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진호 ( Choi Jin Ho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지속되어 온 피아노 교수학 관련 연구들의 연구유형과 주제들을 파악하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현황을 밝히고 미래의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출간되는 대부분의 논문이 포함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논문 검색엔진인 RISS(www.riss.kr)를 통해, 그동안 한국에서 출간되어온 피아노교수법 관련 논문들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는 한국 피아노교수법 학회의 발전과 맥을 함께하고 있었으며, 5시기로 구분된 피아노교수법학회의 역사적 흐름과 정확히 일치하는 발전 양상을 보였다. 둘째, 피아노 교수법 학회지인 ‘음악교수법연구’가 전체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논문의 73%(n=112)를 포함하고 있어, 피아노 교수법 연구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아노교수법 연구대상별 분석 결과 62.7%(n=96)가 대학생(전문가) 및 초등학생에 집중되어 있고, 유아, 성인, 특수계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어 연구대상의 쏠림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76%(n=117)의 논문이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있고, 양적연구는 11%(n=18)에 그쳐,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연구방법론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thodological trend of piano pedagogy research in Korea and provide suggestions to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piano pedagog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RISS (www.riss.kr), the web search-engine regulated by Korean government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Korean piano pedagogy research was the same as thos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iano Pedagogy(KAPP). Secondly, the ‘Research in Music Pedagogy(RMP)’, a main journal of KAPP, was the most important journal contributing studies of Korean piano pedagogy in that 73% of piano pedagogical studies in Korea was published in RMP. Thirdly, research subjects in Korean piano pedagogy focused on college and elementary students while toddlers, adults, and special needs were very limited. Lastly, majority of Korean piano pedagogy studies were review articles(76%). Thus, studies in Korean piano pedagogy needs to balance research methodologies and subjects.

      • KCI등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Murphy-Meisgeier Type Indicator for Children (MMTIC) 기질별 학습스타일에 따른 피아노 교수법 적용 연구

        이정연 ( Jung Yeon Le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0 음악교수법연구 Vol.6 No.-

