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원 열환경 실측과 근린주민 의식조사에 따른 체감열 특성 평가

        박선영(Park, Sun-Young),주진희(Ju, Jin-Hee),윤용한(Yoon, Young-Han)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청주시에 위치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기온·습도ㆍ풍향ㆍ풍속 및 산소 등 여름철 도시공원이 내포하고 있는 열섬저감효과를 실측하고, 근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체감열에 대한 의식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에 열환경 실측과 근린주민 의식조사의 결과를 비교·검토하여 근린주민의 체감의식까지 수용된 실측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공원의 배치 및 식재설계 등 계획에 입안할 수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원 주변의 기온저감효과와 영향범위, 공원의 쾌적감, 냉량감 및 청정감 등의 항목에서 기온의 실측데이터와 주민의식조사를 비교한 결과, 풍향을 중심으로 풍상측과 풍하측을 구분한 실측 및 의식조사의 결과를 제외하고 공원의 규모가 클수록, 공원으로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거주하는 근린주민은 쾌적감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도시공원에 대한 열섬현상 완화를 고려해 같은 규모의 공원일 경우, 분산 배치하는 것이 좋으나 공원규모가 클수록 풍하측 기온저감의 영향범위가 넓어지는 경향을 나타내 공원 규모의 확대가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air temperature, humidity, wind direction, wind velocity and oxygen in urban parks in Cheong-ju. Heat-island temperature decrease effect in urban parks during summer was measured, and the sensible consciousness of neighborhood residents was investiga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the actual results after comparatively analyzing the measurement of thermal environment and sensible consciousness of neighborhood residents, basic data are presented to elaborate on the urban development plans such as for park placement and planting design.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neighborhood residents felt greater comfort sensation when they are closely located to a larger park. When actual temperature data and sensible consciousness of neighborhood residents were compared in terms of temperature decrease effect and extent, comfort sensation, coldness sensation, and cleanliness sensation,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almost all categories except for wind direction which was divided into windward and leeward.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s results can be used to elaborate realistic and practical park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s in green network and resident’s use of parks.

      • KCI등재

        박목월의 후기시에 나타난 초월성의 은유 미학

        박선영(Park Sun-young) 우리말글학회 2009 우리말 글 Vol.46 No.-

        This study is to explore in what metaphoric system the Christian transcendence in Park Mok-wol's late period poem 『The Big and Soft Hands』 generates poetic meanings by employing Hrushovski's theory of frame of reference and examine his esthetic renewal unveiled through this process.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metaphor of visionary life that appears in Park Mok-wol's poems. His poems embody transcendence through visionary experience by the direct revelation of God. It materializes vitality infinitely expanding via vertical and horizontal expansions. The third chapter discusses metaphor of paradoxical awakening in his poems. His poetry unveils paradoxes by identifying the death of ego with a new life. This realizes transcendent awakening as “Emptiness” by the death of ego interacts with and merges with “Refreshment” by the divine life. In the fourth chapter, metaphor of omnipresent divinity in his poetry is discussed. Park's poems written in the late period embody direct transcendence by the divine omnipresence. He materializes the omnipresent divinity as he forms various frames of reference. In short, Park's late period poetry 『The Big and Soft Hands』 realizes transcendence using various metaphors related with visionary life, paradoxical awakening and omnipresent divinity. His poems create poetic meanings and tension by combining various frames of reference in metaphoric relations, and thereby reveal his perceptual expansion and aesthetic renewal.

