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 매체와 매스 미디어의 피드백 - 1980년대 박현기의 비디오 작업을 중심으로

        박혜연(Park Haeyu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2 No.-

        본고는 1980년대 초 박현기(朴炫基, 1942-2000)의 비디오를 포함한 일련의 작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매스 미디어에 대한 비판과 매체에 대한 성찰이 어떻게 그의 작업을 통해서 드러났는지 살펴본다. 박현기가 1979년 발표한 《비디오 돌탑》 연작은 잘 알려져 있지만, 1980년대 들어서 박현기가 시도한 비디오 설치 및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미술적 실험들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본고는 박현기의 작업을 한국의 텔레비전 방송 환경과의 접점에서 고찰하고, 영상 매체와 매스미디어에 대한 미술사적인 담론 속에 자리매김한다. 먼저, 국내 미디어 시대의 개막을 개관함으로써, 박현기가 비디오와 같은 새로운 영상 매체를 실험하게 된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어서 비디오 아트를 포스트-매체 조건과 피드백의 논리로 정의한 서구의 미술사 담론과 미술의 매체 실험을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하는 미디어와의 관계에서 논의한 한국 미술계의 논쟁을 통해서 박현기의 예술적 문제의식을 추적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1980년대 초 박현기의 두 가지 작업―《도심지를 지나며》(1981)와 《전달자로서의 미디어》(1982)―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박현기가 어떻게 매스 미디어에서 영상 테크놀로지가 작동하는 논리를 다른 방향으로 전용하여, 비디오를 자연의 물질과 인공물, 그리고 인간의 신체를 매개하는 프로세스로 새롭게 재구성했는지 밝힌다. This paper examines how Park Hyunki’s video works in the early 1980s demonstrate an investigation of video as an artistic medium through a critical appropriation of mass media. While Park’s Video Stone Tower series (1979-1980) are well known to the public, his multifaceted experimentations that explored video’s potential by bringing it contact with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have been under-recognized. This paper analyzes Park’s work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elevision broadcasting environment in South Korea and positions them within the art-historical discourse on the relation between artistic medium and mass media. First, by examining societal changes brought on by the arrival of color television broadcasting in Korea in the early 1980s, I demonstrate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Park began his experimentation with moving image. Next, I examine Rosalind Krauss’s analysis of video as “post-medium” and David Joselit’s concept of a “parallel relation” between artistic medium and commercial media, as well as the artistic debate in Korea to discuss how a formal experimentation with medium can be understood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media that emphasizes communication with the masses. Focusing on two works by Park – Pass Through the City (1981) and Media as Translators (1982) - this paper illustrates how Park appropriated the logic of moving image technology in mass media and reoriented video as a process that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man, nature, and technology.

      • KCI등재

        어린 보릿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재료 혼합비의 최적화

        박혜연,장명숙,Park, Hae-Youn,Jang, Myung-Sook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um ratio of ingredients in the Sulgidduk with barley(Hordeum vulgare L.) sprout powder. A mathematical analytical tool was employed for optimization of the typical ingredients. The canonical form and trace plot showed the affect of each ingredient in the mixture against the final product. Mixture design showed 14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4 replicates fo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were: water($15{\sim}22%$), barley sprout powder($1{\sim}4%$), and sugar($12{\sim}19%$). The optimum responses variables such as color values(L, a, and b), instrumental texture parameters(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and sensory characteristics(appearance, color, smell, taste, softness, mois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evaluated. The Hunter colorimetric L- and a-values of the Sulgidduk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barley sprout powder. As more barley sprout powder was added, a higher b-value resulted. Textural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lowered by the addition of barley sprout powder. The optimum formulation obtained by both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showed similar results. The representative optimal ingredient ratio commonly obtained by both methods were: 18.2% water, 2.0% barley sprout powder, and 14.8% sugar.

      • KCI등재

        사회마케팅 관점에서 본 노인주거 통합형 아파트의 반응 연구

        박혜연,이동주,이연숙,Park, Hye-Yeon,Lee, Dong-Joo,Lee, Yeun-Sook 한국주거학회 2011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2 No.6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 analysis system of social marketing,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sponses made by the future users of the integrated apartments for the elderly that ar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s an alternative for the housing of the aging society. By studying the comprehensive social benefits, individual benefits and the implied factors for conceptual and behavioral changes in terms of the integrated apartments for the elderly, some important study results were obtained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new alternative. The major points are as follows: Firstly, from social aspect, the respondents wanted to know in detail about the integrated apartments for the elderly, the new alternative was evaluated to be helpful in elderly life, and it wa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supporting the elderly people from psychological aspect. Secondly, from supply aspect, it was revealed that an alternative for the integrated apartment for the elderly is required to be developed in details reflecting the diverse needs of the elderly people and to be developed with differentiating strategy, but its applicability may confront some difficulties. Thirdly, from private aspect, the respondents showed they would feel economic burden if an integrated apartment for the elderly is introduced actually.