        피아노 레슨을 할 때,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서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강해지며 교사는 자기 중심적 레슨을 하게 된다. 또한 학생 개개인의 성격이나 음악적 재질등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획일화된 레슨은 가능성이 있는 학생의 흥미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심리학자 Jung은 교육의 목적은 어린이에게 모든 경향을 똑같이 발달시키도록 돕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어린이가 자신의 고유한 경향을 지닌 잠재력을 발견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선생님이 알아야 할첫 번째는 바로 아이의 고유한 성격유형과 기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유형에 맞는 개개인별의 피아노 교수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의 기질별 피아노 학습 스타일의 관계를 분석하여 성격유형에 맞는 피아노 교수법 적용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 SP(감각인식형)아동들은 행동하려는 충동과 자유로운 행동방식을 과시하고픈 욕구가 강하고, 몸으로 부딪히며 배우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일반적이고 전통적인 레슨 방식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 그러므로 피아노 레슨을 할 때는 약간의 자유도 허용되는 가운데 즐겁고 재밌게 레슨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SP 아동들은 다른기질의 아이들보다 예체능 방면에 재능을 가지고 있고 흥미만 일으켜 준다면, 다른 4가지 기질 중 악기를 다루는 것에 성격이 가장 잘 맞는 기질이다. SJ(감각판단형)아동들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은 안정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레슨도 잘 짜여지고 준비된 레슨을 선호한다. SP와는 반대로 자유를 허용하는 분위기 보다는 규칙 안에서 구체적으로 정확히 지시해 주면서 차근차근 레슨 받는것을 더 편안하게 느낀다. 이 기질의 아이들은 선생님이 레슨 하기에 가장 잘 맞는 유형으로 선생님의 말을 잘 따른다. 자신의 평가보다 선생님의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인정받기 위해 노력한다. 연습을 할 때는 스스로 연습하는 것보다는 선생님이 정해준 연습을 하는 것을 선호하며, 성실하고 책임감이 강해 숙제를 잘해온다. NT(직관사고형)아동들은 바로 “호기심”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형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호기심을 자극시켜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며 간략하고 정확하게 반복적이지 않게 레슨을 이끌고 가야 한다. 또한 미지의 세계에 대한 신비함을 통해 에너지를 얻으며 자율성이 강한 편이라 알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될 때까지 정보를 모으는 등 자기 스스로 알아내길 원한다. 그러므로, 선생님은 인내심을 갖고 지켜봐 주어야 하고 NT 아동이 중요하게 여기는 것에 대해 귀 기울여주는 것이 좋다. NF(직관감정형)아동들은 인정과 보살핌, 인간적인 관심, 상호교류 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기질은 특히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레슨 하는데 있어서 그 무엇보다도 아이와 선생님과의 신뢰를 쌓는 것이 최우선이다. 또한 칭찬을 할 때는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부각시켜 이야기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선생님이 아주 사소하고 그냥 지나칠만한 비평이라 할지라도 NF아동들에게는 매우 파괴적인 영향을 가져 올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할 때는 칭찬과 함께 지혜롭게 첨가되어야할 부분이다. NF아이들은 예습을 해 올 때, 레슨시간에 호기심을 가지게 되므로 숙제를 꼭 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인 레슨을 끌어 낼 수 있다. 이처럼, 학생의 성격유형의 차이는 피아노 학습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성격차이에서 오는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교사 자신이 지향하는 교수방법만을 고집하는것이 아니라 학생의 기질에 맞는 학습스타일을 살려 최대한의 레슨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것이다. In piano teaching, teachers offer self-centered lessons to their students with negative perspective unless they do not build up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if teachers teach their students by rigid rule without any concerning of their differences of personalities or mus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it can make them loose their interesting easily. A child psychologist, Jung said the goal of education is not to help a child to develop in the normal ways, but to encourage discovering his/her potentials with by him/herself. To do this, teachers has to find out the types of temperament of each student. A goal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of different piano pedagogies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and to find out what is the most effective piano teaching method for each studen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and different personal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SP children tend to act impulsively and have strong desire to show themselves off. Usually, they do not like a typical lesson method because they like to learn by experiencing. Therefore, it is more effective to make them feel free and fun rather than offering a typical and rigid lesson. The SP children are more talented at the art than other tempers, so they are suited for learning the piano if teachers motivate them. The common aspect of SJ children is the need of safety. So, they prefer well-prepared lessons. Opposite to SP children, they feel safe when they are ordered in details by their teacher rather than having free space. These types of children are easy to teach because they obey the rule. They are sensitive to evaluation and try to get positive feedback from their teachers. Most of them work very hard and do their homework with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Theses types of children do not ask “why” because they think it is rude for their teacher. So, teachers should observe their mind very carefully. Curiosity is the common aspect of NT children. So, it is effective way to stimulate their curiosity and to provide simple and accurate lessons without many repetitions. In addition, they like to get information until they are satisfied, because they obtain some energy from curiosity about unknown world. Also, they need time to think and find out the way of learning by themselves. Therefore, teachers should wait their students patiently and listen carefully what the students want. NT children essentially need feelings of care, humanity and mutual relationship.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ose students is building up relationship and providing trust through lessons because they are influenced easily by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In addition, it is more effective way to give prominence to merits when teachers compliment them. Teachers should give not only critiques but also some praise too because NF children can be damaged very easily by little critiques. The children can have more curiosity when they prepare their lessons, so it is helpful to encourage them to do their homework. As I discussed above, the differences of the type of temperaments can influence their styles of learning. Therefore, teachers should not stick to their teaching methods, but be flexible by understanding different personalities and learning styles of each student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lessons to them.