      • KCI등재

        박목월 초기시의 공간 은유

        박선영(Park, Sun-young),박슬기(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0 한국문학과 예술 Vol.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흐루쇼브스키의 은유 이론을 활용하여 박목월의 초기시집 『청록집』, 『산도화』에 나타난 시적 공간이 어떠한 은유체계 속에서 기독교적 초월성을 생성하는지 밝히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그의 인식의 확장과 미학적 갱신을 조명하는 것이다. 우선 2장에서는 박목월의 초기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의 인간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박목월 초기시의 자연은 이상세계를 표상하며 이는 실현 불가능한 ‘머언’ 거리감을 지니고 있다. 그는 이 거리감을 없애고 자연과 합일하기 위하여 초월을 지향하는데 이것은 외부세계가 내면화되는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3장에서는 그의 초기시에 나타난 인간 공간의 자연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것은 내부세계가 외면화되는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처럼 박목월 초기시에는 자연 공간의 인간화, 인간 공간의 자연화라는 은유 양상을 통하여 시적 의미와 긴장이 생성되고 있다. 그의 초기시의 시적 공간에는 다소 단순한 은유적 의미망이 형성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은유가 초기시의 의미를 창조하는 중요한 시적 원리로 작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in what metaphoric system the poetic space in Park Mok-Wol’s early period poetry 『Cheong-rog-jib(靑鹿集))』, 『San-do-wha(山桃花)』 generates the Christian transcendence by employing Hrushovski’s theory of metaphor and to explain his perceptual expansion and esthetic renewal through this process. In chapter two, the humanization of natural space shown in Park Mok-Wol’s early period poetry is discussed. The Nature in his early period poetry represents an ideal world and it seems to be impossible to realize. Park Mok-Wol directs transcendence to unite with the Nature by reducing the impossibility and it is expressed with internalization of outside world. In chapter three, the naturalization of human space shown in his early period poetry is discussed. It is expressed with externalization of inside world. In short, in Park Mok-Wol’s early period poetry poetic meaning and tension are generated by the metaphoric systems, the humanization of natural space and the naturalization of human space. Although somewhat simple metaphoric meaning systems are generated in the poetic space of his early period poetry, metaphor is the important poetic principal that creates the meaning of his early period poetry.

      • KCI등재

        유신체제와 국가의 유사종교화 : 대통령 탄핵 사태의 이해를 위한 시론(試論)

        박선영(Park, Sun You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0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9 No.1

        본 논문은 유신체제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지 않으면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태의 역사적 맥락을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유신체제에 대한 한국 학계의 해석은 “독재자의 장기집권을 위한 체제”였다는 시각이 여전히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2017년 전대미문의 대통령 탄핵 사태와 그 배경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도 이제까지와는 다른 시각으로 지난 유신체제의 정신사적 의미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유신체제는 그 이름만이 일본의 유신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일본의 유신이 지향했던 천황제 국가주의를 통한 근대화와 그것을 가능하게 만든 일본적 ‘시민종교’를 본뜨는 형태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국가신도와 결합한 일본의 시민종교에 필적하는 것을 한국은 자신의 전통 속에서 소환할 수 없었다. 따라서 국가 주도의 새마음운동과 같은 시민종교 창출을 위한 시도는 국가주의를 위한 유사종교의 형태로 추진되었고, 그러한 구조 속에서 지난 대통령 탄핵 사태에서 논란이 된 박 전대통령의 통치 스타일과 인간관계가 배태되었던 것이다. This thesis explores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in the context of the Yushin System in the 70’s in terms of its political spiritual core. Up to the present, the mainstream understanding of the Korean academia is that the Yushin system existed for the only one person and there was not much diversity in its interpretation of it for the reason of political correctnes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precedented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it is necessary to delve into the spiritual core of the Yushin System from a new perspective. The Korean Yushin System does not only get its name from the Japanese Meiji Yushin, but also pursued the Japanese emperor system with the Shinto as its state religion which was widely accepted and practiced among Japanese people as civil religion. Korean, on the other hand, was deprived of this religious practice in the state level. Therefore, the Saemaeum movement of this period had a characteristic of pseudo-religion and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a civil religion, comparable to Japanese Shinto, to form a strong nationalistic ideology. The former President Park’s private associates and her style in governance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causing scandals that led to the impeachment.

