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easibility Study of Applying the Acrylic Assistant Equipment (ACR) to Reduce Patient's Discomfort in Lower Abdomen MRI Scan

        박은혜,이민식,Park, Eunhye,Lee, Minsik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4

        하복부 MRI 검사에서 환자는 body array coil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검사를 받는다. 이 연구에서는 아크릴 보조장치(ACR)를 설계하여 코일과 환자의 비접촉식 스캔을 가능하게하고, ACR을 이용해서 획득 한 영상을 ACR 없이 얻은 영상와 비교하여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Ingenia 3.0TTM MR 시스템과 dStreamTM torso coil (Philips Healthcare, Netherlands)을 사용하여 10건(F : 5, m : 5)을 테스트하였다. 대표적인 두가지 pulse sequence(T1 AXE TSE, eTHRIVE (GRE))를 사용하여, 스캔 한 영상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정성적으로 보면, TSE는 ACR의 유무에 관계없이 4.44와 4.56의 평균값을, GRE에서는 각각 4.34와 4.28을 보여준다. 정량적으로, TSE는 ACR 유무에 관계없이 12.15 CNR, 17.95 SNR 및 12.71 CNR, 18.96 SNR을 보였으며, GRE는 ACR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각각 17.72 CNR, 22.59 SNR 및 18.26 CNR, 24.47 SNR을 보여주었다. 즉, ACR의 사용이 환자를 편안하게 하지만, 화질에는 큰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하복부 환자의 MRI 검사용 아크릴 보조 장치를 설계하고 적용해보았다. 우리의 결과는 환자와의 물리적 접촉없이 현재의 복부 MRI 스캔과 유사한 이미지 품질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lower abdominal MRI scan, patients have been tested by physically contacting with the body array coil. In this study, we have designed the acrylic assistant equipment (ACR) which allows the contactless scan of the patient to the coil and evaluated the feasibility by comparing the acquired images with ACR to those obtained without ACR. We tested 10 cases (F: 5, m: 5) by using the Ingenia $3.0T^{TM}$ MR system and dStreamTM torso coil (Philips Healthcare, Netherlands). We implemented T1 AX TSE and eTHRIVE (GRE) techniques. The scanned images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sessed. In qualitatively, the TSE shows 4.44 and 4.56 mean values with and without the ACR and 4.34 and 4.28 at the GRE, respectively. In quantitatively, the TSE shows 12.15 CNR, 17.95 SNR and 12.71 CNR, 18.96 SNR with and without the ACR. And GRE shows 17.72 CNR, 22.59 SNR and 18.26 CNR, 24.47 SNR with and without the ACR, respectively.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acrylic assistant equipment to lower abdominal patients. Our data indicate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similar image qualities to current lower abdominal MRI scan without the physical contact to the patient.

      • KCI등재

        노인의 종교적 성숙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 연구

        박은혜,Park, Eunhye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7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된 한국교회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 종교적 성숙의 과제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 종교적 성숙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인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해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 및 개발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위한 교회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노인교육의 방향과 과제가 종교적 성숙이 되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인간 삶의 여러 영역에서 종교적 성숙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관련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종교적 성숙의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 성서적 및 신학적 성숙의 개념과 종교심리학적 성숙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종교적 성숙에 있어서 중요한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하나님 이미지 개념과 성숙한 인간 삶과 관련 있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노인의 종교적 성숙을 위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올바르게 맺도록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 및 개발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을 지적, 정서적, 행위적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지적인 차원의 교육으로 성서적 및 신학적 하나님 개념을 교육하는 것과 지속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으며 성장과 성숙이 필요한 존재로 노인 스스로를 인식하도록 교육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정서적 차원의 교육으로 노인들의 하나님 이미지의 기원과 형성 과정에 대한 성찰 및 확인하도록 교육할 것과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 치유하기 위한 교육 상담적 접근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행위적 차원의 교육으로 다음 세대의 신앙교육에 있어서 부모와 조부모의 역할에 대해 교육할 것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삶으로 나타나도록 실천을 유도하는 교육방법을 사용하여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that religious maturity is necessary for the healthy life of the aged of Korean churches in the rapidly aging society. It is also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positive image of God for relations with God, which is essential factor in religious maturity. To this end, this study argues that the direction and task of senior education should be religious maturity through the search for prior research on church education of senior citizens. This study also looked at the variables involved in how religious maturity affects many areas of human life. To achieve the task of religious maturity,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concept of maturity and religious psychological concepts of maturity are summarized, and the concept of God's image for relations with God, which is important in religious maturity,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mature human life are examined. This study was proposed methods of church education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positive image of God in order to have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for the religious maturity of the elderly on intellectual, emotional and behavioral levels. In the intellectual aspect, it was proposed to educate the concept of biblical and theological God and and to educate the elderly to recognize themselves as beings that need to grow and mature in order to constantly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God. In the affective aspect, it was proposed to educate the elderly to reflect on and identify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God's image and to heal their distorted God's image with an educational counseling approach. In the behavioral aspect, it was suggested to educate their roles of faith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as parents and grandparents and to educate using educational methods that induce them to practice their relationship with God to appear in daily life.

