를 중심으로 -

        서경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2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bout 20 missionaries from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conducted missionary work in Seoul. In 1889, Joseph Henry Davies, Korea's first Australian missionary, had a grand dream of Korean missionary work, but died in less than six months after arrival. Joseph Henry Davies' martyrdom in Korea resonated with Australian Victorians about Korean missionary work. In August 1890, the Presbyterian Church of Australia was established. Under the motto of “Mission work of women for women”, the association decided to send the single female missionaries. This is one of the hallmarks of the Australian Missionary Department. The first selected female mission teachers were Belle Menzies·M, Fawcett and J. Perry. They landed in Busan on October 12, 1891, with Reverend Mackay and his wife. The first charity for Australian missionaries is Myoora Orphanage, and they established Busan Jin Ilshin Wowen's School, the first modern women's education institution in Busan, as the number of orphans increased. At that time, Korea was a patriarchal society, and women who were alienated from education took it for granted. However, founder Menzies argued that wives and mothers must be educated in order for developing the nation, and opened a women's education hall to inspire national consciousness and salvation consciousness by enlightening Korean women. Margaret Davis, who became the principal of Ilshin Girls' School in 1914 and watched the end of the school in 1940, was the nephew of Henry Davis, the first Australian missionary in Korea. Margaret's Korean name “Daemagarye” means that she will replace her uncle Henry Davis' spirit of martyrdom in Korea. When Margaret returned to Australia in 1916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Ilshin Girls' Middle School in Busan, she visited the Australian Women's Mission Association and appealed enthusiastically to establish Busan Girls' Middle School. The result was the anti-Japanese demonstrations in the 3.11 demonstration of students at Ilshin Girls' School and Dongrae Ilshin Wowen's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new education from Australian missionaries were able to express their beliefs and arguments strongly, and their action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femal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society. Australian missionaries, who devoted their entire lives to enlightening Korean women's consciousness, were deported to Australia following the decision to close the school following Japan's refusal to force Shrine Greetings. And the first modern women's education institution in Busan disappeared into history.

      • 천주교와 개신교 꽃작품의 특성 비교

        서경순 한국꽃예술학회 2003 한국꽃예술학회지 Vol.5 No.-

        천주교와 개신교 절기의 꽃작품에 있어서 성탄절, 사순절, 부활절을 표현한 작품의 조형적 특성에서 두 종교간의 다른 의식을 꽃작품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에 대하여 비교해 볼 필요가 있으며 각각 표현되는 꽃작품에 있어서 조형적 관점에 따라 세부 관점 별로 차이점을 추출하는 것을 문제로 제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탄절, 사순절, 부활절을 표현한 두 종교의 꽃작품집인 천주교의 전례꽃작품집과 개신교의 성전꽃작품집에 수록되어진 1996-2002년도의 다양한 작품을 통하여 그 조형적 특성을 비교하는 데 있다. 작품의 비교 관점은 두 종교의 성탄절, 사순절, 부활절로 구분하여 조형적 특성 중 공간, 양감, 질감, 색채, 운동, 통일, 균형, 강조, 재료, 형태, 상징성, 장소의 12항목과 69개의 세부 관점별로 비교하였다. 관점별로 공통점과 상이점을 종합하면 공간, 양감, 운동, 통일, 균형, 장소에서는 각 절기별로 두 종교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재료, 형태, 상징성에서는 성탄절, 강조는 사순절, 질감은 부활절에서 두 종교가 각각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모두 12관점 중에서 6관점에서는 모든 절기가 같게 나타났고 6관점에서는 한 절기씩 상이한 점이 나타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서경순,윤경원 한국자원식물학회 200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1 No.4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iwayomogi used as Injin (Korean herbal name) were investigat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s obtained from the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iwayomogi was higher than other fractions. N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observed in hexane frcations.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at pH 1.2, and the peroxide value for linoleic acid was increased during the incubation.

      • KCI등재

        「일본유용수산분류표」의 특징과 편찬 목적에 대한 분석

        서경순,이근우 한국수산경영학회 2023 수산경영론집 Vol.54 No.3

        『일본유용수산지』 편찬과정에서 미리 발간된 「일본유용수산분류표」는 수산 동식물을 하나의 표로 분류·정리한 첫 자료이다. 그러므로 이 「분류표」는 당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다만 동물학회는 이 「분류표」가 전통과 현대적 분류가 뒤섞여 있고, 오류가 너무 많다고 즉각 지적했다. 그러나 「분류표」를 작성한 야마모토 요시카타와 내용의 검토를 담당한 다나카 요시오는 전통적인 분류법의 신봉자도 아니었고, 현대 분류법에 대해서도 무지한 사람도 아니었다. 그럼에도 당시 잘 알려진 동물 분류와는 사뭇 다른 분류표를 작성하였다. 예를 들어, 해양 생물의 상위 분류는 같은 수준의 분류 계급이 아니며, 문(門)과 강(綱)을 함께 쓰고 있다. 수충부에는 절지동물문, 극피동물문, 연형동물문, 강장동물문 등 여러 문(門)이 함께 들어 있다. 이처럼 당시 동물학계에서는 「분류표」의 동물 분류법을 납득하기 어려웠다. 이 특이한 분류법은 「분류표」가 유용한 수산물의 분류를 의도한 것이고, 학술적인 분류를 그대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모든 수산물의 학술적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수산물의 수집·제조·수산업 종사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유용수산지 의 이러한 원칙은 일본수산포채지 나 일본수산제품지 에서도 확인된다. 수산물의 수집·가공과 관련해서 포유류인 고래를 잡는 방법과 고래를 해체하고 기름과 고기를 얻는 방법을 학술적 분류에 따라 보여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 책에서는 마른 오징어, 전복, 상어 지느러미, 해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당시 가장 중요한 수산물이 먼저 제시된 셈이다. 다소 기이한 분류표 내용을 보면 일본유용수산지 의 편찬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 The ‘Japanese Useful Fisheries Classification Table’, published in advance before the publication of the “Useful Fisheries of Japan”, is the first data to classify and introduce fisheries animals and plants in a single table. Therefore, it had received public attention immediately. However, The academy of animal studies at that time quickly pointed out that this classification table was a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 classifications, and that there were too many errors. However, Yoshio Tanaka, who was in charge of revising Yamamoto Arikatana, that wrote the classification table, was not an adherent of traditional taxonomy, nor was he ignorant of modern taxonomy. Nevertheless, the classification table, which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well-known zoological classification at that time, was prepared. For example, the top classifications of marine organism are not at the same level, but rather a mixture of phylum and class, while the water insect contains several phylums, including Arthropoda, Echinodermata, Mollusca, and Coelenterata. As such,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animals in the classification table was hard to understand in the zoological academy at that time. The reason for this unusual taxonomy was that the classification table showed classification of useful fisheries products, not intended to convey academic classification. In other words, it is not for the purpose of academic classification of all fishery products, but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standard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engaged in the collection, manufacture, and aquaculture of fishery products. This principle of ‘Useful Fisheries of Japan’ is also ascertained in the “Fishing Methods of Japan” and “Fishery Products of Japan”. Regarding th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marine products, it could have shown how to catch whales, which are mammals, and how to dismantle whales and obtain oil and meat, according to academic classifications. However, the first appearances in the book include dried squid, abalone, shark fins, and sea cucumbers. In other words, the most important fishery products at that time are presented first. The contents of the classification table, which is considered somewhat bizarre, show where the purpose to compile Useful Fisheries of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