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맥주박을 이용한 알코올 발효사료의 최적 발효조건 규명

        김창혁,박병기,오상집,성경일,김현숙,홍병주,신종서,Kim, C.H.,Park, B.K.,Ohh, S.J.,Sung, K.I.,Kim, H.S.,Hong, B.J.,Shin, J.S. 한국축산학회 2005 한국축산학회지 Vol.47 No.4

        본 시험은 맥주박의 알코올 발효가 발효특성 및 사료의 영양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 이용한 시험사료는 맥주박과 파쇄 옥수수를 50:50(풍건상태)의 비율로 혼합하여 혐기 발효에 의하여 발효사료를 제조하였다. 발효 조건은 당밀 첨가 수준(0, 2 및 5%), yeast 첨가 수준(0, 0.1, 0.5, 1.0 및 2.0%) 및 발효 온도(4, 10, 30, 40 및 50$^{\circ}C$)에 따른 변화를 검토하였으며, 각 조건에 의한 알코올 함량, live yeast cell number (LYCN) 및 pH 변화를 조사하였다. 당밀 첨가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높게 생성되었다. 발효 24시간 동안에 yeast 0.1, 0.5, 1.0 및 2.0% 첨가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각각 1.9, 2.4, 3.1 및 3.1%로 나타나, yeast 첨가수준 1% 까지는 yeast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시험사료중의 알코올 생성량도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yeast 첨가수준 1.0 이상에서는 일정한 양의 알코올 이 생성되었다. 발효 초기의 LYCN은 yeast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P<0.05), 발효 48시간 후의 LNCN은 0.1% 이하에서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발효 온도에 따른 알코올 생성량은 발효 온도 30 및 40$^{\circ}C$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30$^{\circ}C$와 40$^{\circ}C$ 간의 알코올 생성량은 30$^{\circ}C$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발효 온도에 따른 pH는 발효 온도가 낮을수록 발효 24시간까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맥주박의 사료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yeast의 첨가량, 당밀(발효기질), 발효온도 및 발효시간 등의 요인을 고려하였을 경우, 본 시험의 조건하에서 원활한 알코올 발효와 발효사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정 발효조건은 당밀 5%와 yeast 1%를 첨가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determine the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 the 50:50 feed mixture of both crushed corn and wet brewer’s grain were anaerobically fermented at various conditions. Three supplementation levels(0, 2%, and 5%) of molasses, five supplementation levels(0, 0.1%, 0.5%, 1.0%, and 2.0%) of yeast and five different incubation temperatures(4$^{\circ}C$, 10$^{\circ}C$, 30$^{\circ}C$, 40$^{\circ}C$ and 50$^{\circ}C$) were tested to determine the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During fermentation, alcohol concentration, live yeast cell number (LYCN) and pH values of the mixture were analyzed. Alcohol concentrations of the fermented feed mixtures were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molasses supplementation. After 24hr fermentation, alcohol concentrations at 0.1%, 0.5%, 1.0% and 2.0% of yeast supplementation was 1.9%, 2.4%, 3.1% and 3.1%,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a proportional increase of alcohol concentration with the increasing supplementation of yeast (P<0.05) up to 1%, thereafter showing plateau at 2% supplementation. LYCN was relatively high with more than 0.5% yeast supplementation, whereas the value was significantly low(P<0.05) at 0.1% yeast supplementation. Alcohol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t 30$^{\circ}C$ and 40$^{\circ}C$ than other incubation temperatures (P<0.05),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30$^{\circ}C$. pH was rapidly decreased until 24 hours of incubation with steeper decrease at lower temperatures(P<0.05). Based on there results,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for the alcoholic-fermented feed production could be achieved with 5% supplementation of molasses, 1% supplementation of yeast, and 24hr long incubation at 30$^{\circ}C$.