      • KCI등재

        게욱 첨가 설기떡의 품질특성 및 관능적 특성 연구

        박은혜,김명희,Park, Eunhye,Kim, Myunghee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8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3 No.2

        In this study, Seolgi Tteok was made in order to increase consumption of Geuk, which possesses numerous nutritional advantages, and its optimum content as a new food coloring for rice cake was determin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QDA) of Seolgi Tteok, in which Geuk was added at 0, 4, 8, and 12%, was conducted. Consumer acceptability test was also conducted. As the amount of added Geuk increased, moisture content of Seolgi Tteok increased as well. Brightness (L-value)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nd more Geuk resulted in higher values of red index (a-value) and yellow index (b-value), which corresponded to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As result of the mechanical texture measurement, only adhesiveness and resilienc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QDA, 17 sensory characteristic terms were assessed. Among them, only 13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sensory characteristics, almost all of them except for taste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Geuk. The aroma and taste of Geuk were not largely influenced. It can be suggested that Geuk is not a factor that strongly influences flavor. In conclusion, Geuk does not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taste or aroma of Seolgi Tteok but does on color characteristics. It can be suggested that Geuk is qualified as a coloring material for food, and the reasonable addition amount is 8%.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Geuk can be considered as a coloring material for other types of rice cake, traditional Korean sweets, and even confectioneries as well as for Seolgi Tteok. This implies that Geuk can be utilized to develop various new products as a coloring material with abundant nutritional content,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Geuk consumption.

      • SCOPUS

        보조공학의 교과과정 내 통합을 위한 방법론적 모색

        박은혜(Eunhye Park),황복선(Bok Sun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과정의 과제를 지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조공학을 적용하고자 할 때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한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주고자, 보조공학이 통합되어지는 네 과정을 주축으로 보조공학을 교과과정 내에 효과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아동의 문제를 개선시키는데 진정으로 유익한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단계 보조공학 통합모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즉, 효율적인 보조공학 통합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네 단계 과정으로 구성되어져야 한다: (1) 적합한 보조공학의 통합을 위한 목표활동의 선택, (2) 개별화된 교육계획안 내에 보조공학 통합을 위한 계획안 작성, (3) 교과과정 내 보조공학 통합 실시, (4) 보조공학의 통합 후, 실시과정의 지속적인 평가. 또한 결론을 통해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보조공학의 통합이 특수교육 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보조공학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확보와 사용 가능한 보조공학의 적극적인 개발 및 보조공학의 실제를 위한 교사훈련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하였다. Assistive technology serve as the window that enables student 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previously lived isolated, dependent live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s full and productive citizens. However , the mere presence of technology does not guar - antee an automatic success for the meaningful improvement s. In order for as sistive tech - nology to make a real difference in education , special education teacher s should examine specific factor s that might affect profoundly on the effect s of it s u se. T 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effective way s to integrate assistive technology into the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four - step proces s that was integrated technology in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and useful solutions that could resolve a variety of complex issues as 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as sistive technology as educational tools. As a result of this paper , we suggested the multi- step assistive tech - nology model to guide really u seful programs for improving or compen sating deficit s of student s with disabilities. T hat is , effective technology integration programs should be consisted of the following four - step integration proces s : (1) selecting target activities for integrating appropriate as sistive devices , (2) developing the technology integration plans linked with the individualized educational plan s, (3) implementing the technology integra - tion plan s in the in structional proces s, and (4)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 evaluating and revising the plan s on an ongoing basis . In conclusion, to establish effective and efficient assistive technology integration into special education, we emphasized the impor - tance of the access to sufficient funding used to acquire assistive devices and services, rapid development of available devices that are potentially appropriate, and adequate training for professionals to implement needed as sistive technology.