      • KCI등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의 현행 입시지정곡에 대한 연구(1997-2008년을 중심으로)

        김현명 ( Hyun Myung Kim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09 음악교수법연구 Vol.5 No.-

        음대 입시는 학생들의 음악적 잠재력과 음악전문인으로서의 미래적 가능성을 평가할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피아노 전공 입시제도의 많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학생들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것은 입시 전 피아노 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1997-2008년 입시지정곡 연구를 중심으로 음대입시제도가 개선해야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실제적 분석에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는 피아노 교육의 목적에 대해 살펴보았고, 음대입시제도의 모범적 형태가 될 만한 미국과 유럽 6개 대학의 입시제도와 입시곡에 대해알아보았다. 우리나라의 입시제도의 고찰을 위해 서울 소재 7개 대학의 입시곡을 연도별, 대학별로 분석하여 한국 입시곡의 경향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입시제도의 전범으로서 선정한 6개의 외국대학의 입시제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현 피아노 입시제도와 입시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7개 음악대학의 피아노 전공 재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입시제도에 대한 음대생들의 견해와 입시곡이 과거 그들의 피아노 교육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많은 학생들이 입시 위주의 피아노 교육을 받고 있으며, 그 내용도 음악성 개발을 위한 교육보다는 입시를 위한 기교의 향상과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이 많다는 것을알 수 있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피아노 전공 입시제도는 많은 변화를 거듭해 왔으나 짧은 실기평가 시간과 음악의 제반능력에 대한 평가가 미비한 점, 한정된 입시곡의 범위와 다양하지 못한 레퍼토리 등 아직까지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 따라서 음대 피아노 전공 입시제도의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디션의 기간을 늘려서 학생 각 개인의 평가시간을 좀더 확보해야 한다. 둘째, 각 시대의 곡을 포함한 입시곡을 제시하여서 학생들이 입시 전 다양한 시대의 곡을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음악의 제반능력에 대한 평가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각 학교 특성에 맞는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심사위원을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의 입시제도 전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입시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로써 음악대학이 음악적 잠재력과 가능성이 있는 학생을 선발하여 피아노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 맞는 입시실기교육이 이루어지는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f the Korean music colleges is to be structured to assess the students`` musical talents and their potentials to become professional musician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problems in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assessment system for piano major students,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evaluate them. More seriously, it has a big influence on the whole Korean piano education. In this respect, the aim for this study is to provide ways to improve the music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mainly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audition pieces that have been chosen from 1997 to 2008. First, the general purpose of piano education was overlooked for the theoretical base of this study, and the entrance examinations of six universities in U.S.A. and Europe were researched as a role model. In order to scrutinize the Korean Music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 audition pieces that have been selected from the seven universities in Seoul were studied. Then, comparison between the examination system of the seven Korean universities and those of the six model foreign universities in an analytical point of view was conducted. A survey was taken for 271 students majoring in piano from the seven music colleges in Seoul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iano education and its examination. The questions were selected and arranged to find out their opinions about the current entrance examination and also to find out how the audition pieces affected their previous piano education while preparing the entrance exam.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received a test-based piano education, which focused on improving technical skills of piano performance and cramming lectures only for the test success, not for their aptitude development.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piano majors in Korea has greatly changed so far, but there are still many aspects to be improved in terms of a short assessment time, an inadequate method of testing musical talents, a limited range of audition pieces selection, and the lack of diversity in repertory. The following solutions will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music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especially for piano majors. First, the duration of an entrance audition should be extended enough to evaluate each tester in all its aspects. Second, variety of audition pieces for each musical period should be suggested so that the students will have a chance to learn songs of different ages. Third, a test should be integrated to evaluate a full range of students`` musical potential talents. Fourth, examiner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to choose the right students according to the particular preferences of each university. This study provides a general inquiry into the Korean music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ts problems and the possible solutions. From this, the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make theoretical and practical grounds for a new practical test system well-suited to the fundamental purposes of piano education, and for a music college to select the students who has a great musical potentials and talents.

