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Synagis<sup>Ⓡ</sup> (palivizumab) 접종이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으로 인한 재입원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정유진,유혜수,안소윤,서현주,최서희,김묘징,전가원,구수현,이경훈,장윤실,박원순,Park, Soo Kyoung,Jung, Yu Jin,Yoo, Hye Soo,Ahn, So Yoon,Seo, Hyun Joo,Choi, Seo Hui,Kim, Myo Jing,Jeon, Ga Won,Koo, Soo Hyun,Lee, Kyung-Hoon,Chang, Y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3

        목 적 :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Synagis^{(R)}$ 접종으로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으로 인한 재입원이 감소하는지 여부와 이러한 접종이 특히 효과적인 세부 그룹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3년간 서울 삼성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입원 치료 후 생존하여 퇴원한 출생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 350명을 대상으로 퇴원후 1년까지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생후 28일째 보조적 산소투여가 필요하였던 기관지폐이형성증 유무 및 $Synagis^{(R)}$ 접종 여부에 따라 RSV 재입원율을 비교하였고, BPD의 중증도 와 재태연령 및 출생체중을 세분하여 각 군별 RSV 재입원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350명중 11명(3.1%)가 RSV로 인해 재입원하였고, 시나지스 미접종군에서 재입원율이 5.0%였던 반면, 접종군에 서 재입원율은 0.7%로 시나지스 접종에 의해 RSV 재입원율이 86% 감소하였다(P =0.02). 기관지폐이형성증이 있는 환아에서의 재입원율은 접종군에서 0.7%, 미접종군에서 5.2%로 접종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 =0.045), 기관지폐이형성증이 없는 환아에서의 재입원율 또한 통계학적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P =0.35), 접종군에서는 0%, 미접종군에서는 4.9%로 접종군에서 감소하였다. 결 론 :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시나지스 접종은 RSV로 인한 재입원율을 감소시켰고, 기관지폐이형성증 유무 및, 출생주수, 출생체중에 상관없이 재입원율의 감소 추세가 확인되었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Synagis^{(R)}$ (palivizumab) in reducing th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readmission rate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 ) and the subgroup that showed the most effective vaccination. Methods : We enrolled 350 VLBWI who had been discharged aliv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amsung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7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one year. A retrospective study based on medical records was performed for a period of one year after discharge. RSV readmission rate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BPD (bronchopulmonary dysplasia, requiring oxygen at postnatal day 28) and $Synagis^{(R)}$ prophylaxis. We categorized the subgroups by the severity of BPD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and compared the RSV readmission rates between subgroups. Results : Eleven VLBWI were readmitted. $Synagis^{(R)}$ prophylaxis resulted in a 86% reduction in the rate of readmission due to RSV infection (prophylaxis group, 0.7% and no prophylaxis group, 5.0%; P =0.02). Readmission rate in BPD patients was also reduced in the prophylaxis group (0.7% in the prophylaxis group vs. 5.2% in the no prophylaxis group, P =0.03). The readmission rate in patients without BPD was reduced in the prophylaxis group (0% in the prophylaxis group vs. 4.9% in the no prophylaxis group, P =1.00),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Conclusion : $Synagis^{(R)}$ prophylaxis was effective at reducing RSV readmission in VLBWI. Its efficacy was verified irrespective of BPD, gestational age, or birth weight.

      • KCI등재
      • KCI등재

        뉴스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배달 플랫폼 참여자의 사회적 이슈 분석

        박수경,이현준,이봉규,Park, Soo Kyung,Lee, Hyeon June,Lee, Bong Gyou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7