      • KCI등재

        교육부 1-6차 교육정보화 종합발전방안과 유아교육의 연계

        박은혜(Park, Eunhye),김교령(Kim, Kyoryou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는 1996년에 시작된 교육부 교육정보화 계획의 수립 시기와 특징, 추진 목표와 과제를 살펴보고, 제시된 과제 중 유아교육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과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차부터 6차까지 이어진 교육부 교육정보화 종합발전방안을 유아교육이 명시된 직접 과제와 간접 관련 과제로 분석하였다. 간접 관련 과제는 유아, 교사, 사업, 인프라, 행·재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차시별교육부 교육정보화 종합발전방안과 유아교육 관련 과제를 살펴본 결과 평균 52.4%로 과제중 절반 이상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육정보화 종합발전방안에 유아교육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유아교육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할 때도 정보화 영역에 대한 비중이 높아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둘째, 각 차시별교육부 교육정보화 종합발전방안을 살펴본 결과 직접 과제는 5차와 6차에서 3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모두 행·재정 영역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반면 간접 관련 과제는 사업과 가장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육정보화는 교수·학습방법, 자료개발, 플랫폼 구축과같은 사업 영역에 대한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task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 Master Plan for ICT in Education, which started in 1996, and to reveal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sks presented in the Master pla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1st-6th plan,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related tasks. Indirect related task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child, teacher, business, infrastructure, and administration and fin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tasks were related with an average of 52.4%. Second, the 5th and 6th plans were the highest, with 3 each, but all of them were i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reas. But indirect related tasks were found to be the most relevant to business.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business areas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and platform establishment when implementing IC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연구방법론 고찰

        박은혜(Eunhy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1

        최근 국제적으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연구방법상의 여러 가지 논점에 대한 논의가 연구자들간에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관련논문들을 검토하여 연구대상 및 연구문제 선정, 연구설계, 중재효과평가에 대한 이슈들을 고찰하였으며, 특히 연구의 충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상대적으로 연구의 역사가 짧은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찰에 중점을 두었다. 국내외의 AAC 연구의 예를 통해 논의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AAC 중재연구의 다양성이나 수적인 측면에서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의 AAC 연구에 미치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AAC efficacy study is important to establish best practices, maximize outcomes, ensure accountability, and in some cases justify cost. Conducting efficacy research in the research of AAC, however, faces significant challenges due to the heterogeneity of the population of people who use AAC, the complexity of AAC systems and interventions. In this paper, discussions are organized around the following issues: (1) theoretical background of AAC efficacy, (2) participant selection, (3) intervention goal (dependent variable) and intervention methods (independent variable), (4) experimental desig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and (5) comparative efficacy study. Issues about the treatment integrity and social validation and methods to ensure those are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both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국내 남성모델 이미지의 변천

        박은혜(Park, EunHye)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0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1 No.1