      • KCI등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우리나라 중급피아노과정에서 사용되는 학습문헌연구

        박진희 ( Jin Hee Park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0 음악교수법연구 Vol.6 No.-

        본 논문은 피아노 교육 중 중급 피아노 과정에 사용되는 학습문헌의 현황파악과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문헌의 다양성과 균형성 부족으로 인해 폭넓은 음악적 경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국내 중급 피아노 교육에 대하여, 중급 피아노 학습문헌의 올바른 교재선정과 분석을 토대로 한 중급 피아노 레퍼토리 개발에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서, 교사와 학습자들이 학습목표에 맞게 구성된 레퍼토리를 통하여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할수 있는 중급 피아노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연구대상은 국내음악 출판사에서 2005년 이후 출간된 출판물 중 중급피아노 교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우즐러(Uszler) 외와, 베스틴(J. Bestien)의 문헌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급피아노과정에 맞는 분류기준을 재구성하고 이에 맞춰 중급과정 학습문헌의 현황파악과 내용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출간되고 있는 중급과정 학습문헌은 중급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내용인 테크닉, 이론, 창작곡집, 듀오연주 등을 고르게 반영하여 출간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 레퍼토리에 편중되어 출간되고 있다. 또한 레퍼토리로 구성된 학습문헌의 대부분이 고전시대의 작품들로 수록되었고 다양하지 못한 작곡가의 곡들로만 구성된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레퍼토리 구성 시 고전시대 이외의 작품들과 함께 다양한 작곡가의 곡들이 수록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중급과정 학습문헌은 작곡가의 의도를 잘 알아볼 수 있고, 곡의 이해를 돕는 설명이 있어야 한다. 작품선곡집은 시대별, 작곡가별, 형식별 등 다양한 내용으로 편집되어 출간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폭넓은 음악적 경험을 충족시킬 수 있는 레퍼토리의 학습문헌이 절실한 실정이며, 창작모음집을 비롯한 새로운 형식의 다양한 학습문헌이 소개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피아노 교육 중 중급과정에 대한 연구는 초급과정에 비해 많이 부족한 현실이며, 이에 따라 학습문헌의 종류와 내용도 다양하지 못하다. 이에 재구성된 학습문헌 분류기준을 통하여 국내 중급 피아노교본, 보충곡집, 테크닉 향상을 위한 연습곡집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보충곡집과 테크닉 향상을 위한 연습곡집은 많았으나, 내용개발이 부족하거나 편향되어 있었다. 이는 학습능력에 맞는 다양한 학습문헌의 개발이 절실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활동을 통해 중급 피아노 교육의 질적 향상을 가져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learning materials which have been used for the piano education at intermediate level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for the piano repertory at this level with suggested selections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learning materials. The lack of diversity and balance in piano learning materials has caused insufficient musical experience in piano education. In this vein, the researcher tried to enhance the quality of intermediate-level piano study by helping students experience a variety of musical experience through more appropriate music selections which were suitable to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intermediate-level learning materials of piano education which were published by Korean musical publishers after 2005. As for the method of study, the investigator reestablished the criteria of the classification for the domestic intermediate-level piano education based on the learning materials of Uszler and Bestien and then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learning materials of domestic intermediate-level piano education. The learning materials of intermediate-level piano education, which are currently being used, do not sufficiently reflect techniques, theories, creative songs, duo-performances and so on, with which must be dealt in the intermediate-level piano education. They have rather have been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repertory. In addition, most of the learning materials are only from the classical period, and therefore the composers that students run into thought the pieces are problematically limited from that period. Hence, the compositions of the repertoire must cover the pieces from the other periods. In particular, the learning materials of intermediate-level piano education must present how the composers wrote their pieces and how the pieces are musically written. And the collection of pieces must be selected and published from diverse eras, composers and forms. Therefore, it is urgent to make a learning material, which consists of such repertories, that can overcome current problems and satisfy students`` desire for the broader musical experience. In addition, a variety of new form-based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a collection of creative songs must be introduc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tudies on the domestic intermediate-level piano education is carried out far less than those on the basic-level piano lesson. Thus the kinds and contents of learning materials are not diverse. In this regard,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learning materials of intermediate-level piano education compared with the reestablished criteria of classification of learning materials by the researcher. The investigator classified the learning materials of intermediate-level piano education into textbooks, supplementary song collections, and exercise song collections to improve techniq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many supplementary song collections and exercise song collections to improve techniques, but they are not fully developed to meet the better education. Therefore it is urgently encouraged to develop a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which are appropriate to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at intermediate leve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o more research on the piano education at this level to provide better education to the students.