      • KCI등재

        박목월의 후기시에 나타난 죽음의식의 은유체계

        박선영(Park, Sun-Young)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2 No.-

        본고의 목적은 흐루쇼브스키의 지시틀 이론을 활용하여 박목월의 후기시집 『경상도의 가랑잎』, 『사력질』, 『무순』에 나타나는 죽음의식이 어떠한 은유적 의미체계 속에서 시적 의미를 생성하는지 밝히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그의 인식의 확장과 갱신을 밝히는 것이다. 2장에서는 박목월의 후기시에 나타나는 죽음의식에 공기적 해체 은유가 형성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의 시 <시간>, <적가>, <청파동> 등에서는 ‘물기’의 증발에 의한 해체를 통하여 죽음의식이 형상화되고 있으며, 그의 시 <무제>, <이별가>, <도포 한 자락> 등에서는 ‘바람’의 흩음에 의한 해체를 통하여 죽음의식이 구체화되고 있다. 3장에서는 그의 후기시에 나타나는 죽음의식에 사물적 해체 은유가 형성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의 시 <수안보까지>, <회색의 새>, <나의 자시> 등에는 죽음의식이 다소 소극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반면, 그의 시 <얼굴>, <눈썹·B>, <액> 등에는 죽음의식이 보다 적극적으로 표출되면서 허무감이 형성되고 있다. 이처럼 박목월의 후기시에는 공기적 해체 은유와 사물적 해체 은유가 형성되어 죽음의식이 구체화되고 있다. 그의 시에는 다층적인 지시틀에 의해 은유가 형성되어 다의적인 죽음의식을 생성하면서 긴장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층위로의 의미론적 변용은 그의 인식의 창조성을 잘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in what metaphoric meaning system the perception of death in Park Mok-wol's late period poetry 『Fallen Leaves in Gyeongsang Province』, 『Pebbles』, and 『Randomness』 generates poetic meanings by employing Hrushovski's theory of frame of reference and unveil his perceptual expansion and renewal discovered through this process.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at perception of death shown in his late period poems is characterized by metaphors on atmospheric dissolution. His poems such as <Time>, <The Ode of Mourning>, <Cheongpa-dong> embody the perception of death through the dissolution of entity by means of the evaporation of moisture, while his other poems like <Untitled>, <A Song of Paring>, and <A Train of His Robe> materialize the awareness of death via materials being scattered by the wind.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at the perception of death appeared in his late period poems is described by metaphors on material dissolution. For example, his poems <To Reach Suanbo>, <A Grey Bird>, and <My Middle Of The Night> somewhat passively express the perception of death, while other poems <A Face>, <Eyebrows. B>, and <A Frame> describe a sense of emptiness by actively revealing the perception of death. In short, Park's late period poetry shows his perception of death through metaphors related to aerial and material dissolutions. His poetry forms metaphor via various levels of frames of reference, generating multiple perceptions of death and thereby maintaining tension. The semantic transformation at various levels showcases the creativity of his perception.

      • KCI등재

        박두진 수석시편의 여성화 양상 고찰

        박선영 ( Park Sun-yo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2 No.-

        돌의 세계에 매료된 박두진 시인의 후기 시작(詩作)은 돌과의 지극한 사랑 속에서 이루어진다. 돌밭을 순례하며 고독 속에서 빚어낸 수석시편은 시인의 독자적인 시정신이 집약되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박두진의 시 연구는 주로 초기시에 편중되었으며 후기에 발표한 수석시편에는 주력하지 못하였다. 또한 그의 수석시가 은유적 사유에 근거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상징이나 알레고리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박두진 시인이 수석에 천착한 이후 처음으로 출간한 시집 『수석열전』의 시편을 대상으로, `돌`의 표상성 너머에서 전개되는 은유적 의미의 증폭과 긴장의 심화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박두진의 『수석열전』에 나타나는 여성화된 돌의 이중적 의미 변주에 집중하였다. 수석시에서 여성화된 돌은 초월적 존재와 미적 존재로 전이되는 가운데 시인의 절망적 한계 인식과 에로스의 추구가 구현되고 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존재론적인 문제와 결부된 `돌`이 상징에서 은유로 이행되면서 의미의 세계가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흐루쇼브스키의 은유이론을 활용하여 수석시의 은유 양상을 분석한 이 글은 돌에 응집되어 있는 시인의 다층적인 사유의 결과 미감을 도출해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Poet Park Du-jin`s poetry written in the latter period of his career was the result of his long-lasting fascination with stones. Produced in solitude while walking on these stones, his poetry on Suseok or viewing stone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essence of his independent poetic spirit. However, studies on his poetry were mainly focused on poems written during the earlier period of his career, rather than the latter. 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his Suseok poetry is based on his metaphorical thinking,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were limited to exploring symbols and allegory. For these reasons,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aspects of metaphorical meaning extension, and the intensifying tension which are developed beyond the representation of stones in relation to Park`s “Suseok-yeoljean,” of which was the first to be published since he began pursuing viewing stones.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dual meanings of stones personified as feminine in his Suseok poems. Stones expressed as female figures in the poetry embody his awareness of desperate limitedness as well as the pursuit of eros as they further transformed into transcendental and aesthetic beings. As the representation of stones associated with the ontological issues of human beings shifted from symbol to metaphor through this process, their meanings extended. Analyzing metaphorical aspects of his Suseok poems with Hrushovski`s metaphor theo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rives its `texture` and aesthetic sense from the poet`s multi-layered thinking reflected in stones.