      • KCI등재후보

        남은 음식물과 가축분 혼합 Extrusion 사료의 대체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성적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

        김창혁,박재인,이규호,Kim C. H.,Pak J. I.,Lee K. H.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2

        본 시험은 계분 및 돈분의 extrusion 처리가 산란계에 대한 산란성적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사료는 계분, 옥수수 및 타피오카를 $50\%,\;30\%$ 및 $20\%$로 혼합하여 extrusion 가공(BMERF)한 사료(실험 1)와 남은 음식물(FW), 돈분 및 옥수수를 $40\%,\;40\%$ 및 $20\%$로 혼합하여 extrusion 가공(SFERF)한 사료(실험 2)를 이용하였다. 실험처리는 실험 1에 4개 처리구(대조구, BMERF $10\%$, BMERF $20\%$ 및 BMERF $40\%$이며, 시험 2에 6개 처리구(대조구, FW $20\%$, W $40\%$, SFERF $10\%$, SFERF $20\%$, SFERF $40\%$)를 두었으며, 12주간 처리 당 4반복 반복당 30수를 공시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남은 음식물, 계분, 돈분의 영양성분은 extrusion 가공에 의하여 단백질, 에너지 및 칼슘 함량이 유의하게(p<0.05)개선 되었다. 실험 1에서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BMERF $10\%$구에 비하여 BMERF $20\%$ 및 $40\%$구가 높았으며(p<0.05), 산란율은 대조구와 BMERF $10\%$구 및 BMERF $20\%$구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BMERF $40\%$구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BMERF $10\%$구는 차이(p>0.05)가 없었으나, BMERF $20\%$구 및 $40\%$구는 효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BMERF 첨가는 난황색, 난백고 및 Haugh unit에 의하여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실험 2에서 사료섭취 량은 대조구, FW $20\%$구, SFERF $10\%$구 및 SFERF $20\%$구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FW $40\%$와 SFERF $40\%$구만이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산란율은 대조구와 SFERF $10\%$구와 SFERF $20\%$구는 차이(p>0.05)가 없었으나, FW $20\%$구, FW $40\%$구 및 SFERF $40\%$구는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사료효율은 산란율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난중, 난황색, 난백고 및 Haugh unit는 처리 간 차이(p>0.05)가 없었다. This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d the feeding effects of extruded broiler manure(BMERF) mixture and swine manure(SFERF) mixture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fy of laying hens. As a experimental feed, broiler manure, corn and tapioca were mixed in 50, 30 and $20\%$ to use for treated extrusion feed(BMERF, Exp. 1) and food waste(FW), swine manure and com were also mixed in 40, 40 and $20\%$ to use it(SFERF, Exp. 2) and implemented during 12 weeks, four replication and 30 chick of each treatment. The nutritional ingredients(protein, energy and calcium contents) of food waste, broiler manure and swine manure had been significantly improved(p<0.05) when handling extrusion. In the Exp. 1, the feed intake was much higher BMERF $40\%$ and BMERF $20\%$ than control and BMERF $10\%(p<0.05)$, the egg production of control, BMERF $10\%$ and BMERF $2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p>0.05), but BMERF $40\%$ was significantly lower(p<0.05). The feed efficiency of control and BMERF $1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p>0.05), but BMERF $20\%$ and BMERF $40\%$ were significantly lower(p<0.05). York color, White height and Haugh unit did not affected by BMERF additive. In the Exp. 2, the feed intake of control, FW $20\%$, SFERF $10\%$ and SFERF $2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p<0.05), but FW $40\%$ and SFERF $40\%$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e egg production of SFERF $10\%$ and SFERF $2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p>0.05) with control, but FW $20\%$, FW $40\%$ and SFERF $40\%$ were significantly lower(p<0.05). The feed efficiency was similar tendency to the egg production, however, the egg weight, york color, white height and haugh uni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each treatments(p>0.05).

      • KCI등재

        브로일러 사료에 $Bio-Silverlite^{(R)}$의 첨가가 사양성적, 장기중량, 소장 Villus 및 장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

        김창혁,임경천,황재효,라창식,박재인,Kim C.H.,Lim K.C.,Hwang J.H.,Ra C.S.,Pak J.I.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1