      • KCI등재

        American Piano Methods in Korea

        정완규 ( Wan Kyu Ch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06 음악교수법연구 Vol.2 No.-

        1800년대 말 서양음악이 유입된 이래 한국에서 유일하게 사용되던 피아노 교재는 독일인 바이엘이 [Ferdinand Beyer] 만든 “바이엘 교본”이었다. 모든 출판사가 한결같이 이 교재를 복사 출판하였으며, 1970년대 이후 이 교재를 조금씩 변형시켜 출판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1984년 미국의 “베스틴 피아노 교재” [Bastien Piano Library]가 수입되면서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미국 교재에 접하게 되면서 피아노 교재에 대한 낡고 고정된 인식이 허물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1992년에는 “알프레드 피아노 교재”가 [Alfred Piano Library]수입되며 미국 교재의 영향이 점차 커져갔다. 반면 한국에서 개발된 독창적인 교재는 없었으며 대부분 부분적 베끼기와 모방으로 서로 비슷한 교재들을 양산하였을 뿐이다. 1997년 IMF로 불리는 국가적 경제파산사태 이후 또 다른 미국 교재 “어드벤쳐” [Piano Adventures]가 수입되었으나 시장의 반응이 전무했으며, 한국에서는 최초로 기존 교재나 외국 교재의 모방이나 짜깁기가 아닌 피아노 교수법 전문가가 정완규 박사가 직접 연구하여 자신의 이름으로 독자 개발한 클라비어가 출판되었다. 수입된 미국의 피아노 교재들은 한국에 피아노교재의 새로운 유형을 보여주었고, 이는 곧 피아노 교수법이 존재하지 않던 이 땅에 선진국의 피아노 교수법이 소개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교재는 미국의 아동들을 위해 만든 교재이므로 한국 아동의 정서에 맞지 않는 근본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곡의 제목이나, 가사의 내용들이 미국적 정서를 가지고 있으며, 인용된 게임, 국기, 국경일, 명절, 지명, 인명 관습, 그리고 삽화의 내용 등이 모두 미국과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아동들의 정서와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피아노 학습을 하면서 미국의 아동들을 위해 만든 교재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도 미국교재가 어느 정도 한국 피아노 교육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이들의 영향이 점차 줄어들어야 하며, 대신 독창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한국 교재들이 많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 후진국이 자국민 교육을 외국 교과서로 학습하듯이, 자국 아동들의 예능 교육을 외국 교재로 시키는 것은 문화 후진국에서나 볼 수 있는 현상임에 틀림이 없다. 이는 문화적으로나 교육적으로 대단한 수치이며 절대로 오래 지속되어야 할 현상은 아니라 생각한다.

