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욱 첨가 설기떡의 품질특성 및 관능적 특성 연구

        박은혜,김명희,Park, Eunhye,Kim, Myunghee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8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3 No.2

        In this study, Seolgi Tteok was made in order to increase consumption of Geuk, which possesses numerous nutritional advantages, and its optimum content as a new food coloring for rice cake was determin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QDA) of Seolgi Tteok, in which Geuk was added at 0, 4, 8, and 12%, was conducted. Consumer acceptability test was also conducted. As the amount of added Geuk increased, moisture content of Seolgi Tteok increased as well. Brightness (L-value)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nd more Geuk resulted in higher values of red index (a-value) and yellow index (b-value), which corresponded to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As result of the mechanical texture measurement, only adhesiveness and resilienc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QDA, 17 sensory characteristic terms were assessed. Among them, only 13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sensory characteristics, almost all of them except for taste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Geuk. The aroma and taste of Geuk were not largely influenced. It can be suggested that Geuk is not a factor that strongly influences flavor. In conclusion, Geuk does not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taste or aroma of Seolgi Tteok but does on color characteristics. It can be suggested that Geuk is qualified as a coloring material for food, and the reasonable addition amount is 8%.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Geuk can be considered as a coloring material for other types of rice cake, traditional Korean sweets, and even confectioneries as well as for Seolgi Tteok. This implies that Geuk can be utilized to develop various new products as a coloring material with abundant nutritional content,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Geuk consumption.

      • KCI등재

        노인의 종교적 성숙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 연구

        박은혜,Park, Eunhye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7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된 한국교회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 종교적 성숙의 과제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 종교적 성숙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인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해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 및 개발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위한 교회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노인교육의 방향과 과제가 종교적 성숙이 되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인간 삶의 여러 영역에서 종교적 성숙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관련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종교적 성숙의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 성서적 및 신학적 성숙의 개념과 종교심리학적 성숙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종교적 성숙에 있어서 중요한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하나님 이미지 개념과 성숙한 인간 삶과 관련 있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노인의 종교적 성숙을 위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올바르게 맺도록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 및 개발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을 지적, 정서적, 행위적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지적인 차원의 교육으로 성서적 및 신학적 하나님 개념을 교육하는 것과 지속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으며 성장과 성숙이 필요한 존재로 노인 스스로를 인식하도록 교육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정서적 차원의 교육으로 노인들의 하나님 이미지의 기원과 형성 과정에 대한 성찰 및 확인하도록 교육할 것과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 치유하기 위한 교육 상담적 접근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행위적 차원의 교육으로 다음 세대의 신앙교육에 있어서 부모와 조부모의 역할에 대해 교육할 것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삶으로 나타나도록 실천을 유도하는 교육방법을 사용하여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that religious maturity is necessary for the healthy life of the aged of Korean churches in the rapidly aging society. It is also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positive image of God for relations with God, which is essential factor in religious maturity. To this end, this study argues that the direction and task of senior education should be religious maturity through the search for prior research on church education of senior citizens. This study also looked at the variables involved in how religious maturity affects many areas of human life. To achieve the task of religious maturity,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concept of maturity and religious psychological concepts of maturity are summarized, and the concept of God's image for relations with God, which is important in religious maturity,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mature human life are examined. This study was proposed methods of church education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positive image of God in order to have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for the religious maturity of the elderly on intellectual, emotional and behavioral levels. In the intellectual aspect, it was proposed to educate the concept of biblical and theological God and and to educate the elderly to recognize themselves as beings that need to grow and mature in order to constantly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God. In the affective aspect, it was proposed to educate the elderly to reflect on and identify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God's image and to heal their distorted God's image with an educational counseling approach. In the behavioral aspect, it was suggested to educate their roles of faith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as parents and grandparents and to educate using educational methods that induce them to practice their relationship with God to appear in daily life.

      • KCI등재

        Feasibility Study of Applying the Acrylic Assistant Equipment (ACR) to Reduce Patient's Discomfort in Lower Abdomen MRI Scan

        박은혜,이민식,Park, Eunhye,Lee, Minsik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4