        코로나19 이후 배달 플랫폼에 참여하는 개인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좀 더 나은 미래 설계를 위하여 한 개 이상의 소득원을 확보한다는 엔(n)잡러 세태와 맞물려, 더욱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해당 현상에 관한 학술적 논의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19가 시작된 2019년 1월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을 연구대상으로, 관련 뉴스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사회적 논의주제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결과는 현상에 대한 소개, 참여자 속성에 대한 논의, 그들의 수익에 관한 관심, 좋은 일자리인지에 대한 담론,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우려라는 주제로 함축·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배달 플랫폼 비즈니스와 관련된 논의의 관점을 개인 참여자로 확대하여 현상을 체계적으로 조망하였다는데 의의가 존재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감성분석 결합을 통하여 특정 주제에 관한 긍정·부정 감성조망 등 해당 현상을 둘러싼 더욱 세밀한 사회적 담론 분석이 형성되길 기대한다. After COVID-19, the number of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delivery platforms has increased. They are using the participation of the delivery platform as a means of creating a new source of income as well as a means of sports and hobbies.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a social phenomenon called 'N-jober'. However, there are still few studies examining this phenomen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individual participation in delivery platforms and their issues. Text mining was performed on news data from January 2019, when COVID-19 started. As a result, social issues related to the increase in individual participation in delivery platforms were derived into 5 topics(Introduction to the Phenomenon,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Participant's Income and Fees, Characteristics as a Job, Concern about Potential Risk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ed the perspective of academic discussion on delivery platform business to individual participants.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방향 모색: 4차산업혁명시대 담론으로부터의 교훈

        박수경,조지연,이봉규,Park, Soo-Kyung,Cho, Ji-Yeon,Lee, Bong-Gyou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5

        Recently, solving industrial and social problems and creating new values based on big data and AI is being discussed as the main policy goal. The new government also set the digital platform government as a national task in order to achieve new value creation based on big data and AI. However, studies that summarize and diagnose discussions over the past five year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diagnoses the discussions over the past 5 years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keyword. After collecting news editorials from 2017 to 2022 by applying the text mining technique, 9 major topics were discovered.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s task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통합체육에 관한 국내 학술 연구동향 분석: 2005. 2010

        박수경 ( Soo Kyung Park ),박진우 ( Jin Woo Park ),이현수 ( Hyun Soo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2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통합체육의 연구동향분석을 통해 2004년까지의 연구 동향분석과 현재의 연구 동향에 차이가 있는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연구동향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ISSN 동급을 부여받은 학술지에서 발표된 36편의 논문을 3명의 평가자가 평가자간 일치도 (inter, rater agreement)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 18.0을 이용하여 게재된 학술지,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대상별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구체적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의 분석결과 기타, 인식/태도 교수/학습, 교육과정, 제도 및 행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분석결과 비장애학생, 통합, 장애학생, 교사 문헌/기타 부모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의 분석결과 조사연구, 통합연구, 질적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게제된 학술지의 분석결과 한국특수체육학회, 기타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 스포츠교육학 회, 한국체육과학회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in the present and the past 2004 of academic study trends for the development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rom 2005 to 2010, and the paradigm which appeared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alongside with changes in academic study tren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6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by journals with ISSN grades gran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analyzed by three assessors who used inter-rater agreements. They evaluated research, research methods, research subjects, research issues of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discover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sue appeared different according to various perceptions, attitudes and teaching-learning, course of study and administration system. Sec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bjects varied according to individuals without disabilities, integrated researches, review/other, disabilities, teacher and parents. Thir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ethods revealed according to survey researches, integrated researches, qualitative researches, experimental researches and document researches. Fourth, the results of the discovered research appeared according to the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Exercise, other results from The Korea Society of Sports Science & Korea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 Korean Society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 KCI등재

        An Analysis of Emotional Labor in the Japanese Elder Care Profession

        박수경(Park Soo-ky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여성연구 Vol.84 No.-

