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 참여 경험이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취업여부, 고용형태, 일자리 만족도를 중심으로 -

        노경란,박용호,허선주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s in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on college graduates's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To analyze results for this study, data of 2008GOMS1(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were used. Study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of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effects positively on employability, employment in the full-time job, and job satisfaction. Secondly, the study results identified that individual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gender and mother's eentified level affect positively employability, employment in the full-time job, and job satisfaction. Thirdly, the study results showed university's efforts for improving i stufrastructure and curriculum affects employment of graduates. Lastly, this study identified clarifying the career goals and ability/skills development activities during college eentition influence on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university give efforts of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services to improve the employability and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대학 기반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에 대한 경험이 대졸자의 취업 및 고용형태, 그리고 일자리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국고용정보원의 ‘2008년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재학 중 경험하는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에 대한 대졸자의 주관적 유익성 인식이 대졸자의 취업가능성, 정규직으로의 진입 가능성, 취업 후 일자리에 대한 만족감 향상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모의 학력수준 등의 개인적 특성이 대졸자의 취업, 정규직 진입, 그리고 취업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인프라, 교육과정 등 대학의 자체적인 변화 개선 노력이 대졸자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재학 중 진로목표의 명확화와 이를 성취하기 위한 능력개발이 대졸자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졸자의 괜찮은 일자리로의 취업가능성 및 일자리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입국 초기 새터민의 취업지원 교육요구 진단과 연령에 따른 차이 분석

        노경란 안암교육학회 2008 한국교육학연구 Vol.14 No.2

        이 연구는 새터민의 성공적인 입직을 지원하기 위한 취업지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사진단계로서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이하 하나원)에 재원 중인 입국 초기 새터민의 ``취업지원 교육요구``를 밝히고 연령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입국 초기 새터민의 연령에 따른 취업지원 교육요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연령과 무한하게 취업지원이라고 하는 과제에 들어가기에 앞서 장래 직업획득에 대한 불안감과 긴장감을 완화시키는 심리적 안정 기제가 프로그램 내에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프로그램의 내용 개발에 있어 교육 주제에 따라 연령별 특화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주로 20대 연령층 대비 여타의 연령층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자기이해, 일지리 수용 태도, 진로의사결정 능력, 구직기술 구사 능력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연령 간 차이는 동일한 주제에 대한 내용 개발이라 할지라도 중점 내용의 종류 및 비중을 특화해야 할 것이다. 넷째, 연령 간 요구의 차이를 반영한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하여 공통모듈과 연령별 특화 모듈을 분리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육내용 전달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쉽고 재미있는 전달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입시 모집시기별 입학생의 경력개발과정과 취업목표 달성에 대한 차이 분석: 수시와 정시를 중심으로

        노경란,허선주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1

        This study analysed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velopment process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by type of admission to university.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5GOMS)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regular enrolled students, it was analyzed that the time of setting the career goal, the particip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personal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fluenced achievement of career goal. Secondly, in the case of regular enrollment, it was found that career goal setting,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college assiste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had an effect on career goal. Thirdly, in the case of regular enrolled students, it was found that setting job goal, participat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preparation for personal employment influenced achievement of job goal. Finally, it was found that job entry goal sett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articipation, personal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college assiste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fluenced achievement of job go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and the achievement of the employment goal by the admission time of the university were describ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입시 모집 시기별 경력개발과정 특성과 취업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중 2015GOMS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시 입학생의 경우 취업목표 설정 시기와 직업교육훈련 참여, 개인적 취업준비 활동 및 대학지원 취업준비 활동이 직업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시입학생의 경우 취업목표설정, 직업교육훈련 참여, 대학지원 취업준비 활동이 직업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시입학생의 경우 취업목표설정, 직업교육훈련 참여, 개인적 취업준비 활동이 직장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시입학생의 경우 직업목표설정, 직업교육훈련 참여, 개인적 취업준비 활동, 대학지원 취업준비 활동이 직장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대학입학 모집시기별 입학생의 경력개발과정과 취업목표 달성과 관련하여 이론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대생의 대학생활과 경력개발 경험에 대한 연구