      • 1997년 경상남도 중부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의 임상적 고찰

        박선영,권오수,김원엽,정원조,마상혁,김상기,남성진,조성래,구본천,이규만,Park, Sun Young,Kwon, Oh Su,Kim, Won Youb,Jung, Won Jo,Ma, Sang Hyouk,Kim, Sang Ki,Nam, Sung Jin,Jo, Sung Rae,Gu, Bon Chun,Lee, Kyu Man 대한소아감염학회 199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5 No.1

        목 적 : 장바이러스는 무균성 뇌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1993년과 1996년에 국내에서 유행하였던 무균성 뇌막염은 주로 echovirus type 9에 의한 것이었다. 무균성 뇌막염의 유행시 원인 바이러스를 밝혀내는 일은 진단뿐 아니라 역학적인 의미에서도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1997년도에 마산 지역을 포함하는 경상남도 중부지역에서 유행하였던 무균성 뇌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원인 바이러스를 규명하고 임상증상과의 관계를 추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마산 파티마병원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진단된 환자 239명(소아 213명, 성인 26명)에서 채취한 검체(뇌척수액 128례, 대변 239례)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배양과 enterovirus RNA 검출을 시행하였다. 배양된 바이러스는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동정하였고 장바이러스 RNA는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1) 환자의 발생시기는 3월부터 10월까지였으며 6월에 가장 많은 환자의 분포를 보였다. 2) 대상 환자 239명(소아과 213명, 내과 26명)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소아환자의 평균연령은 4.9세로 신생아에서부터 15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16세이상 내과 병동에 입원하였던 환자는 평균 연령이 24.2세로 16세에서 35세까지의 연령 분포를 보였다. 3) 환자에서 바이러스 분리는 뇌척수액 128례중 53례(41.4%), 대변에서는 239례중 163례(68.2%)에서 분리가 되었다. 4) 분리된 바이러스의 결과를 보면 뇌척수액에서는 echovirus type30이 16례(30.2%), echovirus type 6이 6례(11.3%), echovirus type 4가 1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chovirus가 4례, coxsackievirus type B5가 1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nterovirus가 24례 이었다. 한편 대변에서는 echovirus type30이 72례(44.2%), echovirus type 6이 21례(12.9%), echovirus type 4가 1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chovirus가 17례(10.4%), coxsackievirus type B5가 1례, A24가 2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coxsackievirus type B가 3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nterovirus가 46례였다. 결 론 :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남도 중부지방에서 무균성 뇌막염의 유행이 있었으며 원인 바이러스는 echovirus type 30이 주된 원인 바이러스이었고 그 외에 echovirus type 4, 6, coxsackievirus B5, coxsackievirus A24에 의한 무균성 뇌막염의 산발적인 발생이 있었다. Purpose : Enteroviruses are the most common cause of aseptic meningitis. The epidemics of aseptic meningitis in 1993 and 1996 were mostly caused by echovirus type 9. Identification of the causative virus of aseptic meningitis in epidemics,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diagnosis but also for epidemiologic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tive viru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septic meningitis, prevailed in Masan and surrounding areas in Kyoungsangnamdo in 1997, and its clinical manifestations. Methods : One hundred twenty eight cerebrospinal fluid(CSF) and 239 stool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239 patients(213 children and 26 adult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were admitted to Masan Fatima Hospitals from March to October 1997. Viral isolation and serotype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by cell culture and immunofluorescent test. Enteroviruses not typed by immunofluorescent test was confirm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Results : 1) The peak incidence was noted in June. 2) The age of 239 patients(pediatrics-213 cases, internal medicine-26 cases) that were diagnosed ranged from neonate to 35 years, the age of the patients of pediatrics ranged from neonate to 15years(mean 4.9 years), the age of the patients of internal medicine (above 16 years) ranged from 16 years to 35 years(mean 24.2 years). 3) Fifty-three(41.4%) of 128 CSF specimens were positive for enteroviruses, and 163(68.2%) of 239 stool specimens were positive for enteroviruses respectively. 4) Serotypes of 53 enteroviruses isolated from CSF were 16(30.2%) of echovirus type 30, 6(11.3%) of echovirus type 6, 1 of echovirus type 4, 4 of untyped echovirus, 1 of coxsackievirus type B5, and 24 isolates of untyped enteroviruses. Of 163 enterovirus isolated from stool were 72(44.2%) of echovirus type 30, 21(12.9%) of echovirus type 6, 1 of echovirus type 4, 17(10.4%) of undetermined subtyped echovirus, 1 of coxsackievirus type B5, 2 of A24, 3 of undetermined subtyped coxsackievirus type B, and 46 isolates of untyped enterovirus. Conclusion : There were epidemics of aseptic meningitis in the central areas of Kyoungsangnamdo from March to October 1997. The main causative organism was thought to be the echovirus type 30, and echovirus type 4, 6, coxsackievirus B5 and A24 were also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epidemics.