        본 연구는 브로일러 사료에 일라이트와 은을 이온 결합시킨 $bio-silverlite^{(R)}$의 첨가가 육계의 육성 성적, 장기 변화 및 장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negative control과 항생제 첨가구에 속하는 positive control, 사료에 0.5(S 0.5%) 및 1.5%(S 1.5%)를 첨가구인 4처리구 5반복으로 반복당 10수씩 총 200수로 시험하였다. 증체량은 항생제 첨가구, S 0.5%구 및 S 1.5%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사료 효율은 $bio-silverlite^{(R)}$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우수하게 나타났다(p<0.05). 소장 길이는 +C구가 -C나 $bio-silverlite^{(R)}$ 처리구(S 0.5% 구와 S 1.5% 구)에 비하여 높았으나(p<0.05), 소장 무게는 $bio-silverlite^{(R)}$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근위 중량은 $bio-silverlite^{(R)}$ 첨가구가 -C구와+C구에 비하여 낮았으며(p<0.05), 맹장 무게는 $bio-silverlite^{(R)}$ 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Villi의 길이는 S 1.5%구가 3주와 6주 후에도 -C구 및 +C구에 비하여 길었다. TBC와 CBC는 주령 및 사료 첨가제의 첨가 형태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AB는 negative 대조구인 -C 구에 비하여 +C 구 및 S 0.5% 및 S 1.5%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effect of $bio-silverlite^{(R)}$ on growth performance, organ phenomenon and cecum microflora in broiler chicks. The $bio-silverlite^{(R)}$ was made by an ion exchange between illite and $silver(Ag^+)$. There were four treatment groups: negative control group(non-treatment), antibiotic supplement group (positive control), 0.5% $bio-silverlite^{(R)}$ supplment group and 1.5%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 Total 200 birds was assigned for this five replication tests, allocating 10 birds into each treatment.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on isocalories and isonitrogen for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antibiotic supplementation (+C) and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s(S 0.5% and 51.5%) than the negative control group(-C), and feed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enhanced with increase of the level of $bio-silverlite^{(R)}$ supplement. The length of small intestine was longer in +C than in -C and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s (P<0.05), and the weight of small intestine was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bio-silverlite^{(R)}$ supplement. Crop weight was lower in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 than in -C and +C groups (P<0.05), and the cecum weight was heavier in $bio-silverlite^{(R)}$ supplementation group. Intestinal villi height was longer in 51.5% group at 3 weeks and 6 weeks of age than in -C and +C groups. With the respect of the forma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TBC and CBC was not affected by age and feed additive. However, the number of LAB was slightly higher in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 than in -C and +C group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단위동물의 섭식정보 전달인자로써 필수아미노산의 역할

        김창혁(Chang Hyeug Kim) 한국가금학회 1997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14 No.-

        사료섭취량의 변화와 혈액과 뇌내 유리아미노산 농도의 변화와의 관계는 사료 단백질과 사료내 아미노산 함량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변화에 연관되는 뇌 내 부위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검토하였다.<br/> 1. 사료단백질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료내 아미노산 함량은 혈액과 뇌내 제한 아미노산의 농도를 급여 2시간후에 감소시켰고, 이때 사료섭취량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br/> 2. 아미노산 결핍사료 급여에 의한 단기간에서의 섭식응답은 아미노산 결핍사료 급여 후, 혈액과 뇌내 PPC에서의 제한 아미노산의 농도변화가 사료섭취량의 감소에 선행하여 반응하였는데, 이는 PPC에서 제한아미노산의 농도변화가 아미노산 결핍사료에 대해 동물이 반응하는 최초의 응답으로 여겨진다.<br/> 3. 아미노산 부족사료 급여시의 사료섭취량 감소에 중추신경계가 관여하고 있으며 그 부위에 대한 생화학적 변화 및 신경 세포의 정보전달 경로를 면역조직학적으로 검색한 결과, PPC에서 급여후 2에서 3시간 후에 반응하였으며, 이후 amygdala로 아미노산 결핍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regulation of food intake in the nonruminants were reviewed, and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diets were calculated using the prediction equations reported by NRC(1974). The nonruminants reduced their food intake after ingestion of small amount of mulnutrition diets composed of significant amino acid deficiency. Two hours after in ingestive of imbalanced amino acid or amino acid-devoid diets, the food intake was significantly depressed, and the concentration of limiting amino acid is decreased at prepyriform cortex in the forebrain.<br/> To identify the regions of the brain which was recognised amino acid-devoid diet, the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of Fos immunoreactive neurons was examined various times after introduction of either amino acid-devoid or control diets. Fos immunoreactivity in the anterior prepyriform cortex increased selectively its adjacent at 1.5 to 3 hours after introduction of the amino acid-devoid diets.<br/> These area in the restoral ferebrain may serve a neural relays in the early phase of the anorective response that occur upon recognition of amino acid de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