        하복부 MRI 검사에서 환자는 body array coil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검사를 받는다. 이 연구에서는 아크릴 보조장치(ACR)를 설계하여 코일과 환자의 비접촉식 스캔을 가능하게하고, ACR을 이용해서 획득 한 영상을 ACR 없이 얻은 영상와 비교하여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Ingenia 3.0TTM MR 시스템과 dStreamTM torso coil (Philips Healthcare, Netherlands)을 사용하여 10건(F : 5, m : 5)을 테스트하였다. 대표적인 두가지 pulse sequence(T1 AXE TSE, eTHRIVE (GRE))를 사용하여, 스캔 한 영상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정성적으로 보면, TSE는 ACR의 유무에 관계없이 4.44와 4.56의 평균값을, GRE에서는 각각 4.34와 4.28을 보여준다. 정량적으로, TSE는 ACR 유무에 관계없이 12.15 CNR, 17.95 SNR 및 12.71 CNR, 18.96 SNR을 보였으며, GRE는 ACR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각각 17.72 CNR, 22.59 SNR 및 18.26 CNR, 24.47 SNR을 보여주었다. 즉, ACR의 사용이 환자를 편안하게 하지만, 화질에는 큰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하복부 환자의 MRI 검사용 아크릴 보조 장치를 설계하고 적용해보았다. 우리의 결과는 환자와의 물리적 접촉없이 현재의 복부 MRI 스캔과 유사한 이미지 품질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lower abdominal MRI scan, patients have been tested by physically contacting with the body array coil. In this study, we have designed the acrylic assistant equipment (ACR) which allows the contactless scan of the patient to the coil and evaluated the feasibility by comparing the acquired images with ACR to those obtained without ACR. We tested 10 cases (F: 5, m: 5) by using the Ingenia $3.0T^{TM}$ MR system and dStreamTM torso coil (Philips Healthcare, Netherlands). We implemented T1 AX TSE and eTHRIVE (GRE) techniques. The scanned images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sessed. In qualitatively, the TSE shows 4.44 and 4.56 mean values with and without the ACR and 4.34 and 4.28 at the GRE, respectively. In quantitatively, the TSE shows 12.15 CNR, 17.95 SNR and 12.71 CNR, 18.96 SNR with and without the ACR. And GRE shows 17.72 CNR, 22.59 SNR and 18.26 CNR, 24.47 SNR with and without the ACR, respectively.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acrylic assistant equipment to lower abdominal patients. Our data indicate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similar image qualities to current lower abdominal MRI scan without the physical contact to the patient.

      • SCOPUS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의 언어발달

        박은혜(Eunhy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5 No.1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의 언어 발달적인 측면은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사용하는 이유와 사용 시작 시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언어 능력, 그리고 기타 장애의 정도 등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지만, 이들의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의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 방법론적인 이슈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연구들에 의해 밝혀진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으로 인하여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언어발달 촉진을 위한 교수방법들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론적인 이슈들에서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외적 요인들에 대한 논의와 연구설계 및 기존의 언어발달 연구와 동일하게 볼 수 없는 각종 변인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보완·대체의사소통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음운론, 구문론, 화용론, 의미론적인 면으로 나누어 논의하였으며, 언어발달 촉진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교수방법에 대한 분야는 상징 디스플레이의 구성적인 측면과 언어 환경 구성, 직접적인 교수방법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 articles investigate the language developmen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 ser s . Due to the unique nature of AAC, however , there are numerous unsolved is sues on this topic. In this paper , discussions are organized around the following is sues :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 effect of AAC on language development , and pos sible AAC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language development of AAC user s. Fir st argument s on the meaning of language development for AAC users and research methodological problems were researched. Second, the effect of AAC were discu s sed in r elat ion t o fiv e domain s of languag e: pr agmat ics , ph on ology , s emant ics , morphology, and syntax . Third, various AAC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reviewed in respect to possible contribution to the language development of AAC user s. Symbol organization and teaching methods were discu ssed. Lastly ,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AAC user s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was explained.

      • KCI등재후보

        수치의 윤리관 - 이금이 장편동화 『너도 하늘말나리야』의 경우

        박은혜 ( Park Eunhye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20 한국문화기술 Vol.29 No.-