        노경란,김은비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4

        한국의 노동시장 특성이 반영되어 여성의 경력과 관련된 논의가 주로 경력단절과 재취업에 편중되어 온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여성이 경력을 어떻게 개발하는가로 논점을 확산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S 여자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전형과 단과대학 및 전공의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면서 범주, 속성 및 차원에 속하는 대상자를 모집하기 위해 표본추출을 하였다. 이에 총 2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수집된 심층면담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접근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경력개발의 지향점이 되는 인생포부와 경력개발 포부를 분석한 결과 객관적 준거에 기초한 성취지향적 가치와 주관적 준거에 기초한 여유추구적 가치가 상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경력개발과정에서 활용하는 직업가치의 종류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과 경력개발 관계에 대하여 대학생들은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인식하였는데 이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활 유지 동력을 학생들의 경험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다. 끝으로 학생들의 미래 준비 특성으로부터 전공이수에서 다양한 비교과 활동에 이르기까지 현재 시점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여 열심히 대학생활에 임하고 있지만 제대로 된 준비가 맞는가에 대한 의구심과 불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서행동문제아동을 위한 아이존 주간치료프로그램 이용아동의 특성 및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노경란,남경인,양지윤,심종온,김지연,강귀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0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 Aizone, an After-School Day Treatment Program, with those of their peers, as well as to examine changes in their functioning at home, school, and in the community after participation in the Aizone program. As a treatment center based on an integrated-developmental theory, Aizone is a Korean daytime treatment facility that offers not only individual and group treatment for children, but also provides community-linked services integrated with parent and family intervention. Aizone provides services for children with complex or sever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is especially targeted towards children from low-income households. With the mission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youth through early intervention, Aizone was established in 2006, and as of 2016, has been implemented in ten locations throughout Seoul and is continuing to grow. This study investigates 201 students at Aizone with 186 contro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tending Aizone. Also,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measured changes in the children. However,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focus on reduction of symptoms, we used the Child 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to analyze changes in behavior, academics and peer relationships, emotion, and several special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children at Aizon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various aspects of function except addiction problem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본 논문의 목적은 아이존 주간치료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아동의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가정과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기능상 어떤 변화가 있는 지 살펴보았다. 통합적-발달적 이론에 기반을 둔 아이존은 아동에게 개별치료와 집단치료를 제공할 뿐 만 아니라, 부모 및 가족에 대한 개입과 함께 지역사회 연계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한국형 주간치료프로그램이다. 아이존은 중등도 이상의 심각하고 복잡한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아동 중에서 특히 취약계층의 아동에게 우선적으로 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06년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6년도에는 서울시내 10군데로 확대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아이존 주간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정서행동문제로 아이존을 이용한 201명의 프로그램 참여집단과 186명의 비교집단 아동을 대조하여 이용아동의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다음으로 이용아동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증상 감소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를 사용하여 행동, 학업 및 또래관계, 정서, 그리고 몇몇 특수영역에서 기능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이존 주간치료프로그램을 이용한 아동은 중독문제를 제외한 전반적인 영역에서 매우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

        특성화고 졸업 청년층의 취업결정요인

        노경란,허선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특성화고를 졸업한 청년층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이들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고졸자 취업진로 조사(HSGOMS: High School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중 취업 여부의 판단이 가능한 4,016명을 대상으로 특성화고 청년층의 취업결정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 및 가정의 특성, 취업목표, 학교의 진로지도, 가정 진로지도, 직업 관련 교육 및 훈련, 구직활동과 관련된 변인을 투입하는 총 6단계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별과 거주지역, 취업목표 설정 시기, 학교 성적, 직업 관련 교육 및 훈련의 다양성, 자격증 소지 유무, 구직활동 여부, 면접 경험이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특성화고 청년층의 취업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mployment determinants of specialized highschool graduates and to discuss how to improve their employabilit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ata of 4,016 cases which their employment status can be discerned from HSGOMS(High School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produced by KEIS(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analyzed using the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ersonal and family's characteristics, employment goal setting, career interventions of the graduated highschool/their own family,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job search activities were analyzed as employment determinant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gender, residential district, employment goal setting juncture, school record, participation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experiences of job searching/job interview as significant employment determinants of specialized highschool graduates.

      • KCI등재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 대상 단기 진로개발교육 효과 연구: 학습자의 진로인식 수준 변화를 중심으로

        노경란,전연숙 통일연구원 2009 統一 政策 硏究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gnitive change of learners who participate in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with early stage in their entrance. To accomplish this goal, it was employed paired comparison t-test, t-test, ANOVA as statistical analysis tools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pre-participation program and post-participation program. To achieve this objective,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tailored to North Korean defectors was performed for 31 participants. And participants had taken assessment tests related to their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barrier before and after performing a education program. Paired comparison t-test, t-test, ANOVA were used as statistical methods to demonstrate their change in terms of a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barrier between pre-participation and post-participation. To sum up results of this study, first, North Korean defectors changed positively comparing pre-participation to post-participation. Through this result, it can be found possibilities that a kind of short education program will be effective for North Korean defectors’ cognitive change of finding careers. Second, it should be reviewed to apply a typ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to North Korean defectors because there are some factors which have not changed significantly, for example to boost their interest about job-selection. It can be explained that they need to additional steps to motivate themselves to explorer careers and to understand why they have to develop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unlike North Korea. Third, contents and activities of educ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considered what problems are being faced by them urgently, such as families who remain in North Korea, broker fee, and so on. Fourth, it will be more effective if it is performed considering gap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hen a education program is provided to North Korean defectors. 이 연구는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직업세계로 원활하게 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진로개발교육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인식 변화 수준을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대상 프로그램 개발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원 수료 직전의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 3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진로미결정과 진로탐색장애에서의 변화를 차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육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의 진로미결정 및 진로탐색장애 상태가 개선되었다. 이로부터 단기간의 교육을 통한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 진로개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적극적인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진로개발모형으로 전형적 모형의 하나인 인지적 진로정보처리모형(자기이해-직업세계이해-의사결정)을 활용하였으나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의 진로탐색장애를 개선하는데 역부족이었다. 상술하면 교육 실시 결과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이 직업선택에의 흥미 제고에서 낮은 수준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즉,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북한과 다른 진로개발과정을 경험해야 할 직업선택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고 직업선택으로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단계가 삽입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및 활동 개발에 있어 북한이탈주민이 직면하는 특정 과제에 초점을 맞춰 이를 지원하는 구체적 도구의 개발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하면 대인관계 어려움, 중요타인과의 갈등, 경제적 어려움 등이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의 진로탐색을 저해하는 요소로 쉽게 완화되지 않는 과제임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함에 있어 특히 학력에 따른 학습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취업목표 달성 영향요인 분석