      • KCI등재

        로웰 리버만의 <피아노 소나타 1번>에 드러난 신고전주의적 특징에 관한 연구

        최은영 ( Choi¸ Eunyo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2

        로웰 리버만(L. Liebermann, 1961- )은 우리와 동시대를 살아가는 작곡가로 그의 작품들은 미국에서 수많은 연주자에 의해 연주되며 여러 음반으로 제작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버만의 작품 중 비교적 덜 알려진 <피아노 소나타 1번>을 분석함으로써 연주자들에게 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레퍼토리 확장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과 음악 분석을 통해 리버만 <피아노 소나타 1번>에 드러난 신고전주의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고 더 나아가 고전 시대를 대표하는 모차르트와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신고전주의적 작곡 성향이 드러난 스트라빈스키, 바르톡, 프로코피예프의 피아노 소나타와의 비교를 통해 전통적인 요소가 어떻게 수용, 발전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리버만의 <피아노 소나타 1번>이 고전 시대에서 가져온 것은 모티브의 사용과 발전, 조성의 유지, 소나타라는 장르이고 이러한 틀 안에 불협화음과 신조성의 사용을 통해 신고전주의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면에서는 스트라빈스키, 바르톡, 프로코피예프의 소나타와 유사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리버만의 <피아노 소나타 1번>이 현대음악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이나 연주자들의 레퍼토리로 연주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owell Liebermann is a contemporary American composer of our time, and his works are played and recorded by numerous performers in the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Liebermann’s Piano Sonata No. 1, which is relatively lesser-known than his other works, and help pianists to expand their repertoire. In this study, I examined neoclassical characteristics of Liebermann’s Piano Sonata No. 1 through musical analysis and related literature. Furthermore, by comparing Liebermann’s Piano Sonata No. 1 with piano sonatas of W. A. Mozart and L. v. Beethoven, who are representative in the classical period, and sonatas of I. Stravinsky, B. Bartók, and S. Prokofiev which composed in neoclassical style, I found out how traditional elements of piano sonata adopted and developed from classical period to Liebermann’s time. As a result, the use of motive and its developmental procedure, tonal music, sonata as a genre in Liebermann’s sonata came from classical period. On the other hand, neoclassical elements such as dissonances and neotonality that are used in Liebermann’s sonata are also shown in the works of I. Stravinsky, B. Bartók, and S. Prokofiev. Based on this comprehension, I expect Liebermann’s Piano Sonata No. 1 could be played as a repertoire of students and pianists who are not familiar with modern music.

      • KCI등재

        재외한국학교의 예술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

        장근주 ( Jang Gunjoo ),이미숙 ( Lee Misook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재외한국학교의 예술 교육의 내실화와 정체성 교육의 실현을 위하여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과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국의 북경한국국제학교와 천진한국국제학교, 러시아의 모스크바한국학교, 일본의 동경한국학교와 건국한국학교,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한국국제학교의 교원과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재외한국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난점과 관련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결과 예술 및 체육 등의 교과 시수 부족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고 예술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를 추구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제 중심의 교과 통합 교수ㆍ학습 활동과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 예술을 배우고 익히는 교육과정을 다른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 후 학교와 연계하여 운영하는 통합적 예술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또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중 재외한국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할 부분을 탐색하여 실제 예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verseas Korean school curricula to provide a plan for curricular implementation and policy improvement. To fulfill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interviewed overseas Korean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regarding the schools’ educational direction and curricular management, and any difficulties they had in implementing ‘Guidelines for curricula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verseas Korean schools’. According to the interviews, music classes had fewer hours than allocated. The present study offer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 First is to provide theme-based convergent art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 culture and customs to help establish their Korean identity. Second is to chang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present the actual exampl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ols abroad.

      • KCI등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Arts PROPEL 이론을 적용한 피아노 지도법

        정은현 ( Eun Hyon Chung ),정완규 ( Wan Kyu Ch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1 음악교수법연구 Vol.7 No.-

