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에듀테크

        박지수,길준민,Park, Ji Su,Gil, Joon-M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9 No.11

        에듀테크는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된 단어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이다. 이는 4차 산업혁명의 빅데이터(Bigdata), 인공지능(AI), 로봇,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차세대 교육을 의미한다. ICT에서의 교육은 온라인 강의로 이러닝(e-Learning)이 사용되고 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교육에 대한 수유가 급증함에 따라 이러닝과 함께 에듀테크가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배지서비스 플랫폼, 시뮬레이션 기반 협동형 이러닝 시스템, 동영상 영어사전,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의 접근제어 감사시스템에 대한 심사 완료된 논문들을 분석한다. Edutech is a compound word of education and technology, and is an educational paradigm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refers to next-generation education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s, and virtual reality (V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Learning is being used as an online lecture for education in ICT, but edutech is attracting attention along with e-learning as the feeding of non-face-to-face education has rapidly increased due to COVID-19. Therefore, this paper summarizes the reviewed papers on the blockchain-based badge service platform, simulation-based collaborative e-Learning system, video English dictionary, and blockchain-based access control audit system.

      • KCI등재후보

        디지털 TV EPG 사용자 요구 기능 도출 및 워킹 프로토타잎 개발

        박지수,이우훈,류동석,Park, Ji-Su,Lee, U-Hun,Ryu, Dong-Seok 대한인간공학회 2004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3 No.2

        Multichannel on digital TV not only gave opportunities to the TV audience to view a wide range of programs. but also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search for the program which they plan to view among over 1000 programs broadcasted on more than 100 channels. In this paper the functions of EPG (Electronic Program Guides) required by the users on digital TV were derived from the systematic analysis of multichannel viewing situations. In the situation analysis the situations where they viewed programs on more than 100 channels were generated systematically and the viewing processes in those situations were analyzed to identify user needs and derive the required functions of EPG. We surveyed the viewing behavior of the audience who subscribed to a digital satellite broadcast. SkyPerfecTV. in Tokyo. Japan. The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functions derived from the situation analysis and to identify hidden user needs which were difficult to in the situation analysis. The functions were implemented on a working prototype of EPG based on a digital TV simulator which broadcasts 500 programs on 100 channels and can be controlled by three working prototypes of personal remote controllers. The working prototype will be used in Participatory Design to make it possible for the users to experience and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required functions of EPG and also find problems in user interface design of EPG

      • KCI등재

        고효율 및 고출력 태양광 모듈을 위한 셀 스트링 연구

        박지수,황수현,오원제,이수호,정채환,이재형,Park, Ji Su,Hwang, Soo Hyun,Oh, Won Je,Lee, Su Ho,Jeong, Chae Hwan,Lee, Jae Hyeong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8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1 No.5

        In this work, we conducted a study on cell strings of high efficiency and high power solar cell modules via simulation.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by connecting cutting cells divided into four parts from 6-in size us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ECA). The resistance of the ECA added in series connection was extracted using an experimental method. This resistance was found to be $3m{\Omega}$. Based on this simulation, we verified the change in efficiency of the string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cutting cell connections. Consequently, the cutting cell efficiency of the first 20.08%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20.63% until the fifth connection; however, for further connec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iciency was saturated to 20.8%. Connecting cutting cells using ECA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string;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fabricate modules with high efficiency and high power.