        『너도 하늘말나리야』는 20여 년의 시간 동안 절판되지 않고 꾸준히 출간되는 이금이의 장편동화다. 현재까지 판매 부수만 60만 부에 달하는 『너도 하늘말나리야』는 국내 창작동화의 대표적인 스테디셀러로서 명실공히 자리매김한 작품임에는 틀림이 없다. 또한 동화는 특정 독자층을 상정하여 발간된다. 이는 작품의 윤리관을 통해 해당 독자층의 보다 올바른 성장을 도모하는 동화의 목적의식을 나타낸다. 작가의 특수한 윤리적 성찰이 내포된 작품만이 동화의 교육적 효과와 더불어 문학성 또한 지닌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작품이 성장의 좋은 밑거름이 되어 대상 독자에게 오랫동안 읽힌다. 바로 『너도 하늘말나리야』가 그러하다. 이금이의 『너도 하늘말나리야』는 작품만의 독특한 윤리관을 내포한다. 이는 ‘수치심’을 느낀 인물이 보다 올바른 가치 체계를 재정립하고 성장하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회에서 인간은 타인과 여러 형태의 관계를 맺고 살아간다. 다양하고도 복잡한 사회의 여러 관계 속에서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지 않으며 ‘수치’를 느끼지 않는 자를 도덕적인 인격을 갖췄다고 보기는 힘들다. 때문에 타인의 관계 안에 투영하는 자의식 과정인 ‘수치’를 윤리적 정서로서 다루기에 충분하다. 이에 본 연구는 『너도 하늘말나리야』에서 드러난 ‘수치’의 감정을 살펴 인물의 내면적 성찰 과정을 도출하고, 나아가 『너도 하늘말나리야』의 ‘수치의 윤리관’을 특정 짓고자 한다. 이는 『너도 하늘말나리야』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와 다른 지향점을 지니며, 무엇보다 아동문학 연구에 있어 ‘수치’에 대한 새로운 윤리관을 제기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Neodo Haneulmallaliya』 is a full-length children’s story by Lee Geum Yi that has continuously been in print for the past twenty years. With almost 600,000 copies sold to date, 『Neodo Haneulmallaliya』 is a representative steady seller among creative Korean children’s stories and it has surely established itself both in name and reality. Also, children’s stories are published for a particular class of readers. This displays the sense of purpose of children’s stories that promote the proper growth of its corresponding readership through the ethics of literary works. Only works that connote the special ethical reflection of the writer can be viewed to possess literary value in addition to educational effects as children’s stories. Such works form foundations for growth and are read for long periods of time by their target readership. 『Neodo Haneulmallaliya』 is that kind of literary work. Lee Geum Yi’s 『Neodo Haneulmallaliya』 connotes its own unique ethics.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how the character who felt ‘shame’ reestablishes a proper value system and grows. In society, people form various types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It is difficult to view those who do not reflect upon their own behavior within various relationships in a diverse and complex society and who do not feel shame as having moral character. Because of this, ‘shame’, which is a self-conscious process that is projected within relationships with others, can sufficiently be dealt with as ethical sentiment. At this, this study observed the sentiment of ‘shame’ in 『Neodo Haneulmallaliya』 to deduce the internal reflection processes of characters and further, specify the ‘ethics of shame’ in 『Neodo Haneulmallaliya』. This study has intention poi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existing studies related to 『Neodo Haneulmallaliya』 and above all,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raises new ethical beliefs regarding ‘shame’ in studies of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슈베르트의 다악장 구조 소나타의 작곡기법에 기초한 슈베르트 즉흥곡 D. 935의 분석 연구

        박은혜 ( Eunhye Park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4 음악교수법연구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슈베르트의 즉흥곡 D. 935를 독립된 단악장 구조의 모음곡이 아닌 다악장의 유기적으로 연결된 소나타 구조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를 찾아 슈베르트 소나타의 영향을 받은 즉흥곡D. 935의 구조를 재조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피아노 연주와 가르침에 있어 작품이 가지고 있는 그대로의 형식 분석만을 고집하는 것이 아닌 작품의 작품 배경과 작곡가의 의도를 통해 새롭게 작품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 연구를 통해 슈베르트의 즉흥곡 D. 935를 단악장으로 연주하기보다는 소나타와 같이 다악장의 세트로 연주하는 것이 보다 작품을 이해하고 작곡가의 의도를 드러내는 연주를 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hubert``s Impromptus D. 935, identifying specific foundations, and its organization as a sonata, and not as a suite of single movement form. Playing Schubert``s Impromptus D. 935 with the understanding of sonata structure, may be helpful to the performers to demonstrate the possible intentions of the composer. This study did not adhere to formal analysis, but placed emphasis on a different interpretation, teaching and performing of Schubert``s Impromptus D. 935.