        본 연구는 젠더노동에서 요구되며 제대로 평가되어 오지 못했던 "감정노동"에 대하여 고찰한다. 2010년 5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일본에서 행해진 청취조사와 참여관찰을 통하여, 감정노동의 직무와 개호종사자들이 감정노동을 어떻게 수행하며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 결과로서 개호노동에서의 감정노동의 직무는, 첫째, 인간관계 스킬의 중요성을 들 수 있다. 둘째, 신체개호에 앞서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공감을 나누는 것이 중요한 직무이다. 셋째, 이용자들을 존중하며 그들의 자립지원을 돕는 이용자의 자립지원에 대한 책임이다. 마지막으로 개호종사자들의 감정적인 노력은 "표면행위"와 "심층행위"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감정노동의 영향으로서, 개호종사자들에게 부정적 및 긍정적인 영향도 미칠 수 있기에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개호종사자들의 감정에 대한 존중과 멘탈헬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호노동에 있어서의 감정노동을 재인식함으로써, 개호종사자들의 근로조건의 향상과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질의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emotional labor," which is mostly in demand as women's work and has not been properly appraised. The study examines the emotional content of care work and elucidates how care workers conduct emotional labor and how they perceive it. From May 2010 to April 2012, I interviewed 43 care workers and took part in participant observation at a day service center in Japan. Based on the results, the job contents of emotional labor are categorized by the following aspects: first is the importance of the human relation skills that are involved in care work. The second aspect is communication skill. Third is the responsibility for client well-being. The last aspect is the care worker's emotional effort. Care workers make use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depending on the clients. Lastly, the outcomes of emotional labor can affect care workers both negatively and positively, thus it might negatively or positively affect the clients as wel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spect the workers' emotions and to consider their mental health. In the end, such an approach may lead not only to improvements of care workers' working conditions but also to an enhanced quality of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by care workers.

      • KCI등재

        비디오자기모델링과 사진이야기활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시작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수경 ( Park Soo Kyung ),문현미 ( Mun Hyun Mi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두드러진 결함 중 하나인 사회적 의사소통 시작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지닌 시각적 정보처리의 강점을 이용한 비디오자기모델링과 사진이야기활동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 유아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만 5.5세 남아였다. 연구는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중재는 비디오자기모델링 시청과 사진이야기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목표기술은 보여주기, 알려주기, 질문하기 3가지로 설정하였다. 3가지 목표기술의 자료는 사건기록법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기회에 대한 자발적 수행 비율을 산출하였으며, 알려주기와 질문하기에서 ‘누구’, ‘어디’,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언급 빈도를 각각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결과 보여주기, 알려주기, 질문하기 기술 모두 향상되었으며, 중재 도입 후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초기 효과와 더불어 유지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경험사진 알려주기와 타인경험사진 질문하기 내용을 분석한 결과 ‘누가’, ‘어디’,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표현 모두에서 사용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그 중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표현이 가장 높게 향상되었고, ‘누가’에 대한 질문하기의 향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디오자기모델링과 사진이야기활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보여주기, 알려주기, 질문하기와 같은 사회적 의사소통 시작기술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initiative skills of social communication of a young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a video self-modeling and picture-storytelling activity in accord with a characteristic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an individual with ASD. The participant was a five-year-old male child with ASD. The study appli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hich was composed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two phases, video self-modeling review and practice using picture-storytelling activ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event recording system targeting to three dependent variables: showing, commenting (about ‘who’, ‘where’, and ‘what’ on a picture with his own experience), and asking wh-questions (of ‘who’, ‘where’, and ‘what’ on a picture with peers’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owing was increased on average 58.4%, commenting on average 68.7%, and asking wh-questions on average 58.3%. Video self-modeling and picture-storytelling activities showed an immediate intervention effect. The effects in three target behaviors were highly maintained with average or more than average of intervention phase. Second, commenting and asking wh-questions about ‘who’, ‘where’, ‘what’ were increased in the frequency. The most enhanced expression was 'what(to do)', and the lowest enhanced expression was 'who'.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video self-modeling and picture-storytelling activities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for children with ASD: self-initiative showing, commenting, and asking wh-questions.