      • 농산물 중 살균제 Fenpicoxamid의 시험법 개발

        박지수 ( Ji-su Park ),윤상순 ( Sang-soon Yun ),이한솔 ( Han Sol Lee ),이수정 ( Su Jung Lee ),구선영 ( Sun Young Gu ),신혜선 ( Hye-sun Shin ),강성은 ( Sung Eun Kang ),정용현 ( Yong-hyun Jung ),윤혜정 ( Hae Jung Yoon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Fenpicoxamid는 신규 개발된 자낭균류에 효과적인 살균제로 Zymoseptoria tritici에 의한 밀의 잎마름병 방제에 사용되고, 바나나에서 발생하는 Mycosphaerella fijiensis에 의한 Black Sigatoka의 방제에 사용한다. 국외의 경우 유럽에서는 밀, 호밀 등 315품목에 대하여 0.01-0.6 g/kg으로 잔류 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고 농산물 중 잔류물의 정의는 모화합물로 규정되어 있다. 코덱스의 경우 바나나에만 0.15 mg/kg, 미국의 경우 바나나 등 3품목에 대하여 0.1-0.6 mg/kg으로 기준이 설정되어 있고 잔류물의 정의는 모두 유럽과 동일하다. 국내의 경우 fenpicoxamid의 잔류허용기준이 신설될 예정으로 잔류물의 정의는 모화합물로 규정하여 관리할 예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중 잔류하는 fenpicoxamid를 분석하기 위한 공정 시험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Fenpicoxamid를 다양한 매트릭스에서 동시분석하기 위하여 선택성과 감도가 우수한 LC-MS/MS를 분석기기로 사용하였다. 검체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 후 2회 진탕 추출하여 HLB cartridge로 정제 하는 조건으로 최적의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다. Fenpicoxamid의 직선성은 r2≥ 0.99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25, 0.01 mg/kg으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대표 농산물 5품목(현미, 감자, 대두, 감굴, 고추)에 대하여 정량한계, 정량한계 10배, 정량한계 50배 수준으로 회수율 실험한 결과 평균 회수율(5반복)은 75.4-109.8%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16% 이하로 정확성 및 재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GL 40-1993, 2003)의 잔류농약 분석 기준 및 식품의약 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하게 수행되었으며, 향후 공정시험법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하수관거의 최소 설계유속 개선 연구

        송양호(Song, Yang Ho),이윤희(Lee, Yun Hee),이정호(Lee, Jung Ho)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5

        계획수량을 기준으로 하수관로의 최소 설계유속이 설정되어 있으나 단일기준만으로는 합리적인 설계안 도출에는 한계가 있다. 현행 최저유속과 같은 일관된 기준이 관로 내부로 유입되는 입자들을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지에 대해서 검토가 필요하다. 하수관로시스템 내부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침전물의 농도, 비중, 입경 그리고 관 재질의 특성에 따라 최소 설계유속과 경사를 결정할 수 있는 설계안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관로 내부 수리학적 특성 검토과정에 필요한 유체-고체 다상유동을 모사한 결과를 기반으로 입경별 최소 설계유속에 대해 검토하였다. 국내⋅외 하수관거의 최소 설계유속 기준을 조사하고 연구결과와 비교하였으며 퇴적물을 고려한 최소 설계유속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해당식은 토립자의 크기와 관 직경의 관계를 포함하며 실무에서도 손쉽게 추정이 가능하다. The minimum design velocity for sewage pipes is set based on the planned quantity; however, deriving a reasonable design with only a single standard is limited. Thus,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consistent standards, such as the current minimum flow velocity, can efficiently transport the particles flowing in pipes. Improving the design that can determine the minimum design velocity rate and slop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specific gravity, particl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ipe material of the sediment flowing into the sewer system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e minimum design velocity for each particle size was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of fluid-solid multiphase flow required for the review process of hydraulic properties inside the pipe. The minimum design velocity standard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wage system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nd a minimum design flow rate prediction equation was proposed considering the sedimentation. The equation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le size and pipe diameter and can be easily estimated.

      • KCI등재
      • KCI등재

        Isosorbide가 함유된 바이오 기반 PET와 polycarbonate 블렌드의 제조 및 특성 연구

        박지수(Park, Ji-Su),남병욱(Nam, Byeong-Uk),박준서(Park, Jun-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2

        PEIT는 옥수수와 같은 재생 가능한 자원에서 유래한 isosorbide monomer를 이용하여 bio-contents를 함유하고 있는 PET이다. 하지만 isosorbide contents가 향상될수록 기계적물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고 있는 polycarbonate를 이용하여 PEIT의 단점을 보완하고, 또한 PEIT를 이용하여 PC의 인장신 율 향상을 통해 성형가공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축압출기를 통해 제조한 PEIT/PC 블렌드에서 polycarbonate가 모 폴로지, 유리전이온도거동, 열적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FE-SEM, DMA, TGA, UTM 및 Izod impact tester를 통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로써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진 polycarbonate는 PEIT와 상용 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PEIT25PC75 조성에서 열적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의 향상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Poly(ethylene-co-isosorbide terephthalate) (PEIT) is interest in polymer which has isosorbide monomer that is renewable resources such as corn. However, there is important drawback which is low mechnical properties as increasing isosorbide contents. In this study, polycarbonate used to make up for drawback of mechanical properties of PEIT. In addition, PEIT used to improve the tensile elongation of polycarbonate because PEIT has good sheet proccessability. The effect of polycarbonate on morphology,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using FE-SEM, DMA, TGA, UTM, and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tester. As a result of this study, PEIT/PC blends were in compatible system and polycarbonate can act as an improvement of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bl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