      • KCI등재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의미와 유아교육의 과제

        박은혜 ( Park Eunhy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2015년 이전 국제사회는 두 가지 축의 교육의제를 가지고 있었다. 하나는 2001~2015년까지 15년간 지속된 새천년개발목표(Millenium Developmental Goals: 이하 MDGS)에 포함된 `보편적인 초등교육의 달성`이고 다른 하나는 1990년에 시작된 `모두를 위한 교육(Education for All: 이하 EFA)이다. 이 두 가지 의제는 2015년 유엔이 채택한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로 통합되었다. SDGs는 교육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흩어져 있었던 많은 국제의제를 하나로 통합한 것으로 2015년 9월 유엔개발정상회의에서는 채택되어 향후 15년간 국제사회의 중요한 정책의 기초가 된다. SDGs는 17개의 목표와 169개의 세부목표로 구성되어 있는데 교육은 4번째 목표에 해당하며 7개의 세부목표 가운데 유아교육이 처음으로 포함되었다. 교육의 다른 분야에서는 이미 SDGs가 가지는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이행 방안까지 연구되었으나 유아교육에서는 아직까지 개념조차 소개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DGs의 수립 과정 및 내용, 이전 국제사회의 교육의제와의 비교를 통해 유아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rior to 2015,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d two agendas for ducation. One is the achievement of `universal primary education` included in the Millennium Developmental Goals (MDGS), which lasted 15 years from 2001 to 2015 and the other was the `Education for All`: EFA below). These two agendas are integrated in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in 2015. In addition to education, the SDGs incorporate many of the international missions that have been scattered so far and have been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Summit in September 2015, laying the foundation for an important polic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next 15 years. The SDGs consist of 17 goals and 169 targets. Education is the fourth goal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included among the seven goals. In other areas of education,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SDGs have already been carried out and the implementation plan has been studied. However, concepts have not yet been introduc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SDG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DGs, content, and education of international society.

      • KCI등재

        내용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어린이미디어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박은혜(EunHye Park),한산섬(SanSeom Ha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영유아 미디어교육을 선도하는 ‘어린이미디어연구’ 학술지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어린이미디어연구’에 투고된 546편의 논문과, 논문에 포함된 1814개의 주제어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빈도분석을 통한 내용분석 방법과 유아교육 정책 시기별로 나누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내용분석의 경우, 한 해에 발간하는 논문의 편수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의 측면에서는 인적대상 중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결과, 1기에서는 ‘유아컴퓨터교육’, ‘교사인식’, 2기에서는 ‘교수효능감’, ‘예비유아교사’, ‘어린이집’, ‘로봇기반교육’, 3기에서는 ‘그림책’, ‘예비유아교사’, ‘로봇기반교육’, ‘유아’, ‘정서지능’, ‘영아’, 4기에서는 ‘그림책’, ‘유아’, ‘유아교사’ 키워드가 시기별 네트워크 내에서 주요한 개념이자 연구주제이면서 다른 주제 및 변인과 함께 많이 다루어진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어린이미디어연구’ 학술지 및 유아교육 학계의 발전을 위하여 사회 및 정책적 변화를 반영하는 연구의 방향성과 학회와 학계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that leads media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546 articles on the ‘Journal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and 1,814 keywords on those artic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content analysis method was perform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was used by divi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ts policy period.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in a year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e most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studies on children were conducted the most among human subjects. As a result of keyword network analysis, 1st Period; “Early Childhood Computer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2nd Period; “Teaching Efficienc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Daycare Center”, “Robot-based Learning”, 3rd Period; “Picture Book”,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Robot-based Learni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nfant and Toddler”, 4th Period; “Picture Book”,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 were found to be the major concepts and research topics within each periods, and they were also the main keywords that were dealt with many other topics an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 to improve the Journal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cademia, the direction of research should reflect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nd the efforts of associations and academia are necessary.

      • KCI등재

        아동복지 프로그램 평가 기준 및 지표 개발

        박은혜 ( Park Eunhye ),정익중 ( Chung Ick-joong ),강현아 ( Kang Hyunah ),노충래 ( Nho Choong-rai ),전종설 ( Chun Jongserl ),우석진 ( Woo Seokj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1 사회복지연구 Vol.52 No.1

        본 연구는 아동복지 분야의 증거기반 프로그램 개발을 확산하고 평가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아동복지 프로그램 평가기준과 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분석하고 현장실무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평가영역과 평가 기준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아동복지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타당도 검증을 하였으며, 내용 타당도가 검증된 아동복지 프로그램 평가기준 및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기준 및 지표를 바탕으로 아동복지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학술논문에서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관찰자 간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최종 지표의 구성은 ‘프로그램 개발과정의 정확성’, ‘프로그램 구조의 신뢰성’, ‘프로그램의 효과성’이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아동복지 프로그램의 증거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criteria and an index for the child welfare program in order to not only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rogram in the child welfare field, but also provide an assessment too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assessment index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programs, and created the domain of assessment and criteria for assessment which in-service staff’s thoughts were reflected on. Afterwards, an assessment criteria and an index for the child welfare program were verified by using the Delphi method in which experts in child welfare participated. Based on developed assessment criteria and index,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child welfare programs in academic journals was verified. The developed assessment index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the accurac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program’, ‘the reliability in the structure of the program.’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important groundwork for invigorating an evidence-based aspect in child welfare program was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