      • SCOPUSKCI등재

        아시아 의사들의 바이오시밀러 단일 클론 항체에 대한 지식과 관점: 유럽 의사들과 비교

        박수경 ( Soo-kyung Park ),문원 ( Won Moon ),김은수 ( Eun Soo Kim ),박상현 ( Sang Hyun Park ),박동일 ( Dong Il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1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4 No.6

        Background/Aims: Current knowledge and viewpoints regarding biosimilars among physicians in Asia are unknown, even though these were investigated by European Crohn’s and Colitis Organization (ECCO) members in 2013 and 2015. Thus, this study conducted a multinational survey to assess the awareness of biosimilar monoclonal antibodies among Asian physicians. Methods: A 17-question multiple-choice anonymous web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logistic support of the Asian Organization of Crohn’s and Colitis (AOCC). Randomly selected AOCC members were invited by e-mail to participate between February 24, 2017 and March 26, 2017. Results: In total, 151 physicians from eight Asian countries responded to the survey.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gastroenterologists (96.6%), and 77.5% had cared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 patients for more than 5 year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66.2%) were aware that a biosimilar is similar but not equivalent to the originator. The majority of respondents (77.5%) considered cost saving to be the main advantage of biosimilars, but a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38.4%) were concerned about a different immunogenicity from that of the originator (92.4% and 27.1% respectively in ECCO 2015). Only 19.2% considered that the originator and biosimilars were interchangeable, and only 6.0% felt very confident in the use of biosimilars (44.4% and 28.8% respectively in ECCO 2015). Conclusions: Asian gastroenterologists in 2017 are generally well informed about biosimilars.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the ECCO members surveyed in 2015, Asian gastroenterologists had more concerns and less confidence about the use of biosimilars in clinical practice. Thus, IBD-specific data on the comparison of the efficacy, safety, and immunogenicity in Asian patients are needed. (Korean J Gastroenterol 2019;74:333-340)

      • KCI등재

        직업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수경(Soo Kyung Park)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원 직장복귀자와 타 직장복귀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 결과를 토대로 보다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제언을 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치료가 종결된 후 산재보험 장해등급을 받고 직장에 복귀한 산재장애인들로 원 직장복귀자 153명과 타 직장복귀자 130명이다. 분석 결과, 원 직장복귀자에 비해 타 직장복귀자들의 우울점수가 높고, 원 직장복귀자들에 비해 타 직장복귀자들이 교육정도, 주관적 경제상태, 장해등 급, 건강상태, 장애수용, 정규직 여부, 현 직장근무기간, 직무만족도, 직장에서의 사회적 지지 등이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원 직장복귀자의 경우 장애수용도와 직무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점수가 높게 나타난 반면, 타 직장복귀자의 경우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장해등급이 높을수록, 장애수용도와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우울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우울문제 개입 시, 두 집단 모두 장애수용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하며, 집단별로는 원 직장복귀자집단은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데, 타 직장복귀자 집단은 교육수준과 장해등급을 고려하는 동시에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by the type of return-to-work i.e. return to 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among workers with on-the-job injuries in South Korea. Participants consisted of 283 Korean workers with injuries.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The results showed workers returning to pre-injury job were vulnerable to depression than workers who employed at a new firm. Also, regression results suggested that among workers returning to pre-injury job,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job satisfac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epression, which accounted for 24.8%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Meanwhile, among workers who employed at a new firm, factors such as education, the grade of disability,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elf-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which accounted for 44.4%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These findings provided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with practical information for intervening depression among injured workers with disabilities returning to work.

      • 산양삼을 중심으로 한 청정임산물 품질종합인증시스템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위한 타당성 연구

        박수경(Park, Soo-Kyung),라호준(Rha, Ho-Joon) 한국IT서비스학회 2020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면역력 증강이 요구되는 시대에 건강식품의 안전을 담보하는 신기술 도입에 대한 소비자 조사와 재배자 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타당성을 확보했다. 본 연구는 신기술 도입과 함께 소비자들에게는 산양삼에 대한 정확한 정보에 의한 홍보를, 재배자들에게는 품질마크 등의 긍정적 방향의 지원책 및 정부의 보조금 등의 정책이 필요할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