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 매체와 매스 미디어의 피드백 - 1980년대 박현기의 비디오 작업을 중심으로

        박혜연(Park Haeyu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2 No.-

        본고는 1980년대 초 박현기(朴炫基, 1942-2000)의 비디오를 포함한 일련의 작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매스 미디어에 대한 비판과 매체에 대한 성찰이 어떻게 그의 작업을 통해서 드러났는지 살펴본다. 박현기가 1979년 발표한 《비디오 돌탑》 연작은 잘 알려져 있지만, 1980년대 들어서 박현기가 시도한 비디오 설치 및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미술적 실험들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본고는 박현기의 작업을 한국의 텔레비전 방송 환경과의 접점에서 고찰하고, 영상 매체와 매스미디어에 대한 미술사적인 담론 속에 자리매김한다. 먼저, 국내 미디어 시대의 개막을 개관함으로써, 박현기가 비디오와 같은 새로운 영상 매체를 실험하게 된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어서 비디오 아트를 포스트-매체 조건과 피드백의 논리로 정의한 서구의 미술사 담론과 미술의 매체 실험을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하는 미디어와의 관계에서 논의한 한국 미술계의 논쟁을 통해서 박현기의 예술적 문제의식을 추적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1980년대 초 박현기의 두 가지 작업―《도심지를 지나며》(1981)와 《전달자로서의 미디어》(1982)―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박현기가 어떻게 매스 미디어에서 영상 테크놀로지가 작동하는 논리를 다른 방향으로 전용하여, 비디오를 자연의 물질과 인공물, 그리고 인간의 신체를 매개하는 프로세스로 새롭게 재구성했는지 밝힌다. This paper examines how Park Hyunki’s video works in the early 1980s demonstrate an investigation of video as an artistic medium through a critical appropriation of mass media. While Park’s Video Stone Tower series (1979-1980) are well known to the public, his multifaceted experimentations that explored video’s potential by bringing it contact with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have been under-recognized. This paper analyzes Park’s work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elevision broadcasting environment in South Korea and positions them within the art-historical discourse on the relation between artistic medium and mass media. First, by examining societal changes brought on by the arrival of color television broadcasting in Korea in the early 1980s, I demonstrate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Park began his experimentation with moving image. Next, I examine Rosalind Krauss’s analysis of video as “post-medium” and David Joselit’s concept of a “parallel relation” between artistic medium and commercial media, as well as the artistic debate in Korea to discuss how a formal experimentation with medium can be understood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media that emphasizes communication with the masses. Focusing on two works by Park – Pass Through the City (1981) and Media as Translators (1982) - this paper illustrates how Park appropriated the logic of moving image technology in mass media and reoriented video as a process that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man, nature, and technology.

      • KCI등재

        제작에서 실천으로: 1970년대 미공투 REVOLUTION 위원회의 영상 작업

        박혜연 ( Park¸ Haeyu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1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7 No.-

        1970년에 타마미술대학(多摩美術大学) 재학생인 호리 코사이(堀浩哉, 1947-)와 히코사카 나오요시(彦坂尚嘉, 1946-)의 주도로 결성된 미공투 REVOLUTION 위원회(美共闘REVOLUTION委員会)는 작업을 통한 미술 표현에 내재된 미술의 근원적인 제도성을 비판하였다. 미공투 위원회의 작가들은 60년대 말 ‘제작의 상실’이라는 모더니즘 미술의 위기 앞에서 그들의 선행 세대인 일본개념파(日本概念派)와 모노하(もの派)가 제작을 회피하고 관념주의 미술을 지향한 것을 비판하며 개인의 자율적인 표현 행위로 여겨졌던 ‘제작’을 집단이 주체가 되어 일상적인 삶의 공간에서 행하는 사회적인 노동, 즉 ‘실천’으로 변환하였다. 미공투 위원회에 대한 기존 미술사학계의 논의는 1970년대 후반 회화 매체를 이용한 작업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되었으며, 1970년대 중반의 영상 작업은 “표현 이전, 예술 이전”의 과도기적인 중간 단계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은 미공투 위원회의 영상 작업을 중점적으로 논의함으로써 기존 해석과는 반대로 당시 그들의 작업이 일상적인 삶의 장소에서 이미 구체적인 예술 표현의 형태로 나타났다고 주장한 글이다. 또한 영상이라는 매체가 “지금, 여기”라는 구체적인 시·공간의 토대 위에 미술을 위치시키고자 했던 미공투 위원회 작가들의 작업에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했음을 본 논문은 학술적으로 조명하였다. Bikyōtō REVOLUTION Committee was organized in 1970 by artists Hori Kōsai (1947-) and Hikosaka Naoyoshi (1946-), who were students at Tama Art University in Tokyo. They recognized that artistic expression itself was fundamentally linked to the institutionality of art and sought to critique the structural problem of “art as institution.” They criticized that the Japanese conceptualists and Mono-ha, faced with the crisis of modernist art in the late '60s, avoided “making” by taking a contemplative approach to art. Instead, they sought to transform “production,” which was considered an individualistic and autonomous activity, to “practice,” a collective form of social labor that unfolds in the space of everyday life. Art historical scholarship on Bikyōtō REVOLUTION Committee has focused on the artists’ paintings in the latter half of the 1970s, while relegating their moving image works in the first half of the decade as a transitional period of “pre-expression, pre-art.” Contrary to this evalu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group's moving image works in the first half of the decade and argues that they had already appeared as concrete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that unfolded in the specific time and space of daily life. Furthermore, this paper demonstrates how moving image media provided a theoretical and praxis-oriented foundation to the work of Bikyōtō REVOLUTION Committee, which sought to position art firmly on the grounds of the “here and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