      • KCI등재

        환경변화에 따른 꺽지 ( Coreoperca herzi ) 젖산수소이탈효소 동위효소의 적응상

        박선영,염정주 ( Seon Young Park,Jung Joo Yum ) 한국환경생물학회 1995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3 No.2

        Lactate dehydrogenase(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in the tissues of Coreoperca herzi was studied on the expression of Ldh-A, B, and C by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seasonal changes. The water temperature varied from 1 to 24 1, the pH range was 5.6 to 9.0. and the level of dissolved oxygen was 8.4 to 17.5㎎/ℓ. The activity of LDH had the differences in tissues. It showed higher activity in skeletal muscle and heart and lower activity in kidney, eye. brain, and liver. The relative activity of subunit A and B was affected by the pH range and the level of dissolved oxygen. It was showed that the kind of subunits had the difference on the tissue specificity. The relative activity of homotetrameric isozymes was higher than that of heterotetramers in each tissue. The relative activity of heterotetrameric isozymes was followed A_2B_2, A_3B, and AB_3 isozymes. The LDH AB_3 isozyme was absent in heart, liver, and brain tissues in spite of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The activity of LDH C_4 isozyme was lower than subunit A and B and it was especially lower level in a spawning season. The degree of inhibition of LDH by 10mM pyruvate was measured high level. The LDH isozymes were changed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but if they were adapted to environmental situation they may maintain the metabolic states.

      • KCI등재

        Mcl-1 is a Binding Partner of hNoxa

        박선영,김태형,Park, Sun-Young,Kim, Tae-Hyoung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8

        Bcl-2 family 단백질은 세포사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사 촉진 Bcl-2 family 단백질과 세포사 억제 Bcl-2 family 단백질 사이의 균형적인 상호작용이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주요인자이다. Bcl-2 family 단백질 중 하나인 Noxa 단백질은 p53 에 의한 전사되는 단백질로 처음 발견되었다. Noxa 단백질이 어떻게 세포사를 조절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Yeast two-hybrid 방법을 통해 Noxa 단백질과 결합하는 파트너 단백질을 검색하였고 이를 통해 세포사 억제 단백질 중 하나인 Mcl-1를 발견하였다. 사람 대장암 세포주인 HCT 116에서 Noxa 단백질과 Mcl-1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면역침전 방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HCT 116 세포주에서 Mcl-1 단백질 과다발현은 Noxa에 의한 세포사 유도를 크게 억제하였다. Noxa 단백질 과다발현에 의한 세포사 과정에서 Mcl-1 단백질이 분해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는 caspase 억제제인 z-VAD-fmk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이는 Mcl-1 단백질이 cas-pase에 의해서 분해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결론적으로, Noxa와 Mcl-1의 결합은 세포사 과정 중 caspase에 의한 Mcl-1 단백질 분해를 유도를 매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The Bcl-2 family proteins play critical roles in regulation of apoptosis, and the balanced interaction of pro- and anti-death members i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the cell fate. Noxa, a BH3-only Bcl-2-family member, has been originally identified as a target gene of p53.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human Noxa (hNoxa) regulates the cell death, we screened the hNoxa binding partner using the yeast two hybrid screening and found that anti-death protein Mcl-1 binds to hNoxa. The binding of hNoxa to Mcl-1 was confirmed by immunoprecipitation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HCT 116 cells. Mcl-1 significantly inhibited the hNoxa-induced cell death in HCT 116 cells. During the cell death induced by hNoxa, Mcl-1 protein was degraded. Its degradation was inhibited by z-VAD-fmk, a pancaspase inhibitor, suggesting caspase is responsible for Mcl-1 degradation in response to hNoxa. Together, the results indicate that hNoxa binds to Mcl-1 that is degraded by cas-pases during hNoxa-induced cell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