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호행위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인식차이

        변준혜,이은경,최선진,홍미경,이성수,이효실,최정선,황명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1995 이화간호학회지 Vol.- No.28

        간호는 그 본질이 도움이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건강을 유지 증진, 회복, 질병 예방을 위해 필요한 지식, 힘, 의지를 제공하여 스스로 자기 간호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환경과 상호 작용하므로써 보다 건강한 상태로 나아가는 과정이다(Jhonson : 1974, Henderson : 1966, Widenbach : 1964, Rogers : 1970, Fawcter : 1984). 이러한 본질을 실현하기 위한 간호활동은 환자의 요구(혹은 건강문제)를 충족 혹은 해결해주기 위한 돕는 과정 (Helping Process)으로 간호사와 환자가 관계를 수립하여 환자의 요구에 대한 사정, 계획 그리고 수행 및 평가를 함에있어 간호의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하겠다(Yura 1973). 건강이 인간의 권리로서 인식되고 과학기술과 정보의 발달에 따라 의학지식의 보급이 급증하여 일반대중은 보다 지적이고 차원높은 간호를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의료보험의 확대와 우르과이라운드에 따른 산업의 개방화로 인해 모든 환자가 양질의 간호를 자신들의 요구대로 선택하여 받고자 한다. 이에 따라 각 의료기관은 보다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김문실 1994, 이상미 1994). 최근 간호학이 과학적 지식체로서 하나의 독립된 영역으로 확고하게 자리잡고 발전되어 가고 있는 반면, 간호 현장인 임상에서는 대상자와 간호사간에 간호에 대한 인식차이로 환자의 간호요구와 간호사의 간호행위 사이에 갈등과 불만을 축적시켜 환자는 간호사에 대한 불신감을, 간호사는 자신의 업무에 대한 불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불신감과 불만족감은 환자로 하여금 간호사보다는 간병인이나 보호자에게 간호를 의존하게 하고 간호사는 전문인으로서의 자존감을 상실하게 되어 국민건강관리가 왜곡될뿐 아니라 임상간호의 발전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김문실 1994, 이상미 1994). 이에 본 연구자들은 간호행위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인식 차이를 파악하여 환자의 간호요구를 충족시키고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다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행위에 대해 간호사가 환자보다 더 높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2.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근무경력, 교육정도에 따른 간호행위에 대한 인식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역할 변화 경험

        김현주,구정일,변준혜,김수미,최화숙,Kim, Hyun-Joo,Ku, Jeong-Il,Byun, Jun-Hye,Kim, Su-Mi,Choe, Wha-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역할 변화 경험이 무엇인지 조사하여 호스피스서비스의 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로서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내 일 대학병원의 호스피스병동 간호사 12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06년 5월에서 7월 사이에 3차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사용된 연구 질문은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면서 경험한 역할변화는 무엇인가?", "호스피스 간호를 하면서 변화된 역할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반응은?" 이었으며 3차 인터뷰에서는 위의 두 가지 질문과 함께 "호스피스 환자를 간호하면서 경험한 부담감과 어려움을 위한 해결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추가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Kruger(1998)가 제시한 분석과정에 따라 4단계 지침을 이용하였다. 결과: 1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가 경험한 역할 변화는 '기계적인 간호에서 인간적인 간호로의 변화', '임종을 지키는 간호', '가족지지 및 상담', '팀워크 조율' 등의 4개 범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병동에서 근무할 때와 비교하여 심리사회영적인 부분과 가족을 배려하는 진호실무의 질적향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변화된 역할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과 반응은 두려움, 난감함, 성숙, 부담감, 미안함, 뿌듯함, 감정이입, 우울 등 총 8개의 범주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사들이 개인적으로 삶과 죽음에 대한 성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3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두려움, 난감함, 부담감, 미안함 등의 부정적인 경험의 감소를 위한 해결책은 호스피스 간호를 수행하기 전에 간호사 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호스피스 교육이 필요하고 호스피스 전용병상의 형태보다는 독립 호스피스 병동의 개설이 필요함을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간호하는 간호사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통해 신체적인 면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영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전인간호, 가족을 배려하고 팀?p을 중시하는 발전된 간호를 수행하게 되었으며 개인적으로도 삶과 죽음을 이해하게 되는 성숙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호스피스간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독립적인 호스피스 병동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호스피스 병동에 근무하게 된 간호사들이 사전에 적절한 호스피스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various role changes of nurses who have cared both medical cases and hospice patients and what they experienced.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done 3 times and participants were 12 nurses who have worked in the hospice unit of medical ward. Results: Role changes in 4 areas such as holistic care, end-of-life care, care fur rare givers, and coordination of hospice team were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What they felt were as follows : fear, confusion, maturation, increasingly labor, regret, accomplishment, sympathy and depression. Conclusion: Although hospice care in general medical ward added extra tasks, it helped clinical nurses recover professional identity and led to growth of nursing by acquiring new knowledge and skill in hospice care.