        이 연구는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남성모델들의 이미지를 시대순으로 분석하고 변화의 흐름을 살펴 현대 사회에서 추구되 는 남성이미지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사회, 문화적 현상을 문자와 이미지화된 형태로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잡지를 연구 자료로 선택했으며 연구 방법은 1995년 국내 최초로 창간한 해외 라이선스 남성잡지인 Esquire를 창간호부터 10년간인 2005년까지의 화보를 취합하여 전문가 회의 및 워크숍을 통해 국내 남성모델의 이미지 변천에 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5년부터 1999년까지는 강인한 남성이미지로 정장, 에스닉, 히피, 시스루 패션이 유행하였고 모델들 은 넓은 얼굴선, 어깨 골격과 근육이 발달한 체형으로 올백 헤어스타일의 터프한 이미지의 화보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2000년부터 2002년까지는 부드러운 중성적 이미지로 모노톤과 스포츠 캐쥬얼이 유행하였고 서구화된 신체와 날렵한 얼굴선, 깨끗한 피부톤과 바람머리 헤어스타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와 부드러운 이미지의 화보가 주를 이루었다. 셋째,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차분한 여성적 이미지로 여성 복식의 영향을 받아 파스텔 톤과 레이어드 패션이 유행하였고 남성모델은 차분 한 여성적 이미지로 긴 신장, V라인의 작은 얼굴형과 하얀 피부톤, 여성적이고 차분한 미소년 이미지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 적으로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남성모델 이미지 변화는 젠더(gender) 차이에 따른 권위, 정치참여 정도, 소비층 변화 등 다 양한 함의를 유추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and evaluate the changes in the image of domestic male models over time due to the increased diversity in the public of image of m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at a time through both textual and visual representations from a neutral perspective, the study is based on observations of a magazine. Esquire, the first foreign licensed men’s magazine, is selected as the medium of representation to analyse the changes in the image of domestic male models in fashion photos over a decade from its first issue in 1995 to 2005. Firstly, the results showed that from 1995 to 1999 suits, ethnic, hippies and see-through were the dominant trends with evidently masculine models featuring large facial and shoulder lines as well as muscular physiques and slicked back hairstyle to create ‘tough guy’ looks. Second of all, from 2000 to 2002, monotones and casual sportswear led the trend with unisexual male models featuring slim, westernized body builds, sharper facial lines, smoother skin tones and messy curls to create a more natural and ‘nice guy’ looks. Finally, from 2003 to 2005, a further feminine influence affected the trend, producing pastel colors and layered styles. The models were feminine in many aspects such as slim and tall body types, small whitened faces with steep V lines along the jaws and natural hair styles, together which presented calm, ‘pretty boy’ looks. In conclusion, the male models image changes appearing in the men's fashion magazine can be inferred by various implications such as authority,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onsumption class change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ICT 및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활용 실제 분석: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를 중심으로

        박은혜 ( Park Eunhye ),소효정 ( So Hyo-je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ICT 도구들이 도입되고 있는 환경적 변화에 주목하여, 특수학급 교사들의 ICT를 활용한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 활용의 실제와 특수학급 교사들의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 공유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활용 및 참여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도구는 기본사항, ICT 활용 현황,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의 수정,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참여로 네 가지 영역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응답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특수학급 교사들이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학습의 보충 자료 및 교재의 수준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수학습 자료 수정 시 ICT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효율적인 정보를 제시하고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참여의 경우, 특수학급 교사가 현재 참여하고 있는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가 다양하기 보다는 특정 커뮤니티에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사들이 커뮤니티에서 자원의 제공자 보다는 수요자의 역할을 취하는 경우가 많으며, 교수-학습 상황에 맞게 수정 및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자료에 대한 필요성이 높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학급 교사들의 ICT 기기와 디지털 교수학습 자료 활용의 다양화 및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확산을 위한 지원과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Purpose: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that various ICT tool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ICT utilization on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nd to analyze the status of their participation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Method: The study conducted the online survey with 162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questionnaire included four areas: basic information, ICT utilization, modification of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nd participation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tend to use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s supplementary materials rather than using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ICT is often used as a tool to modif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present information effectively and to induce student participation. Regarding participation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it was found that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ed in a limited type of communities and tend to take a role of the content consumer rather than a provider of resources. The study also found the needs for digital resources that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could easily modify and adapt to fit into their lesson contex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some implications concerning how to promote the wide use of ICT-supported digital resources and online communities of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