        아츠 프로펠은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 평가 이론으로 중요한 개념인 작품 (Production), 지각 (Perception), 반성 (Reflection)의 연속적인 학습과정을 통하여 실제 음악가와 같은 경험을 가지게 하며, 수업진행은 도메인 프로젝트와 과정수첩인 포트폴리오를 통하여 평가되어진다. 도메인 프로젝트는 매시간 진행되는 학습과정이고 포트폴리오는 음악일지, 질문지, 비평지를 사용하여 자기 자신의 음악적 활동들 (연주, 연습방법, 음악적 생각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츠 프로펠 (Arts PROPEL)이론을 피아노 학습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연습 과정 중에 겪는 어려움들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피아노 교수-학습을 유도하여 피아노 교수법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작성한 포트폴리오를 통하여 학생 스스로 자신의 음악에 대해 비판력과 음악적지각력을 키울 수 있었고 연습과정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가지고 연습할 수 있었다. Arts PROPEL is the sequence learning process of production, perception, and reflection.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were able to gain practical experience same as the professional artists and the entire course of Arts PROPEL was evaluated from the domain project and the portfolio. By applying Arts PROPEL theory to piano learning, it was found to be solved the difficulties that learners face during practicing and it also suggested the new way of learning piano from deriving an effective piano pedagogy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students are able to develop the musical recognition and critical ability of their music from writing the portfolio and to practice with a concrete plan.

      • KCI등재

        온라인 피아노 레슨의 환경과 교수방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연구

        박부경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0 음악교수법연구 Vol.21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verall environment and perception of piano learner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piano lesson due to COVID 19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class materials, vedio conferencing platform,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elements for online piano lesson. To this end, this study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divided it into five major are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methods, environment and equipment use, learning elements and current and complementary points of online piano lesson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the sufficient equipment and materials for securing the stable internet connection and also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piano lesson. In the learning elements of lesson, it would be needed to provide effective lesson by dividing it into the ontact instruction for theoretical learning, accuracy and expressiveness of rhythm, and melody, and the face-to-face lesson for tone learning, tone color, voicing, and controlling pedal sound that requires the analysis of sensitive sound. Also, in the form of lesson, the effects of learning could be increased through various composition of real-time synchronous connection, asynchronous connection, and mixture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nnection, instead of a singl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ossibly present some help and direction to instructors of piano who should cope with the ontact practical technique lectur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온라인 피아노 실기지도를 위한 수업 기자재 준비, 화상회의 플랫폼 활용, 교수방법, 교수항목 등에관해, 2020년도 1학기 코비드 19로 인해 온라인 실기지도를 경험했던 대학교의 피아노 학습자에게 레슨에 대한전반적인 환경과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온라인 피아노 레슨 방법ㆍ환경 및 기자재 활용ㆍ학습요소ㆍ현황과 보완점에 대해 5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온라인 레슨에 대한 안정적인 인터넷 통신상태 확보와 온라인 피아노 레슨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분한 기자재 준비가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레슨의 학습요소에 있어서 온라인 레슨에 적합한 이론학습, 리듬, 선율의 정확성과 표현력을 비대면으로 지도하고, 민감한 소리의 분석을 요구하는 소리(tone)의 학습, 음색(tone color)ㆍ성부간의 음색(voicing)ㆍ페달 소리 조절 등에 대한 요소는 대면레슨에서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또한 수업의 형태도한가지만의 방식이 아니라 동시접속 실시간, 비동시접속, 동시접속과 비동시접속의 혼합형으로 다양하게 구성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앞으로 비대면 실기강의를 대비해야 하는 피아노 교수자들에게 도움과 방향제시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피아노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진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현가람 ( Hyun¸ Kalam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피아노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진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피아노전공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피아노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장벽, 자아존중감, 진로 스트레스 수준은 평균 3점 이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며,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에서 불안정한 직업환경 문제에 대한 진로장벽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는 진로장벽과 진로 스트레스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장벽과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과 진로 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진로장벽이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피아노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장벽 수준에 따른 진로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피아노전공 대학생들의 불안정한 직업 환경 문제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대한 후속 연구 및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stress of piano major college students. To that end, 179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iano at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urveyed for about two week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areer barrier, self-esteem, and career stress levels of piano major college students were all above average. The level of career barrier against unstable job environment problems was the highest in the sub-factor of career barrier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stress,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barrier and self-esteem and between career stress and self-esteem. Third, the results of the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showe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reer barrier's influence on career stress. This suggests that self-esteem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career stress depending on the level of career barrier for the piano major college student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urther research and discussions on unstable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improvement of self-esteem among piano major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