      • KCI등재후보

        일 대학부속병원의 임상연구활동의 관련요인 연구

        김미영,김선영,김예영,변준혜,정윤영 병원간호사회 2002 임상간호연구 Vol.8 No.1

        The nurse in clinical practice must demonstrate a scientific base for practice grounded in research findings. The pressure for research to be incorporated into nursing practice is increasing, and there are growing demands for nursing to demonstrate the research for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rse's perception of the relating factors of the research activity in nursing practice. The sample was consisted of 186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 1. The 3 greatest barriers of research activity in nursing practice were : The nurse is not felt the value of the research in practice(3.78). The nurse is not believable the result of the research(3.57). The content of the research is not related to the practice(3.34). The variables such as education level, nurses' interest in research ha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barriers. 2. The 3 greatest facilitators of research activity were : The administrative support and encouragement are enhanced(4.37). The various books and journals are prepared in hospital(4.28). The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colleagues and doctors are provided(4.26). 3. The most 3 difficult knowledge of research activity were : the statistical analysis(3.703). the study design(3.54), the results interpretation(3.53).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use of research findings in nursing practice remains low. Therefore, identifing the barriers, the facilitators, and the necessity of knowledge perceived by clinicians offers the nursing organization the necessity to provide strong support and encouragement.

      • 혈액투석 환자와 투석실 간호사가 기대하는 투석실 간호사의 역할 분석 연구

        이재순,김경숙,김미영,변준혜,오수미,구보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동대문병원 간호부 2004 임상간호연구지 Vol.7 No.-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가 기대하는 투석실 간호사의 역할과 투석실 간호사가 기대하는 투석실 간호사의 역할을 비교, 조사하여 혈액투석 환자와의 관계형성과 간호 업무 수행 시 일어나는 간호사와 환자와의 갈등을 줄이고 질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수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본원 혈액투석 환자 5명과 혈액투석실 간호사 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04년 8월부터 10월까지 직접 면담에 의해 수집되었고 분석방법은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와의 직접 면담을 통하여 나온 의미있는 진술은 96개이고 진술한 내용 중 유사한 내 용을 묶어 분류한 결과 환자는 15개의 주제모음과 6개의 범주, 간호사와 면담해서 나온 의미있는 진술은 72개이고 10개의 주제모음과 6개의 범주로 분류 명명되었다. 2. 간호사와 환자는 신체적인 간호측면, 환경관리 측면, 심리적인 간호측면, 중간자적 역할 측면의 4가지 범주에서 공통적으로 간호사에 대해 기대하는 역할이 있었고 나머지 2가지 범주에서는 기대하는 역할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혈액투석 간호 실무에서 질적이고 전문적인 혈액투석 간호와 혈액투석 환자와의 관계형성 및 갈등을 해소하는데 유용한 정보가 될 뿐만 아니라 이 분야의 연구에 밑바탕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1.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투석기간에 따라 환자들의 간호요구가 다를 것이라고 생각되어 그에 따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2. 환자와의 정기적인 면담을 통해 환자들의 요구를 사정하여 실무에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