      • KCI등재

        우울 수준에 따른 가상멀미 경험이 가상현실 기반 신경인지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고령집단을 중심으로

        김인하(Kim, Inha)박정훈(Park, Junghun),이서정(Lee, Seojung),민성(Min, Sung),전주영(Jeon, Juyoung),조건우(Cho, Geonwoo),박혜연(Park, Haeyean),박다솔(Park, Dasol)박수현(Park, Soohyu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고령 집단에서 가상현실기반 평가 및 치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주요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가상멀미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가운데서도 신경인지과제 수행 시, 우울감의 수준에따라 가상멀미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만 50세 이상성인 73명이 (1) 가상현실 기반 신경인지과제, (2) 가상멀미 수준과 우울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감이 클수록 가상현실 프로그램 시행에 따른 가상멀미 변화량이 커지는 경향을 보이며, 준임상 수준 이상에 해당하는 고우울 집단에서는 가상멀미가 가상현실기반 신경인지과제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우울 집단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준임상수준 이상의 고우울 집단에서는 지각된 가상멀미 수준이 가상현실기반 신경인지과제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고령의 우울집단에서 가상현실 치료를 활성화하기 위해, 주요 부작용인 가상멀미의 영향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비롯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imulator sickness, which can be a major obstacle in the use of virtual reality-based evaluation and treatment in the elderly group. Also, the effect of depression level on simulator sickness and a virtual reality (VR)-based neurocognitive task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Seventy-three participants over the age of 50 years completed the (1) VR-based neurocognitive task and (2) self-report questionnaires measuring simulator sickness, and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pression predicts the severity of perceived simulator sickness, and simulator sick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virtual reality-based neurocognitive task in a group with sub-clinical or clinical levels of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Food Styling의 認知와 導入이 外食Service 經營에 미치는 影響

        朴惠涓(Park, Hye-Yeon),金宣希(Kim, Sun-Hee)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07 관광산업연구 Vol.1 No.1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what a consumer who eats out wants and needs in change and development phase of a developing food culture. It is intended to realize how food styling makes a consumer satisfied and then suggest the ways to develop the food styling. In order to em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 have made a questionnaire for a group of consumers about the motives of eating out, the primary factor of food styling and preferences of food styling It consists of four parts. The first part questions the motives of dining-out. The second investigates the importantance of food styling and the primary factor of the food styling. The third inquires about the relevance of food styling in choosing a restaurant. The fourth is to make sure a research material is proper through a question of demography. In this time of many different consumers and varieties of food service, a study based on research data that analyzes food styling's factors and preference is helpful when the food service industry implements food styling. It will enable the study to is effective when the food service industry starts the food styling. As the food service industry utilizes food styling requested by the consumer, they will provide a value added service.

      • KCI등재

        동결건조한 고려엉겅퀴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제조조건 최적화

        박혜연 ( Hae Youn Park ),김병기 ( Byong Ki Kim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4 산업 식품공학 Vol.18 No.2