        노경란,허선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3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ffects of achieving an employment goal of the university graduates youth.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data of 709 cases which their employment goal had been set during university days from ‘2011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1’ produc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analyzed using the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definition which the employment goal consists of career goal and workplace goal, the results showed. On the one hand, the number of the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the relevance between certification and college major influenced positively on achieving both goals. On the other hand, the more the university graduates youth utilizes internet job-sites, the less, the less they would achieve both goals. In addition, the number of application for the job effected negatively on achieving an workplace goa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an employment goal. 이 연구는 노동시장 성과 중 개인의 주관적 경력성공 지표로서 취업목표의 달성 여부를 채택하여 대졸 청년층이 재학 중 수립한 취업목표의 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2011GOMS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취업목표를 직업목표와 직장목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능력개발노력 특성 요인 중 직업교육훈련 참여 정도, 자격증의 전공 관련성 등은 직업목표와 직장목표에 공통적으로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목표 달성에 긍정적 영향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반면 구직활동 특성 요인 중 인터넷 정보 활용성이 높을수록 직업목표와 직장목표 달성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자리 지원 횟수가 많아질수록 직장목표 달성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목표 달성에 있어 구직탐색 및 일자리 지원 횟수를 양적으로 늘리기보다 신중하게 선택적으로 구직활동을 추진하는 것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졸 청년층의 취업목표 달성 가능성 제고를 위한 이론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유연성을 매개로 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노경란,허선주,전연숙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career barrier with the resilience as a parameter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North Korean defectors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ly,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job inform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are required. Secondly, to reduce career barrier can be a positive factor in aspects of decreasing career related problems as well as in aspects of increasing the level of resilience. Thirdly, the higher North Korean defectors evaluate their resilience, the more positive North Korean defectors examin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Fourthly, to low the career barriers of North Korean defectors is helpful to improv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Lastly, the resilience as a parameter mediates positively between the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erms of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severa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취업준비 과정에서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특성이며 이들의 특수한 당면 과제인 적응유연성을 매개로 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거주지 정착 초기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조사(유효표본: 268부)하여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특수성을 고려한 직업정보 내용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장벽을 낮추기 위한 노력은 진로개발에 있어 부정적 요인인 진로장벽 인식 수준을 경감시키고 적응유연성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유연성이 향상되면 적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바람직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신념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장벽이 완화되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장벽을 낮추면 적응유연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실천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 KCI등재

        국제학술논문을 통해 본 북한의 과학기술 지식생산에 관한 연구

        노경란,김은정,최현규,Noh, Kyung-Ran,Kim, Eun-Jeong,Choi, Hyun-Kyoo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북한의 과학자들이 과학기술지식을 생산하는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국제학술논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동연구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주제 분야는 물리학, 수학 및 화학 등 기초과학 분야에 편중되어 있었다. 북한과의 주요 공동연구 협력국가는 중국이며, 김정은 시대 이후 그 현상은 더욱 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학 분야의 주요 공동연구는 독일에서 중국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학술논문을 발표한 북한의 과학자들의 소속기관은 총 32개 기관이었다. 그 중에서 국제학술 활동이 활발한 연구기관은 김일성종합대학, 국가과학원, 김책공업종합대학, 리과대학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research analyzed the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based on the data of international academic pap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prod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by North Korean scientis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subject areas of research were concentrated on basic science fields such as physics, mathematics and chemistry. The main collaborative research collaboration with North Korea is China, and the phenomenon has become stronger since Kim Jong Eun era. Major joint research in physics has moved from Germany to China. Among the research institutions that actively engaged in academic activities, KIM IL SUNG UNIV, ACAD SCI DPRK, KIM CHAEK UNIV TECHNOL, and UNIV SCI among 32 research institutes belonging to North Korean researchers who published international academic pap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