        본 연구는 한시적으로 이용되는 고려엉겅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동결건조 고려엉겅퀴 분말을 첨가한 생면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고려엉겅퀴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제조 조건을 찾고자 생면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고 려엉겅퀴 분말, 수분 그리고 반죽 시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예비실험을 거쳐 반죽 500 g을 기준으로 하여 이 양을 100%로 하였을 때 고려엉겅퀴 분말 첨가량 2-9%, 수분 첨가량 40-50%, 그리고 반죽 시간 7-20분의 범위에서 반응표면분석법 중 D-optimal design을 이용하였다. 각 설정된 범위 안에서 14개의 실험점이 형성되었고, 4개의 반복점이 선택되어 실험점이 모두 18개가 설정되었다. 각 조건별 실험 결과를 모델링화 하여 F-test를 통해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생면의 색도, texture, 수분 흡수율, 부피, 탁도는 linear 모델로, 기호도의 모든 항목은 quadratic모델로 결정되었다. 모델의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기호도 항목의 냄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probability가 모두 5% 이내의 유의성을 보여주어 모델로서 적합함이 인정되었다. 반응표면과 trace plot의 분석 결과 고려엉겅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는 낮고 황색도는 높아졌다. 텍스처는 고려엉겅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탄력성, 씹힘성이 증가하여 생면의 부드러움이 저하되었다. 수분흡수율은 고려엉겅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커졌으며, 부피는 고려엉겅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면을 삶아낸 후 측정한 탁도는 고려엉겅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흐려졌으며 수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탁도는 감소하였다. 기호도 결과 고려엉겅퀴 분말 첨가량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고려엉겅퀴 분말함량함량, 수분 첨가량, 반죽 시간이 많아질수록 점수가 최대값을 보이다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고려엉겅퀴 분말을 이용한 생면의 최적화에서는 desirability가 0.623에 해당하는 고려엉겅퀴 분말 첨가량 5.76%, 수분 첨가량 42.52%, 반죽 시간 13.86분으로 설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고려엉겅퀴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최적 조건은 고려엉겅퀴 분말 첨가량 5.76%, 수분 첨가량 42.52%, 반죽 시간 13.86분 인 것을 알 수 있었고, 무기질과 섬유소등이 풍부하고 항산화성이 있는 고려엉겅퀴를 이용하여 생면을 제조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was conducted for optimization of th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raw noodle added with leaf powder of Cirsium setidens Nakai, which is rich in various minerals and dietary fibers along with intrinsic antioxidative properties. The level of leaf powder, water content, and kneading time of the dough were selected as three major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the product. Quality parameters of the product such as color, texture, water absorption ratio, volume, turbidity of cooking water, and sensory evaluation result were analyzed as dependent variables. Doptimum design of the complete RSM analyses was adopted for designing the optimum noodle manufacturing procedure. Rang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determined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al work were level of leaf powder, 2-9% (w/w, wheat flour); moisture content, 40-50%; and kneading time, 7-20 min. Within the given ranges of these independent variables, 18 experimental points included in four repetitive runs were obtained for the analyses. The optimum conditions that together satisfy the quality parameters of the raw noodle, as based on the numerical and graphical statistical analyses, were amount of leaf powder, 5.76%; water content, 42.52%; and kneading time 13.86 min. The complete RSM analysis for manufacture of the high quality raw noodle with an added ingredient is suitable for similar application to other products in the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호텔 종사원의 크로스 트레이닝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혜연(Hye Yeon Park),김정아(Chung Ah Kim)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1 호텔경영학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how cross training affects cross training experienced hotel employees`s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o suggest more efficient method of cross training. Also, it proposes the better way of the hotel growth and hotel employees`s career development and their professionalism. From a total of 2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193 us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4.0 statistic packages. The analysis showed that cross training participant``s educational level and attitude affect job involvement, but it did not affect the purpose of education. Also, both cross training and job involvement ha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a overall study on cross training and hotel employees``s satisfaction by departments are not only needed but further study on plenty of hotel employees and the comparison of up selling and customer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cross training also would be needed.

      • KCI등재

        해외진출교사의 적응 전략 연구 :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박혜연(Park, Hye 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진출교사의 적응 전략으로서 사회적 자본의 의미를 밝히고 그 특징을 분석하며, 사회적 자본의 변화과정을 면밀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해외진출교사는 현지 교사로 적응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개인으로서, 전문적인 교사로서 사회적 자본이 “無”인 매우 불안정한 상황을 경험하고, 본인에게 결여된 사회적 자본을 축적함으로써 안정을 취하려는 방향으로 행동하였다. 둘째, 해외진출교사의 사회적 자본의 변화는 특수한 4단계의 변화가 나타났다. 먼저, 강한 연계의 친목 중심 네트워크로 정서적 안정감을 구축한 후, 전략적인 네트워크의 형태로 발달하였으며, 현지 사회의 신뢰구조에 편입하게 되었고, 마지막 단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네트워크를 선별 조절하여 가장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형태로 자리매김하였다. 셋째, 해외진출교사가 형성하는 사회적 네트워크는 공통적으로 해외진출교사에게 결여된 사회적 자본을 ‘획득, 축적, 생산, 유지’하는 기능을 하였다. 목적은 친교/과업으로, 형태는 집단 내부/집단 외부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외진출교사의 사회적 자본의 의미와 변화에 대해 논하였으며 글로벌교육 정책과 교사해외진출사업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언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social capital of international korean teachers in U.S. For the analysis, a case study conducted. Analysis revealed that notable strategies the expatriate teachers used actively for their international adjustment were to form social networks in a new society, and the networks helped them acquire social capital, which is generally defined as social norm, information and trust. Their social network appeared to be various types and functioned differently at each adjustment step. Commonly, the social networks worked as channels not only to retain/accumulate/produce social capital but also to build relationships with people.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following global policies, programs, and similar stud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